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380Y1 - 쌍수 도어 록 - Google Patents
쌍수 도어 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6380Y1 KR200146380Y1 KR2019960030166U KR19960030166U KR200146380Y1 KR 200146380 Y1 KR200146380 Y1 KR 200146380Y1 KR 2019960030166 U KR2019960030166 U KR 2019960030166U KR 19960030166 U KR19960030166 U KR 19960030166U KR 200146380 Y1 KR200146380 Y1 KR 2001463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lever
- door
- cam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종래의 도어 록에서 볼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하여, 가볍게 작동이 가능하고 래치가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언록킹되는 쌍수 도어 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그 구성은 도어 핸들(1)의 손잡이(27)를 가볍게 당겨 주는 동작만으로 상기 손잡이(27)에 연결된 배력 수단(37)이 캠(33)을 연동시키고, 이 캠(33)은 다시 슬라이더(17)를 연동시켜서 레버(11)의 회동 운동으로 나타나게 되며, 상기 레버(11)의 회동 운동으로 도어 래치(2)의 래치 하우징(6)에 수납된 계지 블록(24)이 위치 이동되어 그 일단부를 통해 록킹하고 있던 래치(8)의 일측 계지부(40)를 해방시켜 줌으로써 상기 래치(8)가 핀(36)을 중심으로 한 선회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언록킹으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이 고안의 도어 록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주요부 도어 핸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다른 주요부 도어 래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상기 도어 래치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제5도는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6도는 상기 도어 래치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핸들 2 : 도어 래치
5 : 하우징 6 : 레버 하우징
7 : 미장 커버 8 : 래치
11 : 레버 12 : 수납
14 : 가이드 블록 15 : 스프링
16 : 가이더 17 : 슬라이더
18 : 고정축 19 : 누름판
20 : 제1스프링 22 : 제2스프링
23 : 홈 24 : 계지 블록
26 : 슬라이드 홈 27 : 손잡이
28 : 캠 레버 29 : 블래킷
30 : 아암 31 : 캠축
32 : 고정 블록 33 : 캠
37 : 배력 수단 39 : 래치 고정판
40 : 계지부 42 : 링크
44 : 캠 46 : 연동 블록
48 : 스톱퍼
이 고안은 도어 록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문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의 표리면에 대향 배치되는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쌍수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 록은 종래부터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손잡이를 회동시켰을 때에 래치가 연동하여 진퇴하게 한 구조를 갖춘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도어 록은 손잡이의 크기가 비교적 작으므로 대형문에 사용하면 문을 개폐하는 데에 상당한 힘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도어 록은 래치가 문의 개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하면서 문의 개폐를 규정하는 것이어서 문의 개폐 방향에 맞춰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문을 제작하고 도어 록을 설치하였을 때에 방향을 반대로 설치하여 불편과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일도 종종 겪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도어 록의 외형을 다채롭게 한 것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대형 문을 개폐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을 뿐이고, 래치의 오조립에 의한 문제점은 전혀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대형문에 사용되는 도어 록은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눌려졌을 때에 언록킹되게 한 구조이나, 버튼의 조작 유격이 커서 작동에 상당한 힘이 들어 불편하다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록에서 볼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하여, 가볍게 작동이 가능하고 래치가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언록킹되는 쌍수 도어 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이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터치하는 가벼운 동작만으로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배력 수단이 캠을 작동시켜서 슬라이더를 위치 이동되게 하여, 레버의 회동 운동으로 나타나게 하고,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으로 도어 래치의 래치 하우징에 수납된 계기 블록이 위치 이동되어 그 일단부를 통해 구속하고 있던 래치의 일측 계지부를 해방시켜 줌으로써 상기 래치가 핀을 중심으로 한 선회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언록킹으로 전환되게 한 구성으로 된다.
상술한 구성의 이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고안은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1)과 도어 래치(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핸들(1)은 중심에 직경 방향으로 절개 홈(3)이 열려져 있는 하우징(5)과, 이 하우징(5)에 일체로 조립 연결되는 미장 커버(7)를 갖춘 구성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5)의 절개 홈(3)은 그 중심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힌지부(9)를 보유하고 있고, 이 힌지부(9)에는 레버(11)의 일단측이 축 지지되어서 반대단측을 외부로 노출시켜 놓고 있으며, 이 레버(11)는 결국 상기 절개 홈(3)이 형성하고 있는 통로를 타고 선회 요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 하우징(5)은 상기 미장 커버(7)로 접합되는 미장판(13)을 외주에 갖추고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절개홈(3)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프링(15)과 슬라이더(17), 그리고 누름판(19)이 수납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7)는 전방 단부에 소경관(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15)이 안내되어서 상기 슬라이더(17)로 탄발력을 가할 수 있게 조립된다. 한편, 슬라이더(17)는 누름판(19)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스페이서(21a)를 갖추고 있고, 누름판(19)도 이것에 대응하는 플랜지(19a)를 갖추고 있어서 조립 후에는 상기 스페이서(21a)로 인해 소정의 간격이 생기게 된다.
또, 누름판(19)의 외주에는 적어도 1쌍의 홈(23)이 대칭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장 커버(7)는 미장판(13)이 나사 맞춤되는 나삽부(25)를 내측에 보유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손잡이(27)가 수용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손잡이(27)는 블래킷(29)을 통해 상기 미장판(13) 상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미장 커버(7)는 단지 상기 손잡이(27)의 주위를 쉴드하여 주는 것일 뿐이다.
상기 블래킷(29)의 일측단에는 캠축(31)에 의해 캠(33)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축(31)에 대향하여 지레축(35)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은 상기 손잡이(27)에서 연결된 배력 수단(37)이 축 지지되어서 그 자유단으로 상기 캠(33)을 연동시켜 주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래치(2)는 하우징(5)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하우징(5)은 상기 도어 래치(2)의 안정된 배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11)의 상 하측으로 배치된는 1쌍의 래치 고정판(39)을 보유하고 있다.
제2도는 상술한 도어 핸들(1)의 조립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레버(11)는 힌지부(9)의 내측에서 레버축(11a)에 의해 일단부가 축 지지되어 있고, 또 상기 레버(11)에서 직교상으로 연장된 레버 단부(11b)는 상기 힌지부(9)의 외주에 동축상으로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더(17)와 누름판(19)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서 일체로 맞물려 고정된다.
또, 상기 슬라이더(17)는 항상 스프링(15)의 탄성력을 받고 있게 설치되고, 이 탄성력은 누름판(19)을 거쳐 캠축(31)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27)는 항상 비작동 위치로 놓여져 있게 된다.
제2도에서 손잡이(27)는 설명의 편의 상 한쪽만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도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제1도에서 도어 래치(2)는 상기 레버(11)가 관통 위치하는 레버 홈(4)이 일단부에 열려진 래치 하우징(6)을 포함하고 있고, 이 래치 하우징(6)의 일측단으로 래치(8)가 노출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제3도는 상기 도어 래치(2)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래치 하우징(6)은 둘로 분할 형성되어서 세트 스크류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부는 돌출부(10)를 사이에 두고 레버 홈(4)과 수납부(12)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된 래치 하우징(6)에 대향하는 것은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이것은 수납부(12)와 레버 홈(4)을 갖춘 점이 동일하고, 단지 중간의 돌출부(10)가 없이 좁은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 수납부(12)에는 래치(8)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 부품이 조립 배치된다.
먼저, 수납부(12)의 내부에는 가이드 블록(14)이 수납된다. 이 가이드 블록(14)은 중간에 가이더(16)를 일체로 갖추고 있고, 또 상기 가이더(16)의 외측방에는 고정축(1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스프링 공(18a)이 뚫려진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 스프링 공(18a)에는 제1스프링(20)이 수납 배치되어서 완충 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스프링(20)의 반대측에도 제2스프링(22)이 설치되는 바, 이것은 상기 가이드 블록(14)에 계합되어 슬라이드 안내되는 계지 블록(24)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계지 블록(24)은 돌기(24a)에 의해 제한되는 1쌍의 슬라이드 홈(26)을 일측면에 보유하고 있고, 이 슬라이드 홈(26)에는 캠 레버(28)의 양 아암(30)이 올려 놓여져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계지 블록(24)과 연계되는 캠 레버(28)는 상기 가이드 블록(14)의 고정축(18)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계지 블록(24)과 캠 레버(28)의 외부는 고정 블록(32)에 의해 피복 보호된다.
상기 고정 블록(32)은 가이드 블록(14)의 고정축(18)이 끼워 맞춰지는 통공(34)을 보유하고 있고, 여기로 상기 고정축(18)이 삽입 고정됨에 따라 가이드 블록(14)과 캠 레버(28), 그리고 고정 블록(32)은 일체로 조립되고, 이에 대하여 단지 계지 블록(24) 만이 가이더(16)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래치(8)에는 상기 고정 블록(32)의 일단부에 핀(36)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것이며, 이것은 자신의 회동이 일정 각도 범위로 제한되게 하는 턱부(38), 그리고 상기 계지 블록(24)의 일단부에 맞물려 구속되는 계지부(40)를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캠 레버(28)는 일단에 1쌍의 아암(30)을 갖춘 T자상의 레버로 형성된 것이나, 이것은 상기 아암(30)의 반대측 단부로 홈(28a)을 보유하고 있다.
이 홈(28a)에는 래치 하우징(6)의 돌출부(1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링크(42)의 선단축 캠(44)이 맞물려 연결된다. 또, 링크(42)는 상기 래치 하우징(6)의 레버 홈(4)으로 수납되는 연동 블록(46)으로 끼워 맞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동 블록(46)은 레버 홈(4)을 통해 삽입 연장되는 레버(11)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연동 블록(46)은 그 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하여 외부에 1쌍의 스톱퍼(48)를 보유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의 도어 래치(2)가 조립된 후의 비작동 상태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유지된다.
레버(11)가 중립 위치로 놓여 있음에 따라 연동 블록(46)으로부터 연장된 링크(42)의 캠(44)은 캠 레버(28)의 홈(44)과 맞물려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 레버(28)는 회동되지 않은 자세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계지 블록(24)은 제2스프링(22)의 탄성력을 받아 그 일측단이 래치(8)의 계지부(40)를 구속하고 있게 됨으로써 상기 래치(8)는 핀(36)을 축으로 하는 선회 운동이 불가능한 록킹 상태로 된다.
이러한 작동의 결과로 문은 잠겨진 채로 보전된다. 상기 래치(8)는 선회가 불가능한 상태로 록킹되어 있어도 래치 하우징(6)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외력이 작용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14)을 탄압하고 있는 제1스프링(20)이 상기 외력을 흡수하면서 래치(8)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래치(8)의 위치 이동은 선회 운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의 도어 록에서와 같은 작용을 하여 열려진 문이 닫혀져 록킹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록킹 상태에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단지 손잡이(27)를 쥐고 약간 앞으로 당겨 주는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7)를 앞으로 역간 당겨 주면 제5도의 도시와 같이 배력 수단(37)의 자유단이 캠(33)을 연동하여 캠축(31) 상에서 선회되게 작용하고, 이 때문에 상기 캠(33)은 누름판(19)을 눌러 주게 된다. 또, 이러한 연동의 결과로 슬라이더(17)가 함께 스프링(15)을 압축하면서 위치 이동하여 레버(11)의 레버 단부(11a)를 간섭하게 된다.
상기 레버 단부(11a)의 간섭으로 인해 레버(11)는 레버축(11b)을 지점으로 선회하고, 그 결과로 도어 래치(2)의 레버 홈(4)으로 삽입 위치한 선단부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연동 블록(46)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주게 된다.
또, 연동 블록(46)의 위치 이동은 필연적으로 링크(42)의 위치 이동을 수반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링크(42)의 선단측 캠(44)은 캠 레버(28)의 홈(28a)에서 벗어나 캠 레버(28)를 간섭하게 된다. 캠 레버(28)가 간섭되면 이것이 고정축(18)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캠 레버(28)의 한쪽 아암(30)이 대응하는 돌기(24a)를 밀어 줌에 따라 계지 블록(24)은 제2스프링(26)에 저항하면서 위치 이동하고, 래치(8)의 계지부(40)는 해방된다.
상기 래치(8)는 계지부(40)가 계지 블록(24)으로부터 해방됨과 동시에 핀(36)을 축으로 하여 턱부(38)가 허용하는 각도까지 선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래치(8)는 래치 하우징(6)에 대하여 절곡된 자세로 되면서 록킹된 문을 언록킹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언록킹 작동은 문의 표리면으로 대향 배치되는 1쌍의 손잡이(27) 중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더라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이 고안은 문의 개폐 조작이 손잡이를 쥐고 밀어 주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볍게 할 수 있어서 감촉이 우수하고, 또 래치의 언록킹 작동이 종래의 도어 록에서는 볼 수 없는 선회 작동으로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어서 오조립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시공 시간과 노력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부품이 유니트화된 것이므로 비숙련자라도 간단히 시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지레축(37)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배력 수단(37)의 일단부에 의해 간섭 회동되는 캠(33)이 슬라이더(17)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7)는 하우징(5)의 힌지부(9)에 축 지지된 레버(11)를 간섭 연동시키게 되어 있는 도어 핸들(1)과; 상기 레버(11)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연동 블록(46)이 링크(42)를 개재하여 가이드 블록(14)의 캠레버(28)를 작동시키고, 이 캠 레버(28)는 상기 가이드블록(14)에 안내되는 계지블록(24)을 연동시켜 통상의 래치(8)를 언 록킹시켜주는 도어래치(2)로 구성된 쌍수 도어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0166U KR200146380Y1 (ko) | 1996-09-20 | 1996-09-20 | 쌍수 도어 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0166U KR200146380Y1 (ko) | 1996-09-20 | 1996-09-20 | 쌍수 도어 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7684U KR960037684U (ko) | 1996-12-18 |
KR200146380Y1 true KR200146380Y1 (ko) | 1999-06-15 |
Family
ID=1946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30166U KR200146380Y1 (ko) | 1996-09-20 | 1996-09-20 | 쌍수 도어 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638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280B1 (ko) | 2007-11-20 | 2009-06-29 | 알루텍 (주) | 개폐장치 |
-
1996
- 1996-09-20 KR KR2019960030166U patent/KR20014638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5280B1 (ko) | 2007-11-20 | 2009-06-29 | 알루텍 (주) |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7684U (ko) | 1996-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2964B2 (en) | Flush mounted latch | |
US6679532B2 (en) | Vehicle door latch device | |
JP2001090413A (ja) | ダブルアクション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インサイドロックボタンとロックレバーの連結装置 | |
KR200146380Y1 (ko) | 쌍수 도어 록 | |
KR100293030B1 (ko) | 배전반용 핸들 | |
KR200146379Y1 (ko) | 쌍수 도어 록 | |
KR0153218B1 (ko) |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 |
KR20020062411A (ko) | 레버형 도어록 | |
KR101407437B1 (ko) | 푸쉬-풀 타입 도어록 | |
JP3670976B2 (ja) | 車両アクセスパネルドアのハンドル装置 | |
KR200248023Y1 (ko) | 도어록의손잡이구 | |
JPH11141207A (ja) | ラッチ錠 | |
JP3756545B2 (ja) | 錠装置 | |
KR20060134417A (ko) | 도어 록 장치 | |
KR0118545Y1 (ko) | 자동차용 내부 핸들 구조 | |
JP2600423Y2 (ja) | 用心錠 | |
JP2895720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5484828B2 (ja) | ハンド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開閉扉 | |
KR200227975Y1 (ko) | 레버형 도어록 | |
JP3749757B2 (ja) | ラッチボルトの係止装置 | |
JP3844810B2 (ja) | 自動施錠型錠前における作動モード切替装置 | |
JP2511218Y2 (ja) | 錠装置 | |
RU2100550C1 (ru) | Защелка дверная | |
JP4206173B2 (ja) |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 |
JP2544732Y2 (ja) | ラッ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