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98329A -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329A
KR20100098329A KR1020100017892A KR20100017892A KR20100098329A KR 20100098329 A KR20100098329 A KR 20100098329A KR 1020100017892 A KR1020100017892 A KR 1020100017892A KR 20100017892 A KR20100017892 A KR 20100017892A KR 20100098329 A KR20100098329 A KR 20100098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pixel information
read
read contro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217B1 (ko
Inventor
마사미 유야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화소를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화소로부터 화소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촬상 장치에서의 상기 촬상부로부터 피사체까지를 연결한 선을 축으로 하여, 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따른 종횡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한 화소 정보의 판독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IMAGING APPARATUS, AUTO-FOCU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6-352716호 공보)에는, CCD 등의 촬상 디바이스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의 정보를 2화소 가산 또는 4화소 가산함으로써 암소(暗所) 촬영 성능 향상을 도모한 화소 가산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수직 방향의 화소 가산만 행하고 있으므로, 콘트라스트 방식의 오토 포커스에 있어서는 촬영 자세(*카메라를 잡는 방법, 수평 촬영 또는 수직 촬영)에 따라서는 암소 촬영의 충분한 성능 향상을 바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피사체는, 인물처럼, 가로(수평) 방향보다 세로(수직) 방향의 윤곽선을 포함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피사체에 대하여 어두운 곳에서 콘트라스트 방식의 오토 포커스의 동작을 지장없이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피사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세로선(縱線) 성분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수평 방향으로 한 통상의 촬영 자세(이하, 수평 촬영 자세라고 함)이면, 그 "수직 화소의 가산"에 의해, 콘트라스트 성분이 적은 수직 방향의 화소 정보에 대하여는, 화상을 밝게 하기 위해 가산 판독을 행하고, AF(Auto Focus)에 필요한 정보(콘트라스트 성분)가 많은 수평 방향의 화소 정보에 대해서는, 전체 화소에서 판독함으로써, 피사체에 포함되는 수직 방향의 윤곽선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할 수 있고, 오토 포커스의 동작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수직 방향의 화소 가산만 행하고 있으므로, 카메라를 수직 방향으로 한 촬영 자세(이하, 수직 촬영 자세라고 함)의 경우에는, 피사체에 포함되는 윤곽선과 화소의 가산 방향이 일치하게 되므로, AF에 필요한 정보(콘트라스트 성분)가 많은 수직 방향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하게 된다. 이로써, 화상을 밝게 할 수 있지만, 피사체에 포함되는 윤곽선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할 수 없게 된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2006-352716호공보
본 발명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화소 가산을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촬영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암소 촬영 시의 오토 포커스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종횡(縱橫)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auto-focus evaluation value)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과;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종횡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단계와; 상기 제1 판독 제어 단계에 의해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포커스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판독 제어 단계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와;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포커스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촬상 장치에, 상기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종횡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화소 가산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했으므로, 촬영 자세로 관계없이, 항상 암소 촬영 시의 오토 포커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1)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상부(12)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촬상부(12)에 장착되는 컬러 필터(36)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베이어 방식으로 불리는 배열 방식의 컬러 필터(36)의 원리도이다.
도 6은 실제 컬러 필터(36)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촬영 모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촬영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촬상부(12)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수평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수직 방향의 화소 가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수직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수평 방향의 화소 가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개량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비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1)의 외관도이며, 도 1의 (A)는 전면도, 도 1의 (B)는 배면도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손으로 쥐기에 적합한 형상의 보디부(2)의 앞면에 렌즈 경통(3)과 스트로보(4)를 배치하고, 보디부(2)의 배면에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5), 줌 키(6), 기능 키(7) 및 커서 키(8)를 배치하고, 또한 보디부(2)의 상면에 전원 스위치(9)나 하프 셔터 기능을 가지는 셔터 키(10)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와 같은 구성이라도 상관없고, 또는 휴대 전화기나 그 외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것,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된 것이라도 된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렌즈 경통(3), 모터 드라이버(11), 스트로보(4), 촬상부(12), CDS/ADC(13), 화상 처리부(14), 수평/수직 드라이버(15), 타이밍 제네레이터(TG)(16), 외부 메모리(17), SDRAM(18), 플래시 메모리(19), 자세 센서(20),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CPU)(21), 키 입력부(KEY)(22), 및 버스(23) 등을 포함한다.
각 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렌즈 경통(3)은, 광축이 일치된 복수의 촬영 렌즈를 수용한 렌즈 블록(3A)과 모터(3B)를 구비한다. 모터(3B)는, 이 렌즈 블록(3A)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모터 드라이버(11)로부터의 전력을 받아서 동작한다. 모터 드라이버(11)는, 버스(23)를 통하여 적절하게 CPU(21)로부터 받아들인 초점 제어 지령에 응답하여, 모터(3B)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 출력한다.
여기서, 렌즈 블록(3A)의 초점 맞춤은, 이른바 오토 포커스를 일컫는다. 오토 포커스는, 후술하는 촬상부(12)에 의해 구도 확인용의 프레임 화상 신호(라이브뷰 화상이라고도 함)가 출력되고 있을 때, 사용자의 하프 셔터 조작[셔터 키(10)의 반누름 조작]에 응답하여, 이 라이브 뷰 화상 중의 특정 영역(예를 들면, 화상 중심 부근)의 피사체에 초점이 맞도록, 콘트라스트 검출법(특정 영역 내의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가장 얻어진 때 초점 합치로 판정하는 방법)에 의해, 렌즈 블록(3A) 내의 포커스 렌즈의 광축 위의 위치를 전후로 미세 조정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렌즈 경통(3)은, 줌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줌 렌즈와 그 줌 렌즈를 작동시키기 위한 줌 모터와, 줌 모터용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촬상부(12)는, CCD 등의 2차원 촬상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있고, 전술한 렌즈 경통(3)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이 렌즈 경통(3)을 통하여 결상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에 따른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출력한다. 수직/수평 드라이버(15)는, 타이밍 제네레이터(1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이 촬상부(12)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신호(판독 신호, 수직 전송 클록, 수평 전송 클록 등)를 생성 출력한다.
CDS/ADC(13)은, 촬상부(12)로부터 출력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에 따른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이 CDS/ADC(13)는, 입력된 촬상 신호를 유지하는 CDS와, AE(자동 노출 조정) 처리 등에 수반하여 촬상 신호를 증폭하는 게인 조정 앰프(AGC), 증폭된 촬상 신호를 디지털의 촬상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AD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14)는, CDS/ADC(13)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의 촬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감마 처리 등)를 행하는 회로이다.
표시부(5)는, 소정의 어스펙트비(예를 들면 16:9)의 액정 디스플레이(LCD)(5A)와 드라이버 및 백라이트(5B)로 이루어지고, 표시 신호나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이 표시 신호에 기초한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하위 레이어(lower layer)에 표시하고, 또한, CPU(2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나 아이콘 등을 상위 레이어(upper layer)에 표시한다.
자세 센서(20)는, 디지털 카메라(1)의 촬영 자세를 검출하는 것이며, 이 촬영 자세는, 디지털 카메라(1)를 수평으로 잡고 촬영하는 "수평 화상 촬영 자세"와 디지털 카메라(1)를 수직으로 잡고 촬영하는 "수직 화상 촬영 자세"의 2개이다. 이와 같은 수평 촬영과 수직 촬영의 자세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자세 센서(20)로서는, 예를 들면 중력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지금, 수평 화상 촬영을 행하고 있을 때 디지털 카메라(1)의 보디부(2)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은, 보디부(2)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한 방향이 되지만, 촬영 자세를 수직 촬영으로 변경한 경우, 이 중력 방향은, 수평 화상 촬영 시에 대하여 약 90°만큼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촬영과 수직 촬영 각각에서 중력 방향이 상이하므로, 중력 센서를 사용하여 촬영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키 입력부(22)는, 보디부(2)의 각 부에 배치된 각종 버튼류[줌 키(6), 기능 키(7), 커서 키(8), 셔터 키(10) 등]의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CPU(21)는, 디지털 카메라(1)의 각 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컴퓨터라고 함)이며, 이 CPU(21)는, 미리 플래시메모리(19)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SDRAM(18)으로 판독하고, 이 SDRAM(18) 상에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의 각 부를 제어하여, 촬상 신호에 포함되는 휘도 정보에 기초한 AE 제어 처리나,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에 의한 오토 포커스(AF) 제어 처리, 및 후술하는 촬영 모드 처리 등을 행한다.
SDRAM(18)은, CPU(21)의 워크 메모리(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로서 기능하며, CDS/ADC(1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복수개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 메모리로서도 기능한다.
외부 메모리(17)는, 이미 촬영된 화상 파일을 기록 보존하는 것이다. 이 외부 메모리(17)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와 같은 착탈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촬상부(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촬상부(12)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여기서는, n열×m행의 화소 배열을 가지는 CCD의 구성을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부(12)는, 입사광량에 따른 전하를 축적하는 n×m개의 광전 변환 소자[이하, 화소(29)]를 매트릭스형으로 2차원 배열한다. 그리고, 화소(29)의 각 열 사이에 수직 전송부(수직 CCD라고도 함)(30)를 배치하여 촬상 영역(31)을 형성한다. 또한, 촬상 영역(31)의 도면을 향해 아래쪽에 수평 전송부(수평 CCD라고도 함)(32)를 배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구성에 따라서는, 촬상 영역(31)을 상하로 2등분하여 각 영역마다 1개의 수평 전송부를 구비해도 된다.
화소(29)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판독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하는 수직 전송부(30)에 일제히 받아들여지고, 수직 전송부(30)의 내부를,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수직 전송 클록에 동기하여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모든 수직 전송부(30)의 출력단은 수평 전송부(32)에 접속되어 있고, 수평 전송부(32)에는, 수직 전송 클록에 동기하여 1라인분의 신호 전하가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수평 전송부(32)에 받아들여진 신호 전하는,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수평 전송 클록에 동기하여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수평 전송부(32)의 출력단(出力端)에 도달한 신호 전하는, 동일한 단에 설치된 전하 검출부(33)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앰프(34)에서 증폭된 후, 단자(35)로부터 CCD 출력으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도 4는, 촬상부(12)에 장착되는 컬러 필터(36)를 나타낸 도면이다. 촬상부(12)의 모눈(square)은 각각 1개의 화소(29)를 포함하는 화소이며, 각 화소는 컬러 필터(36)의 모눈과 1대 1로 대응하고 있다. 컬러 필터(36)의 모눈은 각각 특정한 색을 가지고 있고, 색의 선택 방식이나 배열 방법에 따라 다양한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베이어 방식으로 불리는 컬러 필터(36)의 원리도이다. 이 방식은, 색 신호와 휘도 신호의 S/N 밸런스가 우수하며, 피사체의 밝기에 의존하지 않고 양호한 색 재현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Y는 휘도 정보를 얻기 위한 필터, C1 및 C2는 색 정보를 얻기 위한 필터이다. 베이어 방식에서는, Y 필터를 체크무늬형으로 배치하고, 홀수 라인의 간극에 C1 필터를 배치하고, 짝수 라인의 간극에 C2 라인을 배치한다. Y 필터를 많이 배치하는 이유는, 인간의 시각상, 색 정보보다 휘도 정보 쪽이 화상의 해상도나 윤곽의 선명도(sharpness)를 양호하게 지각하기 때문이다.
도 6은, 실제 컬러 필터(36)의 구성도이며, R은 적색 필터, G는 녹색 필터, B는 청색 필터이다. 적(R), 녹(G), 청(B)은 광의 3원색이며, 특히, 녹색은 피사체의 밝기를 잘 나타내므로, G 필터는 휘도 정보를 얻기 위한 필터로서도 사용된다. 즉, G 필터는 도 5의 Y 필터에 상당하며, R 필터 및 B 필터는 도 5의 C1 필터 및 C2 필터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촬영 모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촬영 모드 처리는, 구도 확인을 위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 하면서, 사용자에 의한 하프 셔터 조작[셔터 키(10)의 반누름 조작]을 검출하면, AE(자동 노출 조정)나 AWB(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및 AF(오토 포커스)를 행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풀 셔터 조작[셔터 키(10)의 완전 누름 조작]을 검출하면, 그 시점의 촬영 화상을 JPEG 파일로 변환하여 외부 메모리(17)에 기록 보존하는 일련의 처리이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미리 플래시 메모리(19)에 저장되며, SDRAM(18)에 로딩되어 CPU(21)에 의해 실행된다.
촬영 모드 처리를 개시하면, CPU(21)는, 먼저, 촬상부(12)로부터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프레임 화상(예를 들면, 매초 30프레임의 화상)을 구도 확인용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부(5)에 표시한다(단계 S1).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하프 셔터 조작[셔터 키(110)의 반누름 조작]이 행해지면(단계 S2), 피사체의 밝기를 검출하여(단계 S3), 소정의 밝기 이하의 암소 촬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
여기서, 피사체의 밝기는, 이른바 피사체의 노출이다. 이 노출은, 예를 들면, 라이브 뷰 화상 전체의 평균 휘도나, 상기 화상 내의 특정 영역의 평균 휘도 또는 핀 포인트의 휘도로부터 얻어진다. 이 노출의 측정은, 라이브 뷰 화상을 사용하여 노출을 측정해도 되고, 독립된 노출계를 사용하여 측정해도 된다.
단계 S4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즉 피사체의 밝기가 충분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화소 가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촬상부(12)의 화소 정보를 순차적으로 판독한다(단계 S5). 이하, 이 "화소 정보의 차례로 판독"을 "통상의 판독"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통상의 판독"에서는, 앞서 도 3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29)에 축적된 신호 전하가,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판독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하는 수직 전송부(30)에 일제히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받아들여진 신호 전하는 수직 전송부(30)의 내부를,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수직 전송 클록에 동기하여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수평 전송부(32)에 받아들여진 신호 전하가, 수직/수평 드라이버(15)로부터의 수평 전송 클록에 동기하여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수평 전송부(32)의 출력단에 도달한 신호 전하가, 동일한 단에 설치된 전하 검출부(33)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앰프(34)로 증폭된 후, 단자(35)로부터 CCD 출력으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한편, 단계 S4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즉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 이하의 암소 촬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자세 센서(2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보디부(2)의 방향을 조사하여, 촬영 자세가 "수평 방향"(즉, 수평 화상 촬영 자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그리고, 수평 화상 촬영 자세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는, 촬상부(12)의 화소 배열 중,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단계 S8). 한편, 수평 화상 촬영 자세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촬상부(12)의 화소 배열 중,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단계 S9).
즉, 촬영 자세에 따라, AF에 필요한 정보(콘트라스트 성분)가 많은 방향의 화소 정보에 대해서는, 전체 화소에서 판독하고, 콘트라스트 성분이 적은 방향의 화소 정보에 대하여는, 화상을 밝게 하기 위해 가산 판독을 행한다. 이로써,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더라도 정밀도가 높은 오토 포커스를 행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5, 단계 S8 또는 단계 S9로 계속하여, 촬상부(12)로부터 판독된 화상으로부터 AF 평가값(콘트라스트법을 이용한 평가값)을 산출한다(단계 S10). 다음으로, 산출된 AF 평가값에 기초하여 AF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 여기서, AF 처리는, 렌즈 블록(3A) 내의 포커스 렌즈를 움직이게 하면서 가장 강한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는 렌즈 위치를 찾아내는 자동 포커스 조작 처리이다.
이와 같이 하여, 가장 강한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는 렌즈 위치, 즉 포커스 위치를 찾아내면, 예를 들면 전자음이나 램프 표시 등에 의해, 포커스가 합치한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사용자에 의한 셔터 키(10)의 완전 누름 조작을 기다린다(단계 S12). 이어서, 셔터 키(10)의 완전 누름 조작이 행해지는 그 시점에서 촬상부(12)로부터 출력되는 촬영 화상을 JPEG 파일로 변환하여 외부 메모리(17)에 기록 보존하고(단계 S13),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리고, 단계 S4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는,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 이하의 암소 촬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 단계 S6에서, 자세 센서(2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보디부(2)의 방향을 조사(調査)하고 있지만, 이 단계 S4와 단계 S6 사이에, 스트로보 발광을 수반한 촬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삽입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스트로보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을 때나, 사용자의 희망에 의해 스트로보를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에만, 다음 단계 S6(카메라의 자세 판정)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포인트인 "화소 정보의 가산 판독"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 이하의 암소 촬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4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화소 정보의 가산 판독"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화소 정보의 가산 판독"은, 수평 화상 촬영과 수직 화상 촬영 자세의 각각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8은 촬영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A)는 피사체(37)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수평 방향으로 잡은 수평 화상 촬영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B)는 피사체(37)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수직 방향으로 잡은 수직 화상 촬영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수평 화상 촬영 자세의 경우에는,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 또한, 수직 화상 촬영 자세의 경우에는,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 즉, 촬영 자세에 따라 화소 정보의 가산 방향이 상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직 화상 촬영 자세 시의 수평 성분 및 수직 성분은, 실제의 수직 화상 촬영 시의 수평,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화상 촬영 시의 수평, 수직 방향에 대응하는 성분이다. 즉, 실제 수직 화상 촬영 시의 수평 방향, 수직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도 9는 촬상부(12)의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모눈은 화소(29)이며, 각각의 화소(29)에는, 대응하는 컬러 필터[도 4∼도 6의 컬러 필터(36) 참조]에 맞추어서 R, G, B의 각 색 기호를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R은 적, G는 녹, B는 청이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부(12)의 컬러 필터는 베이어 배열이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마다 위에서 아래로 G, R, G, ···, B, R, B, ···의 배치로 있다. 열 사이에는 수직 전송부(30)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최하단에는 수평 전송부(32)가 배치되고, 그 수평 전송부(32)의 출력부에 앰프(34)가 접속되어 있다.
<수평 화상 촬영시의 화소 가산>
도 10은, 수평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수직 방향의 화소 가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0의 (A)는 시점 T1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시점 T1에 계속되는 시점 T2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의 (C)는 시점 T2에 계속되는 시점 T3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도 10의 (A)∼(C)는, 촬상부(12)를 구성하는 하나의 열의 동작을 개념화한 것이다. 여기서, 화소(29)의 모눈 내에 기재된 G6, R6, G5, R5, ···, G1, R1은 각각 그 열의 제6번째 녹색, 제6번째 적색, 제5번째 녹색, 제5번째 적색, ···, 첫번째 녹색, 첫번째 적색의 각 화소를 편의상 나타내고, 또한 그 좌측에 상하로 배열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은 각각 수직 전송부(30)의 각 전송 소자를 나타낸다.
도 10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시점 T1에서는, G6, R6, G4, R4, G2, R2의 각 화소(29)의 신호 전하가 수직 전송부(30)에 판독되어 있지만, 다음 시점 T2에 있어서는, 수직 전송부(30)에 판독된 이들 신호 전하가 2행분만큼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3번째 시점 T3에 있어서, 새로, G5, R5, G3, R3, G1, R1의 각 화소(29)의 신호 전하가 수직 전송부(30)에 판독된다. 그리고, 먼저 판독되어 있던 신호 전하(G6, R6, G4, R4, G2, R2)와 이번에 판독된 신호 전하(G5, R5, G3, R3, G1, R1)가 수직 전송부(30)에서 가산된다. 그 결과 G6+G5, R6+R5, G4+G3, R4+R3, G2+G1, R2+R1이라는 2화소의 화소 가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소 가산 결과는, 수평 전송부(32)로부터 앰프(34)를 경유하여 화소 단위로 외부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수평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은, 촬상부(12)의 화소 배열 중,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
<수직 화상 촬영시의 화소 가산>
도 11은, 수직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수평 방향의 화소 가산)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1의 (A)는 시점 T1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시점 T1에 계속되는 시점 T2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C)는 시점 T2에 계속되는 시점 T3에 있어서의 화소 판독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도 11의 (A)∼(C)는, 촬상부(12)를 구성하는 하나의 행의 동작을 개념화한 것이며, 화소(29)의 모눈 내에 기재한 Ra, Ga, Rb, Gb, ···, Rd, Gd는 각각 그 행의 제a번째 적색, 제a번째 녹색, 제b번째 적색, 제b번째 녹색, ···, 제d번째 적색, 제d번째 녹색의 각 화소를 편의상 나타내고, 또한, 그 아래쪽에 좌우로 배열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은 각각 수평 전송부(32)의 각 전송 소자를 나타낸다.
도 11의 (A)∼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시점 T1에서는, Rb, Gb, Rd, Gd의 각 화소(29)의 신호 전하가 수평 전송부(32)에 판독되어 있지만, 다음 시점 T2에 있어서는, 수평 전송부(32)에 판독된 이들 신호 전하가 2열분만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3번째 시점 T3에 있어서, 새로, Ra, Ga, Rc, Gc의 각 화소(29)의 신호 전하가 수평 전송부(32)에 판독된다. 그리고, 먼저 판독되어 있던 신호 전하(Rb, Gb, Rd, Gd)와 이번에 판독된 신호 전하(Ra, Ga, Rc, Gc)가 수평 전송부(32)에서 가산된다. 그 결과, Rb+Ra, Gb+Ga, Rd+Rc, Gd+Gc라는 2화소의 화소 가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소 가산 결과는, 수평 전송부(32)로부터 앰프(34)를 경유하여 화소 단위로 외부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수직 화상 촬영 시의 화소 가산은, 촬상부(12)의 화소 배열 중,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고,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한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 수평 화상 촬영 시에 종선을 많이 포함하는 피사체를 수직 화상 촬영한 경우에도, 그 피사체를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할 수 있다. 암소 촬영 시에 있어서의 오토 포커스의 동작을 지장이 없이 행하게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많다고 여겨지는 수평 화상 촬영 시에 종선을 많이 포함하는 피사체를 수직 화상 촬영으로 촬영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화소의 가산"의 방향(101)이 복수의 종선(100)과 직교한다. 따라서, 화상을 밝게 할 수 있지만, 복수의 종선(100)과 평행한 방향의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의 검출을 행하므로,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화상 촬영을 행할 때, "수직 화소의 가산" 대신 "수평 화소의 가산"(도 11 참조)을 행하도록 했다. 이로써, 수평 화상 촬영 시에 종선을 많이 포함하는 피사체를 수직 화상 촬영한 경우에도,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종선(100)과 "수평 화소의 가산"의 방향(101)을 평행한 관계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성분이 적은 방향의 화소 정보를, 화상을 밝게 하기 위해 가산 판독하고, 콘트라스트가 강한 방향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종선(100)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자세와 관계없이, 암소 촬영 시의 오토 포커스 동작을 지장이 없이 행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도 7 참조)의 주요부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도 7 참조)과 상이한 점은,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의 단계 S6(카메라의 자세 검출 단계) 대신,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단계 S61과, 어느쪽 콘트라스트가 강한지를 판정하는 단계 S71을 추가한 점에 있다. 여기서, 콘트라스트의 검출과 판정은, 라이브 뷰 화상 내의 주요부,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 범위(AF 범위) 내의 화상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단계 S71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즉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평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직 성분의 가산 판독"(단계 S8)을 행한다. 한편, 단계 S71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즉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직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평 성분의 가산 판독"(단계 S9)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실제 피사체에 따라 "수평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직 화소의 가산"(단계 S8)과 "수직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평 화소의 가산"(단계 S9)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실제 피사체가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평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직 화소의 가산"을 행하고, 또한,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직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평 화소의 가산"을 행한다. 이로써, 콘트라스트 성분이 적은 방향의 화소 정보를 화소 가산에 이용함으로써 화상을 밝게 하고, 콘트라스트 성분이 많은 방향의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므로, 어두운 곳에서의 촬영이라도 정밀도가 높은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상이 및 촬영 자세의 차이에 관계없이, 암소 촬영 시의 오토 포커스 동작을 지장이 없이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수평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직 화소의 가산" 또는 "수직 성분의 전체 화소 판독, 수평 화소의 가산"을 행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점은 콘트라스트법에 의한 오토 포커스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이면 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오토 포커스 범위(AF 범위) 내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고, 어느쪽 콘트라스트가 강한지를 판정하도록 했지만,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검출된 피사체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고, 어느쪽 콘트라스트가 강한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오토 포커스 동작 시뿐만 아니라, 기록용 화상에 있어서도 수평 또는 수직 화소를 가산 판독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2)

  1.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
    상기 촬상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
    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방향이 수평 방향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을 수직 성분에 대해서는 복수 화소의 가산 판독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 가산 판독 제어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을 수평 성분에 대해서는 복수 화소의 가산 판독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제2 가산 판독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산 판독 제어 수단은 또한, 수평 성분의 화소 정보는 전체 화소 판독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가산 판독 제어 수단은 또한, 수직 성분의 화소 정보는 전체 화소 판독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값 이하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촬상 장치.
  5.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화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
    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평 성분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3 가산 판독 제어 수단; 및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가, 수직 방향보다 수평 방향의 콘트라스트가 강한 경우에는 수직 성분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를 가산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4 가산 판독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산 판독 제어 수단은 또한, 수직 성분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가산 판독 제어 수단은 또한, 수평 성분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를 전체 화소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밝기가 소정값 이하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촬상 장치.
  9.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종횡(縱橫)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단계;
    상기 제1 판독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방법.
  10.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검출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단계;
    상기 제2 판독 제어 단계에서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상기 산출 단계에서의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방법.
  11.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촬상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종횡(縱橫)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1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1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auto-focus evaluation value)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
    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2. 복수의 화소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촬상부를 가지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화상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는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
    상기 콘트라스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한 화소 정보의 판독 방법을 제어하는 제2 판독 제어 수단;
    상기 제2 판독 제어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소 정보에 기초하여 AF 평가값(auto-focus evaluation value)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 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포커스 수단;
    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00017892A 2009-02-27 2010-02-26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98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5116A JP5035702B2 (ja) 2009-02-27 2009-02-27 撮像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9-045116 2009-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29A true KR20100098329A (ko) 2010-09-06
KR101098217B1 KR101098217B1 (ko) 2011-12-27

Family

ID=4216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92A KR101098217B1 (ko) 2009-02-27 2010-02-26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3255B2 (ko)
EP (1) EP2224725B1 (ko)
JP (1) JP5035702B2 (ko)
KR (1) KR101098217B1 (ko)
CN (2) CN101848329B (ko)
TW (1) TWI4460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9248B2 (ja) 2010-05-18 2015-11-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オートフォーカスイメージング
US20130271661A1 (en) * 2010-12-28 2013-10-1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JP5874729B2 (ja) * 2011-09-14 2016-03-02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WO2014046039A1 (ja) * 2012-09-19 2014-03-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合焦確認表示方法
JP6375607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121531B1 (ko) * 2013-12-1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검출 가능한 이미지 센서 제어장치 및 방법.
JP6315776B2 (ja) * 2014-02-20 2018-04-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素子、撮像装置
JP6590055B2 (ja) * 2018-09-12 2019-10-1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291A (en) * 1994-09-30 1998-06-09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ation-dependent camera exposure and focus setting optimization
JPH10126682A (ja) * 1996-10-17 1998-05-15 Minolta Co Ltd 画像検出システム
JP2001057645A (ja) * 1999-08-18 2001-02-2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1154090A (ja) * 1999-11-30 2001-06-08 Olympus Optical Co Ltd 測距装置
US6747690B2 (en) * 2000-07-11 2004-06-08 Phase One A/S Digital camera with integrated accelerometers
JP4290100B2 (ja) * 2003-09-29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56900A (ja) * 2003-11-26 2005-06-16 Kyocera Corp 焦点検出用センサ−とその焦点検出用センサ−を有する焦点検出装置及び焦点検出方法並びに電子撮像装置
JP2006098676A (ja) 2004-09-29 2006-04-13 Nik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KR100781680B1 (ko) * 2004-12-31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폰의 사진 파일 저장 및 전송 방법
JP4661225B2 (ja) 2005-01-12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237764A (ja) * 2005-02-23 2006-09-07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カメラ
JP2006352716A (ja) 2005-06-17 2006-12-28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678843B2 (ja) * 2005-09-1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69589B2 (ja) * 2006-02-02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51343A (ja) * 2006-03-14 2007-09-27 Pentax Corp 撮像素子駆動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ユニット
JP5117068B2 (ja) * 2007-02-20 2013-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94469A (ja) 2008-02-12 2009-08-27 Ricoh Co Ltd 撮像装置
JP2010135904A (ja) * 2008-12-02 2010-06-17 Olympus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8329B (zh) 2012-09-05
TW201042355A (en) 2010-12-01
CN101848329A (zh) 2010-09-29
CN102572281B (zh) 2014-06-18
EP2224725A3 (en) 2011-03-02
JP5035702B2 (ja) 2012-09-26
EP2224725A2 (en) 2010-09-01
US20100220217A1 (en) 2010-09-02
TWI446085B (zh) 2014-07-21
KR101098217B1 (ko) 2011-12-27
EP2224725B1 (en) 2016-04-20
CN102572281A (zh) 2012-07-11
US8223255B2 (en) 2012-07-17
JP2010200196A (ja)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217B1 (ko) 촬상 장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기록 매체
US881716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5241355B2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972724B2 (ja) インタリーブ画像を捕捉する方法及び装置
JP5572765B2 (ja) 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及び合焦制御方法
US20100165176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EP2212731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JP201413967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合焦制御方法
US11171169B2 (en) Image sensor,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5484617B2 (ja) 撮像装置
JP201013034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WO2019065555A1 (ja) 撮像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US20060262211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JP2011019024A (ja) 撮像装置
JP2014165778A (ja) 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及び焦点検出装置
JP2006050149A (ja) 流し撮り方法および撮影装置
US2014028567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2001230966A (ja) 電子カメラ
JP4335648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
JP5224879B2 (ja) 撮影装置
JP201719465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1255452A (ja) 自動合焦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入力装置
JP2007068122A (ja)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0350082A (ja) 電子カメラ
JP4942493B2 (ja) 撮像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