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240A - 플러그-인 콘택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콘택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40240A KR20010040240A KR1020007002447A KR20007002447A KR20010040240A KR 20010040240 A KR20010040240 A KR 20010040240A KR 1020007002447 A KR1020007002447 A KR 1020007002447A KR 20007002447 A KR20007002447 A KR 20007002447A KR 20010040240 A KR20010040240 A KR 200100402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contact
- guide member
- plug hous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금속 스트립으로 제작되며, 핀형 콘택트부(12)와 전기 라인(18)을 접속하는 접속부(16)로 구성되는 플러그-인 콘택트(10)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부(14)는 콘택트부(12)와 접속부(16) 사이에 배열된다. 가이드부(14)는 삼각단면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부(14)의 플랫측은 금속 스트립의 초기 레벨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된다.
Description
연결하려는 선에 사용하기 위한 크림프 연결부(crimp connection)를 가지는 플러그-인 콘택트들이 공지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핀 형상의 플러그-인 콘택트들, 즉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를 가지는 플러그-인 콘택트들 역시 공지되어 있다. 이때, 마찬가지로 크림프 결합을 이용한 연결선의 연결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약 0.4 mm2의 작은 핀 횡단면을 가지는 핀 형상의 플러그-인 콘택트들은 지금까지 대개 스테이지-밀링 가공된 띠(stage-milled tape)로 제조되거나 또는 2개 부재로서 솔리드 핀(solid pin) 및 이것과 연결되어 시트(sheet)로 만들어진 전선용 연결 부재로 제조되었다.
이런 제조법은 시간 및/또는 소재라는 관점에서 추후 비용을 초래하지만, 이 비용은 요구되는 플러그-인의 안전성 및 휨 강도라는 관점에서는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에의 내장(built-in)이 일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의 플러그-인 콘택트들은 그 외에도 부가의 로킹 마크(locking mark)와 다른 고정 수단들을 구비하여야, 이들은 이의 위치를 내장된 상태에서 변함없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와 전선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를 가지는, 금속 스트립으로 제작된, 일체형 부재의 플러그-인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콘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플러그-인 콘택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플러그 하우징의 종단면도 및 그 안에 삽입된 2개의 플러그-인 콘택트들이고,
도 3은 선 III-III을 따라 절개한 콘택트 부재의 횡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다른 실시예의 플러그-인 콘택트의 여러 모습들이다.
이런 종래 기술에서 시작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상의 안전성이 동일함에도 더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전술한 종류의 플러그-인 콘택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성들은 상기 종속항들의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콘택트 부재와 연결 부재 사이에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배열되고, 이 가이드 부재는 3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되며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평면은 최초의 스트립 평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인 콘택트의 일정한 정렬은 플러그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상기 가이드 부재의 3각의 기하학적 형상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평면 소재(flat material)로 만들어진 플러그-인 콘택트의 합목적적인 구성에 상응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가 최초의 금속 스트립의 중심 축에서 제1각도로 굽혀있는 2개 탭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 탭들은 제2각도로 서로 대칭적으로 굽혀 있으므로, 그의 종방향 에지들이 맞닿아 평평한 덮개 면을 형성한다.
이 평평한 덮개 면은 이를 위해 이용된 시트 스트립의 최초의 스트립 평면과 마주하며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를 강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이 플러그-인 콘택트는 변형 경화(strain hardening)로 인한 높은 강도를 얻으므로, 소재의 필요 횡단면은 제조 상의 이유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각도는 60°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20°가 되며, 상기 제2각도는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에서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의 특징은, 상기 가이드 부재가 정지부로서 이용되는 탭 형상의 2개의 돌출부들을 연결부 쪽에서 갖는다는 것이다. 탭 형상의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언급한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할 때,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를 위한 정지부로서 이용되므로, 이것은 그 안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효과를 지지(support)하기 위해, 탭 형상의 돌출부들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박스 부재에 의해 압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는 대략 횡단면이 동일한 2개의 일부 탭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종축에서 180°정도 대칭적으로 굽혀지며 폐쇄된 횡단면을 형성하여 기밀하게 인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정면의 단부에 첨두가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는 상기 첨두로부터 연결 부재에 걸치는 공동의 만곡선(bending line)을 가지므로, 이 휨 가공이 다른 플러그-인 콘택트에 비해 상당히 단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와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박스부(box part)가 최초의 스트립 평면에 마주하는 쪽에서 반쪽의 리세스를 갖는다.
이 리세스는 대략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절반의 길이에 배열된다. 그 외에도 상기 리세스의 정면 쪽들은 원래의 박스부의, 상기 덮개 면을 형성하는 탭들로부터 아래를 향해 굽혀진 제1덮개에 의해 연결부 쪽에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를 향한 박스 부재의 정면은 콘택트 부재로의 전이부에서 마찬가지로 횡단면 상으로 동일한 제2덮개를 이용해 제한받으며, 이 경우 상기 제1덮개 및 제2덮개는 레일 또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두 주걱과 비슷하게 플러그 하우징에 플러그-인 콘택트를 삽입하고 로킹할 때 도입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의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부재에 이웃하는 전방 콘택트 부재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는 상기 리세스를 향한 정면 에지는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가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하우징을 이용해 고정하기 위한 정지부 에지로서 제공된다. 그 안에서 이것은 마찰 결합(friction connection) 및 형상 정합(form-fit)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에 제공되는 플러그 하우징의 특징은 이것이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콘택트를,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플러그-인 콘택트를 수용하며 제공된 각각의 플러그-인 자리는 할당된 플러그-인 콘택트과 함께 기능하는 로킹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병렬로 배열된 플러그-인 콘택트들을 가지는 핀 가이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유리한 구성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이용해 상술된다.
도 1에는 위에서 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콘택트(10)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의 본질적인 특징들이 잘 파악될 수 있다.
가느다란 플러그-인 콘택트(10)는 정면 쪽에서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12)를 가지며, 이것은, 도 3에 도시된 단면도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3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중앙에 배열된 가이드 부재(14)와 연결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크림프 연결부(crimp connection)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된 예에서 도전체(18)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16)가 상기 가이드 부재(14)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10)가 스탬핑-벤딩부(stamping-bending part)로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만들어지며, 이 경우 이 금속 스트립의 폭은 상기 가이드 부재(14)에 대한 소재(material)의 필요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가이드 부재(14)는 대략 그 절반의 길이에서 하나의 리세스를 가지며, 이것은 높이 면에서 대략 절반의 높이를 가지며 길이 면에서 대략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길이의 1/3이 되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14)는 전방의 그리고 후방의 박스 가이드(box guide)(14.1, 14.2)로 분할한다.
도 2에 도시된, 할당된 플러그 하우징(22)에서 판 스프링의 형상으로 하우징 웨브(23)에 형성된 탄성의 로킹 돌출부(elastic locking projection)(24)가 상기 리세스와 형상 정합(form-fit)을 하며 그런 면에서 확실하게 그 안에 고정되므로, 이 플러그-인 콘택트(10)는 그 상태에서 고정된다.
조립 시에 형상 정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20)는 상기 연결 부재(16)를 향한 후방 단부에서 그리고 가이드 부재(14)는 콘택트 부재(12)로의 전이부에서 일정한 각을 가지는 제1덮개 및 제2덮개(26, 27)를 이용해 커버되어 있으며, 이 제2덮개는 부가적으로 축 방향 정지부로서도 이용된다.
이때, 이 리세스(20)의 반대 쪽 제한 에지(limiting edge)는 로킹 돌출부(24)를 위한 정지부 에지(28)로서 이용된다.
하우징 웨브(23)에 탄성의 로킹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 웨브(23)는 플러그-인 콘택트과 대면하는 일정한 각의 로킹 에지(30)를 가지며, 이것은 연결 부재(16)와 가이드 부재(14)의 전이 영역에서 플러그-인 콘택트(10)에 형성된 정지부 탭(32)과 함께 작용한다.
3개의 부분 영역들 모두에,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콘택트(10)의 콘택트 부재(12)에, 가이드 부재(14)에 그리고 연결 부재(16)에 공통인 점은 이들이 처음의 스트립 평면(original strip level)으로부터 위를 향해 굽혀져 있다는 것이다.
이때 정면 쪽의, 즉 접촉 부분에 위치하는, 뾰족한 콘택트 부재(12) 및 상기 연결 부재(16)의 일부 역시 상기 가이드 부재(14)에 비해 더 협소한 금속 스트립 영역으로부터 제조되는 반면, 이 가이드 부재는 펼쳤을 때 최대의 폭을 갖는다.
핀 형상의 뾰족한 콘택트(12)은 동일한 폭의 2개의 탭으로 이루어져 이 중심 선에서 180°정도 위를 향해 굽혀 있으므로, 양 탭들은 간격없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술된 스탬핑 가공에 따라 상기 콘택트 부재(12)가 앞에서 첨두를 갖는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처음의 스트립 평면에서 3각형 첨두를 가지며 그 반대 쪽에서 밑면을 가지는 동일 레그의 3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 3각형 첨두로부터 시작하는 레그들은 대략 120°의 각을 형성하는 반면, 이 레그들 각각과 상기 밑면 사이에서는 대략 30°의 각이 형성된다.
도 1에서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 형상의 첨두 콘택트과 상기 가이드 부재는 공동의 만곡선(bending line)을 가지므로, 이 플러그-인 콘택트의 제조 공정이 상당히 단순화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6)는 종래와 같이 도전체 연결부(16.1)와 절연 연결부(16.2)를 가지는 크림프 연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전체 연결부(16.1)는 벗겨진 도전체 와이어와 함께 기능하며, 이것은 여기에 클램프되어 그와 접촉하며, 절연 연결부(16.2)에 절연된 도전체의 절연 영역이 수용되어 클램프되고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콘택트의 다른 예가 여러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알고 있는 도면 부호들은 이미 설명한 부재들을 다시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른 플러그-인 콘택트에는 제1덮개 및 제2덮개(26, 27)가 빠져 있다(비교 여기서는 특히 도 1)
도 4a의 크기 정보를 이용해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지가 분명해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24.4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를 통과하는 공동의 만곡선(B)과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적어도 거의 3각형의 횡단면 형상이 도 4d의 사시도로부터 파악된다.
Claims (18)
- 핀 형상으로 형성된 콘택트 부재(12)와 전선(18)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16)를 가지는, 금속 스트립을 이용해 일부재로 만들어진 플러그-인 콘택트(10)에 있어서,상기 콘택트 부재(12)와 상기 연결 부재(16) 사이에 하나의 가이드 부재(14)가 배열되며, 이 가이드 부재(14)는 3각형의 횡단면인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부재(14)의 평면 쪽은 상기 최초의 스트립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가 상기 최초의 금속 스트립의 중심선에서 제1각도를 가지고 꺽여있는 2개의 탭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탭들은 제2각도로 서로 대칭적으로 굽혀져 있으므로, 이의 종 방향 에지들이 맞닿으며, 덮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이 60°와 12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120°가 되며, 상기 제2각이 각각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가 정지부 탭(32)으로서 이용되는 탭 형상의 2개의 돌출부(32)들을 연결부 쪽에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탭 형상의 돌출부들이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박스 부재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재(14)가 상기 최초의 스트립 평면의 반대 쪽에서 반쪽의 리세스(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0)는 상기 가이드 부재(14)를 전방의 박스 가이드(14.1)와 후방의 박스 가이드(14.2)로 분할하는 대략 절반의 길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덮개(26)들은 원래의 박스 부재(14.1, 14.2)의, 덮개면을 형성하는 탭들로부터 굽혀있으며, 상기 리세스(20)의 정면들이 덮개(26)들에 의해 연결부 쪽에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형상 콘택트 부재(12)는 대략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제1의, 2개의 부분 탭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종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폐쇄된 횡단면이 되도록 굽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만곡선은 가이드 부재(14)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핀 형상의 콘택트 부재를 향한 박스 부재의 정면은 상기 콘택트 부재 쪽으로의 전이부에서 대략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제2덮개(27)를 이용해 커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탭 및 제2탭(26, 27)은 플러그 하우징 안으로 삽입 시에 도입 수단으로서 레일 형상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0)를 향해 있는, 상기 콘택트 부재(12)에 이웃하는 전방 박스 부재(14.1)의 정면 에지가 정지부 에지(28)로서 플러그 하우징(22)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콘택트.
-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10)가 삽입되는, 상기 항들 중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콘택트(10)에 사용되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 플러그 하우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콘택트(10)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에서 마찰 결합과 형상 정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하우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콘택트(10)가 플러그 하우징(22) 안에 로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하우징.
-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콘택트(10)과 함께 기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돌출부(24)가 플러그 하우징(22)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하우징.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플러그-인 콘택트들(10)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22)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하우징.
-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한 항에 있어서,상기 플러그 하우징(22)이 병렬로 배열되어 있는 플러그-인 콘택트들을 가지는 핀 가이드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739501.5 | 1997-09-09 | ||
DE19739501 | 1997-09-09 | ||
PCT/DE1998/002150 WO1999013533A1 (de) | 1997-09-09 | 1998-07-29 | Steckkontak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0240A true KR20010040240A (ko) | 2001-05-15 |
Family
ID=784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2447A KR20010040240A (ko) | 1997-09-09 | 1998-07-29 | 플러그-인 콘택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217379B1 (ko) |
EP (1) | EP1012914A1 (ko) |
JP (1) | JP2001516937A (ko) |
KR (1) | KR20010040240A (ko) |
WO (1) | WO19990135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4221B2 (ja) * | 2002-04-18 | 2006-08-23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雄側端子金具 |
JP4381895B2 (ja) * | 2004-06-09 | 2009-12-0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とコネクタ付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
US7448901B2 (en) * | 2006-12-22 | 2008-11-1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urface mount poke-in connector |
JP5359975B2 (ja) | 2010-04-07 | 2013-12-04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US8979602B2 (en) * | 2010-08-20 | 2015-03-17 |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 Electrical male terminal |
JP5829911B2 (ja) * | 2011-12-28 | 2015-12-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JP5833436B2 (ja) * | 2011-12-28 | 2015-12-1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DE102013222143A1 (de) * | 2013-10-30 | 2015-04-30 | Tyco Electronics Amp Gmbh |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und Anordnung umfassend ein Kontaktelement |
CN108155502B (zh) * | 2016-12-06 | 2024-04-30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连接端子及连接器 |
JP6544412B2 (ja) * | 2017-11-22 | 2019-07-17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
JP6911727B2 (ja) * | 2017-11-22 | 2021-07-28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
CN110896179B (zh) | 2018-09-13 | 2021-03-30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导电端子 |
JP7052736B2 (ja) * | 2019-01-08 | 2022-04-12 | 住友電装株式会社 | 内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端子 |
US11626671B2 (en) | 2019-08-29 | 2023-04-11 | J.S.T. Corporation | Electrical male terminal |
US11831118B2 (en) | 2019-08-29 | 2023-11-28 | J.S.T. Corporation | Electrical male terminal |
US11043766B2 (en) * | 2019-08-29 | 2021-06-22 | J.S.T. Corporation | Electrical male terminal, and methods for connecting thereof |
DE102020121969A1 (de) | 2020-08-21 | 2022-02-24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riegelungszone für ein Steckkontakt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90231A (en) * | 1978-06-28 | 1983-06-28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Blade terminal with protected latch tangs |
US4846739A (en) * | 1987-12-08 | 1989-07-11 | Interconnect Devices, Inc. | Gas impervious crimp connection |
DE3804977A1 (de) * | 1988-02-18 | 1989-08-31 | Daut & Rietz Trw | Flachkontaktfeder fuer stecker von elektrischen steckverbindern |
JP2528107Y2 (ja) * | 1991-08-21 | 1997-03-05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金具 |
US5207603A (en) * | 1992-06-02 | 1993-05-04 | Molex Incorporated |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
US5281178A (en) * | 1992-10-26 | 1994-01-25 | Yazaki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with feature for increased contact area |
DE9417197U1 (de) * | 1994-10-26 | 1995-03-02 | Siemens AG, 80333 München | Kontaktorgan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
US5520553A (en) * | 1994-12-08 | 1996-05-28 | Molex Incorporated | Connector with a front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
JP2852497B2 (ja) * | 1995-03-16 | 1999-02-03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電気コネクタ |
DE19513590C2 (de) * | 1995-04-10 | 2002-01-24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Flachstecker |
JP3202561B2 (ja) * | 1995-11-17 | 2001-08-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雄型端子金具 |
JP3177144B2 (ja) * | 1996-02-14 | 2001-06-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雄型端子 |
JP3478010B2 (ja) * | 1996-07-26 | 2003-12-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雄側端子金具 |
-
1998
- 1998-07-29 WO PCT/DE1998/002150 patent/WO1999013533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7-29 JP JP2000511212A patent/JP2001516937A/ja active Pending
- 1998-07-29 US US09/508,474 patent/US621737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29 EP EP98945052A patent/EP1012914A1/de not_active Ceased
- 1998-07-29 KR KR1020007002447A patent/KR200100402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1999013533A1 (de) | 1999-03-18 |
JP2001516937A (ja) | 2001-10-02 |
EP1012914A1 (de) | 2000-06-28 |
US6217379B1 (en) | 2001-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40240A (ko) | 플러그-인 콘택트 | |
US7377803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 |
US6475040B1 (en) |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to mate with round and rectangular pins | |
US4540235A (en) | Double flat spring contact provided with an over-spring | |
US6439935B2 (en) | Female terminal fitting | |
JPS5924506B2 (ja) | 電気端子 | |
WO1989003129A1 (en) |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 |
US5683267A (en) | Electrical contact element | |
US20050054247A1 (en) |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 |
US4350405A (en) | Connector for insulated electric conductors | |
JPS58169879A (ja) | 電気ソケツト端子 | |
JPH04218282A (ja) | コネクタ | |
US4331376A (en) | Electric connectors | |
JP2821335B2 (ja) | 電気端子 | |
US6283774B1 (en) | Hot-line plug terminal | |
KR900008278B1 (ko) | 전기 리셉터클 | |
JPH09213432A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 |
JPH0338706B2 (ko) | ||
JP3523030B2 (ja) | 端子構造 | |
KR100401902B1 (ko) | 콘택스프링 | |
US6109981A (en) | Socket contact | |
JP2850109B2 (ja) | 接続用端子 | |
US6383038B2 (en) | Connector | |
JP2997177B2 (ja) | 回路基板挿入型電気コネクタ | |
JPS59228378A (ja) | 電気的接触子及びプラグ用ソケツ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