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5735A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735A
KR20060115735A KR1020067008513A KR20067008513A KR20060115735A KR 20060115735 A KR20060115735 A KR 20060115735A KR 1020067008513 A KR1020067008513 A KR 1020067008513A KR 20067008513 A KR20067008513 A KR 20067008513A KR 20060115735 A KR20060115735 A KR 2006011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minated
layer
polarizing plate
glas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사카타
유우조우 아카다
다다아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32B2315/085Glass fiber cloth or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926Coated or impregnated inorganic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926Coated or impregnated in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92Coated or impregnated glass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표시가 우수한 표시 품위를 갖도록 할 수 있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저열팽창률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리 크로스를 함유하는 수지 경화층을 구비한 수지 시트와 편광판이 적층된 적층 필름은 유리 크로스의 위사 또는 경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5 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적층 필름

Description

적층 필름{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주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등의 기판과 편광판과의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의 경량화, 박형화,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종래의 유리 기판을 대신하여, 플라스틱 기판의 채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기판으로서는, 낮은 열팽창률이 요구되는 바, 플라스틱 기판은, 플라스틱이 유리에 비하여 선팽창 계수가 높기 때문에, 열에 의한 수축·팽창에 의해, 예를 들어, 전극 형성시나 컬러 필터 형성시 등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보다 표시 품위가 우수하기 때문에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이 여러 가지 채용되고 있지만, 이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보다, 낮은 열팽창률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보다 현저해진다.
또 플라스틱 기판은, 기계적 강도가 비교적 낮다는 문제도 갖고 있다.
이들 문제에 대하여, 유리 섬유를 천 형상으로 짠 유리 크로스에, 경화 전의 수지를 함침시키고,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을 구비한 기판용의 수지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50384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2812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지 시트는, 기계적 강도나 저열 팽창률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우수하기는 하나, 수지의 경화 수축이나 성형 후의 냉각 수축에 의해 유리 섬유에 응력 복굴절이 발생하기 때문인지, 그 수지 시트에 편광판을 적층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고, 그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액정 셀을 제작한 경우, 흑색 표시 상태에 있어서 광누설이 발생하는 등,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품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계적 강도 및 저열팽창률이 우수하고,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편광판의 흡수축과 유리 크로스의 위사 또는 경사와 이루는 각도를 5 도 이하로 한 경우에, 광누설이 거의 관찰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유리 크로스를 함유하는 수지 경화층을 구비한 수지 시트와 편광판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유리 크로스의 위사 또는 경사와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5 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경화층에 유리 섬유가 포함되기 때문에, 수지 단독인 것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및 저열팽창률이라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유리 크로스의 위사 또는 경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5도 이하이고, 광누설을 매우 적은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품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기계적 강도 및 저열팽창률이 우수하고,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일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일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을 나타내고, 편광판의 일부를 파단시킨 상면도.
[도 3] 일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부호의 설명
1···수지 시트
2···유리 크로스
3···편광판
4···수지 경화층
7···하드 코트층
8···가스 배리어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지 시트 (1) 와 편광판 (3) 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 시트 (1) 는, 유리 크로스 (2) 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 (4) 을 갖고, 그 수지 경화층 (4) 은, 유리 크로스 (2) 와 수지 경화물 (9) 로부터 구성되고, 상세하게는, 이들이 일체적으로 성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리 크로스 (2) 는, 수지 경화층 (4) 의 면방향을 따른 상태 (면방향과 평행한 상태) 에서 그 수지 경화층 (4) 을 구성하는 수지 경화물 (9) 에 매설되어 있다.
도 2 는, 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편광판의 일부를 파단시킨 상면도이다.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 유리 크로스 (2) 의 위사 (5) 또는 경사 (6) 과 편광판 (3) 의 흡수축 L 이 이루는 각도 R 이 5 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위사 (5) 또는 경사 (6) 과 편광판 (3) 의 흡수축 L 이 이루는 각도 R 이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 R 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는, 예를 들어, 유리 크로스에 경화 전의 수지를 함침시킨 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경화 방법으로는 열 경화, 자외선 경화, 전자선 경화 등의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다만, 경화 후의 성형체가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열경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경화물을 형성하는 매트릭스인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성형 경화 후에 기포가 남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경화 전의 상태가 액체인 경화성 수지, 특히,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비스페놀 F 형, 비스페놀 S 형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비스페놀형; 페놀 노볼락형이나 크레졸 노볼락형 등의 노볼락형;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형이나 히단토인형 (hydantoin) 등의 함질소환형; 지환식형; 지방족형; 나프탈렌형 등의 방향족형 ; 글리시딜에테르형이나 비페닐형 등의 저흡수율형; 디시클로펜타디엔형 등의 디시클로형; 에스테르형; 에테르에스테르형; 및 이들의 변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변색 방지성 등의 관점에서,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에폭시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다만 내열성, 강인성 및 저복굴절성이 우수한 밸런스로 발휘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와 상기 지환식 에폭시 수지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 을 들 수 있다. 또한, 식 중 n 은, 예를 들어 0~2 의 정수이다.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1
상기 지환식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2) 으로 나타나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나 하기 화학식 (3) 으로 나타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 (3) 에 있어서, n 은 1~20 의 정수이고, R 는 알킬기이다.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2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3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갖는 에폭시 수지) 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4),(5) 으로 나타나는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 (5) 에 있어서, n 은 1~3 의 정수이다.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4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5
상기 기술한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4) 또는 (5) 으로 나타나는 에폭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를 사용하면, 수지 경화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작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두께 방 향 위상차가 작으면, 적층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였을 때에, 흑표시에 있어서의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누설이 억제되어, 표시 특성이 보다 더 향상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형성하는 수지 경화층의 유연성이나 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에폭시 당량 100~1000(g/eq), 연화점 12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당량 150~500(g/eq), 연화점 80℃ 이하이다. 또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 (예를 들어, 5~35℃) 에서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경화층을 형성할 때에, 전개성이나 도공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도공시의 온도 이하, 특히, 상온에 있어서 액체 상태를 나타내는 2 액 혼합형의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경화층에 있어서, 수지 경화물 (유리 크로스를 제외한 것) 의 비율은, 예를 들어 20~80 중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 이다. 한편, 상기 수지 경화층에 있어서의 유리 크로스의 비율은, 예를 들어,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7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 이다.
상기 수지 경화물에는, 수지 이외에,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물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경화제, 경화 촉진제, 노화 방지제, 변성제, 계면 활성제, 염료, 안료, 변색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경화물 중에 있어서의 수지 비율은, 통상, 30~100 중량%, 바람직 하게는 40~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 중량% 이다.
또한, 수지 경화물 중의 각 성분의 배합비는, 경화 후에 투명성을 유지하기위해서 유리 크로스와 수지 경화물의 굴절률 차가 0.01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의 유기산계 화합물류,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들의 아민 어댁트, 메타페닐렌디아민, 디아민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술폰산 등의 아민계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제는, 어느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경화제 외에, 예를 들어 디시안디아미드,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화합물류, 디히드라짓 등의 히드라지드계 화합물류, 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에틸이미다졸, 이소프로필이미다졸, 2,4-디메틸이미다졸, 페닐이미다졸, 운데실이미다졸, 헵타데실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계 화합물, 메틸이미다졸린, 2-에틸-4-메틸이미다졸린, 에틸이미다졸린, 이소프로필이미다졸린, 2,4-디메틸이미다졸린, 페닐이미다졸린, 운데실이미다졸린, 헵타데실이미다졸린, 2-페닐-4-메틸이미다졸린 등의 이미다졸린계 화합물류, 페놀계 화합물류, 우레아계 화합물류, 폴리술피드계 화합물류 등도 들 수 있다.
더욱, 산무수물계 화합물류 등도 상기 경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산무수물계 화합물류는, 예를 들어, 변색 방지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 체적인 예로서는,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무수나지크산, 무수글루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나지크산 무수물, 도데세닐숙신산 무수물, 지클로로숙신산 무수물,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클로렌디크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무수물계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무색계 또는 담황색계이고, 분자량이 약 140~약 2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무수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나지크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경화물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채용하는 경우, 그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경화제로서 무수물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1 당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산무수물 당량을 0.5~1.5 당량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2 당량이다. 상기 산무수물의 배합량이 0.5 당량 이상이면, 경화 후의 색상이 한층 더 우수하고, 1.5 당량 이하이면, 충분한 내습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나, 2 종류 이상의 경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비율에 준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 3 급 아민류, 이미다졸류, 제 4 급 암모늄염류, 제 4 급 포스포늄염류, 유기 금속염류, 인화합물류, 우레아계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제 3 급 아민류, 이미다졸류, 제 4 급 포스포늄염류가 바람직하다. 이들 경화 촉진제는,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액 중에 있어서의 경화 촉진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하는 수지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 촉진제가, 예를 들어 0.05~7.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2~3.0 중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배합 비율이 0.05 중량부 이상이면, 충분한 경화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7.0 중량부 이하이면, 경화 후의 색상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페놀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유기 황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 등의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성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글리콜류, 실리콘류, 알코올류 등의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아크릴계, 불소계 등의 각종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실리콘계가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수지를 공기에 접촉시키면서 경화시켜 수지 시트를 형성할 때에, 시트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서 첨가된다.
상기 수지 시트는,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나,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지 않은 수지 경화물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별도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경화층에 있어서, 수지 경화물과 유리 크로스와의 평균 굴절률의 차의 절대치는, 0~0.01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8,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6 이다. 절대치가 0.01 이하이면, 유리 크로스와 수지 경화물의 계면 산란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수지 시트의 헤이즈를 작게 하여, 수지 경화물이 원래 가지는 투명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유리 크로스 및 수지 경화물의 평균 굴절률은, 각각 유리 크로스만의 시트 및 별도 성형한 수지 경화물만의 시트를 대상으로 하여, 아베 굴절계에 의해, 25℃, 589nm 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평균 굴절률이란, nx, ny, nz 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nx, ny, nz 는, 각각의 시트에 있어서의 X 축, Y 축, Z 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X 축 방향이란, 각 시트의 면내에 있어서 최대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의미하고, Y 축 방향이란, 면내에 있어서 상기 X 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방향을 의미하며, Z 축 방향이란, 면에 수직한 축방향을 의미한다.
또 상기 수지 경화물 및 유리 섬유의 평균 굴절률로서는, 각각 0.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경화물의 평균 굴절률을 0.01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에 배합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경화제 등) 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는, 25℃ 부터 160℃ 에 있어서의 선팽창 계수가, 3.00×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 이하이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액 정셀 기판으로서 사용하고, 그 표면에 컬러 필터나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열팽창이 원인이 되는 위치 어긋남 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컬러 필터 등의 형성이 보다 더 용이해진다. 또 상기 선팽창 계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1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0-5/℃ 이하이다.
또한, 선팽창 계수는, 피측정물에 대하여, JIS K-7197 로 규정되는 TMA 법에 의해 TMA 측정치를 얻고, 이것을 하기식에 대입함으로써 산출된다. 하기식에 있어서, ΔIs(T1) 및 ΔIs(T2) 는, 측정시의 온도 T1(℃) 및 T2(℃)에 있어서의 TMA 측정치 (㎛) 를 각각 나타내고, L0 은, 실온 23℃ 에 있어서의 피측정물의 길이(mm) 를 나타낸다.
열팽창 계수=[1/(L0×103)]·[Δ(Is(T2)-ΔIs(T1))/(T2-T1)]
상기 수지 시트는, 헤이즈치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헤이즈치는, JISK 7136 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판하고 있는 헤이즈 미터 (예를 들어, 상품명「HM-150」,무라카미 색채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상기 수지 시트는, 광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광투과율이 85% 이상이면, 예를 들어, 액정셀 기판이나 유기 EL 장치 기판 등으로서 사용하고, 각종 화상 표시 장치를 조립한 경우에, 문자나 화상이 보다 더 선명해져 표시 품위가 보다 우 수한 것이 된다. 상기 광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550nm 의 전 체 광선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경화층 및 수지 시트는, 그 면내 위상차가 바람직하게는 5 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n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nm 이다.
면내 위상차가 2nm 이하이면, 액정셀 기판이나 유기 EL 장치 기판 등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화상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 특히 사시 방향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가 보다 더 향상되어, 우수한 표시 품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상기 수지 경화층 및 수지 시트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바람직하게는 40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nm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nm 이다. 두께 방향 위상차가 40nm 이하이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하였을 때에, 사시 방향으로부터의 광누설이 보다 충분히 억제되고, 사시 방향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가 보다 더 향상되어, 보다 우수한 표시 품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를 40nm 이하, 특히 20nm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 수지로서는, 상기식 (4) 또는 (5) 으로 표시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면내 위상차 (Δnd)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각각 하기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하기식에 있어서, nx, ny, nz 는, 각각 수지 경화층에 있어서의 X축, Y축, Z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d 는 수지 경화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 X 축 방향이란, 상기 수지 경화층의 면내에 있어서 최대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의미하고, Y 축 방향이란, 상기 면내에 있어서 상기 X 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방향을 의미하며, Z 축 방향이란, 면에 수직한 축방향을 의미한다. 또 각 굴절률은, 아베 굴절계에 의해, 25℃, 589nm 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이다.
Δnd = (nx-ny)·d
Rth = [{(nx+ny)/2}-nz]·d
상기 수지 시트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편광판이 적층되지 않은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액정셀 기판으로서 사용할 때에, 그 표면상으로의 배향막이나 투명 전극 등의 형성이 보다 더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면의 표면 조도 (Rt) 가, 예를 들어,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표면 조도」란,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 (예를 들어, 상품명 P-11; 텐콜사 제조) 에 의해, 장파장 컷오프 800㎛, 단파장 컷오프 250㎛, 평가 길이 10mm 의 조건에서 측정한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나타낸다.
상기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수지 경화층은, 그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80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20㎛ 이상이면, 충분한 강도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두께가 800㎛ 이하이면, 예를 들어, 박형화나 경량화를 충분히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300㎛ 이다.
상기 수지 시트는,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에 더하여, 추가로, 상기 수지 경화층보다 딱딱한 하드 코트층이나, 상기 경화층보다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가스 배리어층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 코트층 (7) 과 가스 배리어층 (8) 의 쌍방을 포함하며, 하드 코트층 (7) 이 최외층으로서 적층된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7) 이 최외층으로서 적층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시트의 내찰상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수분이나 산소가 액정셀 기판을 투과하여 액정셀 내에 침입하면, 액정의 변질이나 기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표시 품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가스 배리어층이 적층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수분이나 산소 등의 가스 투과가 방지된다. 또한, 하드 코트층이나 가스 배리어층은, 각각 어떠한 일방의 면에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하드 코트층은, 적어도 편광판이 적층되지 않은 측의 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과 가스 배리어층의 양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그 적층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지 경화층에 대하여, 가스 배리어층, 하드 코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드 코트층은, 내충격성이나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외층으로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수지에, 예를 들어,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술폰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비닐피로리돈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우레탄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제조시 박리의 용이함 및 박리시에 있어서의 깨짐 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0.5~5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8㎛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의 범위이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가스 배리어층과 무기 가스 배리어층을 들 수 있다. 유기 가스 배리어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및 그 부분 비누화물,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나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산소 투과가 작은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고가스 배리어성의 점에서 비닐알코올계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투명성, 착색 방지, 가스 배리어성 등의 기능성, 박형화, 얻어지는 수지 시트의 유연성 등의 점에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의 범위이다. 상기 두께가 10㎛ 이하이면, 수지 시트에 있어서, 보다 더욱 낮은 황색도 지수 (YI 치) 를 유지할 수 있고, 2㎛ 이상이면, 충분한 가스 배리어 기능이 유지된다.
한편, 무기 가스 배리어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규소 산화물, 마 그네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가스 배리어성이나 기재층으로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 등으로부터, 규소 산화물이나 규소 질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소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규소 원자수에 대한 산소 원자수의 비율이, 1.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면, 예를 들어, 상기 무기 가스 배리어층의 가스 배리어성, 투명성, 표면 평탄성, 굴곡성, 막응력, 비용 등의 점에 있어서 보다 더욱 우수하다. 또한, 상기 규소 산화물에 있어서는, 규소 원자수에 대한 산소 원자수의 비율의 최대치가 2.0 가 된다.
상기 규소 질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규소 원자수 (Si) 에 대한 질소 원자수 (N) 의 비율 (Si:N) 이 1:1~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200nm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5nm 이상이면, 예를 들어, 보다 더욱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이 얻어지고, 상기 두께가 200nm 이하이면, 투명성, 굴곡성, 막응력, 비용의 관점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시트가 적층체인 경우, 그 두께는 각 층의 적층수에 따라 상이하지만, 수지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80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0㎛ 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300㎛ 의 범위이다. 또한, 수지 시트가 적층체인 경우, 그 수지 시트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이 1 층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 층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 크로스란, 유리 섬유를 꼬아 합친 실을 경사 및 위사로서 사용하여 짠 섬유를 의미한다.
상기 유리 크로스는, 경사와 위사가, 통상, 상면에서 봤을 때 직교하도록 짜여져 있다.
상기 경사 및 위사로서는,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등이고 또한 단면 최장 직경 3~10㎛ 정도의 유리 장섬유 (필라멘트) 를 100~800 개 정도 꼬아 합친 섬유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유리 크로스의 두께는, 통상,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10~500㎛, 바람직하게는 15~350㎛ 이다.
짜는 방법으로서는,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재질로서는, 소다 유리, 붕소 규산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이 사용되지만, 알칼리 성분이 TFT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무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유리 크로스에 수지를 함침시킨 후,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형성하는 종래 공지된 프리프레그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평판금형에 액상의 수지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유리 크로스를 배치하고, 그 유리 크로스에 수지를 함침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어, 가열 처리나 UV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를 경화시켜,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액상의 수지 중에 유리 크로스를 침지하고 (침지 공정), 그 상태에서 유리 크로스의 그물코에 수지를 함유시킨 후, 상기 유리 크로스를 평판 금형 등에 배치하고, 가열 또는 UV 조사함으로써 유리 크로스를 함유하는 수지 경화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평판 금형 대신에 엔드레스 벨트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침지 공정은, 상압에서 실시해도 되지만, 감압 하에서 실시하면 유리 크로스의 그물코에 수지를 함유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감압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등을 한 수지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가열 처리, 광조사 처리 등의 경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200℃ 에서 10 분~5 시간이 바람직하다.
수지 경화물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를,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에폭시 수지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사용해도 된다.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자일렌, 아세트산에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에폭시 수지나 용매에 용해한 에폭시 수지액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다른 수지나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상기 수지 시트가,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경우는, 예를 들어, 평판 금형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나서, 그 하드 코트층 상에 유리 크로스를 배치 하고, 상기 기술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경화층을 형성하면 된다. 또 스테인리스제 등의 엔드리스 벨트나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나서, 그 하드 코트층과 유리 크로스의 매설된 수지 경화층을 부착해도 좋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형성 재료를 용매에 혼합하여 도공액을 조제하고, 기판 상에 도포하여, 이것을 풍건, 가열 경화, 또는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도공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딥 코트법, 익스트루전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의 경우는,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하드 코트층 상에,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기술과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을 추가로 형성하면 된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를 함침하고 연신하여 편광자에 보호 필름을 부착한 것이나, 이것에 보상판, 점착제, 반사 방지막, 확산 필름 등이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시트와 편광판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이나 금속테 등의 치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시트와 편광판은, 적층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면, 반드시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사이에 다른 층 (예를 들어, 공기층) 등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구비한 액정셀 등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수지 시트와 편광판의 적층은, 열이나 용제에 의해서 편광판이 데미지를 받는 공정을 거친 후이면, 어떠한 타이밍에서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EL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의 기판과 편광판의 적층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시인측 및 비시인측의 쌍방에 있어서, 액정을 유지하는 액용셀 기판과 편광판의 적층체를 구비하고, 또한, 비시인측에 반사판 또는 백라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시인측 또는 비시인측의 액정셀 기판과 편광판의 적층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측의 액정셀 기판 및 편광판의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으로서는, 편광판 상에, 광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층 또는 보호판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수지 경화층과 편광판 사이에, 보상용 위상차판 등의 광학 부품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EL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 (EL 디스플레이용 기판) 의 이면측에, 투명 전극과, 발광체 (유기 전계발광 발광체)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이 차례로 적층되고, 또한, 투명 기판과 투명 전극 사이에, 투명 기 판측으로부터 차례로 편광판과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이러한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 및 편광판의 적층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수지로서, 상기 화학식 (2) 으로 나타나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27 부 (중량부, 이하 동일) 및 상기 화학식 (1) 으로 나타나는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상품명「AER250」(에폭시 당량 190), 아사히카세이사 제조) 73부, 경화제로서, 하기 화학식 (6) 으로 나타나는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108 부, 경화 촉진제로서, 하기 화학식 (7) 으로 나타나는 테트라-n-부틸포스포늄o,o-디에틸포스포디티오에이트 3.75 부를 교반 혼합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굴절률 1.53 의 유리를 사용한 유리 크로스 (상품명「WLT116F」,닛토보사 제조) 에,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키고, 감압 하 (200Pa), 10 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화학식 (8) 으로 나타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7 부, 광개시제 (상품명「이르가큐어184」, 치바·스페셜티·케미칼즈 제) 5 부를 톨루엔 100부에 용해시킨 도공액을 유리판 상에 와이어바 코트법으로 도포하고, 풍건한 후, UV 경화 장치를 사용하여 경화시켰다. 경화 조건은,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200mJ/㎠,1 분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막 두께 2㎛ 의 하드 코트층을 형 성하였다. 계속해서, 그 위에, 상기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킨 유리 크로스를 부착하고, 이것을 120℃ 에서 1 시간, 150℃ 에서 30 분, 180℃ 에서 30 분으로 순차 가열하고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지 경화층을 형성한 후,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하여 두께 100㎛ 의 수지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시트의 수지 경화층 굴절률은, 1.53 이었다.
이 수지 시트를, 유리 크로스의 위사가 장변에 대하여 45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였다. 이 절단한 수지 시트에, 장변과 흡수축의 각도가 45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을, 장변끼리 맞추어 부착하고,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0 도로 된 실시예 1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6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7
Figure 112006030960008-PCT00008
실시예 2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으로서, 장변과 흡수축의 각도가 48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3 도로 된 실시예 2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으로서, 장변와 흡수축의 각도가 50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5 도로 된 실시예 3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으로서, 장변와 흡수축의 각도가 53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와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8 도로 된 비교예 1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으로서, 장변와 흡수축의 각도가 55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10 도로 된 비교예 2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으로서, 장변와 흡수축의 각도가 0 도가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와 동일하게 하여 유리 크로스의 위사와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45 도로 된 비교예 3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 의 방법으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유리판에,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두께 100㎛ 으로 도포하고, 유리 크로스를 함유하지 않은 수지 시트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층 필름의 편광판 비적층면에, 그 편광판의 흡수축방향과 90 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다른 편광판을 부착한 것을 각각 시험편으로 하고, 광선 투과율 (직교 통과율) 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고, 또한, 광누설의 유무를 육안으로 ○, × 로 평가하였다.
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층 필름의 선팽창 계수를, TMA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위사와 흡수축이 이루는 각 투과율 (직교 통과율) 광누설 선팽창 계수
실시예 1 0 도 0.02 12×10-6/℃
실시예 2 3 도 0.03 12×10-6/℃
실시예 3 5 도 0.04 12×10-6/℃
비교예 1 8 도 0.05 × 12×10-6/℃
비교예 2 10 도 0.06 × 12×10-6/℃
비교예 3 45 도 0.30 × 12×10-6/℃
비교예 4 - 0.02 75×10-6/℃
표 1 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듯이, 실시예 1~3 의 적층 필름을 사용한 시험편은, 직교 투과율이 0.04 이하로 육안으로 광누설을 인식할 수 없는 레벨이고, 유리 크로스를 사용한 장점, 즉 낮은 열팽창률을 달성하면서, 광누설도 저감되어 있는 것이 인정된다. 한편, 비교예 3 의 적층 필름을 사용한 시험편은, 비교예 2 에 대하여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고, 광누설도 과대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3 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한 경우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이 예측된다.
또 비교예 4 의 적층 필름은, 선팽창 계수가 크고, 치수 안정성이 결여되는것이 인정된다. 비교예 1 와 실시예 3 의 적층 필름은, 직교 투과율이 0.01 상이할 뿐이지만, 육안에 있어서의 광누설의 점에서 완전 상이하고, 실시예 3 의 것은 육안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전혀 확인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 의 것은 육안으로 충분히 광누설이 인정되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의 적층 필름은, 직교 투과율이 0.06 으로, 비교예 1 의 것보다 보다 강한 광누설이 육안으로 인정되었다.

Claims (6)

  1. 유리 크로스를 포함하는 수지 경화층을 구비한 수지 시트 및 편광판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유리 크로스의 위사 또는 경사와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5 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크로스가 상기 수지 경화층을 구성하는 수지 경화물에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가, 상기 수지 경화층보다 딱딱한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시트가, 상기 수지 경화층보다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67008513A 2003-11-06 2004-11-05 적층 필름 KR20060115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7151A JP2005140980A (ja) 2003-11-06 2003-11-06 積層フィルム
JPJP-P-2003-00377151 2003-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735A true KR20060115735A (ko) 2006-11-09

Family

ID=3456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13A KR20060115735A (ko) 2003-11-06 2004-11-05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17485A1 (ko)
JP (1) JP2005140980A (ko)
KR (1) KR20060115735A (ko)
CN (1) CN100368834C (ko)
WO (1) WO20050454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34B1 (ko) * 2009-04-28 2011-07-26 제일모직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1878A1 (en) * 2006-04-24 2009-04-09 Nitto Denko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Reinforcing Sheet,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inforcing the Same
US7977170B2 (en) * 2006-10-03 2011-07-12 Eastman Kodak Company Flexible substrate with electronic devices and traces
US20080252827A1 (en) * 2007-04-11 2008-10-16 Nitto Denko Corporation Laminated optical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4945363B2 (ja) * 2007-07-30 2012-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ックエンドで接続されるストレージシステム
CN101809489B (zh) * 2007-09-26 2013-03-27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和显示装置
KR20090114171A (ko) * 2008-04-29 2009-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603445S1 (en) 2009-03-13 2009-11-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24952S1 (en) 2008-10-20 2010-10-05 X6D Ltd. 3D glasses
USRE45394E1 (en) 2008-10-20 2015-03-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6663S1 (en) 2008-10-20 2012-09-04 X6D Limited 3D glasses
CA2684513A1 (en) 2008-11-17 2010-05-17 X6D Limited Improved performance 3d glasses
US8542326B2 (en) 2008-11-17 2013-09-24 X6D Limited 3D shutter glasses for use with LCD displays
EP2406667A1 (en) * 2009-03-09 2012-01-1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Transparent film
USD646451S1 (en) 2009-03-30 2011-10-04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D672804S1 (en) 2009-05-13 2012-12-18 X6D Limited 3D glasses
USD650956S1 (en) 2009-05-13 2011-12-20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JP5595867B2 (ja) * 2009-10-27 2014-09-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透明フィルム
USD692941S1 (en) 2009-11-16 2013-11-05 X6D Limited 3D glasses
USD671590S1 (en) 2010-09-10 2012-11-27 X6D Limited 3D glasses
USD669522S1 (en) 2010-08-27 2012-10-2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2965S1 (en) 2010-02-04 2012-07-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4183S1 (en) 2010-08-27 2012-07-24 X6D Limited 3D glasses
WO2014017242A1 (ja) * 2012-07-27 2014-01-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D711959S1 (en) 2012-08-10 2014-08-26 X6D Limited Glasses for amblyopia treatment
KR101475735B1 (ko) * 2013-01-31 2014-12-23 주식회사 두산 투명 폴리아믹산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투명폴리이미드 필름, 프리프레그
JP6366089B2 (ja) * 2014-03-28 2018-08-01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用透光性基板、有機elパネル用透光性基板の屈折率異方性の制御方法、有機elパネル用透光性基板の製造方法、有機elパネル、有機el装置
TWI564627B (zh) * 2015-01-20 2017-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漏光改善設計之顯示模組
JP6917783B2 (ja) * 2017-06-01 2021-08-11 日本化薬株式会社 透明積層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761A (ja) * 1999-11-04 2001-05-18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有機led素子
JP2003050384A (ja) * 2001-08-07 2003-02-21 Sumitomo Bakelite Co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用プラスチック基板
JP2004191734A (ja) * 2002-12-12 2004-07-08 Sharp Corp プラスチック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4181060B2 (ja) * 2003-02-25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34B1 (ko) * 2009-04-28 2011-07-26 제일모직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1533A (zh) 2006-11-29
CN100368834C (zh) 2008-02-13
WO2005045486A1 (ja) 2005-05-19
JP2005140980A (ja) 2005-06-02
US20070117485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5735A (ko) 적층 필름
US20070042168A1 (en) Resin sheet,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bstrate for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a substrate for a solar cell
JP4546178B2 (ja) 光学用樹脂シート及び該光学用樹脂シートを含む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用基板、画像表示装置
US7259803B2 (en) Resin sheet,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US20070128376A1 (en) Resin sheet, liquid crystal cell substrate, liquid crytal display device, substrate for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for a solar cell
JP4646294B2 (ja) ガラス板割れ防止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
TWI403531B (zh) 透明薄膜
KR101669320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67324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80050A (ko) 투명 기판
US20040100599A1 (en)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of liquid crysta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panel
KR20110024443A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2283119B1 (ko)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248024B1 (ko) 편광자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7528062B2 (ja) 偏光子保護用積層体を用いた偏光板
JP2006233129A (ja) 樹脂シート、液晶セル基板、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用基板、太陽電池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太陽電池
WO2023074041A1 (ja) 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KR20230128741A (ko) 다층시트 및 다층전자장치
KR10151850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220082580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5388554A (zh) 偏光板和包括所述偏光板的液晶显示器
WO2007004486A1 (ja) Led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