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73Y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873Y1 KR200487873Y1 KR2020140006041U KR20140006041U KR200487873Y1 KR 200487873 Y1 KR200487873 Y1 KR 200487873Y1 KR 2020140006041 U KR2020140006041 U KR 2020140006041U KR 20140006041 U KR20140006041 U KR 20140006041U KR 200487873 Y1 KR200487873 Y1 KR 2004878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tool
- main body
- hook
- componen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부품플레이트(20)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면서도 분리가 쉽게 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결합후크(16)가 다수 곳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후크(16)의 폭방향 양측에는 안착결합턱(17)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걸이면(27)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의 사이에 해당되는 결합후크(16)의 표면에는 안내돌부(1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부(18)에 인접한 위치에는 공구지지리브(19)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에는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안착되는 걸이면(27)의 사이에 공구걸이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에는 걸이공간(32)이 있어 공구(40)의 끝부분이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16)를 탄성변형시켜 걸이면(27)에서 안착결합턱(17)이 분리되면서 상기 부품플레이트(20)를 들어올려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가게 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 하부에 형성된 임시공간(38)에 위치하면 부품플레이트(20)와 메인몸체(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결합후크(16)에 대한 작업을 차례로 진행하면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각종 부품이 집적되어 사용되는 블럭, 예를 들면, 정션블럭이나 퓨즈블럭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블럭은 여러 종류의 부품을 집적하여 사용하므로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차의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 1에는 자동차용 블럭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자동차용 블럭(1)의 골격을 메인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3)에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있는데,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7)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3)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결합후크(5)가 있다. 상기 결합후크(5)는 상기 측벽의 일부를 잘라 형성한 것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다.
상기 메인몸체(3)의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에는 부품플레이트(7)가 장착되는데, 상기 부품플레이트(7)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9)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9)에는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메인몸체(3)나 부품플레이트(7)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7)에는 상기 결합후크(5)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5)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턱이 걸어진다.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상기 부품플레이트(7)와 메인몸체(3) 사이의 결합은 견고하게 되어야 한다. 하지만, 결합이 견고하다는 것은 조립이나 분해작업이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메인몸체(3)에서 부품플레이트(7)를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 이는 메인몸체(3)와 부품플레이트(7)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결합후크(5)는 다수 곳에 있고, 상기 결합후크(5)가 결합홈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몸체(3)와 부품플레이트(7)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하면서도 분리시에는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중 하나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부품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플레이트에 걸어지는 안착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대응되는 부품플레이트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걸어지는 걸이면과, 상기 걸이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부에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공구걸이부와, 상기 걸이면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상기 걸이면에서 분리된 후에 임시로 위치되는 임시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후크의 표면중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측벽과 마주보는 표면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안착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결합턱의 사이에 안내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돌부에 인접하여 공구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공구지지리브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은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아도록 형성된 결합홈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의 전면부는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측벽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의 하부로는 안내리브가 형상되어 상기 결합후크에 형성된 안내돌부와 공구지지리브를 안내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부품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한 구성에서 분리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관통부가 형성되어 공구를 메인몸체의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후크를 부품플레이트에서 해제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공간에 메인몸체의 안착결합턱을 임시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부품플레이트를 메인몸체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자동차용 박스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를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플레이트를 메인몸체에 분리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를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플레이트를 메인몸체에 분리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외측면을 몸체측벽(12)이 형성한다. 상기 몸체측벽(12)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3)은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부로 개방되는 것과 하부로 개방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몸체측벽(12)에는 다수 곳에 탄성슬릿(14)에 의해 결합후크(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슬릿(14)이 상기 몸체측벽(12)의 상단까지 한쌍 씩 형성됨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16)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후크(16)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에 걸어져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안착되어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결합후크(16)중에서 상기 내부공간(13)의 내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결합턱(1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은 본 실시례에서는 한쌍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후크(16)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의 결합홈부(26) 바닥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의 사이에는 안내돌부(1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리브(34)를 안내하여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정확하게 삽입되게 한다. 상기 안내돌부(18)는 상기 결합후크(16)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공구(40)의 지지점 역할도 한다.
상기 결합후크(16)에는 상기 안내돌부(18)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공구지지리브(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안내돌부(18)와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메인몸체(10)에서 부품플레이트(20)를 분리하기 위한 공구(40)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정도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안내돌부(18)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리브(34)에 안내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안착되는 부품플레이트(20)는 대략 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판으로 되는데, 이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의 평면형상과 같은 형상이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외측면을 플레이트측벽(22)이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의 내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4)에는 예를 들면, 릴레이나 퓨즈 등의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4)가 형성된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결합후크(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26)는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결합홈부(26)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홈부(26)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해당되는 가장자리는 걸이면(27)이 된다. 상기 걸이면(27)에는 상기 결합후크(16)의 안착결합턱(17)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만약, 상기 결합홈부(26)가 없다면 상기 안착결합턱(17)은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이 된다.
상기 결합홈부(26)에는 공구걸이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는 상기 결합홈부(26)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의 전면부(30)는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플레이트측벽(22)보다는 오목하게 들어간다. 이와 같이 공구걸이부(28)의 전면부(30)가 플레이트측벽(22)보다 오목하게 들어감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0)의 결합후크(16)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구관통부(29)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구관통부(29)는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기 위한 공구(4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걸이부(28)의 내부에는 걸이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간(32)은 공구(40)의 끝부분이 걸어지면서 메인몸체(10)에 대해 부품플레이트(20)가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걸이부(28)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안내리브(34)가 한쌍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34)는 상기 메인몸체(10)의 공구지지리브(19)와 안내돌부(18)에 안내되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부품플레이트(20)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리브(34)의 선단에는 양측의 안내리브(34)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선단경사(36)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경사(36)는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에 대해 약간 이동된 위치에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홈부(26)의 걸이면(27) 하방향에는 임시공간(38)이 형성된다. 상기 임시공간(38)은 상기 안착결합턱(17)이 부품플레이트(20)에서 분리되어 임시로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공간(38)은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임시공간(38)은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의 표면과 부품플레이트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조립되고 분리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한번에 장착되지 않고, 상기 메인몸체(1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부품플레이트(20)의 내부에 터미널을 삽입하고,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되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완전히 삽입된다. 물론,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에 장착되는 과정이 반드시 그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몸체(10)에 부품플레이트(20)를 장착할 때, 상기 부품플레이트(20)를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 상방에서부터 내부공간(13)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안내리브(34)가 상기 안내돌부(18)의 양단을 안내하여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메인몸체(10)에 부품플레이트(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후크(16)의 안착결합턱(17)은 상기 임시공간(28)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임시공간(28)의 상단에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상기 안내경사면(17')이 안내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7')이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안내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서 소정 거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홈부(26)를 만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상기 걸이면(27)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서 상기 메인몸체(10)에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장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장착된 부품플레이트(20)를 상기 내부공간(13)에서 분리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결합후크(16)가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걸이면(27)에 안착되어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공구(40)를 사용한다. 상기 공구(40)는 상기 관통부(29)를 통해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된다. 상기 관통부(29)를 통해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된 공구(40)의 끝부분은 상기 결합후크(16)의 공구지지리브(19)에 걸어질 때까지 삽입된다. 도 6의 (a)에는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공구지지리브(19)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공구(40)를 상기 공구지지리브(19)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상기 공구걸이부(28)의 걸이공간(32)에 들어가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b)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공구(40)를 상기 안내돌부(18)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공구걸이부(28)에 걸어져서 힘을 가해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가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공구(40)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서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부품플레이트(20)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임시공간(38)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임시공간(38)에 있게 되면, 부품플레이트(20)를 내부공간(13)으로 밀어넣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다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 안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수 곳에 있는 상기 결합후크(16)에서 대해서 위와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모든 결합후크(16)가 부품플레이트(20)에서 분리되면서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메인몸체(10)에서 부품플레이트(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결합후크(16)에 형성되는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가 없더라도 작업자가 공구(40)를 사용하여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가 있으면 작업이 보다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메인몸체 12: 몸체측벽
13: 내부공간 14: 탄성슬릿
16: 결합후크 17: 안착결합턱
18: 안내돌부 19: 공구지지리브
20: 부품플레이트 22: 플레이트측벽
24: 부품장착부 26: 결합홈부
27: 걸이면 28: 공구걸이부
30: 전면부 32: 걸이공간
34: 안내리브 36: 선단경사
38: 임시공간 40: 공구
13: 내부공간 14: 탄성슬릿
16: 결합후크 17: 안착결합턱
18: 안내돌부 19: 공구지지리브
20: 부품플레이트 22: 플레이트측벽
24: 부품장착부 26: 결합홈부
27: 걸이면 28: 공구걸이부
30: 전면부 32: 걸이공간
34: 안내리브 36: 선단경사
38: 임시공간 40: 공구
Claims (6)
-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부품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플레이트에 걸어지는 안착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대응되는 부품플레이트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걸어지는 걸이면과,
상기 걸이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부에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공구걸이부와,
상기 걸이면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상기 걸이면에서 분리된 후에 임시로 위치되는 임시공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의 표면중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측벽과 마주보는 표면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안착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결합턱의 사이에 안내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부에 인접하여 공구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공구지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면은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아도록 형성된 결합홈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걸이부의 전면부는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측벽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걸이부의 하부로는 안내리브가 형상되어 상기 결합후크에 형성된 안내돌부와 공구지지리브를 안내하는 자동차용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ko) | 2014-08-12 | 2014-08-12 | 자동차용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ko) | 2014-08-12 | 2014-08-12 | 자동차용 블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604U KR20160000604U (ko) | 2016-02-22 |
KR200487873Y1 true KR200487873Y1 (ko) | 2018-11-15 |
Family
ID=5544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ko) | 2014-08-12 | 2014-08-12 | 자동차용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873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0012A (ja) | 1999-12-28 | 2001-07-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気接続箱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1440A (ko) | 2002-11-11 | 2004-05-1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무선 인터넷 배너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KR100689264B1 (ko) | 2006-04-21 | 2007-03-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정션박스의 커버 결합구조 |
KR20090011878U (ko) * | 2008-05-19 | 2009-11-2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커버의 체결장치 |
KR20100122257A (ko) * | 2009-05-12 | 2010-1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의 결합장치 |
-
2014
- 2014-08-12 KR KR2020140006041U patent/KR20048787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0012A (ja) | 1999-12-28 | 2001-07-1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気接続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604U (ko) | 201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8384B2 (ja) | コネクタ | |
JP5614369B2 (ja) | 端子金具 | |
US7497699B2 (en) | Junction box assembly with T-shaped aligning protrusion | |
JP6213837B2 (ja) | 収容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 |
EP2937248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6202293B2 (ja) | 電線収容プロテクタ | |
WO2018070196A1 (ja) | コネクタ | |
KR200487873Y1 (ko) | 자동차용 블럭 | |
KR20140008642A (ko) | 커넥터 조립체 | |
JP6027460B2 (ja) | 高電圧部品のカバー取付構造 | |
JP6456720B2 (ja) | ロック機構付き蓋 | |
KR101512615B1 (ko) | 자동차용 박스 | |
JP5412997B2 (ja) | 電気接続箱 | |
JP2009283274A (ja) | コネクタ | |
JP4798070B2 (ja) | コネクタ | |
JP6120177B2 (ja) | 解除治具 | |
KR102119649B1 (ko) | 차량용 박스 | |
JP4788556B2 (ja) | コネクタ | |
JP2005183340A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KR102090130B1 (ko) | 체결장치 | |
KR101604056B1 (ko) | 커넥터 | |
KR20180037485A (ko) | 자동차용 블럭 | |
JP4432790B2 (ja) | コネクタ | |
JP5376031B2 (ja) | コネクタ | |
KR101596002B1 (ko) | 차량용 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