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84115A -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115A
KR20100084115A KR1020090127492A KR20090127492A KR20100084115A KR 20100084115 A KR20100084115 A KR 20100084115A KR 1020090127492 A KR1020090127492 A KR 1020090127492A KR 20090127492 A KR20090127492 A KR 20090127492A KR 20100084115 A KR20100084115 A KR 2010008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tadata
representation
format
capabi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원
장콩탕
조용주
유정주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144,83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11556A1/en
Priority to PCT/KR2010/000269 priority patent/WO2010082786A2/en
Publication of KR2010008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11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Content Representation)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의 소비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송, 컨텐츠, 메타데이터, IPTV

Description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6-02, 과제명: 유무선 환경의 개방형 IPTV(IPTV 2.0) 기술개발].
디지털 방송이란 셋탑박스(Set-Top Box), 컴퓨터, 핸드폰과 같은 단말기에 초고속으로 텍스트, 그림, 그래픽, 음성, 영상, 프로그램 패키지, 기타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케이블, 지상파, 위성파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티브이 프로그램 및 이의 관련정보, 생활정보, 인터넷접속, 전자상거래, 양방향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의 대표적인 예로서 최근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들 수 있다.
IPTV는 컨텐츠, 네트워크, 단말, 사용자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이종 성(heterogeneity)을 가지고 있다. UMA(Universal Multimedia Access)라고 불리는 최근의 경향은 이러한 이종성의 다양한 제약을 만족하기 위해 컨텐츠를 적응변환(adapt)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많은 표준(MPEG-7, MPEG-21, SVC 등)과 적응변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소비하기 위해 서비스/컨텐츠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특히 UMA의 맥락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들이 그들의 단말에 전달 가능한 컨텐츠 아이템들을 탐색하고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표현 및 적응변환 성능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용 가능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의 소비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Content Representation)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Adaptation Capabliities)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Transmutation Capability) 요소, 조정 성능(Adjustment Capability) 요소, 번역 성능(Translation Capability) 요소, 추가 성능(Additional Capability)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법에 있어서,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의 소비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또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소비환경에서 소비 가능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방송 시스템 구성과 서비스 시나리오의 실시예들에 대해 기술한다.
<시스템 구성 및 시나리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사용자의 단말(terminal)(102)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106)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단말(102)의 예로는 개인용 컴퓨터, TV, 포터블 기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106)의 예로는 방송사, IPTV 사업자 등을 들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106)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108)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여 단말(102)에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106)는 사용자 및 사용자의 단말(102)의 제약에 부합하도록 해당 컨텐츠를 적응변환할 필요가 있다. 적응변환 제공자(adaptation provider)(110)는 서비스 제공자(106)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제약에 부합하도록 적응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서비스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service description provider)(104)는 사용자에게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전달가능한 것이어야 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가 제공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및/또는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는 도 1과 같이 컨텐츠 제공자(108)에 의해 생성되어 서비스 제공자(106),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를 거쳐 단말(102)에 전달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106)에 의해 생성되어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를 거쳐 단말(102)에 전달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102)에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 서비스 제공자(106), 컨텐츠 제공자(108), 적응변환 제공자(110)가 각각 별개로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자(106)는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 컨텐츠 제공자(108), 적응변환 제공자(1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말(102),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 서비스 제공자(106), 컨텐츠 제공자(108), 적응변환 제공자(110)의 수는 변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자(106)가 2 이상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게 각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 기술정보 제공자(service provider description provider)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단말(202)은 서비스 제공자(204)로부터 서비스 또는 컨텐츠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를 제공받는다. 서비스 제공자(204)는 서비스 기술정보 관리부(206), 컨텐츠 관리부(208), 적응변환부(210)를 포함한다.
컨텐츠 관리부(208)는 직접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를 관리하고, 서비스 기술정보 관리부(206), 적응변환부(210) 또는 단말(202)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기술정보 관리부(206)는 컨텐츠 관리부(208)가 단말(202)에 전달하고 자 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관리하고, 이를 단말(202)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적응변환부(210)는 필요한 경우 단말(202)의 제약조건에 부합하도록 컨텐츠를 변환하여 컨텐츠 관리부(208)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302)는 메타데이터 생성부(304) 및 출력부(306)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생성부(304)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부(304)는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또는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독립적인 하나의 메타데이터로서 생성될 수도 있고, 전술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메타데이터 생성부(304)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306)는 메타데이터 생성부(304)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 등을 출력한다. 출력된 메타데이터 또는 정보는 인터넷 망, 방송 망 등 다양한 전송수단을 통해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서비스 소비 장치의 구성도이다.
방송 서비스 소비 장치(402)는 입력부(404) 및 제어부(406)를 포함한다. 입력부(404)는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302)에 의해 출력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406)는 입력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선택된 컨텐츠는 단말 환경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으로서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을 이용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컨텐츠 제공자(108)는 두 개의 공간 계층(QCIF 및 CIF 해상도에 대응)을 갖는 SVC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이 파일을 서비스 제공자(106)에게 판매한다. 이 때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생성된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기술정보 제공자(104)에 의해 수집되어 2명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첫 번째 사용자는 MPEG-2 비디오 포맷을 디코딩할 수 있으나 SVC 비디오 포맷은 디코딩할 수 없는 대형 단말을 갖고 있다. 반면에, 두 번째 사용자는 SVC 비디오 포맷을 디코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또는 프로세서가 단지 첫 번째 공간 계층(즉, 작은 해상도(QCIF)를 갖는 첫 번째 표현)만을 재생할 만한 소형 단말을 갖고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자(106)가 SVC 비디오 포맷을 MPEG-2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음을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첫 번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면, 해당 컨텐츠는 EPG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에 표출될 수 있 다. 만약 서비스 제공자(106)가 그러한 변환 성능을 갖지 못한다면, 해당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을 것이다.
두 번째 사용자의 경우, 만약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 중에 1) 해당 비디오의 가능한 표현의 특성(SVC 계층) 및 2) 서비스 제공자(106)가 SVC 포맷의 비디오에서 특정 계층을 추출할 수 있는 성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알게 된다면, 이러한 정보에 따라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EPG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보여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서비스 시나리오 예시를 통해, UMA의 맥락에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및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제공자(108) 또는 서비스 제공자(106)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자(10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적응변환 제공자(110)는 서비스 제공자(106)의 확장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106)는 실제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적응변환 제공자(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와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Content Representations Metadata )>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원본 컨텐츠(original content)의 가능한 표현(possible representations)을 기술하기 위해 도입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작은 해상도 및 큰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가 각각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해당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이라 한다. 일부 스케일러블 코딩 포맷(scalable conding formats)은 그러한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정의된 메타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예: SVC 포맷의 SSEI 메시지)
하지만 서로 다른 포맷들에 대한 공통적인 기술을 위해, 컨텐츠를 기술하는 일반적인 신택스(syntax)가 보다 선호된다. 현재 이러한 목적을 위해 표준 규격에서 정의된 메타데이터 툴(metadata tools)로서 MPEG-7 VariationSet, MPEG-21 AdaptationQoS, MPEG-21 CrossConversionQoS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툴 중에서, MPEG-7 VariationSet은 1) 매우 다른 특성(예: 형식(modalities), 포맷)을 가질 수 있고, 2) 이미 생성된, (원본 컨텐츠의) 서로 다른 표현을 기술하는 데 유용하다. 반면, MPEG-21 AdaptationQoS는 1) 동일한 포맷 내의, 2) (원본을 제외하고는) 아직 생성되지 않은 표현들을 기술한다. MPEG-21 CrossConversionQoS는 다른 포맷/형식 내의 표현들을 기술하기 위해 MPEG-21 AdaptationQoS를 확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메타데이터 툴들을 'ContentRepresentations' 라는 하나의 신택스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기존 툴들의 장점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 즉 ContentRepresentations 신택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ContentRepresentations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Variations" type="mpeg7:VariationSet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ModifiedRepresentations"
type="dia:AdaptationQoS"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ConvertedRepresentations"
type="dia:CrossConversionQoS"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Uri" type="anyURI"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위 신택스에 나타난 용어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용어 의미
ContentRepresentationsType 원본 컨텐츠의 다른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an original content item.)
Variations ISO/IEC 15938-5의 VariationSet Description Scheme을 사용하여 다른 표현을 기술함.
(Describes different representions using VariationSet Description Scheme of ISO/IEC 15938-5.)
ModifiedRepresentations ISO/IEC 21000-7의 AdaptationQoS Description Tool을 사용하여 다른 표현을 기술함.
(Describes different representions using AdaptationQoS Description Tool of ISO/IEC 21000-7.)
ConvertedRepresentations ISO/IEC 21000-7의 CrossConversionQoS Description Tool을 사용하여 다른 표현을 기술함.
(Describes different representions using CrossConversionQoS Description Tool of ISO/IEC 21000-7 (AMD1).)
Uri 컨텐츠 표현의 기술에 대한 참조.
(References to a description of content representations.)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한다. 위 신택스 및 표 1을 참조하면, ContentRepresentations 신택스는 Variations, ModifiedRepresentations, ConvertedRepresentations와 같이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택스의 기본 개념은 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툴들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메타데이터 툴들 가운데 오직 하나의 메타데이터 툴만이 컨텐츠 아이템의 표현을 기술하는 데 적절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신택스는 하나의 예시로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신택스들이 제공될 수 이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위에서 언급한 MPEG-7 VariationSet, MPEG-21 AdaptationQoS, MPEG-21 CrossConversionQoS의 여러 가지 형식/신택스들이 같은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컨텐츠 표현에 대한 기술을 참조하기 위한 URI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신택스 및 표 1을 참조하면, 'Uri' 신택스 요소는 다른 장소에 이미 존재하는, 컨텐츠 표현을 위한 기술을 참조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 내에 이미 생성된 AdaptationQoS 기술) 이러한 URI 요소로 인해, 주어진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중복적인 기술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택스의 베이스 타입(base type)의 네임 스페이스(name space)는 단지 예시이며, 다른 네임 스페이스가 쓰일 수 있다.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독립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존재할 수도 있고,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에 연결 또는 포함될 수도 있다.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ontentRepresentationsType의 타입을 갖는 추가적인 요소가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의 스키마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독립된 레코드 형태로 생성하여,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해 IPTV 시스템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독립된 레코드 형태의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식별 및 업데이트 확인을 위한 특정한 식별자와 버전 숫자(version number)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Adaptation Capabilities Metadata )>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많은 다른 표현들이 이미 생성된 경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한된 저장 용량 및 유연성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즉각적인(on-the-fly) 적응변환이 분명히 요구된다.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자가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적응변환 방법들을 기술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여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즉 AdaptationCapabilities 신택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AdaptationCapabilites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ConversionTransmutationCapabilitiesy"
type="TransmutationConversionCapabilities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ModificationAdjustmentCapabilitiesy"
type="AdjustmentModificationCapabilities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TranslationCapability" type="TranslationCapabilit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AdditionCapability" type="AdditionCapabilit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ConversionTransmutationCapabilities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From"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To"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ModificationAdjustmentCapabilities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Operator"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Transla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From" type="language"/>
<element name="To" type="language"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Addi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Holder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AddedObject" maxOccurs="unbounded">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Operator"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complexType>
</element>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위 신택스에 나타난 용어의 의미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용어 의미
AdaptationCapabilitiesType 적응변환 능력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capabilities)
TransmutationCapability 컨텐츠의 형식 또는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convert the modality or format of a content item. )
AdjustmentCapability 포맷의 변환없이 컨텐츠의 특성(예: 비트율, 해상도, 콘트라스트)을 변형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modify some characteristics (e.g. bitrate, resolution, constrast) of a content item, but without changing its format.)
TranslationCapability 컨텐츠 객체의 언어를 번역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예: 음성, 자막 스트림)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translate the language(s) of a content object (e.g. a speech, subtitle stream).
AdditionCapability 원본 객체에 컨텐츠 객체를 추가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예: 비디오 컨텐츠에 자막 스트림을 추가)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add a content object to an original object (e.g. a subtitle stream to a video content).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AdpatationCapabilitiesType)는 변환 성능 요소(TransmutationCapability),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pability), 번역 성능 요소(TranslationCapability), 추가 성능 요소(AdditionalCapability)를 포함한다.
변환 성능 요소는 형식 변환(modality conversion) 또는 포맷 변환(format conversion)과 같은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한다. 조정 성능 요소는 컨텐츠의 코딩 포맷은 유지하면서 컨텐츠의 특성(예: 비트레이트, 사이즈, 콘트라스트)을 변형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한다. 번역 성능 요소는 다른 언어(예: 음성 및 자막)를 번역하는 성능을 기술한다. 추가 성능 요소는 원본 컨텐츠에 다른 컨텐츠 객체(예: 하나 이상의 사운드트랙, 자막 스트림)를 추가하는 성능을 기술한다.
용어 의미
TransmutationCapabilityType 컨텐츠 아이템의 형식 또는 포맷을 변환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methods that convert the modality or format of a content item.)
From 컨텐츠의 원본 형식/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Classification Scheme)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ContentCS,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original modality/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ContentCS,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To 원본 컨텐츠를 변환하고자하는 목적 컨텐츠 형식/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ContentCS,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destination modality/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ContentCS,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환 성능 요소(TransmutationCapability)는 원본 포맷 요소(From) 및 목적 포맷 요소(To)를 포함한다.
용어 의미
AdjustmentCapabilityType 포맷의 변환없이 컨텐츠의 특성(예: 비트율, 해상도, 콘트라스트)을 변형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methods that modify some characteristics (e.g. bitrate, resolution, constrast) of a content item, but without changing its modality or format.)
Format 컨텐츠의 포맷을 기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Operator 위의 포맷에 적용가능한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21000-7에 정의된 AdaptationQoSCS이다.
(Describes an adaptation method applicable to this above format. A C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is the AdaptationQoSCS defined in ISO/IEC 21000-7.)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pability)는 컨텐츠 포맷 요소(Format) 및 변환 방법 요소(Operator)를 포함한다.
용어 의미
TranslationCapabilityType 컨텐츠 객체의 언어를 번역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기 위한 툴. (예: 음성, 자막 스트림)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methods that translate the language(s) of a content object (e.g. a speech, subtitle stream).)
From 원본 언어를 기술함.
(Describes the original language.)
To 목적 언어를 기술함.
(Describes the destination language.)
Format 컨텐츠를 구성하는 언어의 포맷(예를 들어, 오디오 포맷, 텍스트 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AudioCodingFormatCS이다.
(Describes the format of the language containing content (e.g. an audio format, a text format). A C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is the Audio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번역 성능 요소(TranslationCapability)는 원본 언어 정보(From), 목적 언어 정보(To), 언어 포맷 정보(Format)를 포함한다.
용어 의미
AdditionCapabilityType 원본 객체에 컨텐츠 객체를 추가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툴. (예: 비디오 컨텐츠에 자막 스트림을 추가)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methods that add a content object to an original object (e.g. a subtitle stream to a video content).)
HolderFormat 원본 컨텐츠(즉, holder)의 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ContentCS, Audio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format of the original content (i.e. the holder).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ContentCS and the Audio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AddedObject 추가될 컨텐츠 객체를 기술함.
(Describes a content object to be added.)
Format 추가될 컨텐츠의 포맷을 기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AudioCodingFormatCS, ContentCS 이다.
(Describes the format of the added content object.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ContentCS defined in ISO/IEC 15938-5.)
Operator 컨텐츠 객체가 원본 객체에 추가되기 위한 특정한 동작(예를 들어, text overlaying, audio track insertion)을 기술함.
(Describes a specific operation by which the content object is added to the original content (e.g. text overlaying, audio track insertion). )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가 성능 요소(AdditionalCapability)는 홀더 포맷 정보(HolderFormat), 추가 객체 정보(AddedObject), 추가 객체 포맷 정보(Format), 추가 동작 정보(Operator)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신택스의 기본 개념은 몇몇 기본적인 기술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적응변환 성능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1) 주어진 형식(포맷)을 하나 이상의 다른 형식(포맷)으로 변환하는 성능과, 2) 주어진 포맷의 컨텐츠 아이템에 하나 이상의 타입의 조정을 수행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변환 성능은 몇몇 CS(Classification Schemes)에 정의된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표현된다. 앞으로 더 많은 오퍼레이터(그리고 포맷/형식들)가 생겨날 수 있으므로, CS는 업데이트되거나 새롭게 정의될 수 있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신택스는 추후에 발생할 그러한 업데이트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홀더(holder)가 될 수 있다.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독립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존재할 수도 있고,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에 연결 또는 포함될 수도 있다.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와 서비스 디스커버리 정보의 연결 방법은 앞서 설명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2실시예 )
만약 주어진 형식/포맷에 대한 가능한 변환 방법을 목록화하는 CS가 정의된다면, 제1실시예의 변환 성능 요소(TransmutationCapability)는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apability)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즉 AdaptationCapabilities 신택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AdaptationCapabilities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TerminalCapabilityBaseType">
<sequence>
<element name="AdaptationCapability" type="dia:AdaptationCapabilit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Adapta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DIADescriptionType">
<sequence>
<element name="AdaptationUri" type=”ConversionUriType” minOccurs="0">
<element name="Capability” type=”CapabilityBas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CapabilityBaseType" abstract="tru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DIABaseType"/>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Transmuta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CapabilityBaseType">
<sequence>
<element name="From"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To"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Adjustment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CapabilityBaseType">
<sequence>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Operator"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Transla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CapabilityBaseType">
<sequence>
<element name="From" type="language"/>
<element name="To" type="language"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Addi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CapabilityBaseType">
<sequence>
<element name="Holder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AddedObject" maxOccurs="unbounded">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Operator"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complexType>
</element>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위에서 설명한 신택스는 MPEG-21 DIA의 네임 스페이스를 이용하며, 미래의 확장성을 지원하는 추상적인 CapabilityBaseType을 갖는다.
위 신택스에 나타난 용어의 의미는 [표 1] 내지 [표 6]과 동일하며, 새롭게 추가된 용어의 의미는 [표 7] 내지 [표 9]와 같다.
용어 의미
AdaptationCapabilitiesType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capabilities.)
AdpatationCapability 적응변환 방법/툴의 성능을 기술함.
(Describes the capabilities of an adaptation method/tool.)
용어 의미
AdaptationCapabilityType 적응변환 방법/툴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capabilities of an adaptation method/tool.)
AdpatationUri 적응변환 방법/툴에 대한 참조를 기술함.
(Describes the reference to an adaptation method/tool.)
Capability 적응변환 방법/툴의 성능을 기술함.
(Describes a capability of the adaptation method/tool.)
용어 의미
CapabilityBaseType DIABaseType을 확장하며, 적응변환 툴의 서로 다른 성능을 정의하는 타입들의 부분집합에 대한 기본적인 추상적 타입을 제공함.
(extends DIABaseType and provides a base abstract type for a subset of types that defines different capabilities of an adaptation tool.)
(제3실시예)
서비스 제공자가 목표로 하는 서비스를 위해서 서비스 제공시 주장하는 즉각적인 적응변환 방법을 제공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서비스 제공자는 어떤 적응변환 방법에 의해 소요되는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서비스 내비게이션 프로그램/과정은, 고려되고 있는 적응변환 방법이 목표로 하는 서비스에 대해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적응변환 성능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컨텐츠에 어떤 적응변환 방법이 적용될 때 소요되는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지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적응변환 방법에 의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즉 AdaptationCapabilities 신택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AdaptationCapabilites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TransmutationCapability"
type="TransmutationCapabilit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AdjustmentCapability"
type="AdjustmentCapability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Transmutat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From"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ConvertTo" maxOccurs="unbounded">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To"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DelayExample" type="DelayExampl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complexType>
</element>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Adjustment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Format"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Operator" maxOccurs="unbounded">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OperatorName" type="mpeg7:ControlledTermUseType"/>
<element name="DelayExample" type="DelayExampl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complexType>
</element>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complexType name="DelayExample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mpeg7:DSType">
<sequence>
<element name="ExampleContent"
type="mpeg7:MultimediaContentType" minOccurs="0"/>
<element name="DelayTime" type= type="nonNegativeInteger"/>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위 신택스에 나타난 용어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용어 의미
AdaptationCapabilitiesType 적응변환 능력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capabilities)
TransmutationCapability 컨텐츠의 형식 또는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convert the modality or format of a content item. )
AdjustmentCapability 포맷의 변환없이 컨텐츠의 특성(예: 비트율, 해상도, 콘트라스트)을 변형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modify some characteristics (e.g. bitrate, resolution, constrast) of a content item, but without changing its format.)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AdaptationCapabilitiesType)는 변환 성능 요소(TransmutationCapability) 및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apability)를 포함한다.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번역 성능 요소 또는 추가 성능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의미
TrnasmutationCapabilityType 컨텐츠의 형식 또는 포맷을 변환하기 위한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daptation methods that convert the modality or format of a content item. )
From 컨텐츠의 원본 형식/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Classification Scheme)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ContentCS,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original modality/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ContentCS,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ConvertTo 해당 변환 방법의 처리 지연 정보와 함께 목적 형식/포맷을 기술함.
(Describes the destination modality/format together with processing delay information of that conversion method.)
To 원본 컨텐츠를 변환하고자하는 목적 컨텐츠 형식/포맷을 기술함.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ContentCS,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destination modality/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ContentCS,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DelayExample 대응하는 변환 방법의 지연 예를 기술함.
(Describes an delay example of the corresponding conversion method.)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환 성능 요소(TrnasmutationCapability)는 원본 포맷 요소(From), 변환 포맷 요소(ConvertTo), 목적 포맷 요소(To), 지연 예 요소(DelayExample)를 포함한다.
용어 의미
AdjustmentCapabilityType 포맷의 변환없이 컨텐츠의 특성(예: 비트율, 해상도, 콘트라스트)을 변형하는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adaptation methods that modify some characteristics (e.g. bitrate, resolution, constrast) of a content item, but without changing its modality or format.)
Format 컨텐츠의 포맷을 기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15938-5에 정의된 AudioCodingFormatCS, VisualCodingFormatCS 이다.
(Describes the format of a content item. CS'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are the AudioCodingFormatCS and the VisualCodingFormatCS defined in ISO/IEC 15938-5.)
Operator 해당 변환 방법의 처리 지연 정보와 함께 주어진 포맷의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함.
(Describes an adaptation method of the given format together with processing delay information of that conversion method.)
OperatorName 위의 포맷에 적용가능한 적응변환 방법을 기술.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CS는 ISO/IEC 21000-7에 정의된 AdaptationQoSCS이다.
(Describes an adaptation method applicable to this above format. A CS that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is the AdaptationQoSCS defined in ISO/IEC 21000-7.)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apability)는 컨텐츠 포맷 요소(Format), 변환 방법 요소(Operator), 변환 방법 명칭 요소(OperatorName)를 포함한다.
용어 의미
DelayExampleType 적응변환 방법의 지연 시간을 기술하기 위한 툴.
(Tool for describing the delay time of an adaptation method.)
ExampleContent 대응하는 포맷/형식 내에서 대응하는 적응변환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컨텐츠 아이템의 예를 기술함.
(Describes an example of content item which is created by the corresponding adaptation method and in the corresponding format/modality.)
DelayTime 주어진 예시 컨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주어진 적응변환 방법에 의한 처리 지연 시간을 기술함.
(Describes a processing delay time of the given adapt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given example content item.)
[표 13]에 나타난 DelayExampleType의 기본 개념은 지연 시간이 특정 컨텐츠 인스턴스(또는 아이템)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지연 시간은 보다 명확함을 위해 예시 컨텐츠 아이템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연 예 요소(DelayExample)는 예시 컨텐츠 요소(ExampleContent) 및 지연 시간 요소(DelayTime)을 포함한다. 예시 컨텐츠 요소는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어떤 적응변환 방법을 적용할 경우 생성되는 컨텐츠 아이템의 예시를 기술한다. 그리고 지연 시간 요소는 위 예시 컨텐츠 아이템에 위 적응변환 방법을 적용할 경우 소요되는 지연 시간을 기술한다. 사용자는 예시 컨텐츠 요소 및 지연 시간 요소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변환 성능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제4실시예 )
본 발명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는 기 존재하는 MPEG-21 DIA ConversionCapabilityType의 플레이스 홀더(place holder)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 즉 AdaptationCapabilities 신택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plexType name="ConversionCapability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dia:ConversionDescriptionBaseType">
<sequence>
<any namespace="##other" processContents="lax" minOccurs="0"/>
</sequence>
</extension>
</complexContent>
</complexType>
현재, MPEG-21 DIA의 ConversionCapabilityType은 어떠한 신택스든지 삽입할 수 있는 (비어있는) 플레이스 홀더를 갖는다. (<any namespace="##other" processContents="lax" minOccurs="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변환 성능 요소(TransmutationCapability), 조정 성능 요소(AdjustmentCpability), 번역 성능 요소(TranslationCapability), 추가 성능 요소(AdditionalCapability)의 신택스를 이 플레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제약사항은 다음과 같다.
1) Capabilities에 대한 신택스 정의가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는다.
2) ConversionDescriptionBaseType은 MPEG RDD(ISO/IEC 21000-6)에서 정의된 몇가지 표준 용어를 참조해야 한다. 이것은 적응변환 시스템이 어떠한 DRM 기술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약사항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망 환경에서 단말의 소비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송 서비스 소비 장치의 구성도.

Claims (15)

  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Content Representation)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툴은
    MPEG-7에 정의된 VariationSet, MPEG-21에 정의된 AdaptationQoS, MPEG-21에 정의된 CrossConversionQ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컨텐츠 표현에 대한 기술을 참조하기 위한 URI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Adaptation Capabliities)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Transmutation Capability) 요소, 조정 성능(Adjustment Capability) 요소, 번역 성능(Translation Capability) 요소, 추가 성능(Additional Capability)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성능 요소는
    상기 변환 성능 요소에 기술된 변환 방법의 지연 예를 기술하기 위한 지연 예(Delay Example)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성능 요소는
    원본 포맷 요소, 목적 포맷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성능 요소는
    컨텐츠 포맷 요소, 변환 방법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성능 요소는
    원본 언어 요소, 목적 언어 요소, 언어 포맷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성능 요소는
    홀더 포맷 요소, 추가 객체 요소, 추가 객체 포맷 요소, 추가 동작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0.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소비 방법.
  13.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소비 방법.
  14.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가능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표현 메타데이터는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메타데이터 툴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표현 기술 요소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소비 장치.
  15. 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소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적응변환 성능을 기술하기 위한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변환 성능 메타데이터는 변환 성능 요소, 조정 성능 요소, 번역 성능 요소, 추가 성능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소비 장치.
KR1020090127492A 2009-01-15 2009-12-18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00084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4,834 US20120011556A1 (en) 2009-01-15 2010-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PCT/KR2010/000269 WO2010082786A2 (en) 2009-01-15 2010-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10309P 2009-01-15 2009-01-15
US61/145,103 2009-01-15
US21948809P 2009-06-23 2009-06-23
US61/219,488 2009-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115A true KR20100084115A (ko) 2010-07-23

Family

ID=4264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492A Withdrawn KR20100084115A (ko) 2009-01-15 2009-12-18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11556A1 (ko)
KR (1) KR20100084115A (ko)
WO (1) WO20100827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99A3 (ko) * 2011-01-18 201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29736A (ko) * 2011-03-16 2018-12-05 아이디어허브 주식회사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1045B (zh) * 2013-11-21 2017-09-01 青岛海尔电子有限公司 多媒体内容自适应方法和多媒体播放系统
CN104618799B (zh) * 2014-02-10 2018-01-09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9520079B2 (en) * 2014-03-26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and carriage of green metadata for display adapt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3233A3 (en) * 2001-05-31 2005-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tent distribution
US7073193B2 (en) * 2002-04-16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descriptions
US8879856B2 (en) * 2005-09-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driven transcoder that orchestrates multimedia transcoding using content information
KR20080011986A (ko) * 2006-08-02 2008-0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293B1 (ko) * 2006-09-29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900954B1 (ko) * 2006-10-31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편집 메타데이터 기반의 가상 프로그램 채널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와 단말기
KR101264822B1 (ko) * 2007-01-04 201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9399A3 (ko) * 2011-01-18 201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29736A (ko) * 2011-03-16 2018-12-05 아이디어허브 주식회사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72454A (ko) * 2011-03-16 2020-06-22 아이디어허브 주식회사 레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2786A3 (en) 2010-09-10
WO2010082786A2 (en) 2010-07-22
US20120011556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content
JP5205050B2 (ja) 配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CN103141111B (zh) 用于共享数据并使广播数据与附加信息同步的方法
Lim et al. New MPEG transport standard for next generation hybrid broadcasting system with IP
US12160631B2 (en) Hidden replaceable media slots
KR100871740B1 (ko)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용 통합 파일 포맷 구조를 가진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 매체,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8492A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34550A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95443B1 (ko)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30080777A (ko) Iptv 상품에 대한 구매 트랜잭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iptv 수신기
JP5061797B2 (ja) 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伝送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490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ontents on audio/video network and controlling execution of the contents
US8661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multimedia content
KR20100084115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42213B1 (ko)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0049847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動的変更方法及び装置
WO20081033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ding, receiv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bookmarks
CN101217649B (zh) 确定不同网络中关联节目的方法、服务器和终端
KR100926705B1 (ko)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70043372A (ko) 홈단말에서 실시간 필터링된 방송 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CN102595232B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KR101356491B1 (ko) Iptv 환경에서의 등급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과 장치및 iptv 시스템
JP608996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460800B1 (ko) 사용자 정의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