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168A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0168A KR20080100168A KR1020087017420A KR20087017420A KR20080100168A KR 20080100168 A KR20080100168 A KR 20080100168A KR 1020087017420 A KR1020087017420 A KR 1020087017420A KR 20087017420 A KR20087017420 A KR 20087017420A KR 20080100168 A KR20080100168 A KR 200801001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etergent container
- washing machine
- type washing
- drum ty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하우징에 고정된 주수구(注水口)부(23)에 대하여 수봉(water seal) 트랩(50)을 고정하고, 수봉 트랩(50)과 외조(外槽; outer tub)(10)를 접속하는 주수관(24)에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름호스 형상의 접속관(24a)을 끼워 넣는다. 이로써, 탈수 시 등에 외조(10)가 진동하여도 그 진동은 접속관(24a)의 신축·굴곡에 의하여 흡수되어, 수봉 트랩(50) 자체가 크게 진동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최종 헹굼의 급수 시에 수봉 트랩(50) 내에 고인 물에 의하여 충분한 수봉을 행할 수 있어, 외조(10)로부터 주수구부(23)로의 수증기의 흐름을 저지하여 수증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식 세탁기는, 대략 상자 형상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조(外槽; outer tub)의 내부에,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둘레면 원통 형상의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드럼 안에 세탁물을 수용하고, 외조 안에 물을 저류한 상태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의 세탁을 행한다. 또한, 건조 기능을 가지는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탁이 종료되면, 드럼을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외조 안에 가열공기를 송급(送給)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그 대부분이, 의류를 드럼 안에 넣고 꺼내기 위한 의류 투입구가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며, 그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도어를 열면 외조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開口)와 드럼의 전단(前端)면에 설치된 개구를 통하여, 드럼 내부가 들여다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은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제나 섬유 유연제 등을 수용 가능한 세제용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주수구(注水口)부가 외조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의 수도전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 주수구부를 거쳐 외조 안에 공급되도록 급수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예컨대 사용자가 미리 세제용기 내의 소정 위치에 분말세제를 넣어 두면, 세탁의 급수 시에 주수구부에 도입된 수돗물이 세제용기 내로 안내되어, 이 물에 의하여 세제가 휩쓸려 내려가서 세제를 수반한 물이 외조 안에 공급됨으로써, 세제가 외조 안에 자동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제용기 내의 다른 소정 위치에 섬유 유연제를 넣어 두면, 최종 헹굼의 급수 시에 주수구부에 도입된 물에 의하여 섬유 유연제가 휩쓸려 내려가서, 외조 안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조와 주수구부는 급수경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시에 세탁물로부터 토출된 수증기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공기가 외조 속에 충만하면, 이러한 수증기의 일부가 상기 급수경로를 역류하여 주수구부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세제용기 수납부의 간극 등으로부터 수증기가 기기 밖으로 누출된다거나, 혹은 세제용기의 벽면에 결로(結露)된 물이 세제용기를 인출(引出)하였을 때에 적하(滴下)한다거나 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주수구부와 외조를 접속하는 급수경로의 도중에 수봉(水封, water seal) 트랩을 설치하여, 이로써 건조 운전 시에 수증기가 주수구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고무제(製)의 관로를 U자 형상으로 굴 곡시켜서 수봉 트랩을 형성하여, 급수가 정지하였을 때에 이 U자 형상부에 물이 남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관로를 형성하는 것은, 이 급수경로의 접속대상인 외조는 드럼의 진동에 수반하여 크게 요동(搖動)함에 대하여, 주수구부는 고정되어 있어, 급수경로는 신축이나 굴곡의 힘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탈수 시에 드럼이 고속회전되고, 그에 수반하여 외조가 크게 요동하면 수봉 트랩 자체도 신축하거나 굴곡되거나 하기 때문에, 수봉 트랩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이 배출되어 버려서 완전한 수봉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탈수 행정(行程)의 종료 후로서 건조 운전의 개시 전에 소정 시간 급수를 행하여, 수봉 트랩에 물이 확실하게 모이도록 하는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원래 급수를 행할 필요가 없는 타이밍에서 급수를 행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제어가 복잡하게 됨과 함께, 탈수에 의하여 물이 빠진 세탁물에 물이 뿌려질 가능성이 있어, 건조 시간이 길어져 소비전력도 많아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러한 부가적인 급수를 행하지 않고, 주수구부와 외조 사이의 수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절수(節水)성이 대단히 중요시되고 있으며, 예컨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건조 운전 시에 사용된 냉각수 등을 회수하여 저류해 두는 저류조를 외조의 하방 공간에 배치하여, 이 저류수를 다음 세탁 시의 세탁이나 헹굼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사용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상당한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세탁 시에 이러한 물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재사용하는 물에 의하여서도 세제가 외조에 투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어, 주수구부에 있어서 세제용기 내로 물을 안내하는 통수로(通水路)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주수구부 자체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0439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1428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265033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목적으로 하는 바는, 주수구부와 외조를 접속하는 급수경로에 설치한 수봉 트랩에 의한 수증기의 포집(捕集)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탁이나 건조에 사용된 물을 저류하여 다음 세탁 시에 재사용하는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를 자동투입하는 기능을 가지는 주수구부의 사이즈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제1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외조와, 이 외조의 내부에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둘레면 원통 형상의 드럼과, 세제용기를 수납하는 주수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조 안에 세탁이나 헹굼을 위한 급수를 행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외조 안에 건조를 위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주수구부와 상기 외조를 접속하는 급수유로에 수봉 트랩을 설치하고, 이 수봉 트랩을 상기 외조의 요동에 종동(從動)하지 않는 부위에 고정하며, 이 수봉 트랩과 상기 외조 사이의 급수유로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외조의 요동에 종동하지 않는 부위」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외조 자체 또는 외조에 대하여 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재 등을 제외한 부위이며, 전형적으로는, 하우징 자체나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또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부재를 통하여 고정된 부재가 상당한다.
제1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기 주수구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급수 시에 수봉 트랩에는 물이 모이고 급수가 정지되었을 때에 급수유로는 물에 의하여 봉해지므로, 건조 운전 시에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는 수봉 트랩에서 포착되어 주수구부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탈수 시에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드럼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하여 드럼은 진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외조도 비교적 크게 요동할 가능성이 있다. 외조는 탄성부재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조의 요동은 탄성부재에서 흡수되어, 하우징 자체의 진동은 억제된다(즉, 하우징은 외조의 요동에 종동하지 않음). 또한, 수봉 트랩과 외조 사이의 급수유로도 적어도 그 일부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급수유로를 전파(傳播)하는 진동은 여기서 흡수된다.
따라서, 수봉 트랩은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크게 진동하지는 않아서, 수봉을 위하여 모여 있는 물이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 운전 시에 주수구부로부터의 수증기의 누설이나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수봉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급수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가 복잡해지지 않고, 탈수한 세탁물을 다시 젖게 해 버리지도 않는다.
또한 제1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주수구부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외조로 물을 보내는 유출구를 가지는 저수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수실 내 공간은 상(上)벽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리브(rib)에 의하여, 이 리브 하단(下端)과 하(下)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가 설치된 주수구 측 공간과 상기 유출구가 설치된 외조 측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개구는 상기 유입구의 개구의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여기서, 저수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부재는 예컨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수봉 트랩에서는 연결통로가 유입구나 유출구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기 때문에, 연결통로에서의 물의 흐름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급수 시에 연결통로에 흐르는 물의 유량은 유입구의 개구 면적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에, 저수실 내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행하여진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연결통로 부근에 분말세제 등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수실에 있어서 상기 주수구 측 공간의 하벽면은 상기 리브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수 시에 주수구부에서 유입구를 거쳐 저수실에 유입된 물은 하향 경사인 하벽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연결통로에 세제 등이 남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하향 경사인 하벽면이 상기 외조의 외주 벽면의 원호(圓弧)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하면, 수봉 트랩을 외조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여, 하우징의 외형 사이즈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제2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조와, 이 외조의 내부에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사용자가 미리 세제류를 수용해 두기 위한 세제용기를 수납하고, 이 세제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류를 상기 외조 내에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외조 내에 공급하는 세제 투입기능을 가지는 주수구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주수구부로 흐르게 하는 급수밸브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욕물을 흡인하여 상기 주수구부로 보내는 목욕물 펌프를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류 가능한 저수조와, 이 저수조에 저류된 물을 상기 주수구부로 송급하기 위한 환류(還流)수로 및 압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주수구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제1 통수로와, 상기 목욕물 펌프에 의하여 송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통수로와 상기 압송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통수로를 겸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목욕물 급수 시에 목욕물 펌프가 작동되면, 외부로부터 흡인된 목욕물이 주수구부의 제2 통수로를 거쳐 세제용기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세제용기 내의 소정 위치에 세제를 넣어 두면, 세제는 목욕물에 휩쓸려 내려가서 외조 내에 투입된다. 한편, 저류조에 전회의 세탁이나 건조 시에 이용된 물(이하, 「중수(中水; recycled water)」라고 함)이 저류된 상태에서 압송수단이 작동되면, 중수가 환류수로를 거쳐 주수구부로 보내져, 목욕물 급수 시와 마찬가지로 제2 통수로를 거쳐 세제용기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미리 세제용기 내의 소정 위치에 세제를 넣어 두면, 외조 내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로써, 물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도, 주수구부의 사이즈는 거의 커지지 않아, 하우징 내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수는 세탁이나 건조에 일단 사용된 물이기 때문에, 실밥 등, 비교적 큰 이물이 혼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예컨대 필터 등을 통하게 하여도 그러한 이물을 완전히는 제거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는, 상기 주수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수로로부터 상기 세제용기 내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吐水口)의 개구 사이즈가 상기 제1 통수로로부터 상기 세제용기 내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의 개구 사이즈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환류수로를 거쳐 보내져서 오는 물에 어느 정도 크기의 실밥 등이 혼입되어 있었을 경우이더라도, 제2 통수로로부터 세제용기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에 실밥이 쉽게 막히지 않게 되어, 급수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통수로를 목욕물 급수와 중수 급수로 공용할 경우, 목욕물 펌프의 토출구와 주수구부 사이의 급수유로와 환류수로가 합류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목욕물 펌프가 정지된 상태에서 압송수단이 작동되면, 중수의 일부가 목욕물 펌프의 토출구 측으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목욕물 펌프는 일반적으로 자급(自給)식의 것이 이용되는데, 그 경우, 펌프 동작의 최초에 마중물(priming water)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돗물을 마중물로서 목욕물 펌프에 공급하는 마중물 수로가 설치된다. 그로 인하여, 목욕물 펌프 내에 중수가 들어오면, 마중물 수로를 역류한 중수가 급수밸브의 출구 측으로 침입하여, 단수(斷水) 시 등에 수돗물이 중수로 오염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중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목욕물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주수구부 사이의 급수유로에 있어서, 상기 환류수로와의 합류 부위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목욕물 펌프 내로 중수가 역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돗물의 오염을 발생하게 할 우려가 없다.
그런데,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외조의 하방 공간에 저수조를 배치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하우징의 높이를 높일 필요가 있어서, 외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수구부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방으로의 인출식인 세제용기의 위치도 높아져, 세제용기 내에 세제를 넣기 어렵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기 세제용기는 하우징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보다도 상기 세제용기의 앞쪽 가장자리부가 내려가도록 전방 하향 경사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제용기 내에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넣기 위하여 이 세제용기를 전방으로 인출하였을 때에, 그 상면 개구가 바로 위가 아니라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므로, 세탁기의 전방에 서 있는 사용자로부터 세제용기 안이 보기 쉽게 되어,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넣기 쉬워 사용 편의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세제용기는, 이 세제용기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상기 주수구부 측에 형성된 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는 전체가 대략 수평이면서 앞쪽 가장자리부만이 전방 하향 경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주수구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세제용기를 전방으로 인출할 때에, 거의 수평방향으로 인출해 가서 최대 인출위치에 이르는 근방에 있어서 비로소 세제용기는 앞으로 기운다. 따라서, 세제용기를 인출 또는 삽입 시의 덜컹거림이 적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탈수 시에 외조가 크게 요동하여도 수봉 트랩에 보존된 물이 배출되어 버리지 않아, 건조 시에 외조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주수구부로 역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주수구부로부터의 수증기 누출이나 결로에 의한 물의 적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 관한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이나 건조에 사용한 물을 저류해 두고 이를 다음 세탁에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세제 자동투입 기능을 가지는 주수구부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급배수 경로가 나타나는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 종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경로가 나타나는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 종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하우징 내부의 요부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상면을 피복(被覆)하는 상면판 등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의 수봉 트랩 주위의 상세도.
도 7은, 수봉 트랩의 종단면도.
도 8은, 급수유닛 전체의 상면도.
도 9는, 급수유닛을 배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0은, 주수구부의 배면 측의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세제용기를 수납하는 주수구부의 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세제용기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b : 의류 투입구
2 : 도어
3 : 급수 호스 접속구
4 : 목욕물 호스 접속구
6 : 세제용기
61 : 트레이
61a : 안내 리브(rib)
62 : 손잡이
7 : 건조필터 용기
10 : 외조(外槽; outer tub)
101 : 측면판
102, 103 : 이음판 부재
10a : 외조 전면(前面) 개구
11 : 댐퍼(damper)
12 : 패킹
13 : 드럼
13a : 드럼 전면 개구
14 : 주축
17 : 모터
20 : 급수유닛
21 : 급수밸브
22 : 목욕물 펌프
223 : 마중물(priming water) 호스
23 : 주수구(注水口)부
231 : 케이스
232 : 덮개부
233 : 제1 통수로(通水路)
233a : 토수구(吐水口)
234 : 제2 통수로
234a : 토수구
235 : 제3 통수로
236 : 합류실
237 : 물 빠짐 구멍
238 : 안내 홈
238a : 수평부
238b : 하향 경사부
24 : 주수관(注水管)
24a : 접속관
24b : 파이프
25 : 주수구
26 : 배수구
27 : 배수밸브
28 : 배수관
31 : 공기 배출구
32 : 통풍로
33 : 팬(fan)
34 : 팬 모터
35 : 히터
36 : 공기 공급구
40 : 저수조
41 : 저수밸브
42 : 중수(中水; recycled water)펌프
43 : 환류(還流)수로
50 : 수봉(water seal) 트랩
51 : 본체
511 : 리브
512 : 제1 공간
513 : 제2 공간
514 : 연결통로
515 : 하벽면(下壁面)
52 : 유입구
53 : 유출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급배수 경로가 나타나는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 종단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경로가 나타나는 위치에서의 개략 측면 종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하우징 내부의 요부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면을 피복하는 상면판 등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은 전체적으로 대략 상자 형상이다. 하우징(1)의 전면(1a)은, 상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완만하게 만곡(彎曲)하면서 다소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거기에 대략 원 형상의 의류 투입구(1b)가 형성되며, 의류 투입구(1b)는 내부를 투시 가능한 옆열림식의 도어(2)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면(1a)의 상부, 즉 의류 투입구(1b)의 위에는, 좌우로 가늘고 길게, 각종 조작 키나 표시기가 배치된 조작 패널(5)이 설치되며, 그 좌측에는 전방으로 인출식의 세제용기(6)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동일하게 인출식의 건조필터 용기(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면(1c)에는 일단(一端)이 수도전에 접속되는 급수 호스 의 타단(他端)이 접속되는 급수 호스 접속구(3)가 배치되고, 그 오른쪽 옆에는 일단이 욕조 내의 목욕물에 침지(浸漬, retting)되는 목욕물 호스의 타단이 접속되는 목욕물 호스 접속구(4)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 호스 접속구(3)는 후술하는 급수밸브(21)의 입수구를 직접 상면에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목욕물 호스 접속구(4)는 목욕물 펌프(22)의 입수구를 직접 상면에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둘레면이 대략 원통 형상인 외조(10)가 좌우 양 하측방을 지지하는 댐퍼(11)와 상부를 견인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적절히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댐퍼(11)와 스프링이 탄성부재이다. 외조(10)의 전면에는 하우징(1)의 의류 투입구(1b)에 상대하여 원 형상으로 개구한 외조 전면 개구(10a)가 형성되며, 이 외조 전면 개구(10a)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의류 투입구(1b)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편평(扁平) 원통 형상의 패킹(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외조(1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둘레면 대략 원통 형상의 드럼(13)이 전후 방향으로 연신(延伸)하면서 또한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주축(14)에 의하여 축 지지되어 있다. 드럼(13)의 전단(前端)면에는 크게 개구한 드럼 전면 개구(13a)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2)가 개방되면, 전방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외조 전면 개구(10a)와 이 드럼 전면개구(13a)를 통과하여, 드럼(13) 내부가 들여다 보이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드럼(13)의 중심축선(C) 즉 주축(14)의 중심축선의 경사각도(θ)는 수평선에 대하여 약 15°로 정해져 있는데, 이는 일례이며, 경사각도(θ)는 예컨대 10∼30° 정도의 적절한 각도로 설정된다.
주축(14)의 전단은 드럼(13)의 후면에 강고히 고정되며, 외조(10)의 후면부에 장착된 베어링 고정부재(15)의 베어링(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조(1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주축(14)의 단부(端部)에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형의 직류 브러쉬리스(brushless) 모터인 모터(17)의 로터(172)가 장착되고, 한편, 베어링 고정부재(15)에는 모터(17)의 스테이터(171)가 고정되어 있다.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로터(172)는 권선을 포함하는 스테이터(171)의 외주 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모터(17)는 주축(14)의 연신방향으로 박형(薄型)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로부터 스테이터(171)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로터(172)는 회전하며, 주축(14)을 통하여 로터(172)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드럼(13)이 회전 구동된다.
하우징(1) 내의 상부 공간에는, 급수밸브(21)나 목욕물 급수용의 목욕물 펌프(22), 주수구부(23)를 포함하는 급수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밸브(21)의 상방으로 지향(指向)한 입수구가 상기 급수 호스 접속구(3)이며, 목욕물 펌프(22)의 상방으로 지향한 입수구가 상기 목욕물 호스 접속구(4)이다. 세제용기(6)를 인출 가능하게 내장하는 주수구부(23)는 급수밸브(21)의 전방에 배치되며, 급수밸브(21)나 목욕물 펌프(22)를 거쳐 주수구부(23)에 공급된 물은 주로 세제용기(6)의 내부를 통과하여, 주수구부(23)의 바닥부에 접속된 주수관(24)을 통하여 외조(10)의 후부에 설치된 주수구(25)로부터 외조(10) 안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가 행하여져서 외조(10)에 저류된 물은 통수(通水)구멍(13b)을 통하여 드럼(13) 내로 유입된다. 또한, 탈수 시에 드럼(13) 내에서 세탁 물로부터 토출된 물은 통수구멍(13b)을 통하여 외조(10) 측으로 비산(飛散)한다. 외조(10)의 바닥부 후방에는 배수구(26)가 설치되고, 배수구(26)는 배수밸브(27)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어, 배수밸브(27)가 개방되면 외조(10)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은 배수관(28)을 통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구(26)는 저수밸브(41)의 유입구에도 접속되어 있어, 배수밸브(27)가 폐쇄 상태에서 저수밸브(41)가 개방되면 외조(10)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은 배수관(28)이 아니라, 하우징(1) 내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40)로 유입된다. 즉, 이로써 세탁에 한번 사용된 물을 폐기하지 않고 저수조(40)에 모을 수 있다. 저수조(40)와 주수구부(23)는 환류수로(43)에 의하여 접속되며, 그 도중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송수단으로서의 중수 펌프(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최종 헹굼이 실행된 후, 그 헹굼에 사용된 물이 저수조(40)에 저류된다. 저수조(40)에는 저류수(중수)를 정화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정화장치가 부설되어 있어, 이 정화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잡균이 번식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 세탁 시에, 중수 급수가 지정되면 중수 펌프(42)가 작동되어, 저수조(40)에 저류되어 있는 중수가 흡인되어 환류수로(43)를 통하여 주수구부(23)로 보내지고, 수돗물이나 목욕물 대신에 세제용기(6)를 거쳐 외조(10)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세탁에 사용하는 물의 수량(水量)을 종래보다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탈수 후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조(10)의 후면 하부에 공기 배출구(31)가 설치되며, 그 공기 배출구(31)에 접속된 통풍로(32)는 외조(10)의 후방, 측방 및 상방을 통하여 외조(10) 전면 상부에 설치된 공기 공급구(36)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통풍로(32)의 도중에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건조필터 용기(7) 내에 수납된 건조필터(도시하지 않음), 팬(fan) 모터(3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팬(33), 건조용의 히터(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풍로(32)의 직립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수 호스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 운전 시에는, 팬(33)에 의하여 일어난 공기류가 히터(35)로 가열된 후에 공기 공급구(36)로부터 토출되어 드럼(13) 내에 공급된다. 그 가열공기는 드럼(13) 내부를 통과할 때에 세탁물과 열교환을 행하여 수분을 빼앗아, 공기 배출구(31)를 통하여 통풍로(32)로 유입된다. 통풍로(32)의 직립부에는 냉각수 호스를 통하여 물이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흘러내리고 있어, 수증기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가열공기가 이 냉각수에 접촉하면 수증기는 응축되어 결로된다. 결로된 물은 냉각수와 함께 통풍로(32)의 내벽을 타고 떨어져서 외조(10) 안으로 흘러, 배수구(26)로부터 배출된다. 통풍로(32) 내에서 수증기가 제거된 마른 공기는 건조필터를 통과하여, 팬(33)을 거쳐 히터(35)로 되돌아가는 식으로 순환한다. 건조필터를 통과할 때에 공기에 혼입되어 있는 실밥, 진애(塵埃), 꽃가루 등의 이물이 제거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좌우 양 측면을 각각 폐색하는 한 쌍의 측면판(101)과, 양 측면판(101)의 윗 가장자리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장착된 2개의 대략 ㄷ자 형상의 이음판 부재(102, 103)를 포함한다. 이 이음판 부재(102, 103)는, 하우징(1)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며, 이 이음판 부재(102, 103) 위에 상면을 피복하는 상면판이 장착된다. 주수구부(23) 등을 포함하는 급수유닛(20)이나, 팬(33), 히터(35) 등을 포함하는 건조유닛은 이 이음판 부재(102, 103) 및 측면판(101)의 윗 가장자리부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특징적인 구성과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수구부(23)와 외조(10)를 접속하는 급수유로로서의 주수관(24)의 도중에 설치되는 수봉 트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수봉 트랩 주위의 상세도이며, 왼쪽 경사 측방에서 본 상태이다. 도 7은 이 수봉 트랩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봉 트랩(50)은 주수관(24)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수봉 트랩(50)의 출구(후술의 유출구(53))와 외조(10)의 주수구(25) 사이의 주수관(24)에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주름호스 형상의 접속관(24a)이 끼워 넣어지고, 한편, 주수구부(23)의 출구와 수봉 트랩(50)의 입구(후술의 유입구(52)) 사이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파이프(24b)로 연결되어 있다. 수봉 트랩(50)에 대한 접속관(24a)과 파이프(24b)의 접속방향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수구부(23)를 포함하는 급수유닛(20)은 하우징(1)의 일부인 측면판(101)이나 이음판 부재(103)에 나사로 강고히 고정되며, 파이프(24b)도 탄성을 가지지 않는 부재이므로, 수봉 트랩(50)은 하우징(1)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외조(10)가 요동할 때에 그 요동은 신축·굴곡 가능한 접속관(24a)에서 흡수되어, 수봉 트랩(50)은 외조(10)의 요동에는 종 동하지 않는다.
수봉 트랩(50)은 그 내부에 저수실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로 전후 방향으로 얇은 편평 형상의 본체(51)를 가지며, 본체(51)는 2개의 부재(51a, 5lb)를 열 용착(熱溶着)(또는 진동(振動)용착)에 의하여 서로 맞붙게 한 것이다. 이 일방의 부재(51a)의 상부 전면에 유입구(52)가 형성되며, 타방의 부재(5lb)의 상부 후면에서 유입구(52)보다도 낮은 위치에 유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51) 내의 저수실은, 상벽으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리브(511)에 의하여 유입구(52) 측의 제1 공간(512)과 유출구(53) 측의 제2 공간(513)으로 구획되며, 양 공간(512, 513)은 리브(511)의 하단과 본체(51)의 하벽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514)에 의하여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체(51)의 내부에는 유입구(52)와 유출구(53) 사이에 연결통로(514)를 바닥부로 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52)에 대한 파이프(24b)의 접속방향과 유출구(53)에 대한 접속관(24a)의 접속방향은 거의 평행이기 때문에, 급수 시에는 주수구부(23)로부터 파이프(24b) 안을 후방으로 향하여 흘러 온 물은 유입구(52)를 거쳐 수봉 트랩(50)의 본체(51)에 들어가면 대략 수직 하방으로 방향을 바꾸어, 상술한 본체(1) 내의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거쳐 유출구(53)에 이르고, 여기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유입 시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향하여 접속관(24a) 안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리브(511)의 하단은 유입구(52), 유출구(53)의 양쪽의 하단보다도 더욱 하방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급수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연결통 로(514)에 예컨대 도 7 중에 저류수 수위(水位)라고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 고이고, 이 물에 의하여 유로는 완전히 봉해진다. 즉, 이 수봉 트랩(50)은 수봉 트랩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통로(514)의 단면적은 유입구(52)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본체(51)에 들어오는 물의 수량은 연결통로(514)의 단면적이 아니라 유입구(52)의 개구 면적으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연결통로(514)를 물이 통과할 때에 여기에서의 수세(水勢)가 쉽게 약해지지 않는다. 또한, 연결통로(514)에 있어서 제1 공간(512) 측 하벽면(515)은 물의 흐름의 방향으로 하방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수 시에 유입구(52)로부터 유입되어 온 물은 이 경사를 따라서 흘러, 연결통로(514) 안을 기세 좋게 통과하여 유출구(53)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로써, 유입해 오는 물에 분말세제가 혼입되어 있었을 때에도, 물은 그 분말세제를 수반하여 유출구(53)까지 도달하여 연결통로(514) 내에 분말세제가 쉽게 남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수봉 트랩(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수구부(2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어, 탈수 시 등에 외조(10)가 크게 요동하여도 수봉 트랩(50)의 진동은 억제된다. 따라서, 저수실 내에 모인 물이 유출구(53)로부터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유로를 확실하게 봉하여 건조 운전 시에 외조(10) 측으로부터 역류해 온 수증기가 주수구부(23) 측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수봉 트랩(50)은 그 본체(51)의 경사진 하벽면(515)이 외조(10)의 외주면의 원호를 따르도록, 외조(10)가 요동하였을 때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수봉 트랩(50)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수구부(23)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급수유닛(20) 전체의 상면도, 도 9는 급수유닛(20)을 배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0은 주수구부(23)의 배면 측의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세제용기(6)를 수납하는 주수구부(23)의 요부의 종단면도, 도 12는 세제용기(6)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세제용기(6)는, 상면 전체가 개방된 트레이(61)의 앞 부분에 하우징(1)의 형상에 맞추어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손잡이(62)를 설치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가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트레이(61)의 내부는, 분말세제를 수납하기 위한 분말세제 수용부와, 액체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세제 수용부와, 섬유 유연제를 수납하기 위한 섬유 유연제 수용부의 셋으로 구획되어 있다.
내부에 세제용기(6)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주수구부(23)는,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231)와 그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부(232)를 가진다. 이 덮개부(232)에는, 외부로부터 주수구부(23)에 공급되는 물을 세제용기(6)의 트레이(61) 안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통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세탁 급수 시에 급수밸브(21)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61) 내의 분말세제 수용부 또는 액체세제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통수로(233), 목욕물 펌프(22) 또는 중수 펌프(42)에 의하여 송급되는 물을 트레이(61) 내의 분말세제 수용부 또는 액체세제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통수로(234), 최종 헹굼 급수 시에 급수밸브(21)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61) 내의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3 통수로(235)의 세 개이다.
제1 통수로(233)에는 다수의 토수구(233a)가 형성되어 있어, 제1 통수로(233)에 도입된 물은 이 토수구(233a)를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내려 트레이(61) 안으로 떨어진다. 제2 통수로(234)에도 토수구(234a)가 형성되어 있어, 제2 통수로(234)에 도입된 물은 이 토수구(234a)를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내려 트레이(61) 안으로 떨어진다. 제3 통수로(235)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제2 통수로(234)의 토수구(234a)는 제1 통수로(233)의 토수구(233a)보다도 1개당의 개구 면적이 상당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수 펌프(42)에 의하여 보내져 온 중수에 실밥 등의 이물이 혼입되어 있었을 경우이더라도, 토수구(234a)를 통과할 수 없어 막혀버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제1 통수로(233) 및 제3 통수로(235)에는 이물이 혼입되지 않는 수돗물이 도입되기 때문에, 이물이 막힐 우려는 없으므로, 1개당의 토수구(233a, 235a)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고 있다.
다만, 목욕물 펌프(22)는 자급(自給)식이기 때문에, 작동 시에 펌프실에 물이 충만해 있지 않으면 흡인이 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수돗물을 마중물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제1 통수로(233)와 목욕물 펌프(22) 사이에 마중물 호스(221)가 접속되어 있고, 목욕물 급수 시에도 처음에 소정 시간만큼 급수밸브(21)를 개방하여 목욕물 펌프(22)로 수돗물을 보내어, 목욕물 펌프(22)의 흡인동작이 개시되도록 하 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수로(234)는, 중수 펌프(42)에 의하여 송급되는 중수(즉 저수조(40)에 저류되어 있는 물)를 세제용기(6) 내에 도입하기 위한 통수로와, 목욕물 펌프(22)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흡인·토출된 목욕물을 세제용기(6) 내에 도입하기 위한 통수로를 겸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중수를 재사용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와 비교하여도 주수구부(23)의 용적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스페이스가 증대하지 않는다.
공통인 제2 통수로(234)에 중수, 목욕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주수구부(23)의 케이스(231)의 후벽에는, 목욕물 펌프(22)의 토출구에 접속된 목욕물 공급관(222)이 접속되는 제1 접속구(231a)와 중수 펌프(42)의 토출구에 접속된 환류수로(43)가 접속되는 제2 접속구(23lb)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벽면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231) 내부에는 양자가 합류하는 합류실(236)이 설치되며, 이 합류실(236)에 이어지도록 제2 통수로(2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합류실(236)의 바닥면에는 물 빠짐 구멍(237)이 천공(穿孔)되어 있어, 목욕물 펌프(22)나 중수 펌프(42)의 정지 시에 합류실(236) 내에 남는 물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류실(236)을 통하여 목욕물 공급관(222)과 환류수로(43)는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목욕물 펌프(22)에 있어서 그 토출구와 마 중물 호스(221)의 유로는 펌프실을 통하여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중수가 목욕물 펌프(22)에 유입되지 않도록 목욕물 공급관(222)의 도중에는 역류방지 밸브(2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류방지 밸브(223)는, 목욕물 펌프(22)가 흡인·토출 동작을 행하여 목욕물 공급관(222)을 통하여 목욕물 펌프(22)로부터 주수구부(23)로 물이 보내질 때에 개방되고, 목욕물 펌프(22)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폐쇄된다. 이로써, 예컨대 급수밸브(21)가 개방되어 외부의 수도전와 주수구부(23)의 제1 통수로(233)가 유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단수 등에 의하여 수도전 측이 음압(負壓; negative pressure)이 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음용(飮用)에 적합하지 않은 중수가 목욕물 펌프(22), 급수밸브(21)를 통하여 수도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외조(10)의 하방 공간에 저수조(4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의 높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드럼식 세탁 건조기보다도 100∼200㎜ 정도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세제용기(6)를 전방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그 위치도 높아져서, 특히 키가 작은 사용자에 있어서는 세제용기(6)의 트레이(61) 내에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넣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주수구부(23)의 케이스(231)의 양 측벽과 덮개부(232)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홈(238)이 전체적으로는 거의 수평한 수평부(238a)이며, 전단부 근방에서만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하향 경사부(238b)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제용기(6)의 트레이(61)의 양 측벽의 윗 가장자리단에는 외방(外方)으로 수평으로 뻗어 나오는 안내 리브(6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 리브(61a)가 안내 홈(238)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세제용기(6)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제용기(6)를 인출할 때, 안내 리브(61a)가 수평부(238a)를 따라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인출방향은 거의 수평이 되지만, 최대 인출위치의 근방까지 오면 안내 홈(238)의 하향 경사부(238b)로 안내 리브(61a)가 지지되기 때문에, 세제용기(6) 전체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하향 경사된다. 이로써, 트레이(61)의 상면 개구는 직상방이 아니라 약간 경사진 전방을 향하여, 이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전방에 선 사용자로부터 트레이(61) 속이 보기 쉽게 된다. 또한, 세제용기(6)를 인출 또는 삽입할 때에는, 그 도중에는 세제용기(6)는 거의 수평으로 이동하므로 덜컹거림이 쉽게 생기지 않으며, 최대 인출위치에 이르기 직전에서 전방 하향 경사되므로, 조작감이 양호하며 사용자에게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이나 수정, 추가를 행하여도 본원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0)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된 외조(外槽; outer tub)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둘레면 원통 형상의 드럼과, 세제용기를 수납하는 주수구(注水口)부를 통하여 상기 외조 내에 세탁이나 헹굼을 위한 급수(給水)를 행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외조 내에 건조를 위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상기 주수구부와 상기 외조를 접속하는 급수유로에 수봉(water seal) 트랩을 설치하고, 상기 수봉 트랩을 상기 외조의 요동에 종동(從動)하지 않는 부위에 고정하며, 상기 수봉 트랩과 상기 외조 사이의 급수유로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기 주수구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주수구부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외조로 물을 보내는 유출구를 가지는 저수실(貯水室)을 내부에 형성하는 부재로 이루 어지고, 상기 저수실 내 공간은 상(上)벽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리브(rib)에 의하여, 상기 리브 하단(下端)과 하(下)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가 설치된 주수구 측 공간과 상기 유출구가 설치된 외조 측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연결통로의 개구(開口)는 상기 유입구의 개구의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저수실에 있어서 상기 주수구 측 공간의 하벽면은 상기 리브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수봉 트랩은, 상기 하향 경사인 하벽면이 상기 외조의 외주 벽면의 원호(圓弧)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수평축 또는 경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사용자가 미리 세제류를 수용해 두기 위한 세제용기를 수납하며, 상기 세제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류를 상기 외조 안에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외조 안에 공급하는 세제 투입기능을 가지는 주수구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주수구부로 흐르게 하는 급수밸브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욕물을 흡인하여 상기 주수구부로 보내는 목욕물 펌프를 구비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상기 외조 내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류 가능한 저수조(貯水槽)와, 상기 저수조에 저류된 물을 상기 주수구부로 송급(送給)하기 위한 환류(還流)수로 및 압송수단을 구비하며,상기 주수구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제1 통수로(通水路)와, 상기 목욕물 펌프에 의하여 송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통수로와 상기 압송수단에 의하여 송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용기 내로 안내하는 통수로를 겸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주수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수로로부터 상기 세제용기 내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吐水口)의 개구 사이즈가 상기 제1 통수로로부터 상기 세제용기 내로 물을 토출하는 토수구의 개구 사이즈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목욕물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주수구부 사이의 급수유로에 있어서, 상기 환류수로와의 합류 부위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세제용기는 하우징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보다도 상기 세제용기의 앞쪽 가장자리부가 내려가도록 전방 하향 경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세제용기는, 상기 세제용기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상기 주수구부 측에 형성된 안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는 전체가 대략 수평하며 앞쪽 가장자리부만이 전방 하향 경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69874 | 2005-12-22 | ||
JP2005369874A JP2007167391A (ja) | 2005-12-22 | 2005-12-22 | ドラム式洗濯機 |
PCT/JP2006/323565 WO2007072656A1 (ja) | 2005-12-22 | 2006-11-27 | ドラム式洗濯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0168A true KR20080100168A (ko) | 2008-11-14 |
KR101339969B1 KR101339969B1 (ko) | 2013-12-10 |
Family
ID=3818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7420A KR101339969B1 (ko) | 2005-12-22 | 2006-11-27 | 드럼식 세탁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967638A1 (ko) |
JP (1) | JP2007167391A (ko) |
KR (1) | KR101339969B1 (ko) |
CN (1) | CN101341285B (ko) |
WO (1) | WO200707265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7940A1 (ko) * | 2015-09-30 | 2017-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2957671T3 (pl) * | 2009-06-29 | 2019-03-29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Urządzenie do suszenia materiałów pranych |
BRPI0904932A2 (pt) * | 2009-11-24 | 2011-07-19 | Mueller Eletrodomesticos S A | aperfeiçoamento em porta de eletrodoméstico |
KR101643860B1 (ko) * | 2009-12-24 | 2016-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JP5588948B2 (ja) * | 2011-09-29 | 2014-09-10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JP5816515B2 (ja) * | 2011-10-21 | 2015-11-18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JP5675565B2 (ja) * | 2011-11-29 | 2015-02-25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IN2014KN01121A (ko) | 2011-12-21 | 2015-10-16 | Bsh Bosch & Siemens Hausgeraete Gmbh | |
JP5807159B2 (ja) * | 2012-01-24 | 2015-11-1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洗濯機 |
EP2631345B1 (en) * | 2012-02-27 | 2019-09-04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Washing tub unit and washing machine |
CN105220411B (zh) * | 2012-11-06 | 2017-06-13 | 永春豪田工艺品有限公司 | 蒸汽洗衣机 |
CN105463781B (zh) * | 2012-11-06 | 2017-12-19 | 建湖县高新投资发展有限公司 | 洗衣机用蒸汽发生器 |
CN104514124B (zh) * | 2013-09-30 | 2017-12-01 |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 洗衣机料盒密封结构 |
JP6784479B2 (ja) * | 2015-06-19 | 2020-11-11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TW202104715A (zh) * | 2019-07-29 | 2021-02-01 |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 滾筒式洗衣機 |
CN114222837B (zh) * | 2019-08-21 | 2023-09-12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洗衣机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4416A (ja) * | 1983-10-14 | 1985-05-1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締結構造 |
JPS6084416U (ja) * | 1983-11-17 | 1985-06-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排水装置 |
JPS62172765A (ja) * | 1986-01-24 | 1987-07-29 | Sharp Corp | 光−電圧変換装置 |
JPS62172765U (ko) * | 1986-04-24 | 1987-11-02 | ||
JPH01104397A (ja) | 1987-07-11 | 1989-04-21 | Sankyo Yuki Kk | 汚水の浄化方法 |
JP2650339B2 (ja) | 1988-07-27 | 1997-09-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洗濯乾燥機 |
JP2894391B2 (ja) * | 1991-09-20 | 1999-05-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H10231549A (ja) * | 1997-02-18 | 1998-09-02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管内トラップ |
JPH10272277A (ja) * | 1997-03-31 | 1998-10-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JPH11104397A (ja) * | 1997-10-01 | 1999-04-20 | Hitachi Ltd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JPH11114286A (ja) * | 1997-10-13 | 1999-04-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JP2000051134A (ja) * | 1998-08-17 | 2000-02-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組込み形食器洗浄機 |
JP4034232B2 (ja) * | 2003-06-02 | 2008-01-16 | リンナイ株式会社 | 食器洗浄機 |
-
2005
- 2005-12-22 JP JP2005369874A patent/JP2007167391A/ja active Pending
-
2006
- 2006-11-27 EP EP06833369A patent/EP196763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6-11-27 CN CN2006800484179A patent/CN101341285B/zh active Active
- 2006-11-27 WO PCT/JP2006/323565 patent/WO200707265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1-27 KR KR1020087017420A patent/KR10133996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7940A1 (ko) * | 2015-09-30 | 2017-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EP3358067A4 (en) * | 2015-09-30 | 2019-06-12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341285A (zh) | 2009-01-07 |
JP2007167391A (ja) | 2007-07-05 |
EP1967638A1 (en) | 2008-09-10 |
WO2007072656A1 (ja) | 2007-06-28 |
CN101341285B (zh) | 2010-12-22 |
KR101339969B1 (ko) | 2013-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9969B1 (ko) | 드럼식 세탁기 | |
KR101082561B1 (ko) |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
KR101554756B1 (ko) | 세탁 건조기 | |
KR101460134B1 (ko) | 세탁기 | |
KR20080098952A (ko) | 세탁기용 터브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 |
JP5242153B2 (ja) | 洗濯機 | |
KR101332286B1 (ko) | 세탁기 | |
WO2012114722A1 (ja) | ドラム式洗濯機 | |
EP1463854A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 |
JP6626772B2 (ja) | 洗濯機 | |
KR101612804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5162261B2 (ja) | 洗濯機 | |
KR20110009918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18153374A (ja) | 洗濯機 | |
KR20110086421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08104541A (ja) | 洗濯機 | |
JP2009225871A (ja) | 洗濯機 | |
JP4861913B2 (ja) | 洗濯乾燥機 | |
KR20110009917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1620445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1575598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20110013059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0360418B1 (ko) | 드럼세탁기 | |
JP4126797B2 (ja) | 洗濯機 | |
JP2007044228A (ja) | 洗濯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