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9722A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722A
KR20090079722A KR1020080005895A KR20080005895A KR20090079722A KR 20090079722 A KR20090079722 A KR 20090079722A KR 1020080005895 A KR1020080005895 A KR 1020080005895A KR 20080005895 A KR20080005895 A KR 20080005895A KR 20090079722 A KR20090079722 A KR 2009007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ubject
camera images
motion
mo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722A/ko
Publication of KR2009007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임의의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하기 위하여, 모션 검출 채널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정한 후,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버퍼 메모리 내에 각각 임시 저장하고,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된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게 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함으로써, 카메라 영상 내의 피사체 컬러 또는 휘도 성분 등을 분석하여, 특정 피사체를 판별하는 복잡한 피사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특정 피사체가 포함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보다 간소하게 녹화 및 검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주요 경로, 특정 피사체, 모션 검출 채널 순서, 데이터 파일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 select recording in digital video recorder}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들을 수신하여,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수의 감사용 카메라들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는, 16 개의 감시용 카메라들(Camera 1~16)이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16 개의 각 카메라에는 고유의 채널(Channel) 번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16 채널 번호(CH 1~16)가 할당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는, 상기 16 개의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피사체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모션 검 출(Motion Detection)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모션 검출이 발생한 카메라 영상을 하드디스크(HDD)와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 파일(Data File)로 각각 녹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6 층 건물의 각 층에는, 제1 내지 제6 채널의 감시용 카메라들(CAM1~6)이 각각 분산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채널의 감시용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들은,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는, 각 채널의 카메라 영상 내에 피사체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하는 일련의 모션 검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카메라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예: Frame #n)을, 이전 비디오 프레임(예: Frame #n-1)과 픽셀(Pixel) 단위로 비교하여, 서로 다른 픽셀 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픽셀 수를 초과하는 경우, 모션이 발생하였다고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모션이 검출되면, 그 시점부터 소정 시간(예: 5초) 동안 촬영되는 제1 채널의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Data File)로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층에서 각각 모션 검출이 발생하게 되면, 6 개의 데이터 파일이,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녹화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는, 상기와 같이 모션 검출이 발생한 각 채널의 카메라 영상들을 각각 데이터 파일로 모두 녹화하기 때문에, 한정 된 기록매체의 저장 용량이 비효율적으로 낭비될 뿐만 아니라, 특정 피사체가 촬영된 데이터 파일을 선별 검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들을 모두 재생해 보아야만 하기 때문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 영상 내의 피사체 컬러 또는 휘도 성분 등을 분석하여, 특정 피사체를 판별한 후, 그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동안 촬영되는 카메라 영상들을 선별하여 녹화하는 피사체 추적 녹화 방안이 제안되고 있는 데, 이 경우, 특정 피사체를 판별하기 위한 복잡한 피사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시스템 부하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임의의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하기 위한 모션 검출 채널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정한 후,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피사체가 촬영된 카메라 영상만을 효율적으로 선택 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각각 임시 저장하는 1단계; 및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되는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1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버퍼 메모리 내에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각각의 촬영 시간을 연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2단계는,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피사체 선택 녹화를 위해,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은,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되고,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오에스디 메뉴 화면을 통해 임의로 설정되고, 상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 간 간격은,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로 설정된 각 감시용 카메라들 사이를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는,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을 신호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 상기 다수의 채널 중 피사체 모션이 발생한 카메라 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된 카메라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기 저장수단;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된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기록매체에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각각의 촬영 시간을 연계 저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는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피사체 선택 녹화를 위해,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을 순차적으로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녹화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하고, 상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 서로 설정된 각 감시용 카메라들 사이를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임의의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하기 위하여, 모션 검출 채널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정한 후,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버퍼 메모리 내에 각각 임시 저장하고,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된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함으로써, 카메라 영상 내의 피사체 컬러 또는 휘도 성분 등을 분석하여, 특정 피사체를 판별하는 복잡한 피사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특정 피사체가 포함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보다 간소하게 녹화 및 검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0), 멀티 채널 디지털 신호 처리기(11), 씨피유(12), MPEG 코덱(13), 하드디스크(14), 모션 검출기(15), 오에스디 생성기(16), 타이머(17), 그리고 메모리(18) 등이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피사체 선택 정보 설정 동작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오에스디 생성기(16)를 동작 제어하여,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가능한 오에스디(OSD) 영상을 출력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에스디 영상에는, 피사체 선택 정보 설정 모드(Object Select Information Set Mode)를 안내하는 메시지와 함께, 모션 검출 채널 순서(Motion Detected CH Order)를, 사용자가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드가,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Motion Detected Time Interval)을, 사용자가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드가, 추가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상기 기본적으로 표시된 모션 검출 채널 순서 필드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순서를 선택 지정하는 경우, 그 채널 순서를, 상기 메모리(18)에 피사체 선택 정보(Object Select Information)로서 저장 관리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추가적으로 표시된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 필드를 통해, 사용자가 시간 간격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그 시간 간격을, 피사체 선택 정 보 내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는, 특정 피사체가 이동할 이동 경로(Path) 상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을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채널 순서이고, 상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로 설정된 각 감시용 카메라들 사이를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는, 제1 채널, 제3 채널, 제5 채널, 제6 채널로 설정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마지막 순서의 채널, 즉 제6 채널의 카메라 영상에서 모션이 검출된 현재 시간(CH6_t=Current)을 기준으로 하여, 각 채널별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카메라가 설치된 5 층에서 제6 카메라가 설치된 6 층으로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90~110초가 소요된다고 예상되면, 상기 제5 채널의 시간 간격은 CH5_t= CH6_t-(90~110초)로 설정되고, 제3 카메라가 설치된 3 층에서 제5 카메라가 설치된 5 층으로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190~210초가 소요된다고 예상되면, 상기 제3 채널의 시간 간격은 CH3_t= CH5_t-(190~210초)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카메라가 설치된 1 층에서 제3 카메라가 설치된 3 층으로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190~210초가 소요된다고 예상되면, 상기 제1 채널의 시간 간격은 CH1_t= CH3_t-(190~2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이 설정되고 나면,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상기 모션 검출기(15)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제1 채널의 카메라 영상, 제3 채널의 카메라 영상, 제5 채널의 카메라 영상, 그리고 제6 채널의 카메라 영상에 피사체 모션이 발생하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3, 제5, 제6 채널의 카메라 영상에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멀티 채널 디지털 신호 처리기(11)를 동작 제어하여,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 내에, 피사체 모션이 검출된 각각의 카메라 영상들을, 해당 촬영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피사체가, 1 층에서 6 층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버퍼 메모리에는, 상기 특정 피사체의 모션이 검출된 제1 채널(CH1)의 카메라 영상과 그 시점의 촬영 시간(CH1_t)이 임시 저장되고, 이후 상기 특정 피사체의 모션이 검출된 제3 채널(CH3)의 카메라 영상과 그 시점의 촬영 시간(CH3_t)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버퍼 메모리에는, 이후 상기 특정 피사체의 모션이 검출된 제5 채널(CH5)의 카메라 영상과 그 시점의 촬영 시간(CH5_t)이 임시 저장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특정 피사체의 모션이 검출된 제6 채널(CH6)의 카메라 영상과 그 시점의 촬영 시간(CH6_t)이 임시 저장된다.
한편,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지막 채널로 설정된 제6 채널의 카메라 영상에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 메모리에 각각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의 채널 순서와 각 촬영 시간 간격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모션 검출 채널 순서, 즉 제1, 제3, 제5, 제6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서, 각 채널별 촬영 시간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모션 검출 시간 간격과 일치하면, 특정 피사체가, 1 층에서 6 층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판별되면,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상기 멀티 채널 디지털 신호 처리기(11)와 상기 MPEG 코덱(13)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제1, 제3, 제5, 제6 채널의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상기 데이터 파일이, 피사체 선택 녹화 동작에 의해 녹화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헤더 정보 내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부가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파일의 파일 명을, OSD(Object Select Data)-File 등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일반적인 녹화 동작에 의해 녹화된 데이터 파일과 용이하게 구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씨피유(12)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모션 검출이 발생한 채널 순서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만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피사체 선택 녹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모션 검출이 발생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을,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피사체 선택 녹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복잡한 피사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요 경로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를 선택 녹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특정 피사체가 포함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보다 간소하게 녹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다수의 카메라들이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멀티 채널 표시 모드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순차 채널 표시 모드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표시되는 오에스디 영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반 순차 채널 표시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11 : 멀티 채널 디지털 신호 처리기
12 : 씨피유 13 : MPEG 코덱
14 : 하드디스크 15 : 모션 검출기
16 : 오에스디 생성기 17 : 타이머
18 : 메모리

Claims (13)

  1.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각각 임시 저장하는 1단계; 및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되는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채널들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들 내에 각각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버퍼 메모리 내에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각각의 촬영 시간을 연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피사체 모션이 각각 검출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은,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피사체 선택 녹화를 위해,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오에스디 메뉴 화면을 통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로 설정된 각 감시용 카메라들 사이를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방법.
  8.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을 신호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
    상기 다수의 채널 중 피사체 모션이 발생한 카메라 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된 카메라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기 저장수단;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된 채널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와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기록매체에 녹화하기 위한 녹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카메라 영상들을 각 채널별로 구분하여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 각각의 촬영 시간을 연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사체 모션이 검출되는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이, 사전에 설정된 채널 순서 및 시간 간격과 일치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수단은, 상기 임시 저장된 카메라 영상들을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피사체 선택 녹화를 위해, 모션 검출 채널 순서와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을 순차적으로 설정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별 모션 검출 시간 간격은, 상기 모션 검출 채널 순서로 설정된 각 감시용 카메라들 사이를 피사체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KR1020080005895A 2008-01-18 2008-01-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KR20090079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95A KR20090079722A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95A KR20090079722A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22A true KR20090079722A (ko) 2009-07-22

Family

ID=4129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895A KR20090079722A (ko) 2008-01-18 2008-01-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453A1 (en) * 2011-12-21 2013-06-27 Intel Corporation Video feed playback and analysis
US9807338B2 (en) 2013-11-15 2017-10-31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matching a search cond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453A1 (en) * 2011-12-21 2013-06-27 Intel Corporation Video feed playback and analysis
US9607399B2 (en) 2011-12-21 2017-03-28 Intel Corporation Video feed playback and analysis
US9807338B2 (en) 2013-11-15 2017-10-31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matching a search cond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066B1 (ko) 텍스트를 이용한 피사체 이동 경로 표시장치 및 방법
CN1972414B (zh) 信息处理装置、成像设备、信息处理方法
CN101267523B (zh) 处理运动图像的设备、成像设备、图像显示控制方法
US6434320B1 (en) Method of searching recorded digital video for areas of activity
CN101094395A (zh) 视频监视系统以及视频监视程序
RU2012102039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KR101531191B1 (ko) 카메라 영상 녹화 기기와 동영상 데이터 파일 삭제 방법
JP4075748B2 (ja) 画像記録装置
KR101033238B1 (ko)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감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7006061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감시영상 출력방법
KR2009007972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선택 녹화장치 및 방법
KR20060016243A (ko)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멀티 채널 영상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62630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피사체 이동 경로 추적 방법
JP445470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706220B1 (ko)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장치의 오버라이팅 방법
US8934756B2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209077A1 (en) Method for calculating file size of video data
KR20070030017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녹화 제어방법
KR101362594B1 (ko) 참고 특징 점을 이용한 피사체 영상 검색방법
KR101198159B1 (ko) 모션 검출 영역별 녹화 제어방법
KR2008004461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기록 제어방법
KR20070117028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영상 녹화 또는 검색방법
KR20080029120A (ko)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분할 표시 제어방법
JP2018037897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
KR200316100Y1 (ko) 보안용 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