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95545A - 정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정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545A
KR20100095545A KR1020107011684A KR20107011684A KR20100095545A KR 20100095545 A KR20100095545 A KR 20100095545A KR 1020107011684 A KR1020107011684 A KR 1020107011684A KR 20107011684 A KR20107011684 A KR 20107011684A KR 20100095545 A KR20100095545 A KR 2010009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tablet
dispensing device
casing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릿츠 딜
루드윅 다니엘 바이벨
Original Assignee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filed Critical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9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정제 스택으로부터 정제를 산발적으로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디스펜싱 위치와 운송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요소(200)가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 디스펜싱 장치는 이송 요소가 디스펜싱 위치에서 이송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제 스택을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 요소가 디스펜싱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취출 구멍 방향으로 정제 스택을 동반하는 유지 수단, 특히 승강 요소(300)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요소가 소정의 거리, 특히 정제 한 알의 두께 만큼씩 앞뒤로 이동할 때에, 정제 스택은 이송 위치에서 전진하여 각 정제들이 용이하게 취출되게 된다.

Description

정제 디스펜서{TABLET DISPENSER}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편평한 모양인 정제를 분배하는 정제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용 디스펜싱 장치에서 정제를 취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정제 스택을 수용하고, 그 정제들을 개별적으로, 즉 하나씩 또는 소정의 수량만큼씩 분배하기에 적합하다. 논의가 되는 정제들은 일례로 정제 형태의 의약품, 비타민 정제 또는 보조 식품인 건강 증진 약품, 정제 형태의 스위트 또는 츄잉껌,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용 세척용 정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종류의 정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본 발명은 습기 및/또는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정제들에 특히 적합하다. 무엇보다도 기계적 손상이 되지 않게 보호될 필요가 있는 정제들은, 정제 형태로 치료 목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약품이다. 정제 형태로 관리되는 비타민제 또는 철분 또는 철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품은 습기로부터도 확실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종류의 디스펜싱 장치를 정제-디스펜서(tablet-dispenser) 또는 정제-디스트리뷰터(tablet-distributor)로도 부른다.
정제 스택의 정제를 사용자에게 한 알씩 분배하는 다양한 정제 디스펜싱 방안이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정제들의 소형 표준 튜브용 디스펜서 인서트 또는 캡이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3/086901호 또는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2005/112672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서트 또는 캡은 실제로 정제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지만, 반면에 정제들이 중력에 의해 디스펜서 인서트 내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그 헤드 위에 소형 튜브가 놓여져야 한다. 이것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은, 튜브형 케이싱 내에, 케이싱의 상부 개방 단부를 향해 정제 스택을 압박하는 스프링-장착 승강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한번에 정제 한 알을 취출할 수 있게 하는 취출 장치가 상부 단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해법들의 예시들이 미국 특허 제5,071,033호, 미국 특허 제5,366,112호 또는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13223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펜서들의 단점은, 매우 광범위한 범위(실질적으로 정제 스택의 전체 높이)의 탄성을 커버하는 스프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초기에 정제들이 매우 큰 스프링력에 노출되어, 매우 큰 기계적 부하를 받게 된다. 이에 정제들이 손상될 수 있다. 즉, 정제 한 알이 취출된 후에,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정제들은 비교적 큰 힘과 큰 속도로 상부의 개방 단부를 향해 압박된다. 스프링 압력이 크면, 맨 위의 정제를 취출하기가 어렵게 된다.
미국 특허 제6,230,931호에서, 정제 스택이 튜브형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승강 요소 위에 안착하고 있는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승강 요소는, 케이싱과 관련하여 래칫 결합을 통해 취출 구멍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래칫 결합은 승강 요소가 진행 방향에 반대되는 후방으로 눌려지지 않도록 한다. 승강 요소용 작동 버튼은 케이싱 내의 종방향 슬릿을 통해 바깥쪽으로 나와 있고, 사용자가 승강 요소를 누를 수 있도록 하며, 작동 버튼을 가지고서 정제 스택이 케이싱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가 갖고 있는 중요한 단점은 케이싱에 슬릿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케이싱이 기밀 및 방습 밀봉되지 않게 된다. 정제들에 공공연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들은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펜서는 습기에 민감한 발포정 같은 정제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미국 특허 제7,204,391호에, 정제들이, 외부 튜브로 둘러싸여 있는 제1의 내부 튜브 내에 정제들의 주연 에지를 따라 일렬로 수용 배치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튜브들은 이들의 공통 종축 주위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다. 한편으로, 내부 튜브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승강 요소는 내부 튜브 내에서 내부 튜브의 종축을 따라 선형 방식으로 안내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내부 튜브 내의 종방향 슬릿을 통해 외부 튜브 내의 나선형 가이드 트랙 내에서 안내된다. 내부 튜브가 외부 튜브에 대해 틀어지면(twist), 승강 요소는 외부 튜브 내의 나선형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결국 내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 튜브 내의 취출 구멍을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승강 요소는 내부 튜브 내에 위치하는 정제들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정제들은 정제들의 주연 에지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정제만을 수용할 수 있거나, 또는 튜브들이 불균형적으로 길어야 한다. 이러한 디자인이 갖는 단점은, 디스펜서를 한손만으로는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부 튜브를 외부 튜브에 대해 충분히 쉽게 비틀기 위해서는, 이들 두 튜브들 사이에 간극(clearance)이 있어야만 한다. 그렇게 되면, 그 간극을 통해 공기, 습기가 튜브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간극이 없다면, 디스펜싱 장치에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디스펜싱 장치를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우연히 튜브가 돌면 정제들이 승강 요소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제들이 기계적으로 손상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특성을 구비하는, 정제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소망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방습 밀봉되도록 구성되며,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정제를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개선된 실시예들이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디스펜싱 장치는 정제 스택을 수용하고, 그 스택에 속하는 정제들을 개별적으로 분배(dispensing)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싱 장치는 정제 스택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한 번에 한 알의 정제를 또는 한 번에 소정의 수량, 일례로 두 알 또는 세 알을 취출하도록 하는 취출 구멍을 또한 포함한다. 이 취출 구멍은 오로지 케이싱에 의해서만 경계가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디스펜싱 장치에 속하는 다른 요소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질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은 뚜껑 특히 접이식 뚜껑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펜싱 장치는 정제 스택을 이송 방향을 따라 취출 구멍 쪽으로 운반하는 이송 요소(conveying element)를 포함한다. 이 이송 요소는, 상기 케이싱과 관련하여, 디스펜싱 위치(통상 위치/확장 위치)와 이송 위치(작동된/눌려진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싱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유지 수단(holding means)을 포함한다. 이송 요소가 디스펜싱 위치에서 이송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이송 요소가 정제 스택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제 스택을 유지한다. 다른 한편, 이송 요소가 이송 위치에서 디스펜싱 위치로 후방 이동할 때에, 정제 스택이 이송 요소에 의해 이송 방향으로 동반 이동되도록, 상기 유지 수단은 정제 스택을 유지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이송 요소와 유지 수단은 상기 케이싱과 상호작용하여, 이송 요소가 전방 및 후방 이동할 때마다, 정제 스택이 이송 방향으로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이송되도록 한다. 그 사전 결정된 양은 특히 정제 한 알의 두께이거나, 사전에 결정된 수량의 정제의 두께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펜싱 장치는 매우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다. 정제 한 알이 취출 구멍에서 취출된 후에, 새로운 정제 한 알 또는 사전에 결정된 수량의 정제를 취출 구멍에서 활용하기 위해, 단순히 이송 요소를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디스펜싱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일반적으로, 이송 요소를 이송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후방 이동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탄성 요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선택적으로는 후방 이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디스펜싱 장치의 방향과는 별개이다. 이송 요소는 케이싱 내에 완전히 용이하게 배치되어서, 디스펜싱 장치를 방습 밀봉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디스펜싱 장치 전체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정제 스택은, 케이싱 및/또는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불연속 스테이지(discrete stage)에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각 스테이지에서, 정제 스택은 당해 상기 요소와 관련하여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스테이지에 도달한 후에는, 케이싱 또는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정제 스택이 그 스테이지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테이지들 사이의 거리는 정제 한 알의 두께 또는 사전에 결정된 수량의 정제 두께에 대응한다. 그러나, 스테이지들 사이의 거리가 정제 한 알의 일반적인 두께, 일례로 0.5 내지 2 mm의 일부에 상응해서, 디스펜싱 장치에는 다양한 두께의 정제들로 채워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펜싱 장치에 의해 스테이지들 사이의 거리의 정수 배에 달하는 두께의 정제들을 취급할 수도 있다.
방습 밀봉되는 디스펜싱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또는 디스펜싱 장치를 방습 밀봉하기 위해,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극이 없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따라서, 일례로 케이싱의 일부인 디스펜싱 장치의 외부 튜브의 일 단부(상단부)가 뚜껑으로 밀봉되면, 튜브와 뚜껑 사이에 간극 또는 갭이 없게 된다. 뚜껑으로 외부 튜브의 상부 단부를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밀폐하기 위해, 뚜껑은 바람직하기로는 외부 튜브의 일 단부(상부 단부)에 형-체결(form-locking) 방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뚜껑과 외부 튜브 사이를 프레스 끼워맞춤(press fit)하면 방습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외부 튜브의 타 단부, 즉 하부 단부도 베이스에 의해 방습 방식으로 밀봉된다. 이에 따라,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로 습기가 들어올 수 있는 통로, 갭 같은 공간이 없게 된다.
케이싱의 베이스는 외부 튜브의 타단부(하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게 밀봉하는 별개의 부품일 수 있다. 외부 튜브의 하단부와 베이스를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습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외부 튜브를 프레스 끼워맞춤한다.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 단부와 베이스 사이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습기 일례로 습공기가 디스펜싱 장치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유지 수단은, 근위 단부(즉, 취출 구멍 반대쪽의 하부 단부)를 구비하며, 그 위에 정제 스택이 안착되는 승강 요소(lift element)를 포함한다. 승강 요소는 케이싱과 상호작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일례로 불연속적 스테이지에서,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반면에, 적어도 스테이지 내에서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승강 요소는 또한 이송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이송 요소가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반면,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송 요소와 함께 이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스테이지 내에서와 마찬가지로, 승강 요소는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적어도 스테이지 내에서는, 상기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이송 요소가 전방 및 후방 이동할 때마다 사전에 결정된 양 만큼, 정제 스택이 이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작용 효과는, 스테이지 중에, 케이싱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는 이동하게 하고,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래칫 연결을 통한 승강 요소와 케이싱의 상호작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의 내부 표면 위에는, 일례로 블로킹 스케일(유지치(retaining teeth)) 또는 블로킹 캠 형태의 블로킹 요소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는 이송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며, 승강 요소가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는 이동하게 하고, 적어도 스테이지 중에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승강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영역과 상호작용한다. 승강 요소의 래칭 영역을 블로킹 요소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해, 승강 요소는, 변형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의 횡단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승강 요소의 래칭 영역이 상기 변형력에 의해 블로킹 요소에 대해 압박된다. 이를 위해, 승강 요소는 실질적으로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 래칭 영역을 탄성 스프링 설부로 구성하여, 승강 요소의 전체가 변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지력을 골고루 분배하기 위해, 상기 승강 요소 위에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래칭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블로킹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스테이지 중에, 상기 케이싱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되는, 스테이지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킹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정제 한 알의 두께 또는 정제 여러 개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대표적인 정제 두께의 일부분에만 대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승강 요소의 래칭 영역과 블로킹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은 케이블-바인더(cable-binder)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요소의 제1 래칭 영역은 실질적으로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요소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릿을 관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승강 요소의 제1 래칭 영역은 케이싱 위의 블로킹 스케일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슬릿 또는 슬릿들을 지나쳐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요소는 상기 케이싱과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 요소의 이러한 구성은, 이송 요소가 본질적으로 튜브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송 요소는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승강 요소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 요소 내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경방향의 대향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슬릿들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래칭 캠 형태의 래칭 영역을 2개 또는 그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승강 요소는 플러그-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 요소는 정제 스택이 안착되는 커버 벽과, 래칭 캠들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바람직하기로는 원통형 또는 원뿔대(frustoconical) 측벽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승강 요소가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의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승강 요소는 취출 구멍을 향해 약간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요소는, 이송 요소가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송 요소가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승강 요소가 이송 요소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제2 래칫 연결을 통해 이송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2 래칫 연결은 이송 요소와 관련하여,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반면, 스테이지 중에, 그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송 요소는 일례로 블로킹 스케일 또는 블로킹 캠 형태의 블로킹 요소 복수 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킹 요소는 승강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래칭 영역과 상호작용하여,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게 하지만,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승강 요소가 변형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의 횡단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그 변형력으로 제2 래칭 영역을 이송 요소 위의 블로킹 요소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요소 내에 슬릿들이 제공되거나, 또는 제1 래칭 영역이 변형되는 전술한 슬릿들은 제2 래칭 영역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 상의 블로킹 요소들 간의 거리와 관련하여 전술한 사항들은, 이송 요소 상의 블로킹 요소들 간의 거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이송 방향으로 앞뒤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래칭 영역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승강 요소가 플러그-형이고 튜브형 이송 요소 내에서 안내된다면, 제2 래칭 영역은 승강 요소의 근위 가장자리(취출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향하는)로 형성될 수 있고, 블로킹 요소들은 이송 요소의 안쪽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케이싱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는 제어 캠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제어 캠의 형상에 의해, 제어 캠은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 이송 요소에 동반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 캠은, 스테이지 중에는, 케이싱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 캠은 이송 방향과 얕은 각(shallow angle)을 이루며 연장하는 제1 섹션들과,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 방향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섹션들로 이루어진 톱니형(jagged shape)일 수 있다. 승강 요소에는 상기 제어 캠 내에서 안내되는 제어 핀이 제공된다. 제어 핀이 제1 섹션들에 위치하고 있을 때, 승강 요소는 상기 핀에 의해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섹션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어 핀이 제2 섹션에 들어가자마자, 제2 섹션이 이송 방향의 횡단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핀은 더 이상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그러나, 제어 캠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의 제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비해 제조비용이 많이 비교적 많이 소요된다.
이송 요소는 종래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흡습성(하이그로스코픽(hygroscopic))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케이싱의 내벽에 위와 같은 흡습성 플라스틱 소재가 또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승강 요소는 건조제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뚜껑도 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뚜껑을 편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뚜껑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습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이유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술한다. 어쨌든, 상기 사항은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뚜껑의 벽 영역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지 수단은, 케이싱의 내부 표면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취출 구멍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는 정제 스택의 최하단 또는 상기 정제 스택을 운송하는 승강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케이싱과 관련하여, 정제 스택의 최하단 또는 승강 요소가 취출 구멍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을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1 스프링 설부(탄성 "폴딩 스케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 요소에는 케이싱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탄성 요소 전체가 형성되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은 복수의 제2 스프링 설부/폴딩 스케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 설부/폴딩 스케일은 이송 요소 위에 배치되어 있고, 취출 구멍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는 정제 스택의 최하단 또는 상기 승강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정제 스택의 최하단 또는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도록 하고,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승강 요소 또는 최하단 정제를 동반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송 요소는 본래 튜브형, 즉 중공-원통형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송 요소는 이송 요소 안쪽에 정제 스택을 수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송 요소의 안정성이 보증되는 한은, 소재를 절감하기 위해, 이송 요소의 측벽(쉘 벽)은 임의의 방식으로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송 요소는 이송 방향으로 정제 스택의 경계를 획정하는 원위 디스펜싱 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송 요소는 원위 방향에서 이송 요소를 밀폐하는 적당한 커버 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 구멍은 상기 원위 디스펜싱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펜싱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 스택 내의 최선단 정제가 이송 방향의 횡단방향으로 취출 구멍을 통해 상기 디스펜싱 영역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취출 구멍이 측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정제들이 조절되지 않은 방식으로는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양의 정제들이 신뢰성 있게 취출될 수 있다. 이송 요소 내에 (케이싱 내는 아님) 취출 구멍을 측방향으로 형성시키면, 디스펜싱 위치에서부터 이송 위치로 이동하는 이송 요소의 움직임을 적당하게 제한할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정제 한 알이 취출된 후에, 다음 정제를 취출할 준비를 위해, 정제 스택은 이송 요소의 작용에 의해 필요로 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송 요소는 이송 위치로부터 취출 위치로, 즉 이송 방향으로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요소는, 이송 요소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엄지손가락으로 케이싱 내로 압박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요소를 놓으면, 이송 요소는 스프링력에 의해 다시 디스펜싱 위치로 다시 압박된다.
이는 케이싱과 이송 요소 사이에 스프링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스프링 요소는 특히 이송 요소의 근위 단부 영역과 케이싱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간단한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요소는 제1 링과, 제2 링 그리고 이들 링들을 연결하며, 실질적으로 주연면 안쪽에서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하는 복수의 탄성 웨브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와 승강 요소는 간단한 방식으로 1부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스프링 요소와 승강 요소는 프리셋 파괴점(preset breaking poin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파괴점은, 디스펜싱 장치가 조립될 때에 초기에 파괴되거나, 또는 늦어도 이송 요소가 최초로 작동할 때에는 파괴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프링 요소와 승강 요소를 1부품으로 동시에 제조함으로써, 생산비용과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스프링력은 스프링 요소 대신에 케이싱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벨로즈형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벨로즈형 영역은 케이싱을 취출 구멍에 인접하는 원위 섹션과, 취출 구멍과 멀리 떨어져 있는 근위 섹션으로 세분한다. 이송 요소는, 원위 섹션과 관련하여,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근위 섹션이 동반되어 벨로즈형 영역이 확장되도록, 근위 섹션 내에 삽입된다. 그 결과, 상기 영역은 이송 요소 위에 복원 스프링력을 발생시킨다.
정제들은 기본적으로 디스펜싱 장치 내에 하나의 정제가 다른 정제의 위에 적층되어 있으며,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제의 기계적 손상이 방지된다. 투여를 정밀하게 할 필요가 있는 때에, 이는 특히 중요하다. 일례로, 사람의 건강을 증진하는 정제가 기계적 손상을 입은 경우, 그 손상된 정제를 먹은 환자는 너무 적은 양을 투여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는 정제 형태로 투여하는 의약품을 보관하는 데에 적합하다.
물론, 정제 한 알이 취출된 후에 적절한 방식으로 나머지 정제 스택이 즉시 취출 구멍 또는 뚜껑을 향해 이동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유리한 위치 고정이 더 이상 보장되지 못한다. 예를 들면, 나머지 정제 스택을 적당한 방식으로 취출 구멍을 향해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 요소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는, 취출 구멍을 연결하거나 및/또는 디스펜싱 장치의 뚜껑에 인접하는 상부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부는 일례로 이송 요소의 안쪽에 형성되는 환상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정지부는 취출될 준비가 되어 있는 정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정제가 취출되는 경우에도, 정제 스택의 나머지 부분의 "상부" 단부가 상기 정지부와 충돌하여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정제들이 정지부 아래쪽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들이 기계적으로 손상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정제 스택 내의 정제 한 알이 충분한 압력을 받아서 정지부를 통과하여서 그 정제가 취출될 수 있는 위치로 들어가도록, 정지부의 크기와 탄성은 정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장치를 보다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이송 요소는 서로가 결합하여 튜브를 형성하는 2개의 반구-쉘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반구-쉘은 형상-체결(form-locking)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에 블로킹 스케일과 같은 것이 형성되어 있는 튜브를 제조하는 것은 비교적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2개의 반구-쉘로 제조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구-쉘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 벽을 갖춘 취출 영역과 이송 요소의 취출 구멍은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된 반구-쉘 위로 뒤집어서, 상기 반구-쉘들이 별개로 제조된 취출 영역에 의해 적어도 보충적인 방식으로 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양한 실시형태를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조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스프링력은 승강 요소의 존재 여부와 상기 요소가 안내되는 방식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방습 밀봉되며,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정제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개시한다.
도 1은 디스펜서의 제1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를 Ⅱ-Ⅱ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펜서를 Ⅱ-Ⅱ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종단면도로, 뚜껑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서 뚜껑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디스펜서의 뚜껑이 열려있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케이싱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내부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Ⅸ-Ⅸ 방향을 따르는 내부 튜브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승강 요소와 스프링 요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부분의 다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Ⅸ-Ⅸ 방향에 대해 90° 회전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 10에 도시한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Ⅸ-Ⅸ 방향에서 바라본, 도 10에 도시한 부분의 중앙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부분의 변형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변형례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6은 Ⅸ-Ⅸ 방향에서 바라본, 도 14에 도시한 변형례의 중앙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케이싱의 제2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케이싱의 제3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케이싱의 제4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폴딩 스케일을 구비한 내부 튜브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1은 승강 요소 상의 래칭 캠을 관통해 연장하는 단면을 따르는, 제5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의한 디스펜서의 중앙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근위 단부 영역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디스펜서의 외부 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디스펜서의 밀폐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승강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디스펜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제1 측단면도이다.
도 27은 디스펜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제2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제-디스펜서의 제1 예시적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 디스펜서, 다시 말해 디스펜싱 장치는 뚜껑(120)이 있는 외부 튜브(110) 형태의 케이싱(100)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은 필름 힌지(121)에 의해 상기 외부 튜브에 1부품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 튜브(110)는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측벽은 조립 목적을 위한 V-형상의 배향 보조기구(orientation aid)(116)에 의해 제1 측벽 영역(111)과 내경이 상기 제1 측벽 영역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제2 측벽 영역(112)으로 세분되어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외부에서 가시적인 배향을 보조하기 위해, 제2 측벽 영역의 외경도 내경에 상응하게 제1 측벽 영역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 튜브의 내벽은 피삽입 승강 요소(lift element)에 속하는 것들 또는 래칭 캠(latching cam)(302)을 위한, 깔때기 형상의 하향 테이퍼진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안내 수단에 의해, 래칭 캠들은 디스펜싱 장치의 해당 각 부분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소망하는 위치를 지향하게 된다.
외부 튜브(110)는 베이스(113)에 의해 바닥을 향하는 부분이 막혀 있고, 외부 튜브는 1부품으로 베이스에 연결되어서 베이스와 일체로 되어 있다. 외부 튜브의 상부 단부의 필름 힌지(121) 맞은편에는 개방 보조기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의 뚜껑(120)에는 길이가 짧은 원통형의 측벽 영역(123)과 상부 커버 벽(122)이 있다. 상기 측벽 영역은 이송 요소의 취출 구멍(removing aperture)(203)을 밀봉하는 데에 필요한 높이 정도로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 구멍은 방습 방식으로 케이싱에 대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의 높이는 기껏해야 취출 구멍(203)의 높이보다 약간 크다. 기본적으로, 측벽(123)의 높이는 정제 하나의 두께보다 크고, 정제 두께의 2배보다는 작다. 물론, 취출 구멍의 높이에 비해, 정제의 두께가 상당히 얇은 경우에는, 이는 적용되지 않는다. 측벽 영역(120)의 높이가 작을수록, 상기 영역의 기구적 안정성은 커지며, 원치않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누설 위험성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가 유리한데, 이는 뚜껑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건조제를 뚜껑 내에 수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뚜껑 위의 필름 힌지(121) 반대편에 개방 보조기구(124)도 또한 형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뚜껑 위에는 최초 개봉을 보장하며, 처음으로 뚜껑이 열린 때에는 비가역적으로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디스펜서가 온전하다는 것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은 상술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뚜껑은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아이들이 열 수 없는 형태일 수 있다. 뚜껑은 나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나사식 뚜껑은 디스펜싱 장치를 여닫는 데에 양손을 사용해야 한다는 약점이 있다. 필름 힌지에 의해서 디스펜싱 장치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서 분실될 염려가 없는 스냅식 뚜껑이 바람직하다.
외부 튜브(110)에는 내부 튜브(200) 형태의 이송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도 3 및 도 4에 특히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부 튜브(200)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내부 튜브(200)의 외부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측벽(201)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튜브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튜브를 부분적으로 가리며, 내부 튜브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 스택(500)로부터 한 번에 하나의 정제(501)를 취출하도록 하는 측면 구멍(203)을 가로막지 않고 있는 취출 영역(202)에 의해 막혀 있다. 이는 뚜껑의 유무에 관계없이 취출될 최전방 정제(501)가 위쪽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추가의 개선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손상될 위험성이 감소된다. 튜브의 위쪽이 부분적으로만 가려져 있다는 사실에 의해, 위쪽에서 맨 위의 정제에 쉽게 닿을 수가 있고, 이 정제를 옆으로 쉽게 밀 수 있게 된다. 이는 정제를 움켜쥐어서 위쪽 정제를 잡을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것이 안 되면, 내부 튜브 위쪽이 완전히 가려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취급의 측면에서의 주요 약점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내부 튜브(200)는, 내부 튜브의 하부 단부(207)가 개방된 상태로 스프링 요소(400) 위에 안착된다. 내부 튜브는 외부 튜브(110) 안에서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의 공통 원통축을 따라 이송 방향(205)과 그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발 위치(start point)는 도 3과 도 4에 표시되어 있는 위치이다. 이하에서 출발 위치는 디스펜싱 위치(dispensing point)라고도 호칭된다. 출발 위치에서, 측면에서부터 취출 구멍(203)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 튜브(200)는 외부 튜브(110)의 상부 림 위로 충분히 멀리까지 돌출하고 있다. 뚜껑(120)이 열려 있는 디스펜싱 위치에서, 정제 스택 내의 최상단 정제(501)가 취출 구멍(203)을 통해 옆쪽으로 밀려 나올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취출 구멍(203)이 아래를 향하는 수평 위치로 디스펜서가 움직일 때에 취출 영역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특히, 만약 환상 정지부(208)(이는 "유지 비드"(retaining bead)로도 호칭됨)가 상기 최상단 정제(501)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위치한다면, 최상단에 있는 정제가 자동적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최상단 정제(501)에 대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최소의 클리어런스를 두어서, 한편으로는 최상단 정제(501)가 옆쪽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제가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종축(Ⅱ-Ⅱ)을 따르는 이동을 제한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실시형태의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디스펜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400)가 압축되고, 이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이 내부 튜브에 가해지는 상태에서, 내부 튜브는 이송 방향(205)의 반대 방향으로 외부 튜브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복원력에 대항하면서 소위 "이송 위치"(conveying position)인 제2 위치까지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내부 튜브를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내부 튜브가 자동적으로 디스펜싱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20)의 힌지(121)는 취출 구멍(203)의 반경방향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특히 취출 구멍과 힌지가 이송 방향 주위로 90° 오프셋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힌지와 취출 구멍 사이에는 이와는 다른 각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승강 요소(300)는 내부 튜브(200) 내에서 안내된다. 정제 스택(500) 내의 최하단 정제(503)는 상기 승강 요소(300) 위에 안착되어 있다.
디스펜서 기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최상단 정제(501)가 배출된 후에, 스택(500) 내의 다른 정제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프링 요소(40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내부 튜브(200)를 이송 위치로 누른다. 이 과정에서, 승강 요소(300)는 외부 튜브(110) 상에 유지되어, 정제 스택(500)의 상기 외부 튜브(110)에 대한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내부 튜브(200)는 정제 스택(500)에 대해 정제 한 알의 두께만큼 아래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취출 영역(202)의 커버 벽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정제 위에 안착하며, 내부 튜브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된다. 내부 튜브를 놓으면, 스프링 요소(400)가 상기 내부 튜브를 다시 디스펜싱 위치로 압박한다. 이 과정에서,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205)으로 내부 튜브(200)에 의해 동반된다. 그 결과, 정제 스택(500) 전체가 외부 튜브에 대해 정제 하나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제 정제 스택(500) 내의 최상단 정제가 취출 영역(202) 내에 자리 잡아서 취출 준비 상태로 된다.
내부 튜브, 외부 튜브, 승강 요소 및 스프링 요소의 상호작용은, 이들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7 내지 도 13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승강 요소(300)는 커버면(306)으로 위쪽이 막혀있는 원뿔대 측벽(301)을 구비한다. 측벽에는 대향하는 2개의 종방향 슬릿들(305)이 위치하고 있다. 슬릿들(305)은 슬릿들(305)을 연결하는 라인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 방향을 따라 승강 요소 전체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형력(FR)을 발생시킨다. 2개의 래칭 캠들(302)이 상기 슬릿들(305)에 대해 90° 오프셋된 방식으로 승강 요소(300)의 측벽(30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칭 캠들은 상기 종축에 대해 낮은 각도(shallow angle)로 경사지며 연장되어 있는 활주면(303)을 구비한다. 중심축으로부터의 활주면(303)까지의 거리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커진다. 최하단부에서, 각 래칭 캠(302)은 정지면(304)을 구비한다. 정지면의 법선 벡터는 실질적으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지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승강 요소(300)와 스프링 요소(400)는 탄성 플라스틱, 일례로 폴리에틸렌(PE)으로 공동으로 제작된다. 승강 요소(300)는 프리셋 파괴점(preset breaking point)을 형성하는 협 가교(narrow bridge)(309)에 의해 스프링 요소(400)에 연결된다. 이들 프리셋 파괴점은 조립할 때에 또는 늦어도 정제-디스펜서가 최초로 작동할 때에 파괴되어, 승강 요소(300)는 스프링 요소로부터 완전하게 독립하게 된다.
스프링 요소는 하부 링(401)과, 이송 방향을 따라 하부 링에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부 링(402)과, 이들 2개의 링을 연결하며 종축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하는 복수의 스프링 웨브(403)(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스프링 웨브가 있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 요소의 상기 2개의 링들(401, 402)이 서로를 향해 압축되면, 2개의 링들을 서로에 대해 분리되도록 압박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전단력이 스프링 웨브(403)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 요소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내부 튜브(200)는 측벽(201)의 안쪽 위에 다수의 블로킹 스케일(blocking scale)(204)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블로킹 스케일 각각은 종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활주면을 구비하고 있어서, 처음에 측벽(201)의 내경은 활주면 영역에서 위쪽으로(이송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고, 그런 다음 위쪽 정지면을 향하는 영역에서 다시 갑자기 확장된다. 승강 요소는 상기 내부 튜브(200) 안쪽에서 위쪽(이송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블로킹 스케일(204)의 활주면에 의해 승강 요소가 약간 탄성 변형된다. 승강 요소(300)의 하부 가장자리(308)가 활주면 영역을 떠나고 정지면을 지나자마자, 승강 요소는 다시 약간 확장된다. 상기 내부 튜브 내에서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승강 요소를 누르면, 상기 승강 요소의 하부 가장자리(308)가 당해 블로킹 스케일의 정지면에 부딪혀서 다시 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승강 요소는 내부 튜브 내에서 인접하는 블로킹 스케일들 사이의 거리만큼 위쪽으로만(이송 방향)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내부 튜브(200)는 상기 측벽(201)의 양 반대편 위에 2개의 종방향 슬릿(205)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요소 위의 래칭 캠들이 이들 슬릿들을 관통한다. 이들 래칭 캠들은 외부 튜브(110) 측벽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블로킹 스케일(115)과 상호작용한다. 상기 블로킹 스케일은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약간 요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측벽 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좁은 띠(narrow strip)를 형성한다. 승강 요소(300)는 래칭 캠(302)에 의해 상기 그루브 내에서 그루브를 따라 안내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외부 튜브에 대해 틀어지지 않게 고정된다.
래칭 캠들(302)은 내부 튜브의 슬릿들(205)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기 내부 튜브(200)도 외부 튜브(110)에 대해 틀어지지 않게 고정된다. 이는 이송 요소 내의 취출 구멍에 항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배향 보조기구(116)는 래칭 캠들(302)이 리세스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블로킹 스케일(115) 내로 들어가는 데에 도움을 준다.
선택적으로,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 사이를 디스펜싱 장치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별개의 제혀쪽매 이음(groove and tongue connection)함으로써, 외부 튜브와 내부 튜브가 틀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블로킹 스케일은 일례로 고리 모양 형태일 수 있다.
래칭 캠(302)은 활주면(303)을 구비한다. 활주면은 종축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하여서, 중심축으로부터 활주면까지의 거리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커진다. 상기 래칭 캠의 하부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아래쪽(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정지면(3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요소가 위쪽으로 눌려질 때에, 래칭 캠들(302)은 활주면(303)에 의해 블로킹 스케일(115) 위를 활주한다. 그 결과, 승강 요소도 횡방향에 있어서 변형력(FR) 반대 방향으로 압박된다. 래칭 캠(302)의 정지면이 블로킹 스케일(115) 위를 통과하는 순간, 래칭 캠은 변형력에 의해 2개의 연속된 블로킹 스케일들 사이의 영역으로 압박된다. 이제 승강 요소를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누르면, 정지면(304)이 이 정지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블로킹 스케일(115)의 정지면과 맞닿아서 다시 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승강 요소(300)는 외부 튜브(110)와 내부 튜브(200) 모두에 대해서, 2개의 연속된 블로킹 스케일(115 또는 204) 사이의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오로지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는, 내부 튜브(200)가 상기 외부 튜브(110) 내로 눌려질 때에, 승강 요소(300)가 외부 튜브에 대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 튜브(200)가 상기 정제 스택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제 하나의 두께만큼씩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는 또한, 내부 튜브가 반대로 이동할 때에, 승강 요소는 상기 내부 튜브에 의해 정제 하나의 두께만큼 이송 방향으로 동반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정제 하나의 두께는 정확하게 2개의 연속된 블로킹 스케일(115 또는 204)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제 스택은, 내부 튜브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에 의해 정제 하나의 두께만큼 이송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블로킹 스케일들 사이의 거리는 정제 하나의 두께의 일부에 상당하는 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승강 요소의 래칭 캠은, 정제 하나가 이송될 때에 여러 개의 블로킹 스케일들 위를 활주해야 한다. 이는 동일한 디스펜서를 두께가 다른 정제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승강 요소의 유지력을 보다 잘 분산시키기 위해, 승강 요소 위에 복수의 래칭 캠들을 이송 방향을 따라 앞뒤로 배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형태의 일 변형례에서, 승강 요소에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제를 위한 홀더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요소는 분말 또는 원통형 정제 건조제(311)가 수용되는, 환상의 수용 영역(310)을 구비한다. 건조제는, 일례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판지로 구성될 수 있는 소형 유지판(312)에 의해 수용 영역(310) 내에 유지된다. 건조제(311)와 정제 스택 영역 간에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승강 요소의 커버벽(306)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307)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내부 튜브(201)는 플라스틱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복합 소재는 그 자체로 흡습성(hydroscopic)이 있으며, 그 예로는 분자체형(molecular sieve-type) 소재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가, 일례로 국제특허공개공보 WO 97/032663호에 개시되어 있다. 흡습성 소재로 내부 튜브를 제조하면, 내부 공간을 균질한 방식으로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정제들은 수분으로부터 균질하게 보호받게 된다. 또한, 정제들이 적층된 상태로 그들의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정제들이 수분으로부터 동일한 정도로 보호를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정제-디스펜서를 구성하는 케이싱(100')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 케이싱의 측벽 영역에는, 전술한 스프링 요소(400)가 벨로즈형 영역(117)으로 대체되어 있다. 벨로즈형 영역은 케이싱을 베이스(113)에 인접하는 근위 섹션(118)과 원위 섹션으로 세분하고 있다. 내부 튜브(200)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케이싱 상의 블로킹 스케일(115)과 상호작용하는 승강 요소가 존재하며, 내부 튜브 상의 블로킹 스케일은 제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여, 상기 승강 요소는 내부 튜브 및 외부 튜브 안에서 정제 하나의 두께만큼씩 이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반면에,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송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디스펜싱 위치에서, 내부 튜브는 내부 튜브의 하부 단부가 외부 튜브의 베이스(113) 위에 안착하고 있다. 내부 튜브를 디스펜싱 위치에서 이송 위치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누르면, 벨로즈형 영역(117)을 이격시키려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내부 튜브(200)는 내부 튜브를 놓은 후에 다시 디스펜싱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디스펜서의 케이싱(100")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승강 요소는 래칫 연결(ratchet connection)을 통하는 대신에 2개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제어 캠들(130)에 의해 케이싱 위에서 안내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요소는 제어 캠과 체결되는 2개의 대응 제어 핀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캠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는데, 제어 캠들은 종축에 대해 약 45ㅀ 경사지며 연장하는 섹션들과, 상기 종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섹션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튜브는 이전의 두 개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내부 튜브가 눌려질 때, 승강 요소들은 제어 핀에 의해 제어 캠의 횡단방향 연장 섹션들 내의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튜브가 후방으로 움직일 때에, 상기 승강 요소는 경사진 섹션을 따라 내부 튜브에 동반되고, 제어 핀에 의해 이웃하는 횡단방향 연장 섹션들로 들어간다. 이를 보증하기 위해, 내부 튜브가 후방으로 움직일 때에, 상기 승강 요소를 횡단방향 연장 섹션들 내로 누르는 토크가 내부 튜브 상에 생성되고, 이에 따라 승강 요소 상에 토크가 생성되도록, 내부 튜브는 케이싱의 근위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제어 캠을 구비하는 실시형태는 케이싱 상에 벨로즈형 형태보다는 스프링 요소(4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4 실시형태에서, 승강 요소가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케이싱의 측벽의 내부 표면 위에는 복수의 스프링 설부(폴딩 스케일)(140)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설부는, 텐션이 없는 상태에서, 종축에 대해 안쪽으로 경사지면서 내부 벽에서부터 상향 경사지게(원위를 향하는 방식) 돌출하고 있다. 이것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대응 스프링 설부들(210)도 내부 튜브(200')의 측벽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20에서 내부 튜브(200')의 확대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향되어 있다. 정제 스택(500) 내의 정제들은 이송 방향으로 이들 스프링 설부들(140 또는 210) 위를 활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제들은 스프링 설부들(140 또는 21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설부들(140 또는 210)을 바깥쪽으로 압박한다. 정제 스택 내의 최하단 정제가 스프링 설부 위를 활주하자마자, 스프링 설부는 스프링 설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텐션을 받지 않는 위치로 폴딩되어 최하단 정제의 밑면과 스프링 설부의 상단부가 맞닿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하단 정제가 다시 밀어 넣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머지의 기능 방식은 제1 실시형태에서 기능하는 방식에 상응한다. 내부 튜브는 외부 튜브 내에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디스펜싱 위치로부터 이송 위치로 눌려진다. 이와 같이 내부 튜브가 압박되어 이동할 때에, 정제 스택은 정제 스택이 외부 튜브 상의 폴딩 스케일(130)과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내부 튜브를 놓으면, 스프링 요소에 의해 다시 디스펜싱 위치로 되돌아가며,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 튜브 상의 폴딩 스케일/스프링 설부가 상기 정제 스택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스택을 동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정제 스택 전부가 정제 하나의 두께만큼 위쪽으로 이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단일 정제의 직경 크기로 된 낮고 원형인 디스크로 구성된 승강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형 승강 요소 위에 최하단 정제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요소는 최하단 정제 대신에 폴딩 스케일/스프링 설부와 상호작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2 또는 제3 실시형태에서도 같이, 케이싱 위에 스프링 요소로 작용하는 벨로즈형 영역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내부 튜브는 흡습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외부 튜브 또는 케이싱은 고정 베이스(11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정제 투입은 위쪽으로부터 뚜껑 영역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내부 튜브가 위쪽으로부터 외부 튜브 내로 도입되며, 적용될 수 있다면, 승강 요소 및 스프링 요소도 위쪽으로부터 외부 튜브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승강 요소 또는 정제 스택을 외부 튜브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일례로 래칭 요소들과 폴딩 스케일 내로 압박하기 위해) 보조기구들이 필요하다. 또는 외부 튜브를 가열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외부 튜브 안으로 적당한 힘을 가하면서 승강 요소 또는 정제 스택이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이들 부분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에 외부 튜브의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고, 충전 작업이 끝난 후에 외부 튜브의 하부 단부를 밀봉하면, 충전 작업이 보다 간단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 튜브, 뚜껑 및 최초 개봉 표시기(일례로 보증 띠)가 특히 서로에 대해 1부품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케이싱(100"")의 외부 튜브(110)는 외부 튜브의 근위 단부(119)가 개방되어 있고, 근위 단부의 내부 표면 위의 영역에는 일례로 근위 밀폐 요소(베이스 캡)(150)를 위한 래칭 그루브로 작용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원주 환상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 캡(150)은 베이스(151)와 외각의 원주형 짧은 측벽(15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벽의 바깥쪽 위에는, 일례로, 외부 내의 래칭 그루브들과 상호작용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원주형 웨브가 형성되어서, 밀폐 요소(150)가 상기 외부 튜브 내로 처음으로 밀어 넣어진 후에, 밀폐 요소(150)가 형상-체결 방식으로 외부 튜브(110) 내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측벽(15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베이스(151) 영역으로부터 위쪽으로 튀어나온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원위 단부)에서 내부 튜브 돌출부의 하부 단부(207)와 상보적 형상으로 되어서 그 하부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링(154)으로 종결되는 벨로즈형 영역(153)이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 벨로즈형 영역(153)이 제1 실시형태에서의 스프링 요소를 대체한다. 그러나, 이 대신에 근위 단부가 개방된 본 실시형태에서 개별 스프링 요소를 제공하거나, 도 1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케이스와 같이 케이싱 자체에 벨로즈형 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근위 밀폐 요소는 승강 요소와 1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 튜브도 케이싱과는 별개로, 스프링 요소와는 1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밀폐 요소가 승강 요소와 1부품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생산 공학 관점에서 유리하며, 근위 밀폐 요소와 승강 요소 사이에 프리셋 파괴점이 위치한다. 제조 및/또는 조립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근위 밀폐 요소와, 스프링 요소 그리고 프리셋 파괴점에 의해 상기 스프링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 요소를 1부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충전 작업은 근위 측에서 이루어진다. 충전 작업이 종료된 후에, 밀폐 요소(150)가 외부 튜브 내로 압박되고, 그런 후에 환형 그루브와 웨브 사이의 연결에 의해 밀폐 요소가 상기 외부 튜브 내의 위치에 고정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외부 튜브(100"")의 하부 단부를 베이스에 형상-체결(form-locking)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베이스(150)가 형상-체결 방식으로 외부 튜브(100"")에 연결되거나, 또는 가압-체결 및/또는 접착제 사용, 융착 등만으로 또는 이들을 부가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방습 밀봉을 보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최소한도의 전제 조건은 베이스(150)와 외부 튜브(100"") 사이의 연결부에 간극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방습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적어도 프레스 조립(press fit)하거나, 또는 베이스가 일례로 융착에 의해 외부 튜브의 하부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디스펜싱 장치 내에서 정제들을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알고 있겠지만, 그럼에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례로 승강 요소에 의해 정제들을 취출 구멍을 향해 하나씩 운송할 수 있는 디스펜싱 장치에서, 정제가 어떻게 습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지를 모를 수 있다.
디스펜서의 개별 요소들은 다음의 소재들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소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 케이싱: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 내부 튜브: PP, PE 또는 흡습성 복합재료
· 승강/스프링 요소: PP 또는 PE
도 25 내지 도 27은 승강 요소(300)의 다른 실시형태,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래칭 캠 대신에, 도 25에 도시한 승강 요소의 평면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 평탄형 탄성 요소(600)의 두 단부가 양 측면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두 단부는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향하며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도 25에 도시된 승강 요소의 측단면이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과의 차이점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 상기 요소(600)의 2개의 단부가 외부 튜브의 매끄러운 내부벽 영역에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으로 안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이유로, 제1 벽 영역(111)과 제2 벽 영역(112)이 있다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 상기 평탄 요소(600)의 단부들은, 도 26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벽 영역(111)에 안착되어 있다. 도 26에 내부 튜브(200)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요소는 내부 튜브(200)의 안쪽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 평탄 요소(600)의 단부들은 내부 튜브의 2개의 종방향 슬릿들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 상기 요소(600)의 단부들은 아래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승강 요소는 프리텐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방식에 따라 아무런 문제없이 취출 구멍을 향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부들이 인접하는 내부 벽 영역에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승강 요소(300)는 아래쪽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비록 강이 플라스틱보다는 비싸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블로킹 스케일(115)과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외부 튜브 제조 비용은 더 저렴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의 본질적인 이점은, 외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요소가 위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임의의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이는, 정제들이 취출 구멍에 맞는 한은, 디스펜싱 장치 내에 임의의 소망하는 두께의 정제를 수용하고 취출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전제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평탄 요소(600)와는 다른 평탄 탄성 요소(601)가 있다. 탄성 요소(601)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되며, 양 단부가 상기 탄성 요소(600)와 마찬가지로 승강 요소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들 2개의 단부는, 도 2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리텐션 방식으로 내부 튜브(200)의 내부 벽 영역에 대해 안착하고 있다. 도 27은 도 26의 도면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 27에서는 (종축 주위로) 90° 회전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내부 벽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매끈하게(smooth) 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면 내부 벽 영역들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로킹 스케일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송 요소로 기능하는 내부 튜브가 디스펜싱 위치로부터 이송 위치로 압박되면, 승강 요소(300)는 상기 내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출 구멍을 향해 이동한다. 전술한 이유로, 승강 요소는 외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대 이동을 하도록 강제된다. 후속해서 내부 튜브가 디스펜싱 위치로 이동하면, 전술한 이유로, 승강 요소는 상기 내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외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승강 요소는 뚜껑을 향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승강 요소의 고정(arresting)과 승강 요소의 이동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과의 차이점은, 디스펜싱 장치가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되는 정제들의 두께에 조화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평탄 요소(600)와 비교하여, 평탄 요소(601)는 측방향으로 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평탄 요소(601)는 외부 튜브의 내부 벽 영역이 아닌, 내부 튜브의 내부 벽 영역까지만 연장하면 되기 때문이다. 사용 중 오작동의 염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평탄 요소들(600)은 평탄 요소들(601)과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평탄 요소들(600, 601)만을 사용하는 대신, 바람직하게는 별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평탄 요소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기본적으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단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평탄 요소(600) 또는 평탄 요소(601) 대신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되고, 상기와 대응하는 방식으로 아래쪽을 지향하는 승강 요소 스프링 설부를 부착할 수도 있다.
내부 벽 위에 블로킹 스케일이나 이와 유사한 것들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지만, 그럼에도 이것이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모든 형태의 블로킹 스케일이 반드시 생략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례로 사용 예정인 정제들의 두께에 비해 서로가 실질적으로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극소형의 블로킹 스케일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블로킹 스케일들 사이의 거리를 작게, 일례로 디스펜싱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정제 하나의 두께의 1/3 보다 작게 함으로써, 승강 요소를 근사적으로 연속 이동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블로킹 스케일간의 거리가 작을수록, 이러한 근사 방안이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디스펜싱 장치를 사용 예정인 정제들의 두께에 맞추지 않고서도 디스펜싱 장치를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스프링 강에 상응하는 물성을 구비하는 소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내부 벽들에 블로킹 스케일이나 이와 유사한 것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2개의 요소들(600, 601)이 반드시 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하는 소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이와 관련하여 관건은 소재가 충분한 탄성을 가지고 거동함으로써, 프리텐셔닝에도 불구하고 뚜껑 또는 취출 구멍을 향하는 승강 요소의 이동이 가능한 지이다. 다른 한편, 승강 요소가 외부 또는 내부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출 구멍을 향해 움직이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되거나 적어도 적당하게 저지될 수 있도록, 소재가 선택되어야 한다.
소망하는 전술한 작용들이 얻어지는 한은, 상기 요소들(600, 601)의 형상은 변할 수도 있다.
복수의 다른 변형도 가능하며,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일례로, 이송 요소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튜브형일 필요는 없고,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 힘을 만족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이송 요소가 정제 스택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기능을 달성하는 데에 이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이송 요소는 단순히 바(bar) 또는 부분 원통형으로 정제 스택의 한쪽 측면 위에 형성되거나, 정제 스택의 2개의 대향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케이싱의 형상은 어렵지 않게 다양한 사양에 맞출 수 있고, 케이싱이 반드시 튜브 형상일 필요는 없다. 특히, 전술한 기본적인 원통형 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일례로, 내부 단면이 정사각형일 수도 있다. 다수의 다른 변형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100, 100', 100", 100"', 100"" 케이싱(외피)
110 외부 튜브
111 제1 측벽 영역
112 제2 측벽 영역
113 베이스
114 개방 보조기구(opening aid)
115 블로킹 스케일(blocking scale)
116 배향 보조기구(orientation aid)
117 벨로즈(bellows)
118 근위 섹션(proximal section)
119 근위(하부) 단부 영역(proximal end region)
120 스냅식 뚜껑(snap-on lid)
121 필름 힌지(film hinge)
122 커버 벽(covering wall)
123 측벽
124 개방 보조기구(opening aid)
125 정제 스택용 정지부(stop for stack of tablet)
130 가이드 캠(guide cam)
140 폴딩 스케일(스프링 설부)(folding scale, spring tongue)
150 근위 밀폐 요소(베이스 캡)(proximal closing-off element)
151 베이스(base)
152 측벽
153 벨로즈형 영역(bellows-like region)
154 수용 링(receiving ring)
200, 200' 이송 요소(이송 튜브, 내부 튜브)(conveying element)
201 측벽(side wall)
202 커버 벽이 있는 취출 영역
203 취출 구멍(removing aperture)
204 블로킹 스케일(blocking scale)
205 이송 방향(direction of conveyance)
206 슬릿(slit)
207 하부 단부(근위 단부 영역)(proximal end region)
208 유지 비드(retaining bead)
210 스프링 설부(spring tongue)
300 승강 요소(lift element)
301 측벽(side wall)
302 래칭 캠(latching cam)
303 활주면(sliding face)
304 정지면(stop face)
305 슬릿(slit)
306 커버면(covering face)
307 구멍(aperture)
308 하부 림(lower rim)
309 프리셋 파괴점(preset breaking point)
310 수용 영역(receiving region)
311 건조제(drying agent)
312 소형 유지판(small holding plate)
400 스프링 요소(spring element)
401 하부 링(lower ring)
402 상부 링(upper ring)
403 스프링 웨브(spring web)
500 정제 스택(stack of tablet)
501 최선단 정제(foremost tablet)
502 제2 최선단 정제
503 최후미 정제(rearmost tablet)
600 스프링 강제 평탄 요소(flat element consisting of spring steel)
601 스프링 강제 평탄 요소

Claims (39)

  1. 정제 스택(500)을 수용하는 케이싱(100; 100'; 100"; 100"')과;
    한 번에 한 알의 정제를 또는 사전에 결정된 수량의 정제를 취출하는 취출 구멍(203)과;
    상기 정제 스택(500)을 이송 방향(205)을 따라 상기 취출 구멍(203)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요소(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제 스택(500)을 수용하고, 그 정제 스택에 속하는 정제(501)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케이싱과 관련하여, 디스펜싱 위치와 이송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이송 요소(200)가 디스펜싱 위치에서부터 이송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이송 요소(200)가 상기 정제 스택(500)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205)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제 스택을 유지할 목적으로 구성되고, 이송 요소(200)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200)가 이송 위치에서 디스펜싱 위치로 후방 이동할 때에 상기 정제 스택(500)이 이송 요소(200)에 의해 이송 방향(205)으로 동반되는 방식으로 정제 스택(500)을 유지할 목적으로 구성되는 유지 수단이 존재하여, 이송 요소가 전방 및 후방 이동할 때마다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씩 정제 스택(500)이 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취출 구멍(203)의 대향 단부인 근위 단부에서 위쪽에 정제 스택(500)이 안착되는 승강 요소(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요소는 승강 요소가 케이싱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20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케이싱(100; 100'; 100")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203)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케이싱(100; 100'; 100")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승강 요소는 케이싱(300)과 관련하여 이송 요소(200)가 이송 방향(205)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송 요소(200)가 이송 방향(205)으로 이동할 때에 이송 요소(200)에 의해 동반 이동되도록 이송 요소(20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요소(300)는, 상기 케이싱(100; 100')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300)가 이송 방향(205)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1 래칫 연결(115, 302)을 통해 상기 케이싱(100; 100')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100')의 내부 표면 위에, 케이싱(100)과 관련하여, 승강 요소(300)가 이송 방향(205)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반면, 이송 방향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승강 요소(30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영역(302)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블로킹 스케일(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요소(300)는 변형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205)의 횡단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 요소(30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영역(302)은 상기 변형력(FR)에 의해 블로킹 스케일(115)에 대해 탄성성적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영역은 탄성 스프링 설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실질적으로 이송 방향(205)을 따라 연장하는 슬릿(206)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 요소의 제1 래칭 영역은 상기 블로킹 스케일(115)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상기 슬릿(206)을 관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요소(300)는, 상기 승강 요소(300)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200)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싱(100; 100')과 관련하여 이송 요소(200)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승강 요소(300)가 이송 요소(200)에 의해 동반 이동하도록 하는 제2 래칫 연결(204, 308)을 통해 상기 이송 요소(20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상기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200)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도록 하고, 이송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승강 요소(300)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래칭 영역(308)과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블로킹 스케일(20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요소(300)는 변형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의 횡단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래칭 영역(308)은 상기 변형력에 의해 상기 이송 요소 위의 블로킹 스케일(204)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케이싱(100")과 관련하여, 상기 승강 요소(300)는 제어 캠(130) 내에서 안내되되, 상기 제어 캠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제어 캠은 상기 승강 요소(300)가 이송 요소(200)에 의해 이송 방향으로 동반 이동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어 캠은 케이싱(100")과 관련하여 상기 승강 요소(300)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캠(130)은 이송 방향과 얕은 각(shallow angle)을 이루며 연장하는 제1 섹션들과,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 방향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섹션들로 이루어진 톱니형(jagged 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요소(300')는 건조제(311)를 위한 수용 영역(3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표면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00"')과 관련하여 정제 스택 또는 승강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는 이동하도록 하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취출 구멍(203)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는 정제 스택의 단부 또는 상기 정제 스택을 운송하는 승강 요소와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제1 스프링 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이송 요소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제 스택 또는 상기 승강 요소와 관련하여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도록 하고,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승강 요소 또는 최후미에 위치하는 정제를 동반하도록, 상기 취출 구멍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는 정제 스택의 단부 또는 승강 요소와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한, 복수의 제2 스프링 설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제 스택(500)을 수용하기에 알맞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는 이송 방향을 따라 정제 스택의 경계를 부여하기에 적합한 원위 디스펜싱 영역(202)을 구비하고, 상기 취출 구멍(203)은 디스펜싱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 스택(500) 내의 최전방 정제(501)가 이송 방향(205)의 횡단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취출 구멍(203)을 통해 디스펜싱 영역(202)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그 측벽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슬릿(206)을 구비하되, 상기 슬릿은 실질적으로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유지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200)는 이송 위치에서부터 디스펜싱 위치로 스프링-장착되어(spring-loaded)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과 상기 이송 요소(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 요소(4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00)가 상기 취출 구멍의 대향 단부 영역인 이송 영역(200)의 근위 단부 영역(207)과, 케이싱(100)의 베이스 영역(1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00)는 제1 링(401)과, 제2 링(402)과 그리고 이들 링을 연결하며 이송 방향과 경사지며 연장하는 복수의 탄성 웨브(40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00)와 승강 요소(300)는 서로 1부품으로 제조되고, 프리셋 파괴점(309)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케이싱(100')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송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벨로즈형 영역(117)을 구비하고, 벨로즈형 영역(117)은 케이싱을 취출 구멍에 인접하는 원위 섹션과, 취출 구멍과 원격되어 있는 근위 섹션(118)으로 세분하며, 이송 요소는, 원위 섹션과 관련하여, 이송 요소가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근위 섹션(118)이 동반되어 벨로즈형 영역(117)이 확장되도록, 근위 섹션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요소(200)는 하이그로스코픽(hygroscopic)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6. 정제들(500, 501)을 수용하기 위해 방습 방식으로 밀봉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바람직하기로는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펜싱 장치 내에서 정제를 취출 구멍(203)으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117, 140, 200, 210, 300, 400)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출 구멍(203) 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요소가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600, 601)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요소(300)에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 2개의 요소(600, 601) 또는 4개의 스프링 설부가 제공되어 있되, 이들의 단부들은 디스펜싱 장치 내에서 취출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하향 및 외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프리텐셔닝 상태로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벽 영역에 대해 안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2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 영역이 매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케이싱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체결(form-locking), 가압 체결(force-locking) 및/또는 접착제에 의한 체결에 의해, 외부 외피(100"")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펜싱 장치의 케이싱의 베이스(1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2. 특히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스택(500)에 속하는 정제들을 제 위치에 고정하는 수단(140, 210, 208, 300)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기로는 측방향 취출 구멍(203)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출될 준비가 되어 있는 정제(501)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정제 스택(500) 부분을 위한 상부 정지부(20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부(125)가 디스펜싱 장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정지부 위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제들(501)이 유지되도록, 디스펜싱 장치 내부에 간극을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뚜껑(120)을 구비하되, 상기 뚜껑의 높이는 방습 방식으로 취출 구멍(203)을 밀봉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높이이고, 상기 뚜껑은 특히 건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펜싱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정제 형태의 의약품을 구비하고, 상기 의약품은 바람직하기로는 철 성분 또는 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장치.
  37. 디스펜싱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정제를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 내에서 승강 요소(300)의 도움으로 뚜껑(120) 쪽으로 정제들을 운송하고, 후속하여 정제(501)를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방법.
  38.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디스펜싱 장치에 속하는 이송 요소(205)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여, 승강 요소가 뚜껑 쪽으로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방법.
  39. 선행하는 두 개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펜싱 장치는 방습 방식으로 밀봉되고, 디스펜싱 장치의 뚜껑(120)은 정제를 취출할 목적으로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취출 방법.
KR1020107011684A 2007-12-07 2008-11-07 정제 디스펜서 KR20100095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22586A EP2067718A1 (de) 2007-12-07 2007-12-07 Tablettendispenser
EP07122586.6 2007-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545A true KR20100095545A (ko) 2010-08-31

Family

ID=3930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684A KR20100095545A (ko) 2007-12-07 2008-11-07 정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100294791A1 (ko)
EP (2) EP2067718A1 (ko)
JP (1) JP2011506210A (ko)
KR (1) KR20100095545A (ko)
CN (1) CN101888955B (ko)
AR (1) AR069598A1 (ko)
AU (1) AU2008333442B2 (ko)
CA (1) CA2705480A1 (ko)
CO (1) CO6280519A2 (ko)
GT (1) GT201000129A (ko)
IL (1) IL206171A0 (ko)
MA (1) MA31994B1 (ko)
MX (1) MX2010006167A (ko)
MY (1) MY150366A (ko)
NZ (1) NZ585436A (ko)
RU (1) RU2463230C2 (ko)
SA (1) SA08290762B1 (ko)
TN (1) TN2010000205A1 (ko)
TW (1) TW200930635A (ko)
WO (1) WO2009071415A1 (ko)
ZA (1) ZA2010037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05A1 (ko) * 2012-08-03 2014-02-06 (주)연우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하부 구조
KR20200039712A (ko) * 2017-08-09 2020-04-16 샤넬 파르퓜 보트 볼 형태의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9673A1 (de)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Kartusche, ein die Kartusche enthaltender Arzneimittelspender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ITMI20110474A1 (it) * 2011-03-25 2012-09-26 Pharmac Italia S R L Dispositivo per l'erogazione e il posizionamento di prodotti igienizzanti
CN102582964B (zh) * 2012-03-07 2013-10-30 江南大学 用于易粘连食品的推出式便利包装结构
CN102602639B (zh) * 2012-03-15 2014-04-16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基于盒装物品最大侧面相接触排列的储存配发装置及方法
DE102013106288A1 (de) 2013-06-17 2014-12-18 Sanner Gmbh Behälter mit Spender für Packgutstücke
CN103482237A (zh) * 2013-10-14 2014-01-01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泡腾片自动弹出装置
US10952927B2 (en) 2014-10-10 2021-03-23 QuantaEd, LLC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ontent of a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CN104443821B (zh) * 2014-11-28 2017-12-1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保鲜装置及冰箱
CN104532462B (zh) * 2014-12-06 2016-08-24 广西大学 一种毛线球的存储装置
DE102015101946A1 (de) 2015-02-11 2016-08-11 Sanner Gmbh Behälter mit Kindersicherung
CA2987217C (en) * 2015-05-26 2024-01-09 Michel Poirier Modular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DE102015108481B4 (de) * 2015-05-29 2022-02-03 Infineon Technologies Ag Lot mit Struktur zur leichteren Vereinzelung
CN105398699B (zh) * 2015-11-23 2018-08-07 湖南工业大学 一种安全功能性给药的药品包装方法
CN106806135B (zh) * 2015-12-02 2023-12-22 张明 能够拣取药粒的药盒组件及智能药盒
CN105460591A (zh) * 2015-12-25 2016-04-06 苏州达力客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上料仓
CN107200157A (zh) * 2016-03-19 2017-09-26 赵升 一种自动化中药配药系统
US10650661B2 (en) 2016-04-08 2020-05-12 QuantaE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drug dosing-regimen compliance
EP3464115B1 (en) * 2016-05-23 2022-01-19 CSP Technologies, Inc. Rotatable dispenser assembly for solid units
CN107972957B (zh) * 2016-10-21 2023-10-17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磁感应药盒
CN106743699A (zh) * 2016-12-26 2017-05-31 天津爱蔻科技股份有限公司 通过凸轮机构驱动的货物批发运送装置
JP7062678B2 (ja) 2017-02-22 2022-05-06 クアンテッド・エルエルシー 改善されたレジメンコンプライアンス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医薬品ケース
USD862726S1 (en) * 2017-08-15 2019-10-08 QuantaEd, LLC Stylus for a pill dispenser
WO2019075102A1 (en) 2017-10-10 2019-04-18 QuantaEd, LLC INTELLIGENT PACKAGING FOR ENHANCED MEDICATION REGIME OBSERVANCE
CN107804555A (zh) * 2017-10-30 2018-03-16 大连民族大学 一种内外部空间可调的容器
CN107680793A (zh) * 2017-11-22 2018-02-09 天威保变(秦皇岛)变压器有限公司 变压器铁心油道陶瓷片高频次定位装配连供方法及装置
CN111770884B (zh) 2018-02-05 2022-08-30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用于非接触式化学品分配的包装和对接系统
AT520530B1 (de) * 2018-02-14 2019-05-15 Pez Ag Tablettenspender
US20190263576A1 (en) * 2018-02-27 2019-08-29 Brakkon Garrett Device to facilitate removal of potato chips from a canister
EP3674233A1 (en) 2018-12-27 2020-07-01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A tablet dispensing device
BR112021015085A2 (pt) * 2019-02-05 2021-09-28 Ecolab Usa Inc. Sistema de dispensação de produtos químicos, reservatório de dispensação de produtos químicos, e, método para dispensar produto químico
CN110253105A (zh) * 2019-07-22 2019-09-20 蚌埠市正园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浸锡机的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US10548697B1 (en) 2019-08-29 2020-02-04 One-Two, LLC Flosser dispenser
WO2021090314A1 (en) * 2019-11-04 2021-05-14 Vsm 4 Me Ltd Dispenser for medications, food additives, and supplements
CN112009846B (zh) * 2020-08-26 2021-12-07 房芳 一种药瓶
DE102020129998B3 (de) * 2020-11-13 2021-10-28 Gaplast Gmbh Stopfen für einen 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9339Y1 (ko) * 1964-05-09 1967-05-19
GB1318450A (en) * 1969-09-05 1973-05-31 Thomas M D Dispensing device for pills and the like
US3612349A (en) * 1969-09-05 1971-10-12 Michael D Thomas Pill dispenser having ratchet-action follower
US4487341A (en) * 1981-10-01 1984-12-11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er for dispensing creams and especially self-foaming gels
ATE45927T1 (de) * 1984-12-11 1989-09-15 Bramlage Gmbh Spender zur portionierten einzelausgabe von tabletten, pasten oder dergleichen.
AT391300B (de) 1989-04-12 1990-09-10 Hinterreiter Ignaz Tablettenspender
US5071033A (en) 1990-07-26 1991-12-10 Practical Products, Co. Tablet dispenser
US5911937A (en) 1995-04-19 1999-06-15 Capitol Specialty Plastics, Inc. Desiccant entrained polymer
DE29712139U1 (de) * 1997-07-10 1997-09-18 Varta Batterie Ag, 30419 Hannover Verkaufsverpackung für Knopfzellen
US6230931B1 (en) 1999-07-30 2001-05-15 Warner-Lambert Company Dispensing package
AT409366B (de) * 2000-06-20 2002-07-25 Haas Beteiligungsgesellschaft Magazin zur aufnahme und vereinzelten abgabe von tabletten
CH695776A5 (de) 2002-04-17 2006-08-31 Createchnic Ag Brausetablettenspender.
WO2005112672A1 (en) 2004-05-21 2005-12-01 Csp Technologies, Inc. Tablet dispenser insert for stacked tablets
US7204391B2 (en) 2005-01-12 2007-04-17 Jonathan David Toker One at a time pill dispen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799B1 (ko) * 2011-10-20 2014-08-05 (주)연우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하부 구조
WO2014021505A1 (ko) * 2012-08-03 2014-02-06 (주)연우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하부 구조
US9370790B2 (en) 2012-08-03 2016-06-21 Yonwoo Co., Ltd. Shock-absorbing lower structure of an airless type dispenser
KR20200039712A (ko) * 2017-08-09 2020-04-16 샤넬 파르퓜 보트 볼 형태의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28069A (ru) 2012-01-27
SA08290762B1 (ar) 2012-01-24
WO2009071415A1 (de) 2009-06-11
NZ585436A (en) 2012-08-31
WO2009071415A8 (de) 2009-11-12
JP2011506210A (ja) 2011-03-03
US20100294791A1 (en) 2010-11-25
TW200930635A (en) 2009-07-16
AR069598A1 (es) 2010-02-03
MY150366A (en) 2013-12-31
EP2067718A1 (de) 2009-06-10
ZA201003723B (en) 2011-02-23
GT201000129A (es) 2012-04-16
CN101888955B (zh) 2012-01-18
RU2463230C2 (ru) 2012-10-10
AU2008333442A1 (en) 2009-06-11
MX2010006167A (es) 2010-06-23
CN101888955A (zh) 2010-11-17
EP2214981A1 (de) 2010-08-11
CO6280519A2 (es) 2011-05-20
CA2705480A1 (en) 2009-06-11
TN2010000205A1 (en) 2011-11-11
MA31994B1 (fr) 2011-01-03
AU2008333442B2 (en) 2011-12-15
IL206171A0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5545A (ko) 정제 디스펜서
JP6059704B2 (ja) 二重空洞スライド分給器
JP5726211B2 (ja) 分配容器
US6675972B2 (en) Childproof blister packaging
US7188729B2 (en) Child resistant blister pack container for stacked blister packs
US8322567B2 (en) Containers with pill dispensing feature
US7735684B2 (en) Pill bottle
US6948634B2 (en) Solid dosage form dispenser
KR101570895B1 (ko)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의약 분배기 및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의약 분배기의 용도
GB2365839A (en) A tamper proof dosage product dispenser
EP3464115B1 (en) Rotatable dispenser assembly for solid units
US20090095649A1 (en) Child-Resistant Container for Housing a Blister Card
US8191738B2 (en) Device for grains dosing with air sealing
EP3724099B1 (en) Delivery device for drug pellets
US10150609B2 (en) Dispenser
KR100578035B1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JP2019510563A (ja) 錠剤用ディスペンサ
KR200262936Y1 (ko) 약포지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