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0272A -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272A
KR20010070272A KR1020000074081A KR20000074081A KR20010070272A KR 20010070272 A KR20010070272 A KR 20010070272A KR 1020000074081 A KR1020000074081 A KR 1020000074081A KR 20000074081 A KR20000074081 A KR 20000074081A KR 20010070272 A KR20010070272 A KR 2001007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ver member
electronic device
lin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693B1 (ko
Inventor
나카가와기요시
야마구치고이치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소니 테크놀러지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소니 테크놀러지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01H2003/46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using a living hinge to connect the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만족스러운 누름 버튼(push-button) 장치 작동성을 가지며 비교적 용이하게 누름 버튼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에 작용되는 힘으로 전자 장치의 주회로용 인쇄 배선 회로 기판 내에 배치되는 전자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설정된 한 부재를 포함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이 전자 장치는 그 일 단부가 제 1 탄성 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버튼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굽혀지는 제 1 레버 부재와, 그 일 단부가 제 2 탄성 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버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며 전자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아암을 구비하는 제 2 레버 부재와,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에 연결하고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로 굽혀 일어나는 변위(displacement)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레버 탄성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Electronic equipment and transmission device of button device used therein}
본 발명은 VCR(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고,상세하게는 그 장치의 전방측 표면의 조작 패널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구조에 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전방측 패널에는, 조작용 누름 버튼이 위치되며, 인쇄 배선 회로 기판 상에 위치되는 스위치에 누름 버튼을 연결(link)하기 위해, 링크 기구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링크 구조가 개발 및 사용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 장치의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기구의 제 1 실시예가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 기구는 다수의 L자형 레버 부재(180)를 가지며, 각각의 레버 부재는 수직 가압 부재(183; vertical pressing member)와 수평 아암(184; horizontal arm)을 갖는다. 각각의 레버 부재(180)는 힌지(186)를 통해 장착부(185; mount)에 연결된다.
가압 부재(183)의 바깥쪽 표면에는, 돌출된 버튼(189)이 장착된다. 아암(184)의 상단부는 인쇄 배선 회로 기판(200) 상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형 스위치(210) 상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버튼(189)을 누르면 L자형 레버 부재(180)가 힌지(186)를 지나가는 종이 표면(paper surface)에 대해 수직인 선회 축에 대해 피벗식으로(pivotally) 이동하며 레버 부재의 아암(184)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누름 버튼형 스위치(210)를 작동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 장치의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기구의 제 2 실시예가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 기구는 다수의 L자형 레버 부재(190)를 가지며(도 3 및 도 4는 이들 중 하나만을 도시함), 각각의 레버 부재는 수직 가압 부재(193)와 수평 아암(194)을 갖는다. 수직 가압 부재(193)의 상단에는, 힌지(192)가 구비되며, 힌지(192) 상에는, 장착부(191)가 구비된다. 이 장착부(191)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cabinet)에 구비된다.
가압 부재(193)의 바깥쪽 표면에는 돌출된 버튼(199)이 구비된다. 아암(194)의 상단부는 인쇄 배선 회로 기판(200) 상에 위치되는 누름 버튼형 스위치(220) 상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99)을 누르면 L자형 레버 부재(190)가 힌지(192)를 지나가는 종이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 축 둘레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되며 레버 부재의 아암(194)의 상단부는 수평방향에서 이동한다. 이는 누름 버튼형 스위치(220)를 작동시킨다.
종래의 전자 장치의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기구에서, 설계를 변화하여 누름 버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183, 193) 상의 수직 방향을 따라 누름 버튼 위치를 변화시키면 작용력의 모멘트 팔(arm of moment)의 길이가 변화된다. 수평 방향을 따라 누름 버튼 위치를 변화시키면 스위치에 작용되는 작용력의 작용선(line of action)이 변화되고 레버 부재가 뒤틀린다. 결과적으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작용되는 힘이 변하고 작동감(operating feeling)이 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아암(194)의 상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측방향으로 힘을 적용하여 작동되는 길이방향형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길이방향형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평탄형(flat-type) 스위치에 비교하여 고가인 단점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레버 부재는 힌지에 의해 일단지지되는(cantilevered) 구조이고 이 부재가 성형(molding)에 의해 제조되면, 이 레버 부재는 힌지의 보다 얇은 부분에서 굽혀지기 쉽고, 결함이 있는 제품이 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버튼 위치와 이러한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장치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작동성을 갖는 누름 버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전자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고 이 버튼에 적용되는 작용력에 의해 전자 장치의 주 회로용 인쇄 배선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적용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그 일 단부가 제 1 탄성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적용되는 힘에 의해 굽혀지는 제 1 레버 부재와,
그 일 단부가 제 2 탄성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아암을 구비하는 제 2 레버 부재와,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에 연결하고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로 구부려 일어나는 변위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탄성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기구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버튼에 적용되는 작용력을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장착된 전자식 스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 기구와 전자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 부분을 구비하는 프레임형 부분을 포함하며 이 링크 기구와 프레임형 부분은 하나의 부재로부터 형성되는 링크 장치에 있어서,
그 일 단부가 제 1 탄성 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적용되는 힘에 의해 굽혀지는 제 1 레버 부재와,
그 일 단부가 제 2 탄성부분을 통해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아암을 구비하는 제 2 레버 부재와,
제 1 및 제 2 레버 부재를 연결하고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로 구부려 일어나는 변위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탄성부분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탄성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굽혀진 부분(bent portion) 또는 힌지로 불릴 수 있다.
주 회로용 인쇄 회로 기판은 이 기판의 단부가 전방 패널의 후방 표면에 밀접하거나 또는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링크 기구는 전방 패널의 버튼 수단과 인쇄 회로 기판의 스위치 수단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주 회로용 인쇄 회로 기판은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인쇄 회로 기판에 스위치 회로를 개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는 양측에 고정되고 제 1 레버 부재 및 제 2 레버 부재는 서로 다른 선회축 둘레로 회전하므로, 누름 버튼 위치가 상부에서 하부로 변하더라도 만족스러운 작동감이 얻어진다. 다른 관점에서 이를 보면, 링크 기구는 두 개의 레버 부재를 하나의 링크 부재로 링크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두 개의레버 부재의 길이를 변화시키면 버튼을 누르는 힘과 버튼을 이동시키는 행정을 미세하게 변화시키고, 만족스러운 작동감을 갖는 버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크 장치의 제 1 실시예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링크 장치의 제 2 실시예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자 장치의 전방 패널 상의 누름 버튼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기구의 전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기구의 후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과 링크 기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링크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도 7 및 도 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누름 버튼이 눌러진 도 7 및 도 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3 및 도 9의 선 B-B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도 7 및 도 9의 선 C-C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도 7 및 도 9의 선 D-D를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제 2 실시예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제 3 실시예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누름 버튼이 눌린 도 18의 제 3 실시예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의 버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도 20의 버튼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3: 조작 패널
4: 테이프 카세트 슬롯 5: 디스플레이 패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기구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인 VCR(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을 설명한다. VCR(1)은 본체(2)와, 전방 패널 즉, 조작 패널(3)을 가지며, 이 조작 패널은 테이프 카세트 슬롯(4)과, 디스플레이 패널(5)과, 누름 버튼 등을 구비한다. VCR(1)의 전방 단부의 하부에는 한 쌍의 버팀대(7-1, 7-2; leg)가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방 패널(3)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이 설명된다. 누름 버튼은 둥근 재생/정지 버튼(100)과, 버튼(100)의 반대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된 고속전진/큐 버튼(102; fast-forward/cue button)과, 되감기/리뷰 버튼(105; rewind/review button), 아래의 기록 버튼(101)과, 일시 정지 버튼(106) 등을 포함한다. 재생/정지 버튼(100)의 표면에는, 위쪽에 삼각형 그리고 아래쪽에 직사각형이 나타난다. 삼각형 부분을 누르면 재생 모드가 되고, 반면에 직사각형 부분을 누르면 정지 모드가 된다.
고속 전진/큐 버튼(102)을 정지 모드에서 누르면 고속 전진 모드가 되고, 화상을 화면에 보이지 않으면서 테이프를 빠르게 이송시킨다. 고속 전진/큐 버튼(102)을 누르면 cue 모드가 되고, 테이프는 빠르게 이송되면서 화상이 화면에 보여진다. 정지 모드에서 되감기/리뷰 버튼(105)을 누르면 되감기 모드가 되고, 화면에 화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테이프가 되감긴다. 재생 모드에서 되감기/리뷰버튼(105)을 누르면 리뷰 모드가 되고, 화면에 화상을 보이면서 테이프가 되감긴다. 전방 패널(3)에 다른 누름 버튼이 있지만,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누름 버튼의 링크 장치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링크 장치는 거의 직사각형인 프레임(7)과, 이 프레임에 배치되는 6개의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를 포함한다. 제 1 링크 부재(10)는 기록 버튼(101)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제 2 링크 부재(20)는 고속-전진/큐 버튼(102)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는 재생/정지 버튼(100)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제 5 링크 부재(50)는 되감기/리뷰 버튼(105)에 대응하여 장착되고 제 6 링크 부재(60)는 일시 정지 버튼(106)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기록 버튼(101), 고속-전진/큐 버튼(102), 되감기/리뷰 버튼(105) 및 일시 정지 버튼(106)은 제 1 내지 제 6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정지/재생 버튼(100)은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로부터 상이한 부재로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지/재생 버튼(100)의 후방 표면에는, 두 개의 돌출부(125, 127)가 제공되며, 이들 돌출부는 각각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와 접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링크 장치의 후방 표면의 구조를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제 3, 제 4, 제 5 링크 부재(20, 30, 40, 50)는 프레임(8)의 상부 부재(8-1)로부터 하부 프레임 부재(8-2)로 연장하고, 제 1 및 제 6 링크 부재(10, 60)는 측방 프레임 부재(8-3, 8-4)의 돌출부(8-3A, 8-4A)로부터 하부 프레임으로 연장한다. 이들인접한 링크 부재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링크 장치를 전자 부품의 캐비닛(3)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8)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장착부(8-11)는 상부 프레임 부재(8-1)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 2 장착부(예시되지 않음)도 하부 프레임 부재(8-2)의 상측에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된다. 측방 프레임 부재(8-3, 8-4)에는, 제 3 장착부(8-31, 8-32, 8-41, 8-42)가 각각 구비된다. 이들 장착부는 프레임(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는 직선형이 아니라 구부러진 형태이거나 또는 도중에 변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8)과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는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양호하게는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프레임(8)과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는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식 성형되어 단일 부재로 형성되며, 각각의 링크 부재의 양단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링크 부재가 얇은 벽 힌지(thin-wall hinge)를 포함하더라도, 성형 과정에서 변형 등으로 인한 결함있는 제품이 나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8)은 예시된 바와 같이, 닫힌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한 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일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선택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링크 부재의 양단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에 연결되며 이 프레임 및 프레임에 연결된 링크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각각의 링크 부재의 양단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에 지지되므로, 각각의 링크 부재는 성형 과정 중에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각각의 링크 부재의 구조가 설명된다. 우선,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 2 링크 부재(20)가 설명된다. 제 2 링크 부재(20)는 제 1 힌지(22), 제 1 레버 부재(23), 제 2 힌지(24), 커플링 부재(25), 제 3 힌지(26), T자형의 제 2 레버 부재(27), 제 4 힌지(28)를 갖는다. 제 1 내지 제 4 힌지(22, 24, 26, 28)는 예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20)의 얇은 벽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버 부재(23)는 수직 및 외부 표면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속 전진/큐 버튼(102)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전진/큐 버튼(102)은 제 1 레버 부재(2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속 전진/큐 버튼(102)은 전방 패널(3)의 개구 부분(3a)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제 1 힌지(22)와 제 4 힌지(28)는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8-1)와 하부 프레임 부재(8-2)에 각각 장착된다.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8-1)와 하부 프레임 부재(8-2)는 전방 패널(3)에 장착된다.
T자형의 제 2 레버 부재(27)는 수직 부분(27A)과 수평 아암(27B)을 가지며, 아암(27B)의 상단부는 인쇄 배선 회로 기판(200)에 장착되는 스위치(212)상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전진/큐 버튼(102)을 누르면 제 1 레버 부재(23)를 제 1 힌지(22)를 지나가는 종이 표면에 수직인 선회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제 1 레버 부재(23)의 하단부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 1 레버 부재(23)의 하단부의 이동은 커플링 부재(25)를 통해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27)에 전달된다. 이는 제 2 레버 부재(27)가 제 4 힌지(28)를 지나가는 종이 표면에 수직인 선회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 2 레버 부재(27)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212)가 작동된다.
제 1 레버 부재(23)는 반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반면, 제 2 레버 부재(27)는 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레버 부재(23)의 하단부의 이동 궤적은 제 2 레버 부재(27)의 상단부의 이동궤적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커플링 부재(25)의 양단부에는, 제 2 및 제 3 힌지(24, 6)가 구비되고, 이들 두 힌지(24, 26)의 변형에 의해, 커플링 부재(25)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25)의 이동에 의해, 두 이동 궤적 사이의 편차가 완화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가 설명된다.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는 제 1 힌지(32, 42), 제 1 레버 부재(33, 43), 제 2 힌지(34, 44), 커플링 부재(35, 45), 제 3 힌지(36, 46), T자형 제 2 레버 부재(37, 47), 제 4 힌지(38, 48)를 각각 갖는다. 제 1 내지 제 4 힌지(32, 42, 34, 44, 36, 46, 38, 48)는 예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30, 40)의 얇은 벽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버 부재(33, 43)는 전방 측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재생/정지 버튼(100)이 배치된다. 재생/정지 버튼(100)은 전방 패널(3)의 개구 부분(3B0 내에 배치된다. 제 1 힌지(32, 42)와 제 4 힌지(38, 48)는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8-1)와 하부 프레임 부재(8-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상에 구비된 장착부(8-21)는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3)에 장착될 수 있다.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37, 47)는 수직 부분(37A, 47A)과 수평 아암(37B, 47B)을 가지며, 아암(37, 47b)의 상단부는 인쇄 배선 회로 기판(200)에 장착되는 스위치(213, 214) 상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정지 버튼(100)의 전방 표면의 상측면에는, "재생"을 나타내는 삼각형이 부착되며, 하측면에는, "정지"를 나타내는 직사각형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재생/정지 버튼(100)의 뒤 표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125, 127; 도 13, 도 7; 도 14, 도 7)가 구비된다. 도 9의 x 마크는 돌출부(125, 127)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재생" 표시(삼각형)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부 돌출부(125)는 제 3 링크 부재(30)의 제 1 레버 부재(33) 위쪽에 배치되며, "정지" 표시(직사각형)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하부 돌출부(127)는 제 4 링크 부재(40)의 제 1 레버 부재(43) 위쪽에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정지 버튼(100)은 선회 축(121) 둘레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이 피벗 축(121)은 재생/정지 버튼(100)의 뒤에서 이 재생/정지 버튼(100)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즉, 종이 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런데, 스프링(129)은 선회축(121)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재생/정지 버튼(100)은 이 스프링(129)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힘을 받는다.
이제 도 13을 참조한다. 재생/정지 버튼(100)의 상측의 "재생" 표시(삼각형)를 누르면 이 재생/정지 버튼(100)을 선회축(121)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측 돌출부(125)는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3 링크 부재(30)의 제 1 레버 부재(33)는 제 1 힌지(32) 둘레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부재(33)의 하단부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 부재(33)의 하단부의 이동은 커플링 부재(35)를 통해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37)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2 레버 부재(37)는 제 4 힌지(38)를 지나는 종이 표면에 수직인 선회 축 둘레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제 2 레버 부재(37)의 아암(37B)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213)가 작동된다.
도 14를 참조한다. 재생/정지 버튼(100)의 하측의 "정지" 표시(직사각형)는 반시계방향에서 선회축(121)둘레로 재생/정지 버튼(100)이 회전되며 하측 돌출부(127)가 안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4 링크 부재(40)의 제 1 레버 부재(43)는 제 1 힌지(42) 둘레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 부재(43)의 하단부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 부재(43)의 하단부의 이동은 커플링 부재(45)를 통해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47)에 전달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2 레버 부재(47)는 제 4 힌지(48)를 지나는 종이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선회 축선 둘레를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제 2 레버 부재(47)의 아암(47B)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214)가 작동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제 1 링크 부재(10)가 설명된다. 제 1 링크 부재(10)는 제 1 힌지(12), 제 1 레버 부재(13), 제 2 힌지(14), 링크 부재(15), 제 3 힌지(16),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17), 제 4 힌지(18)를 갖는다. 제 1 내지 제 4 힌지(12, 14, 16, 18)는 예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10)의 얇은 벽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버 부재(13)는 수직으로 외측 표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록버튼(101)이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버튼(101)은 제 1 레버 부재(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록 버튼(101)은 전방 패널(3)의 개구 부분(3C)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힌지(12)는 프레임의 측방 프레임 부재(8-3)의 돌출부(8-3A)에 구비된다. 제 4 힌지(18)는 관련된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부재(8-2)에 구비된다.
제 1 링크 부재(10)의 구조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링크 부재(20)와 비교하여 종방향 길이가 더 짧으며, 제 1 힌지(12)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8-1) 대신에 측방 프레임 부재(8-3)의 돌출부(8-3A) 상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기록 버튼(101)이 고속 전진/큐 버튼(102) 대신에 제 1 레버 부재(13) 상에 장착된다는 점에서도 다르다. 그러나, 작동은 기본적으로 제 2 링크 부재(20)와 동일하다.
즉, 기록 버튼(101)이 눌리면, 제 1 레버 부재(13)는 제 1 힌지(12)를 지나는 종이 표면에 수직인 선회 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1 레버 부재(13)의 하단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 부재(13)의 하단부의 이동은 커플링 부재(15)를 통해 제 2 레버 부재(17)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 2 레버 부재(17)는 제 4 힌지(18)를 지나는 종이 표면에 수직인 선회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제 2 레버 부재(17)의 아암(17)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211)가 작동된다.
한편, 되감기/리뷰 버튼(105)에 대응하여 장착된 제 5 링크 부재(50)는 제 2 링크 부재(20)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시정지 버튼(106)에 대응하여 장착된 제 6 링크 부재(60)는 제 1 링크 부재(10)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5 링크 부재(50)와 제 6 링크 부재(6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링크 장치의 제 1 실시예에서,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는 서로 다른 제 1 내지 제 4 힌지를 지나는 선회 축 둘레에서 회전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힌지는 각각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이 실시예는 링크 부재의 제 1 레버 부재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의 작동감이 양호한 특징을 갖는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2에는, 본 실시예의 링크 기구에 포함되는 단일 링크 부재(7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70)는 제 1 힌지(72), 제 1 레버 부재(73), 제 2 힌지(74), 커플링 부재(75), 제 3 힌지(76), T자형인 제 2 레버 부재(77), 제 4 힌지(78)를 갖는다. 제 2 레버 부재(77)의 아암(77B)의 하측 표면 아래에는, 스위치(217)가 인쇄 배선 회로 기판(200)에 장착된다.
상술한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70)에 비교하여, 레버 부재(73)의 구조와 힌지의 구조에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4 힌지(72, 74, 76, 78)는 예시된 바와 같이 축(72A, 74A, 76A, 78A)을 포함하는 힌지로 설정된다. 제 1 힌지(72) 및 제 4 힌지(78)의 축(72A, 78A)은 프레임(8-1, 8-2)에 장착되지만, 이들은 캐비닛(3)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힌지의 얇은 벽 부분 대신에 힌지 축을 사용하여 보다 높은 힌지 강성도의 장점을 갖게 된다. 특히, 힌지의 비틀림 강성도가 증가한다.
제 1 레버 부재(73)는 수직 부분(73-1)과 수평 부분(73-2)을 포함하는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표면에는, 적절한 누름 버튼(107)이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캐비닛(3)의 앞쪽 표면의 오목부에 배치되는 스프링(108)에 의해 누름 버튼(107)에 복원력이 적용된다.
누름 버튼(107)은 제 1 레버 부재(73)의 수직 부분(73-1) 상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누름 버튼 상의 작용력의 작용선은 스위치(217) 상의 작용선으로부터 편향된다. 즉, 두 작용력 선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누름 버튼(107) 상에 적용되는 힘에 의해, 비틀림 력이 제 2 레버 부재(77)에 적용된다. 그러나, 힌지가 힌지 버튼(hinge butt)로 구성되므로 충분한 강성도가 제공되며, 비틀림 력이 제 2 레버 부재(77)에 작용되어도, 힌지는 변형되지 않는다. 제 1 레버 부재(73)의 수평 부분(73-2)의 길이를 변화시켜 누름 버튼(107)의 수평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8 및 도 19에서, 본 발명의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단일 링크 부재(8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80)는 제 1 힌지(82), 제 1 레버 부재(83), 탄성 부재(85), L자형 제 2 레버 부재(87), 제 2 힌지(88)를 갖는다.
상술한 링크 부재(10, 20, 30, 40, 50, 60)를 갖는 본 발명의 링크 부재(80)에 비교하여 탄성 부재(85)가 그 양 측면 상의 힌지와 커플링 부재 대신에 사용되는 힌지(82, 88)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힌지(82, 88)는박판 스프링(82A, 88A; thin plate spring)과 이 판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홈(82B, 88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힌지의 판 스프링(82A, 88A)과, 제 1 및 제 2 레버 부재(83, 87)와, 탄성 부재(8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힌지(82, 88)의 홈(82B, 88B)은 프레임(8-1, 8-2)에 구비되거나 또는 캐비닛(3)에 직접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 도면에서, 커플링 부재 전체가 탄성 부재(85)로 이루어지지만, 커플링 부재의 일부, 예를 들어 중심 부분만,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버 부재(83)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109)을 누르면 제 1 레버 부재(83)가 제 1 힌지(82)를 지나는 선회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하며, 그 변위가 탄성 부재(85)를 통해 제 2 레버 부재(87)로 전달된다. 제 2 레버 부재(87)는 제 2 힌지(88)를 지나는 선회 축 둘레로 피벗식으로 이동하고, 아암(87B)의 상단부는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아암(87B)의 상단부의 바닥 아래쪽에 배치되는 스위치(218)가 작동된다.
제 1 레버 부재(83)는 반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반면, 제 2 레버 부재(87)는 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레버 부재(83)의 하단부의 이동궤적은 제 2 레버 부재(87)의 상단부의 이동궤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두 이동궤적 사이의 편차는 제 1 레버 부재(83)가 반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반면, 제 2 레버 부재(87)는 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레버 부재(83)의 하단부의 이동궤적은 제 2 레버 부재(87)의 상단부의 이동궤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두 이동궤적 사이의 편차는 탄성 부재(85)의 변형에 의해 완충된다.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링크 부재(70, 80)는 고속 전진/큐 버튼(102) 또는 되감기/리뷰 버튼(105)을 작동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기록 버튼(101) 또는 일시 정지 버튼(106)을 작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재생/정지 버튼(100)을 작동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재생/정지 버튼(100)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재생/정지 버튼(100)은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디스크 형상인 커버 부재(150)와, 도 20C 및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부재(160)를 갖는다. 커버 부재(150)의 표면에는, "재생"을 의미하는 삼각형이 위쪽에 나타나 있고 "정지"를 의미하는 직사각형이 아래쪽에 나타나 있다. 또한, 삼각형의 위에는, 재생/정지 버튼(100)이 감촉에 의해 알 수 있도록 작은 돌출부(150A)가 구비된다. 커버 부재(150)의 후방 표면에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는 직경에 따라 배치된 두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수평 직경을 따라 배치된 제 1 쌍의 돌출부(151, 153)는 선회 축(151A, 153A)과, 이 선회 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51B, 153B)를 각각 포함한다. 수직 직경을 따라 배치된 제 2 쌍의 돌출부(155, 157)는 접촉 부분(155A, 157A)과, 견부(155B, 157B; shoulder portion)를 측면에 포함한다. 커버 부재(150)의 후방 표면에는, 제 3 쌍의 돌출부(159A, 159B)가 수평 직경을 따라 더 구비된다.
프레임 부재(160)는 커버 부재(150)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60A)를 가지며, 이 오목부의 아래쪽 표면에는, 커버 부재(150)의 제 1 및 제 2 쌍의돌출부(151, 153, 155, 157)에 대응하는 두 쌍의 개구(161, 163, 165, 167)가 구비된다. 제 1 쌍의 개구(161, 163)의 에지(edge)에는, 선회 축(151A, 153A)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162, 164; bearing portion)가 구비된다. 제 2 쌍의 개구(165, 167)에는, 이 개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부재(166, 168)가 장착된다. 스프링 부재(166, 168)는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60)의 얇은 벽부의 부분으로서 프레임 부재(1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60)의 오목부(160A)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69)가 제 1 쌍의 개구(161, 163) 사이에 더 구비된다. 이 돌출부는 커버 부재(150)가 조립 과정에서 프레임 부재(160)에 대해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부재의 제 3 쌍의 돌출부(159A, 159B)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프레임 부재(160)의 둘레에는 네 개의 갈고리부(171, 172, 173, 174; claw)가 구비되며, 이 갈고리부의 상단부에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이들 네 개의 갈고리부는 캐비닛의 대응하는 개구 부분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갈고리부의 위 두 개는 비교적 긴 반면, 아래쪽의 두 개는 비교적 짧을 수 있다. 커버 부재와 프레임 부재는 성형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재생/정지 버튼(100)은 커버 부재(150)를 프레임 부재(160)의 오목부(160A)로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다. 커버 부재(150)의 제 1 및 제 2 쌍의 돌출부(151, 153, 155, 157)는 프레임 부재(160)의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쌍의 개구(161, 163, 165, 167)에 각각 삽입된다. 선회축(151A, 153A)은 프레임부재(160)의 대응하는 지지부(162, 164)와 각각 결합된다. 커버 부재(150)의 견부(155B, 157B)는 프레임 부재(160)의 스프링 부재(166, 168)와 접촉하게 된다.
프레임 부재(160)의 돌출부(169)는 커버 부재(150)의 제 3 쌍의 돌출부(159A, 159B)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 부재(160)의 돌출부(169)는 커버 부재(150)와 프레임 부재(160) 사이에 수평방향의 상대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커버 부재(150)의 제 3 쌍의 돌출부(159A, 159B)는 프레임 부재(160)의 오목부(160A)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커버 부재(150)의 제 3 쌍의 돌출부(159A, 159B)는 커버 부재(150)와 프레임 부재(160)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선회 축(151A, 153A)과 지지부(162, 164)가 결합하면 커버 부재(150)와 프레임 부재(160)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된 재생/정지 버튼(100)은 캐비닛(3)의 개구(3B)에 삽입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50)의 제 2 쌍의 돌출부(155, 157)의 접촉부(155A, 157A)는 각각 제 3 및 제 4 링크 부재(30, 40)와 접촉하게 된다.
커버 부재(150) 표면 상의 "재생"을 의미하는 삼각형 부분을 누르면 커버 부재(150)가 선회 축(151A, 153A)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피벗식으로 회전하게 되며, 커버 부재(150)의 제 2 쌍의 돌출부 위의 돌출부(155)의 견부(155B)와 접촉부(155A)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촉부(155A)가 이동하면 제 3 링크 부재(30)가 이동하게 된다. 견부(155B)가 이동하면 스프링 부재(166)가 변형하고,커버 부재(150)는 복원력, 즉 스프링 부재(166)에 의한 반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력을 받게 된다.
커버 부재(150)의 표면의 "정지"를 뜻하는 직사각형 부분을 누르면 커버 부재(150)가 선회축(151A, 153A)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되어, 커버 부재(150)의 제 2 쌍의 돌출부 아래의 돌출부(157)의 접촉부(157A)와 견부(157B)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접촉부(157A)가 이동하면 제 4 링크 부재(40)가 이동하게 된다. 견부(157B)가 이동하면 스프링 부재(168)가 변형하게 되고, 커버 부재(150)가 복원력, 즉 스프링 부재(168)에 의한 시계방향에서 피벗식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력을 받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누름 버튼 위치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고 누름 버튼 장치의 조작성이 만족스러우며 이러한 누름 버튼 장치의 링크 장치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교적 고가인 종방향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렴한 평탄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레버 부재가 힌지에 의해 일단지지되는 구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레버 부재가 성형에 의해 제조될 때, 힌지의 얇은 벽부분에서 굽혀지고 결함있는 제품이 생기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상세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일어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9)

  1. 전자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며 이 버튼에 적용되는 작용력에 의해 전자 장치의 주 회로용 인쇄 배선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적용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그 일 단부가 제 1 탄성부분을 거쳐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적용되는 힘에 의해 굽혀지도록 적용되는 제 1 레버 부재와,
    그 일 단부가 제 2 탄성부분을 거쳐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아암을 구비하는 제 2 레버 부재와,
    제 1 레버 부재를 제 2 레버 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레버 부재를 상기 제 2 레버 부재로 구부려 일어나는 변위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탄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제 1 탄성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분은 상기 레버 부재에 홈을 제공하여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분은 상기 제 2 레버 부재에 홈을 제공하여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 부재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분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두 개의 대향 단부의 어느 하나 위에 적어도 하나의 플립(flip) 탄성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 부재는 커플링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분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적어도 일부로서 형성되는 탄성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형 부분을 갖고, 제 2 탄성 부분은 전자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 부분(fitting portion)을 구비한 상기 프레임형 부분에 링크되고, 상기 프레임형 부분은 상기 조립 부분에 의해 전자 장치에 고정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 기구는 프레임형 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버튼에 적용되는 작용력을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 전자식 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한 링크 기구와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 부분을 구비한 프레임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기구 및 상기 프레임형 부분은 하나의 부재로부터 형성되는 링크 장치에 있어서,
    그 일 단부가 제 1 탄성부분을 거쳐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적용되는 작용력에 의해 굽혀지도록 적용되는 제 1 레버 부재와,
    그 일 단부가 제 2 탄성부분을 거쳐 전자 장치에 굽힘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버튼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자식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아암을 구비하는 제 2 레버 부재와,
    제 1 및 제 2 레버 부재를 링크하고 상기 제 1 레버 부재를 상기 제 2 레버 부재로 구부려 일어나는 변위를 전달하기 위한 제 3 탄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
KR1020000074081A 1999-12-08 2000-12-07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KR100721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9905345 1999-12-08
MYPI99005345A MY122430A (en) 1999-12-08 1999-12-08 Electronic equipment and transmission device of button device us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272A true KR20010070272A (ko) 2001-07-25
KR100721693B1 KR100721693B1 (ko) 2007-05-28

Family

ID=1974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081A KR100721693B1 (ko) 1999-12-08 2000-12-07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70111B2 (ko)
JP (1) JP4401552B2 (ko)
KR (1) KR100721693B1 (ko)
CN (1) CN1216390C (ko)
MY (1) MY1224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44B1 (ko) * 2009-08-28 2009-11-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문 잠금장치의 누름버튼용 보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503A1 (de) * 2001-08-30 2003-03-2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Elektrisches Küchengerät
JP3090037U (ja) * 2002-05-16 2002-11-22 船井電機株式会社 操作ボタン一体式フロントパネル
JP3838170B2 (ja) * 2002-07-08 2006-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構造
JP2004103490A (ja) * 2002-09-12 2004-04-02 Orion Denki Kk 電気機器の操作ボタン取付け構造
JP2004259537A (ja) * 2003-02-25 2004-09-16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押しボタンユニット
FI115330B (fi) * 2003-06-13 2005-04-15 Nokia Corp Näppäimistö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7247807B2 (en) * 2003-07-07 2007-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tton having stiffer vertical motion and reduced lateral motion
US6867384B1 (en) * 2003-09-19 2005-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apparatus
JP3871136B2 (ja) * 2003-10-03 2007-01-24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202004007733U1 (de) * 2004-05-11 2005-09-22 Schwarzbich, Jörg Bedienungstafel
JP4218605B2 (ja) * 2004-07-21 2009-0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5257B1 (ko) * 2004-07-22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US6984793B1 (en) * 2004-07-27 2006-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directional switch actuato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the same
DE102004049435B4 (de) * 2004-10-08 2006-11-16 Zf Friedrichshafen Ag Taste mit Seilzug
JP2006210191A (ja) * 2005-01-28 2006-08-10 Orion Denki Kk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221845A (ja) * 2005-02-08 2006-08-24 Funai Electric Co Ltd 面押しボタン及び電子機器
JP2006278248A (ja) * 2005-03-30 2006-10-12 Orion Denki Kk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EP1729314A3 (de) * 2005-05-31 2008-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schalteranordnung
CN2886781Y (zh) * 2006-02-10 2007-04-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按键模组结构
CN2909350Y (zh) * 2006-04-05 2007-06-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面板组合
JP4695036B2 (ja) * 2006-07-26 2011-06-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スイッチ構造および電子機器
US7256363B1 (en) * 2006-09-18 2007-08-14 Lear Corporation Intermediate switch actuator array
US7381919B1 (en) * 2007-02-22 2008-06-03 Inventec Corporation Lever button of electronic product
CN101312099B (zh) * 2007-05-25 2011-05-25 Tcl新技术(惠州)有限公司 与机箱塑胶面板一体化的按键机构
JP2009043100A (ja) * 2007-08-09 2009-02-26 Fujitsu Ltd 媒体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EP2225766A1 (de) * 2007-12-14 2010-09-08 3be Berliner Beratungs- Und Beteiligungs-Gmbh Schalter
CN201156481Y (zh) * 2007-12-27 2008-1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钮装置
CN101527214B (zh) * 2008-03-07 2011-02-16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键结构及具有该键结构的电子装置
CN101651053A (zh) * 2008-08-15 2010-02-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侧键组件及应用该侧键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CN101668396B (zh) * 2008-09-02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按键组合
JP2011086536A (ja) * 2009-10-16 2011-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押しボタン組立構造
DE102010027799A1 (de) * 2010-04-15 2011-10-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sowie Hausgerät mit einer Bedienvorrichtung
JP5084975B2 (ja) * 2010-06-25 2012-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構造
US8417303B2 (en) 2010-07-09 2013-04-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case
CN102683069B (zh) * 2011-03-08 2015-03-1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110536B (zh) * 2011-03-10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动式开关按键及具有该触动式开关按键的电子装置
DE102014214982A1 (de) 2014-07-30 2016-02-04 Robert Bosch Gmbh Elektrowerkzeugmaschine
CN205542535U (zh) * 2016-02-29 2016-08-31 欧姆龙株式会社 电子产品的按键结构及电子产品
KR102509067B1 (ko) * 2016-04-08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그것의 입력 센싱 모듈 및 사용자 인증방법
CN109599285A (zh) * 2017-09-30 2019-04-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按键结构及电子设备
CN108281307A (zh) * 2018-03-14 2018-07-13 沈春根 一种开关机构
CN108597935B (zh) * 2018-07-11 2024-04-05 中山市狮盾电气有限公司 一种纤薄型面板开关结构
CN111564332B (zh) * 2019-10-08 2023-02-24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复合式按键结构及应用其的无线电子装置
CN112273892B (zh) * 2020-10-26 2022-01-14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蜂巢式药品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2584A (en) * 1968-08-19 1971-06-01 Nibot Corp Electrical switch having integral plastic parts
US3582594A (en) * 1968-11-15 1971-06-01 Mechanical Enterprises Inc Actuator useable for electric switches and the like
US4877925A (en) * 1987-10-23 1989-10-31 Clarion Co., Ltd. Multi-stage push button switch device
KR100207699B1 (ko) * 1996-10-30 1999-07-15 윤종용 휴대용 오디오 로직데크의 이젝트장치
US6002093A (en) * 1998-08-21 1999-12-14 Dell Usa, L.P. Button with flexible cantilever
US6215081B1 (en) * 1998-08-31 2001-04-10 Brigham Young University Bistable compliant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44B1 (ko) * 2009-08-28 2009-11-30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식 문 잠금장치의 누름버튼용 보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70111B2 (en) 2003-05-27
JP4401552B2 (ja) 2010-01-20
MY122430A (en) 2006-04-29
CN1305204A (zh) 2001-07-25
KR100721693B1 (ko) 2007-05-28
JP2001176350A (ja) 2001-06-29
US20010003325A1 (en) 2001-06-14
CN1216390C (zh)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0272A (ko) 전자 장치 및 그 안에 사용되는 버튼 장치의 전동 장치
EP0703401B1 (en) Panel unit swing mechanism
KR100231679B1 (ko) 펜타그래프형 키보드스위치
KR20120080182A (ko) 휴대형 전자기기
US6393165B1 (en) Touch pad module for controlling a cursor
US20030085325A1 (en) Electronic appliance
US6147314A (en) Button pivot bar
US5669487A (en) Key top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ular switch
US6538222B2 (en)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H0898071A (ja) ビデオカメラ
JP2002501656A (ja) 改良された押しボタン構造を有する装置
CN113168986B (zh) 交互转换开关以及电子设备
JPH1173840A (ja) スイッチ
KR20050041274A (ko)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단말기
JP4633849B1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717171Y2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操作部
JP4502789B2 (ja) 被操作部材を具えた機器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JPS6010035Y2 (ja) 操作釦ユニット
KR200339957Y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251568A (ja) スイッチ装置
JP4320877B2 (ja) 電子機器
JP519921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84655Y2 (ja) 電子機器の釦操作部の構造
JPS605595Y2 (ja) スイツ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