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760A -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51760A KR20020051760A KR1020000081308A KR20000081308A KR20020051760A KR 20020051760 A KR20020051760 A KR 20020051760A KR 1020000081308 A KR1020000081308 A KR 1020000081308A KR 20000081308 A KR20000081308 A KR 20000081308A KR 20020051760 A KR20020051760 A KR 200200517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rsion beam
- beam axle
- sub
- bush
- buffe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60G21/052—Moun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후 강성의 증가 없이 횡강성만을 증가시키면서도 좌·우 차륜의 독립적인 거동을 유지하여 완충기능을 증대함과 더불어 승차감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빔액슬(10)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트레일링아암(11,11')이 차량 바디에 장착되도록 돌출되어 그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부시(12)를 각각 구비한 바디체결단(11a,11a')과, 이 바디체결단(11a,11a')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서브부시(13)가 각각 구비되도록 서브완충단(11b,11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하게 작용하는 리바운드 스트로크에 대한 완충효과를 갖는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를 연결시켜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등을 적절히 감쇠시켜 차체의 손상과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인 바, 이러한 현가장치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Compound Torsion Beam Axle)타입 현가장치는 돌출된 한 쌍의 트레일링아암(1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양 쪽 차륜(W)을 연결하는 토션빔액슬(10)과, 이 토션빔액슬(10)에 장착된 완충스프링(S) 및 쇽업소버(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션빔액슬(10)의 트레일링아암(11,11')에는 차체로 장착되도록 각각 바디체결단(11a,11a')이 형성되는 한편, 이 바디체결단(11a,11a')의 내부에는 가로방향으로 부시(12)가 각가 구비되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충격을 완충스프링의 탄성력(Ks)과 쇽업소버(A)의 완충력을 매개로 흡수함과 더불어 상기 트레일링아암(11,11')의 바디체결단(11a,11a')에 구비된 부시(12)의 3방향 탄성력(Kx,Ky,Kz)을 매개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Compound Torsion Beam Axle)타입 현가장치는 토션빔액슬(10)의 구조상 차량 바디의 힌지 포인트가 트레일링아암(11,11')의 바디체결단(11a,11a')으로 집중되어 가해지는 외력 특히, 횡력의 작용 시 차륜(W)의 횡방향 특성이 부시(12)의 황방향 탄성력(Ky)만으로 충분히 제어하기가 어려워 횡강성이 상대적으로 타 현가장치에 비해 취약한 단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횡강성의 취약을 보완하기위해 즉, 부시(12)의 횡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횡방향 스토퍼를 적용하기도 하지만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부시(12)의 전후방향 강성인 탄성력(Kx)도 함께 증가되어져 승차감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현가장치는 좌·우 차륜(W)에 동시에 리바운드 외력이 가해지면 좌·우 일체 차축식 현가장치와 같이 작용하여 리바운드에 따른 충격이 크고 좌·우 거동이 독립적이지 못하고 서로 연관되어 작용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후 강성의 증가 없이 횡강성만을 증가시키면서도 좌·우 차륜의 독립적인 거동을 유지하여 완충기능을 증대함과 더불어 승차감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빔액슬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트레일링아암이 차량 바디에 장착되도록 돌출되어 그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부시를 각각 구비한 바디체결단과, 이 바디체결단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서브부시가 각각 구비되도록 서브완충단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완충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서브부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완충작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션빔액슬11,11' : 트레일링 아암
11a,11a' : 바디체결단11b,11b' : 서브완충단
12 : 바디부시13 : 서브부시
13a : 매스13b : 인너부재
13c : 아우터링
A : 쇽업소버S : 완충스프링
W : 차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완충스프링(S) 및 쇽업소버(A)가 장착되면서 양 쪽 차륜(W)을 연결하는 토션빔액슬(10)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트레일링아암(11,11')이 차량 바디에 장착되도록 돌출되어 그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부시(12)를 각각 구비한 바디체결단(11a,11a')과, 이 바디체결단(11a,11a')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서브부시(13)가 각각 구비되도록 서브완충단(11b,11b')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완충단(11b,11b')에 구비된 서브부시(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춘 매스(13a)와, 이 매스(13a)에 삽입된 인너부재(13b) 및 상기 매스(13a)를 감싸는 아우터링(13c)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충격을 완충스프링의 탄성력(Ks)과쇽업소버(A)의 완충력을 매개로 흡수함과 더불어 상기 트레일링아암(11,11')의 바디체결단(11a,11a')에 구비된 부시(12)의 3방향 탄성력(Kx,Ky,Kz)과 서브완충단(11b,11b')에 구비된 서브부시(13)의 3방향 탄성력(Kx',Ky',Kz')을 매개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체결단(11a,11a')에 2개의 횡방향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바디체결단(11a,11a')의 횡방향 탄성력(Ky)을 작은 강성을 갖도록 완화시키면서 서브완충단(11b,11b')의 횡방향 탄성력(Ky')을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갖도록 강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상기 바디체결단(11a,11a')의 횡강성이 증대되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차륜(W)의 상·하 거동 시 서브완충단(11b,11b')의 부시(13)와 완충스프링(S)이 서로 병렬스프링으로 작용되어져 결국, 바디체결단(11a,11a')과 완충스프링(S)의 상·하 방향 강성인 탄성력(Kz,Ks)에 더하여 상기 서브완충단(11b,11b')의 탄성력(Kz')이 부가되어 리바운드시 충격을 완화함은 물론 좌·우 차륜(W)도 각각 돌립적으로 작용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에 장착되는 트레일링아암의 바디체결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브완충단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발생되는 탄성력을 적절히 가변 시켜 전·후 강성의 증가 없이 횡강성만을 증가시키면서도 좌·우 차륜의 독립적인 거동을 유지하여 완충기능을 증대함과 더불어 승차감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이다.
Claims (2)
- 완충스프링(S) 및 쇽업소버(A)가 장착되면서 양 쪽 차륜(W)을 연결하는 토션빔액슬(10)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트레일링아암(11,11')이 차량 바디에 장착되도록 돌출되어 그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부시(12)를 각각 구비한 바디체결단(11a,11a')과, 이 바디체결단(11a,11a')에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서브부시(13)가 각각 구비되도록 서브완충단(11b,11b')이 형성되어진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시(13)는 탄성력을 갖춘 매스(13a)와, 이 매스(13a)에 삽입된 인너부재(13b) 및 상기 매스(13a)를 감싸는 아우터링(13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81308A KR100398196B1 (ko) | 2000-12-23 | 2000-12-23 | 토션빔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81308A KR100398196B1 (ko) | 2000-12-23 | 2000-12-23 | 토션빔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1760A true KR20020051760A (ko) | 2002-06-29 |
KR100398196B1 KR100398196B1 (ko) | 2003-09-19 |
Family
ID=2768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81308A KR100398196B1 (ko) | 2000-12-23 | 2000-12-23 | 토션빔액슬 타입 리어서스펜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819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2667B1 (ko) * | 2007-12-12 | 2009-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차감과 롤 거동 안정성 향상 타입 차량 현가 장치 |
CN103568753A (zh) * | 2013-11-18 | 2014-02-12 |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缓冲装置及具有该缓冲装置的汽车 |
KR101461902B1 (ko) * | 2013-11-04 | 2014-11-1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3908A (ja) * | 1982-01-30 | 1983-08-09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
JPH0899511A (ja) * | 1994-09-30 | 1996-04-16 | Suzuki Motor Corp |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
JPH0948225A (ja) * | 1995-08-07 | 1997-02-18 | Daihatsu Motor Co Ltd | スタビライザの連結構造 |
KR19980038899U (ko) * | 1996-12-20 | 1998-09-15 | 김영귀 | 토션 빔식 현가장치의 트레일 암 연결구조 |
-
2000
- 2000-12-23 KR KR10-2000-0081308A patent/KR1003981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2667B1 (ko) * | 2007-12-12 | 2009-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승차감과 롤 거동 안정성 향상 타입 차량 현가 장치 |
KR101461902B1 (ko) * | 2013-11-04 | 2014-11-1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
CN103568753A (zh) * | 2013-11-18 | 2014-02-12 |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缓冲装置及具有该缓冲装置的汽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98196B1 (ko) | 2003-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48765B2 (ja) | マルチリンクリア懸架装置 | |
CN104773045A (zh) |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 |
KR20020051760A (ko) |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 |
KR100507148B1 (ko) | 차체프레임을 이용한 전륜 현가장치 | |
KR100369041B1 (ko) |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 |
KR200150272Y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 | |
KR19990047759A (ko) | 탄성 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 | |
KR20100054535A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KR20030026022A (ko) |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 |
KR100793902B1 (ko) |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 |
JP4356442B2 (ja) | 車輪独立懸架装置 | |
KR200362004Y1 (ko) | 대형차량의 서스펜션장치 | |
CN115972835A (zh) | 一种兼容四轮转向的汽车悬架结构 | |
KR100452188B1 (ko) | 차량의 후륜 트레일링 암 구조 | |
KR100828495B1 (ko) | 연료 누유방지를 위한 리어 서스펜션 스토퍼 지지구조 | |
KR19980054341U (ko) |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 |
KR100737011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 | |
KR20040033803A (ko) |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 |
KR19980056278A (ko) | 차량의 운전실용 서스펜션 구조 | |
KR200153165Y1 (ko) |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 |
KR20030055382A (ko) | 세미 다점 지지 후륜 토션 빔 서스펜션 | |
KR19980068833A (ko) |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 |
KR100391607B1 (ko) | 버스의 현가장치 | |
KR100422485B1 (ko) |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부재의 부시구조 | |
KR20050010439A (ko) |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