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18B1 -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3218B1 KR0153218B1 KR1019940021142A KR19940021142A KR0153218B1 KR 0153218 B1 KR0153218 B1 KR 0153218B1 KR 1019940021142 A KR1019940021142 A KR 1019940021142A KR 19940021142 A KR19940021142 A KR 19940021142A KR 0153218 B1 KR0153218 B1 KR 0153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child
- door
- lock
- support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계합하여 도어를 닫힌상태로 유지하는 래치와, 도어의 외측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 회전하면 상기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계합을 해제해서 도어를 개방되게 하는 개방 레버와, 도어의 내측 손잡이에 의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측 레버와, 상기 개방 레버와 상기 내측 레버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을 상기 개방 레버에 전달하는 어린이가 아닌 사람용의 로크위치와, 전달하지 않는 어린이용 로크위치로 전환되는 합성수지제의 어린이용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를 전환하면 상기 지지축은 상기 장공의 양단의 사이를 변위하게끔 구성하고, 다시 상기 어린이용 레버에는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노브를 일체로 형성한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Description
제1도는 로크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로크 장치의 배면도.
제3도는 본체의 배면도.
제4도는 로크 레버의 배면도.
제5도는 로크 레버의 일부 파단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로크 장치의 맞물림부의 단면도.
제7도는 백플레이트의 배면도.
제8도는 로크 장치의 종단 측면도.
제9도는 어린이용 레베의 측면도.
제10도는 도어 패널 관통공의 사시도.
제11도는 도어 패널 관통공과 조작 노브와의 단면도.
제12도는 어린이용 로크 상태도.
제13도는 어린이용 로크의 작용도.
제14도는 비(非) 어린이용(성인용)의 로크 상태도.
제15도는 비어린이용 로크의 작용도.
제16도는 어린이용 레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어린이용 레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앞좌석용 로크 장치의 배면도.
재19도는 앞좌석용 로크 장치의 측면도.
제20도는 공지예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스트라이커
3 : 래치 4 : 래칫
5 : 오목부 6 : 안내홈
7 : 축 8 : 개방 레버
9 : 맞물림부 10, 12 : 손잡이
11 : 회전단 13 : 아암
14 : 장공 15 : 이동간
17 : 래칫 아암 18 : 맞물림 핀
19 : 맞물림단 20 : 로크 레버
21 : 백플레이트 30 : 굴곡 플레이트
31 : 중계 레버 33 : 로드
45 : 내측 레버 50 : 어린이용 레버
55 : 조작 노브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가 장난을 해도 도어가 열리지 않게끔 하는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제20도는 공지된 종래의 대표적인 어린이용 로크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A는 로크 장치의 백플레이트로서, 백플레이트(A)에는 내측 레버(B)와 회전 레버(C)가 축(D)에 의해, 또, 전환 레버(E)가 축(F)에 의해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전환 레버(E)에는 도어 패널에 형성된 관통공(도시생략)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 노브(G)가 형성되어 있다. 전환 레버(E)에는 이동간(H)의 일단이 연결되고,이동간(H)의 타단에는 회전 레버(C)에 형성된 장공(J)에 끼워지는 핀(K)을 설치된다. 핀(K)은 조작 노브(G)의 조작에 의해 전환 레버(E)가 회전하면 장공(J)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내측 레버(B)는 로드(L)를 통해 도어의 내측 손잡이(M)에 연결되고, 내측 레버(B)의 맞물림부(N)의 회전 궤적은 장공(J)의 상부 위치와 중첩되어 있다. P는 도어를 해제시키는 개방 레버로서, 개방 레버(P)에는 회전 레버(C)의 일단이 맞물릴 수 있게 되어 향하여 있다.
제20도에서, 핀(K)은 내측 레버(B)와 맞물림부(N)의 회전 궤적에서 벗어나 있고, 이 상태(어린이용 로크 상태)에서는 내측 손잡이(M)로 내측 레버(B)를 회전시켜도, 맞물림부(N)가 핀(K)에 맞닿지 않으므로 회전 레버(C) 및 개방 레버(P)는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어린이용 로크를 해제할 때에는, 조작 노브(G)를 조작함으로써 핀(K)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맞물림부(N)의 회전 궤적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 손잡이(M)로 내측 레버(B)를 회전시키면, 맞물림부(N)는 핀(K)과 맞닿아 회전 레버(C)를 회전시키며, 이것에 의해 개방 레버(P)가 회전하여 도어가 개방되게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공지예는, 내측 레버(B)와 개방 레버(P)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를 구성하기 위해, 핀(K)을 일체로 형성하는 이동간(H), 핀(K)이 끼워지는 장공(J)을 형성한 회전 레버(C), 조작 노브(G)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이동간(H)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환 레버(E) 등의 3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어린이용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3개의 부품을, 조작성을 훼손하지 않고 하나의 부품으로 간소화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triker)(2)에 맞물려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latch)(3)와, 도어의 외측 손잡이(10) 및 내측 손잡이(48)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래치(3)와 상기 스트라이커(2)와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8)와, 개방 레버(8)와 상기 내측 손잡이와의 사이에 설치된 어린이용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도어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로크 기구는, 상기 내측 손잡이(48)에 연결되어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측 레버(45)와, 회전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방 레버(8)를 회전시킬 수 있는 어린이용 레버(50)로 구성하고, 상기 어린이용 레버(50)에는 상기 도어의 패널에 형성한 관통공(54)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 노브(55)를 형성하여, 이 조작 노브(55)를 전환조작하면, 상기 어린이용 레버(50)는 상기 내측 레버(45)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비(非)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내측 레버와는 비연동하게 되는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되게끔 구성한 차량 도어 로크 장치에 있어서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로 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 1은 뒷좌석 도어에 부착되는 도어 로크 장치의 합성 수지제 본체로서, 그 정면측에는 차체측의 스트라이커(2)와 맞물려 회전하는 래치(3) 및 이 래치(3)에 맞물려 그것의 역전을 방지하는 래칫(ratchet)(4)을 수납하는 오목부(5)가 마련된다. 도면 부호 6은 상기 스트라이커(2)가 진입하는 좌우 방향의 안내홈이다.
상기 본체(1)의 배면의 상부위치에서는, 전후 방향의 축(7)에 의해 개방 레버(8)가 피벗되게 지지된다. 개방 레버(8)의 좌단에는 맞물림부(9)를 형성한다. 도면 부호 10은 뒷좌석 도어의 외측 손잡이로서, 그것의 회동단(11)은 상기 맞물림부(9)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며, 외측 손잡이(10)를 회전시키면, 개방 레버(8)는 스프링(44)의 탄력에 대항하면서 좌측으로 회전하게끔 구성한다.
상기 개방 레버(8)는 상기 축(7)에서 대략 방사 방향으로 뻗는 장공(14)을 형성하는 아암(arm)(13)을 갖는다. 상기 장공(14)에는 종방향 이동간(15)의 상단에 설치한 연결핀(16)을 결합시킨다. 이동간(15)의 하단은 축(34)에 의해 로크 레버(20)에 피벗하게 지지되어, 로크 레버(20)가 회전하면 이동간(1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연결핀(16)도 장공(14)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구성한다.
도면 부호 17은 상기 축(7)에 피벗하게 지지된 래칫 아암이다. 래칫 아암(17)과 상기 래칫(4)은 핀(18)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래칫 아암(17)과 래칫(4)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래칫 아암(17)에는 장공(14)의 하단에 위치하는 맞물림단(19)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장치는 상기 이동간(15)의 맞물림 핀(16)이 제2도에서 처럼 장공(14)의 하단에 위치하면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측 손잡이(10)로 상기 개방 레버(8)를 제2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장공(14)에 맞물려 있는 맞물림 핀(16)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맞물림단(19)과 맏닿아 래칫 아암(17)을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래칫 아암(17)과 래칫(4)은 핀(18)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래칫(4)은 제1도에 있어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래치(3)에서 이탈해서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맞물림 핀(16)이 장공(14)의 상단에 위치하면 로크 장치는 로크 상태로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외측 손잡이(10)로 개방 레버(8)를 제2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회전시켜서, 장공(14)에 맞물려 있는 맞물림 핀(16)을 우측으로 이동시켜도 맞물림 핀(16)이 맞물림단(19)과 맞물리지 않으므로 래칫 아암(17)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열 수 없게 된다.
도면 부호 21은 본체(1)의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제의 백플레이트로서, 상기 로크 레버(20)는 백플레이트(21)의 외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로크 레버(20)에는 상기 백플레이트(21)와 평행인 3개의 아암이 형성된다. 이 로크 레버는 뒷좌석용이기 때문에, 제1아암(20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접속하지 않는다. 우측으로 뻗는 제2아암(20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측 로크 조작 부재(32)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로크 레버(2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내측 로크 조작 부재(32)의 조작에 의해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이 전환에 의해 상기 이동간(15)의 맞물림 핀(16)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아암(20a)과 상기 제2아암(20b)은 거의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나머지 제3아암(20c)은 이들에 대해 거의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4도 및 제6도처럼, 상기 제3아암(20c)의 선단(36)에는 상기 본체(1)측으로 돌출하는 돌기(37)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의 배면에는, 제3도에서 처럼 상기 안내홈(6)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팽출부(38)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38)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3아암(20c)의 선단(36)이 위치하는 맞물림부(39)를 형성한다. 상기 맞물림부(39)의 좌우 양측에는, 제3아암(20c)이 로크 해제 위치로 되면 맞닿는 로크 해제벽(40)과, 제3아암(20c)이 로크 위치로 되면 맞닿는 로크벽(41)을 형성하고, 맞물림부(39)의 저면(42)의 거의 중앙에는 산형으로 솟아오른 위치 전환 경계부(43)를 형성한다. 제3아암의 돌기(37)는 맞물림부(39)의 저면(42)에 접하여, 로크 레버(20)를 회전시키면 돌기(37)는 위치 전환 경계부(43)를 탄력적으로 넘어서 이동한다. 이 돌기(37)와 위치 전환 경계부(43)와의 작용에 의해 로크 레버(20)는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의 어느 한쪽에 유지되고,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로크 레버(20)에는 위치 결정용의 오버센터 스프링이 불필요해진다.
다음에, 로크 레버(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로크 레버(20)는 기본적으로 3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진 레버부(22)와 그 레버부(22)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23)로 구성되고, 이들은 제5도에서 처럼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다. 원기둥형의 축부(23)의 선단에는 레버부(22)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돌기(24)가 형성된다. 돌기(24)의 수는 자유로이 선택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23)의 양측에 1개씩 마련되어 있다. 로크 레버(20)가 부착되는 상기 백플레이트(21)에는 제7도처럼 장착 구멍(25)을 형성한다. 장착 구멍(25)은 축부에 대응하는 환공(26)과 돌기(24)에 대응하는 절결부(27)로 구성되며, 상기 축부(23)를 장착 구멍(25)에 삽입해서 약 60°정도 회전시키면, 돌기(24)와 절결부(27)가 어긋나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돌기(24)의 선단부에는 백플레이트(21)의 배면에 탄력적으로 맞닿는 탄성편(28)을 일체로 형성한다. 탄성편(28)은 로크 레버(20)를 백플레이트에 고착하면 상기 백플레이트(21)의 배면에 탄력적으로 맞닿으므로, 백플레이트(21)의 두께가 변화하여 돌기(24)와 백플레이트(21)의 배면과의 간격이 변화해도, 로크 레버(20)가 헐겁게 장착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탄성편(28)을 레버부(22)의 백플레이트(21)와 마주한 면(29)에 형성하여, 탄성편(28)이 백플레이트(21)의 표면에 맞닿도록 해도 같은 효과를 거둔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처럼, 백플레이트(21)의 우측에는 일부를 배면 방향으로 굴곡시킨 굴곡 플레이트(30)를 형성하고, 굴곡 플레이트의 하부측에는 L형의 중계 레버(31)를 피벗하게 지지한다. 중계 레버(31)의 일단(31a)에는 상기 내측 로크 조작 부재(32)로 연장하는 로드(rod)(33)를 연결하고, 타단(31b)은 로크 레버(20)의 제2아암(20b)에 형성한 결합 구멍(20d)에 결합시킨다.
상기 굴곡 플레이트(30)의 상부측에는 제8도에서 처럼 L형의 내측 레버(45)를 축(46)으로 지지한다. 내측 레버(45)의 일단(46)에 내측 손잡이(48)로 연장하는 로드(48)를 연결시킨다.
제9도에는 어린이용 레버(50)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장공(51)에는 상기 축(46)을 삽입한다. 어린이용 레버(50)에는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 차량 도어의 패널(53)에 형성한 관통공(54)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 노브(55)를 일체로 형성한다. 외부로 노출된 조작 노브(55)를 직접 손가락으로 잡고서 전환 조작하면, 어린이용 레버(50)는 장공(51)의 일단측(57)에 축(46)이 위치하는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제12도 및 제13도), 장공(51)의 타단측(56)에 축(46)이 위치하는 비(非)어린이용(이하 '성인용'으로 지칭함)의 로크 위치(제14도 및 제15도)로 전환된다. 상기 어린이용 레버(50)는 전체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그 장공(51)의 중간 위치에는 장공(51)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상승된 위치 전환 경계부(58)를 형성한다. 위치 전환 경계부(58)는, 어린이용 레버(50)를 전환하면 축(46)과 접촉하여 전환 저항을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 전환 조작 간격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어린이용 레버(50)가 진동 등에 의해 불필요하게 전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어린이용 레버(50)에는, 조작 노브(55)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돌기(59)와, 상기 개방 레버(8)의 우측단(62)과 맞물리는 맞물림 아암(61)을 형성한다. 상기 맞물림 돌기(59)는 어린이용 레버(50)가 성인용의 로크 위치(제14도 및 제15도)에 있을 때는 상기 내측 레버(45)의 맞물림 폴(60)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며, 이 때문에 내측 레버(45)가 회전하면 어린이용 레버(50)도 연동해서 회전하며, 어린이용 레버(50)의 맞물림 아암(61)이 상기 개방 레버(8)의 우측단(62)과 결합하여 개방 레버(8)를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맞물림 돌기(59)는 어린이용 레버(50)가 어린이용 로크 위치(제12도 및 제13도)로 되면, 상기 맞물림 폴(60)의 회전 궤적에서 벗어나 내측 레버(45)가 회전해도 어린이용 레버(5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어린이용 레버(50)가 제14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b)에 있는 조작 노브(55)를 점선의 위치(a)까지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어린이용 로크 위치로 된다. 또, 조작 노브(55)가 내측 손잡이(48)로 내측 레버(45)를 통해 어린이용 레브(5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b)에서 점선의 위치(c)로 이동한다. 이처럼 조작 노브(55)는 점선의 위치(a)와 점선의 위치(c)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조작 노브(55)가 향하고 있는 도어 패널(53)의 관통공(54)도 이것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b)에 있는 조작 노브는 관통공(54)의 거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것에 유의 하여야 한다. 관통공(54)의 거의 중간에 조작 노브(55)가 있으면, 사용자는 어느 방향으로 조작 노브(55)를 움직여야 좋을지 모를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도어 패널(53)에 어린이용 로크 위치의 방향을 명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조작 노브(55)를 불필요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해놓았다. 즉, 관통공(54)의 위치(c)측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터널 모양의 구획부(64)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 노브(55)를 위치(c)로는 이동시킬 수 없게 해 놓았다.
그리고, 어린이용 레버(50)의 조작 노브(55)와는 반대측의 맞물림 아암(61)의 선단을, 제8도에서 처럼 백플레이트(21)와 개방 레버(8)의 우측단(62)과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 노브(55)를 손가락으로 잡고 전환할 때, 맞물림 아암(61)의 위치가 적당하게 유지되므로,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맞물림 아암(61)의 건들거리는 상태로서 회전 중심을 취할 수 없으므로, 전환 조작의 원활성이 손상된다.
제16도에는 다른 실시예의 어린이용 레버(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어린이용 레버(50')의 전환 방향이 변경되어 있을 뿐이며, 기능상의 차이는 없다. 또, 제17도에는 또 다른 실시예의 어린이용 레버(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위치 전환 경계부(58'')의 형상을 변경시켜 놓았다.
뒷좌석용 로크 장치의 구성은 이상과 같지만, 이것에 대응하는 앞좌석용 로크 장치를, 동일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했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처럼, 주요 구성 부품은 양자 동일하며, 어린이용 로크 기구에 관한 부분을 제외하면 개방 레버(8)의 구성 위치가 다를 뿐이다.
[작용]
로크 레버(20)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고, 어린이용 레버(50)가 성인용의 로크 위치(제8도, 제14도)에 있을 때에, 내측 손잡이(48)로 도어를 개방하도록 조작 하면, 로드(49)를 통해 내측 레버(45)는 축(46)을 중심으로 제14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회전하고, 내측 레버(45)의 맞물림 폴(60)은 어린이용 레버(50)의 맞물림 돌기(59)에 맞닿는다. 그러면, 어린이용 레버(50)는 좌회전하여, 어린이용 레버(50)의 맞물림 아암(61)이 개방 레버(8)의 우측단(62)에 맞물려, 개방 레버(8)를 스프링(44)의 탄력에 대항하면서 제2도에서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방 레버(8)의 장공(14)에 결합하고 있는 맞물림 핀(16)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래칫 아암(17)의 맞물림단(19)을 눌러 래칫 아암(17)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며, 핀(18)을 통해 래칫(4)을 래치(3)에서 이탈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어린이용 레버(50)를 어린이용 로크 위치로 전환할 때는, 도어를 열고, 제11도에서 처럼, 도어 패널(53)의 관통공(54)의 위치(b)에 있는 조작 노브(55)를 잡고 위치(a)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어린이용 레버(50)는 제14도의 위치에서 제2도의 위치로 되고, 어린이용 레버(50)의 맞물림 돌기(59)는 내측 레버(45)의 맞물림 폴(60)의 회전 궤적에서 벗어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내측 손잡이(48)를 조작하여 내측 레버(45)를 회전시켜도 맞물림 폴(60)과 맞물림 돌기(59)가 맞물리지 않으므로 어린이용 레버(50)는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도어를 열 수는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어린이용 레버(50)를 전환할 때는 장공(51)의 중간 정도에 형성해 놓은 위치 전환 경계부(58)가 축(46)과 접촉하여 전환 조작에 대해 적당한 저항을 부여하므로 전환 동작의 감각은 양호해지는 동시에 진동 등에 의해 어린이용 레버(50)가 전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는, 지지축(46)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며 내측 손잡이(48)에 로드(49)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내측 손잡이를 개방 조작할 때 상기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측 레버(45), 상기 내측 레버(45)의 회전을 개방 레버(8)로 전달하는 성인용 로크 위치와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을 상기 개방 레버로 전달하지 않는 어린이용 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어린이용 레버(50)로 구성되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50)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부착되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에는 상기 도어의 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어린이용 레버를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상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 노브(55)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개방 레버에 맞물려 상기 개방 레버를 회전시키는 맞물림 아암(61)이 형성되어 있다. 1개 부품으로 된 어린이용 레버(50)에서, 종래의 이동간(H), 회전 레버(C), 전환 레버(E)로 된 3개의 부품의 기능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저가이면서 소형인 어린이용 로크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맞물림 아암을 구비한 1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이 간단하며, 어린이용 레버(50), 조작 노브(55), 맞물림 아암(61)은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어린이용 레버를 상기 지지축의 방사 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상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어린이용 레버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조작 노브가 인입되는 구획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조작 노브(55)가 잘못된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지지축을 관통하는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을 상기 장공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사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종래 3개의 부품을 1개의 레버로 하는 것으로도, 조작성이 양호하고 실용성이 높은 어린이용 로크 기구가 얻어진다.
Claims (5)
-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에 맞물려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와, 도어의 외측 손잡이 및 내측 손잡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를 구비하는 도어 로츠 장치에서 상기 개방 레버와 상기 내측 손잡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로크 기구는,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로드를 통해 상기 내측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 손잡이를 개방 조작할 때,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내측 레버와,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을 상기 개방 레버로 전달하는 성인용 로크 위치와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을 상기 개방 레버로 전달하지 않는 어린이용 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어린이용 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내측 레버가 장착되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에는 상기 도어의 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어린이용 레버를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상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 노브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개방 레버에 맞물려 상기 개방 레버를 회전시키는 맞물림 아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맞물림 아암을 구비한 1개의 부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어린이용 레버를 상기 지지축의 방사 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상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어린이용 레버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조작 노브가 인입되는 구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지지축을 관통하는 장공을 구비하며, 상기 어린이용 레버는 상기 지지축을 상기 장공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어린이용 로크 위치와 상기 성인용 로크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로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5476093A JP2895722B2 (ja) | 1993-09-17 | 1993-09-17 |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 |
JP93-254760 | 1993-09-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8899A KR950008899A (ko) | 1995-04-19 |
KR0153218B1 true KR0153218B1 (ko) | 1998-12-15 |
Family
ID=1726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21142A KR0153218B1 (ko) | 1993-09-17 | 1994-08-26 |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895722B2 (ko) |
KR (1) | KR01532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01700B2 (ja) * | 1996-07-10 | 2002-07-15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
JP4639079B2 (ja) * | 2004-12-22 | 2011-02-23 |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 日射遮蔽装置の取付ブラケット |
JP2006219942A (ja) * | 2005-02-14 | 2006-08-24 | Nifco Inc | ロック装置の係合解除機構 |
JP5474012B2 (ja) * | 2011-09-06 | 2014-04-16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のロック装置 |
JP2015014721A (ja) * | 2013-07-05 | 2015-01-22 | 株式会社白山製作所 | 多心光コネクタ |
DE102014114347A1 (de) * | 2014-10-02 | 2016-04-07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CN105735780B (zh) * | 2016-04-18 | 2018-08-24 | 烟台三环锁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汽车侧门锁的儿童锁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35061Y2 (ja) * | 1990-09-26 | 1997-05-07 | デルタ工業株式会社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
1993
- 1993-09-17 JP JP25476093A patent/JP2895722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08-26 KR KR1019940021142A patent/KR01532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895722B2 (ja) | 1999-05-24 |
KR950008899A (ko) | 1995-04-19 |
JPH0782939A (ja) | 1995-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34704A (en) | Automobile door locking mechanism | |
US5833282A (en) | Door locking device with an antitheft mechanism | |
US5125701A (en) | Child protecting mechanism in door lock apparatus | |
KR0153218B1 (ko) |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 |
US5984384A (en) |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 |
GB2073299A (en) | Automobile door locking mechanism | |
JPS6393979A (ja) | ドアロツク装置 | |
JPH01247677A (ja) | 車輌用ドアのロツク装置 | |
JP2895720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3364566B2 (ja) |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 |
JP2535061Y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
US4867495A (en) | Doo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 |
JPH0243173Y2 (ko) | ||
KR200146380Y1 (ko) | 쌍수 도어 록 | |
JP4458957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3592538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2952154B2 (ja) | 車両扉のロック装置と製造方法 | |
JP2004211529A (ja) | プシュ・プル錠 | |
JPH0233565Y2 (ko) | ||
JPS5816111Y2 (ja) | 遮断器用操作装置 | |
JP2535060Y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
CA1128094A (en) | Automobile door locking mechanism | |
KR0115644Y1 (ko) |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에 부착된 안저로크 노브구조 | |
JP2000345754A (ja) | アンチセフト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ワンモーション開扉機構 | |
JPH08210000A (ja) | 車両用ロック装置におけるワンモーション開扉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