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5252A -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 Google Patents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252A
KR20050005252A KR1020030044269A KR20030044269A KR20050005252A KR 20050005252 A KR20050005252 A KR 20050005252A KR 1020030044269 A KR1020030044269 A KR 1020030044269A KR 20030044269 A KR20030044269 A KR 20030044269A KR 20050005252 A KR20050005252 A KR 2005000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extract
rice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철
Original Assignee
황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철 filed Critical 황용철
Priority to KR102003004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252A/ko
Publication of KR2005000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미 개선 및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물 100중량부와 고형원료 10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10시간 이상 끓인 후 12 ~ 16시간 동안 후숙시키고,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상기 고형원료는 건조 인진쑥 85 ~ 94 중량%, 건조 불미나리 3 ~ 9 중량%, 메밀 2 ~ 5 중량%, 도토리 0.5 중량% 이하, 및 마늘 0.5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취반개선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밥{ Functional composition for improvement in rice-cooking,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 rice cooked using it}
본 발명은 취반개선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밥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쑥은 생명력이 뛰어난 식물로 나물, 반찬, 떡, 각종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여왔다. 약용으로 쓰이는 쑥 중에서 현재까지 그 효능과 효과가 가장 뛰어난 쑥은 한방에서 인진호(茵蔯蒿)로 불리는 인진쑥이다. 인진쑥은 해발 300m 이상의 고지에서만 자생하며, 나무처럼 곧게 1.8m 까지 자라는 국화과의 식물로 다양한 기능의 약리작용을 갖고 있다.
동의보감을 비롯한 각종 한방문헌에 의하면, 인진쑥은 몸을 따뜻하게 하며 경락을 잘 통하게 하여 100여 가지의 효능이 있다고 되어 있으며, 황달, 각종 간질환, 생리계통의 질환, 각종 부인병, 냉을 다스리는데 없어서는 안될 약제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진쑥은 상기 약리작용의 효과를 얻기 위해 여러 가지 한약제를 혼합하여 혼합음료, 추출차, 건강식품 등 주로 음용하는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인진쑥의 약리학적 효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인진쑥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지은 밥은 식미가 개선될 뿐 아니라, 인진쑥이 갖는 약리학적 효과인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치료 및 부인병 치료의 기능성까지 갖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미 개선 및 해독/정화작용, 식용증진, 혈행촉진, 및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물 100중량부와 고형원료 10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10시간 이상 끓인 후 12 ~ 16시간 동안 후숙시키고,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상기 고형원료는 건조 인진쑥 85 ~ 94 중량%, 건조 불미나리 3 ~ 9중량%, 메밀 2 ~ 5 중량%, 도토리 0.5 중량% 이하 및 마늘 0.5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인진쑥 추출물, 불미나리 추출물, 메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고, 식미를 개선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식미가 개선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식미 개선 및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및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물 100중량부와 고형원료 10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10시간 이상 끓인 후 12 ~ 16시간 동안 후숙시키고,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상기 고형원료는 건조 인진쑥 85 ~ 94중량%, 건조 불미나리 3 ~ 9중량%, 메밀 2 ~ 5중량%, 도토리 0.5중량% 이하, 및 마늘 0.5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메밀 및 도토리는 고형원료로서 첨가되는 대신에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취반시 본 발명의 취반개선제 조성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인진쑥은 수확 후 3년이상 건조하여 숙성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보온, 혈행촉진, 및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불미나리는 수확후 3 ~ 5일간의 자연건조를 거쳐 1년이상 숙성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해독, 정화, 이뇨 및 혈압강하 작용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메밀은 당해 년도 수확후 2 ~ 3일간 자연건조 후 도정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해독 및 정화 작용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토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10일동안 자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해독 및 정화 작용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마늘은 껍질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살균, 살충 및 항암작용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기로는 강철재로 만들어진 당화솥, 가마솥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된 "후숙"은 끓인 다음 곧바로 걸러내는 것이 아니라 식을때 까지 그대로 두면서 원료의 성분들이 우러나오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필터는 여과입도가 5 ~ 25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고, 와운드 카드리지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한 후 액체 포장기의 여과기로 추가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인진쑥 추출물, 불미나리 추출물, 메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고, 식미를 개선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은 3 ~ 5인분의 밥을 취반할 때 기준으로 50 ~ 100ml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메밀과 도토리의 혼합물은 3 ~ 5인분의 밥을 취반할 때 기준으로 1 ~ 3g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조성물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인진쑥향이 너무 강해 어린이들이 먹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식미가 개선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있어서, 인진쑥 자체를 음용했을 때 못지않는 약리학적인 효과를 갖게 하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능성 외에도, 쌀에 존재하는 잔류농약 및 중금속을 분해하는 작용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인진쑥 (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3년 건조숙성) 9kg, 불미나리 (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1년 건조숙성) 0.5kg, 메밀(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자연건조후 도정) 0.4kg, 도토리(채취후 껍질제거, 10일간 자연건조후 분말) 0.05kg, 및 깐 마늘(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0.05kg을 정제수 100㎏이 담긴 가마솥에 첨가한 후, 가열하여 10시간을 끓인 후, 14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여 후숙시켰다. 후숙된 용액을 와운드 카트리지필터(10마이크론)로 여과하여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액체 포장기의 여과기로 한번 더 여과한 후, 80ml의 용량으로 진공 포장하였다.
제조예 2
인진쑥 (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3년 건조숙성) 9kg, 불미나리 (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1년 건조숙성) 0.5kg 및 깐 마늘(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0.05 kg을 정제수 100㎏이 담긴 가마솥에 첨가한 후, 가열하여 10시간을 끓인 후, 14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여 후숙시켰다. 후숙된 용액을 와운드 카트리지필터(10마이크론)로 여과하여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액체 포장기의 여과기로 한번 더 여과한 후, 80ml의 용량으로 진공 포장하였다.
또한, 메밀(영농법인 한우물, 유기재배, 자연건조 후 도정) 0.5kg 및 도토리(채취후 껍질제거, 10일간 자연건조 후 분말화한 것) 0.05kg을 혼합한 후, 2g씩 별도로 포장한다.
취반시에는 진공포장된 상기 조성물(80ml)과 별도 포장된 메밀과 도토리 혼합물(2g)을 함께 첨가하여 사용한다.
실험예: 효과시험
주변의 가정들에게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밥을 짓도록 하고 그 밥을 시식하도록 식미를 시험하였다.
시험방법
대상: 주변의 가정 100호
취반 방법: 3 ~ 5인용의 밥을 지을 때, 쌀을 깨끗이 씻은 다음, 물량을 조절할 때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취반개선제 조성물 1팩(80 ml)을 첨가하거나, 또는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취반개선제 조성물 1팩(80ml) 및 메밀과 도토리 혼합물 1팩(2g)을 첨가하고, 나머지 요구량의 물을 넣고 잘 섞은 후, 통상의 방법으로 밥을 짓게 하였다. 이 밥을 가정의 남여노소 식구들에게 시식하게 한 후 식미를 표 1에 개시된 항목별로 조사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5점: 매우좋다, 4점: 좋다, 3점: 보통이다, 2점: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표 1
평가항목 취반개선제 첨가된 밥
전체기호도 4.65
4.5
윤기 4.5
차진정도 4.8
향기 4.5
상기 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밥을 지었을때, 밥맛이 좋고, 고소하며, 윤기가 나고, 밥알이 단단하고 차진 정도가 우수하게 식미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지은 밥은, 주성분으로 포함된 인진쑥 추출물의 작용으로 보온,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있어서, 인진쑥 자체를 음용했을 때 못지않는 약리학적인 효과를 갖게 되고, 아울러 쌀에 존재하던 잔류농약 및 중금속은 분해되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취반개선제 조성물은 밥을 지을 때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들까지도 쉽게 먹을 수 있고, 인진쑥을 주식인 밥과 함께 섭취할 수 있으므로 치료를 요하는 환자나 일반인들의 건강유지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취반된 밥은 식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식욕을 잃은 노인에게 효과적이며, 온 가족이 건강식품을 쉽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인진쑥 자체의 은은한 향과 색을 가지며, 밥이 고소하고 윤기가 있어 먹기에도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의 취반개선제 조성물은 취반시 쌀에 있는 오염요소, 즉, 잔류농약이나 중금속 등이 분해되어 밥에는 존재하지 않게 하는 작용도 한다.

Claims (5)

  1. 식미 개선 및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및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물 100중량부와 고형원료 10중량부를 용기에 넣고 10시간 이상 끓인 후 12 ~ 16시간 동안 후숙시키고,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상기 고형원료는 건조 인진쑥 85 ~ 94중량%, 건조 불미나리 3 ~ 9중량%, 메밀 2 ~ 5중량%, 도토리 0.5중량% 이하, 및 깐 마늘 0.5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인진쑥 추출물, 불미나리 추출물, 메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고, 식미를 개선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 및 도토리는 고형원료로서 첨가되지 않고 별도로 포장되어 상기 조성물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인진쑥 추출물, 불미나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는 액상의 취반개선제 조성물 및 별도로 포장된 메밀과 도토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식미를 개선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따라 제조된 취반개선제 조성물,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취반개선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식미가 개선되고 해독/정화작용, 식욕증진, 혈행촉진, 간질환 및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밥.
KR1020030044269A 2003-07-01 2003-07-01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KR20050005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69A KR20050005252A (ko) 2003-07-01 2003-07-01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69A KR20050005252A (ko) 2003-07-01 2003-07-01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252A true KR20050005252A (ko) 2005-01-13

Family

ID=3721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69A KR20050005252A (ko) 2003-07-01 2003-07-01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2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65B1 (ko) * 2015-01-28 2015-07-30 안선임 사자발약쑥이 함유된 건강쑥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65B1 (ko) * 2015-01-28 2015-07-30 안선임 사자발약쑥이 함유된 건강쑥밥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8468B2 (ja) アッケシソウを用いた鶏胸肉燻製焼きの製造方法
KR20020069592A (ko) 비만 방지와 향기를 갖는 식육 가공품 제조방법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0959559B1 (ko) 추어 분말이 함유된 추어 카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5148B1 (ko) 바지락 해장국
KR101685458B1 (ko) 천연한방재료를 이용한 건강식 약초된장 제조방법
JP4776149B2 (ja) 糖質吸収抑制剤および食品
KR101844143B1 (ko) 뽕잎, 참옻액 숙성 오리백숙 및 닭백숙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한 오리백숙 및 닭백숙
KR101914440B1 (ko) 추어짬뽕의 제조방법
KR102096179B1 (ko) 산삼 소스, 산삼 소스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갈비탕, 삼계탕 및 백숙
KR10073865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양념소스 조성물 및제조방법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392552B1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221080B1 (ko)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5252A (ko) 기능성 취반개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하여 제조된 밥
KR101144336B1 (ko) 쌀국수용 육수의 제조방법
KR100814736B1 (ko) 한방 조미료
KR20080036266A (ko) 버섯과 포도즙을 주성분으로 한 소스로 육류를 숙성하는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숙성된 육류
CN104351300A (zh) 养颜排毒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805974B1 (ko) 오디가 첨가된 소시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1007B1 (ko) 와송을 이용한 죽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와송 죽
KR102456194B1 (ko) 한방 누룽지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CN111787804A (zh) 鸡肉汉堡包制作方法
KR101344154B1 (ko) 홍삼 및 메주콩을 이용한 매실환 제조방법
KR102075663B1 (ko) 죽순 영계탕 또는 반계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