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5285A -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285A
KR20000055285A KR1019990003820A KR19990003820A KR20000055285A KR 20000055285 A KR20000055285 A KR 20000055285A KR 1019990003820 A KR1019990003820 A KR 1019990003820A KR 19990003820 A KR19990003820 A KR 19990003820A KR 20000055285 A KR20000055285 A KR 2000005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ater
washing
drainag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285A/ko
Publication of KR2000005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브내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및 헹굼 후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터브내에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수위까지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에서 세탁수가 배수되는 시간을 카운터하는 배수시간카운터단계와, 상기 배수시간카운터단계에서 카운터한 배수시간을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배수시간과 비교판단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별하는 거품과다판별단계와, 상기 거품과다판별단계에서 거품의 과다발생이라고 판별되면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상기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로 이루어져, 세탁/헹굼 후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배수시간을 카운터하거나 정상탈수 진입시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거품의 과다발생시에는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거품을 정상배수시키므로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BUBBLE EXCLUSION METHOD OF DRUM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으로 생긴 낙차에 의해 세탁, 헹굼, 탈수, 건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헹굼 후 배수시간과 정상 탈수시 수위데이터에 의해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세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 세제통(3)과 조작부(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뒷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도전과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를 급수하도록 온·냉급수밸브(7,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내에는 터브(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브(9)내에는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도록 고속회전하는 드럼(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브(9)의 전면에는 상기 드럼(11)에 세탁물을 넣고 꺼낼 때 개폐되는 도어(13)를 결착하도록 격판(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브(9)의 전면에는 세탁 및 탈수시 상기 드럼(11)의 고속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는 균형추(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격판(15)의 상단에는 세탁물의 건조행정시 건조공기를 유입하도록 에어밴트(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밴트(17)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는 건조히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히터(21)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히터(21)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상기 격판(15)을 거쳐 상기 드럼(11)으로 송풍하는 팬모터(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브(9)의 외주면에는 터브(9)내로 유입된 상기 건조히터(21)의 고열에 의한 건조공기를 응축하도록 냉수를 공급하는 콘덴싱호스(2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터브(9)의 하측에는 상기 드럼(11)을 정역회전시키기위한 동력발생수단인 3상유도모터(27;이하, 모터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뒷면하단에는 상기 터브(9)내의 세탁수를 도시하지 않은 배수호스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하부에는 상기 터브(9)에서 유출되는 잔수 및 오물등의 세탁찌꺼기에 의해 상기 배수펌프(29)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으로 인해 상기 배수펌프(29)의 작동이 불가할 경우 세탁수를 배수하는 필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11)은 그 전표면에 세탁물이 상기 드럼(11)내에서 뒹굴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터브(9)내의 세탁수가 드럼(11)내로 유동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럼(11)의 내부에는 서로 120°씩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세탁물을 끌어 올리면서 낙하시켜 빨래방망이 기능을 하는 수류조절부재(11b)가 결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가 드럼(11)내에 세탁물(의류)을 투입한다음, 조작부(5)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삶는 온도, 세탁코스, 건조시간 등)을 입력하고 동작버튼을 온시키면,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온·냉급수밸브(7,8)를 통해 터브(9)내에 급수된다.
상기 터브(9)내에 세탁수가 급수되면, 모터(27)의 구동에 따라 드럼(11)이 좌우반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세탁물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 세탁물에 흡착된 때나 이물질 등을 분리시켜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드럼세탁기에 있어서는, 헹굼 후의 정상탈수시에 탈수RPM(회전수)이 상승함에 따라 세탁물이 잔류하던 수분/세제거품이 일시에 배수펌프(29)로 배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제를 표준량 이상으로 사용하거나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세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거품이 배수펌프(29)에 의해 배수되는 양보다 많이 발생하여 드럼세탁기의 전면(예를들면, 세제통 등)으로 거품이 누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헹굼 후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배수시간을 카운터하거나 정상탈수 진입시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거품의 과다발생시에는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거품을 정상배수시키므로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은, 터브내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및 헹굼 후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터브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수위까지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에서 세탁수가 배수되는 시간을 카운터하는 배수시간카운터단계와, 상기 배수시간카운터단계에서 카운터한 배수시간을 제어수단이 기설정된 기준배수시간과 비교판단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별하는 거품과다판별단계와, 상기 거품과다판별단계에서 거품의 과다발생이라고 판별되면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상기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은, 터브네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및 헹굼 후 상기 터브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에서 세탁수가 배수완료되면 모터를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간헐탈수공정을 수행하는 간헐탈수단계와, 상기 간헐탈수단계에서 간헐탈수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를 고속회전시켜 정상탈수행정을 수행하는 정상탈수단계와, 상기 정상탈수시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와,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수위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별하는 거품과다판별단계와, 상기 거품과다판별단계에서 거품의 과다발생이라고 판별되면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상기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제어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8 : 온·냉급수밸브 9 : 터브
11 : 드럼 27 : 모터
29 : 배수펌프 104 : 제어수단
106 : 급수밸브구동수단 110 : 모터구동수단
112 : 배수펌프구동수단 114 : 표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드럼세탁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에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삶는 온도, 세탁코스, 건조시간 등)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한 조작부(5)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드럼세탁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04)은 세탁/헹굼 후 거품의 양에 다라 변화하는 배수시간을 카운터하여 기설정된 기준배수시간과 비교하거나 또는 정상탈수 진입시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수위데이터와 비교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거품의 과다발생시에는 정상탈수행정을 바로 수행하지 않고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그리고, 급수밸브구동수단(106)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를 터브(9)내에 급수하도록 온·냉급수밸브(7,8)를 구동제어하고, 수위감지수단(108)은 상기 터브(9)내에 세탁수가 급수됨에 따라 또는 정상탈수 진입시 거품의 양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면 수위센서내부에 있는 주파수 발진회로의 주파수가 변환되는 원리를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또한, 모터구동수단(110)은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도록 모터(27)를 정역회전제어하고, 배수펌프구동수단(112)은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터브(9)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펌프(29)를 구동제어한다.
또, 표시수단(11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되는 세탁조건과 운전상태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드럼세탁기의 이상발생시에 에러(거품 과다발생)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품제거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 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3a 및 도 3b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드럼세탁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드럼세탁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에서는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드럼세탁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스텝S1에서는 사용자가 드럼(11)내에 세탁물(부하)을 투입하고,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삶는 온도, 세탁코스, 건조시간 등)을 입력한다음 동작버튼을 온시키면, 스템S2에서 제어수단(104)은 드럼(11)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세탁수를 터브(9)내에 급수하도록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킴으로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세탁부가 터브(9)내에 급수된다.
이때, 스텝S3에서는 상기 온·냉급수밸브(7,8)의 개방에 따른 급수동작에 의해 상승되는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04)에 출력하는데, 이는 세탁수가 공급됨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면 수위센서 내부에 있는 주파수 발진회로의 주파수가 낮아지는 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어서, 스텝S4에서는 상기 수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제어수단(104)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수위(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세탁수위)까지 급수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설정수위까지 급수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 는 상기 스텝S2로 복귀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하여 급수를 계속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4에서의 판별결과, 설정수위까지 급수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급수밸브구동수단(106)을 제어하여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키고, 모터(27)를 구동시키도록 모터구동수단(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AC입력단으로부터 모터(27)에 교류전류가 공급되어 모터(27)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면서 드럼(11)이 좌우반전되어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되므로 드럼(11)내부의 세액이 부하에 흡수되어 세탁수위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설정수위보다 낮아지는데, 이때 낮아지는 세탁수위에 따른 주파수증가량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스텝S6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모터(27)가 좌우반전되는 시간을 내장된 카운터에 의해 카운터하여 일정시간(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모터(27)를 좌우교반시키면서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모터구동수단(110)를 제어하며 모터(27)의 좌우교반을 정지시킨 후, 이때의 수위변화량을 감지하여 세탁물의 양(부하량)을 판단한다음 부하량에 적합한 세탁시간, 수류시간, 헹굼회수, 세탁수량 및 탈수시간 등을 결정한다.
이어서, 스텝S8~S9에서 제어수단(104)은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켜 터브(9)내에 세탁수를 결정된 세탁수량만큼 급수완료한 후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킨다음 모터(27)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27)이 구동에 따라 드럼(11)이 좌우반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세탁물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 세탁물에 흡착된 때나 이물질 등을 분리시켜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고, 스텝S10에서 제어수단(104)은 세탁 및 헹굼시 터브(9)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도록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배수펌프(29)을 구동시킴으로서 터브(9)내에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호스(도시안됨)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스텝S11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배수펌프(29)가 구동되어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시간을 내장된 카운터에 의해 카운터하기 시작하고, 스텝S12에서는 상기 배수펌프(29)의 구동에 따른 배수동작에 의해 낮아지는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이는, 세탁수가 배수됨에 따라 압력이 하강하면 수위센서 내부에 있는 주파수 발진회로의 주파수가 높아지는 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배수수위까지 배수되었는지를 판별하여, 배수수위까지 배수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1로 복귀하여 배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배수펌프(29)를 구동하여 배수를 계속하면서 스텝S1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배수수위까지 배수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카운터한 배수시간이 기설정된 기준배수시간(Ts) 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3에서의 판별결과, 배수시간이 기준배수시간(Ts) 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많은 양의 거품으로 인하여 배수시간이 정상조건보다 길어졌다고 판단하여 스텝S1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기위해 터브(9)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킴으로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세탁수가 터브(9)내에 급수된다.
상기 터브(9)내에 세탁수가 급수완료되면, 스텝S1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키고, 모터(27)를 구동시키도록 모터구동수단(1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모터(27)를 회전시킴으로서 드럼(11)이 좌우반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세탁물에 물리적이 힘이 가해져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거품을 분리시키는 헹굼이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27)의구동에 따라 헹굼이 이루어지면, 스텝S16으로 나아가서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배수펌프(29)를 구동시킴으로서 터브(9)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가 완료되면, 스텝S17에서 모터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27)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드럼(11)이 고속회전하면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가 이루어지고, 스텝S1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드럼세탁기의 다음행정을 수행한다음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스텝S13에서의 판별결과, 배수시간이 기준배수시간(Ts) 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거품이 적거나 없어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된다고 판단하여 스텝S19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탈수행정을 수행한다음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탈수행정을 수행한다음 상기 스텝S18로 나아가서 스텝S1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거품제거방법에 대하여 도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4a 및 도 4b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드럼세탁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드럼세탁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스텝S21에서는 사용자가 드럼(11)내에 세탁물(부하)을 투입하고,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원하는 세탁조건(세탁종류, 삶는 온도, 세탁코스, 건조시간 등)을 입력한다음 동작버튼을 온시키면, 스텝S22에서 제어수단(104)은 드럼(11)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세탁수를 터브(9)내에 급수하도록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킴으로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세탁수가 터브(9)내에 급수된다.
이때, 스텝S23에서는 상기 온·냉급수밸브(7,8)의 개방에 따른 급수동작에 의해 상승되는 수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이어서, 스텝S24에서는 상기 수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제어수단(104)에 기설정된 설정수위까지 급수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설정수위까지 급수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22로 복귀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가지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하여 급수를 계속하면서 스텝S2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4에서의 판별결과, 설정수위까지 급수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급수밸브구동수단(106)을 제어하여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키고, 모터(27)를 구동시키도록 모터구동수단(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AC입력단으로부터 모터(27)에 교류전류가 공급되어 모터(27)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면서 드럼(11)이 좌우반전되어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되므로 드럼(11)내부의 세액이 부하에 흡수되어 세탁수위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설정수위보다 낮아지는데, 이때 낮아지는 세탁수위에 따른 주파수증가량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따라, 스텝S26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모터(27)가 좌우반전되는 시간을 내장된 카운터에 의해 카운터하여 일정시간(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25로 복귀하여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모터(27)를 좌우교반시키면서 스텝S2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6에서의 판별결과,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모터구동수단(110)를 제어하여 모터(27)의 좌우교반을 정지시킨 후, 이때의 수위변화량을 감지하여 세탁물의 양(부하량)을 판단한 다음 부하량에 적합한 세탁시간, 수류시간, 헹굼회수, 세탁수량 및 탈수시간 등을 결정한다.
이어서, 스텝S28~S29에서 제어수단(104)은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켜 터브(9)내에 세탁수를 결정된 세탁수량만큼 급수완료한 후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킨다음 모터(27)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27)의 구동에 따라 드럼(11)이 좌우반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세탁물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 세탁물에 흡착된 때나 이물질 등을 분리시켜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고, 스텝S30에서 제어수단(104)은 세탁 및 헹굼시 터브(9)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도록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배수펌프(29)을 구동시킴으로서 터브(9)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호스(도시안됨)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스텝S31에서 제어수단(104)은 모터(270를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세탁물을 간헐적으로 탈수하는 간헐탈수공정을 수행하고, 스텝S32에서 모터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27)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드럼(11)이 고속회전하면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가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정상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이때, 스텝S33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모터(27)가 고속회전되는 정상탈수 시간을 카운터하여 탈수종료인지를 판별하여, 탈수종료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탈수RPM(회전수)이 상승함에 따라 세탁물에 잔류하던 수분/세제거품이 일시에 배수펌프(29)를 통해 배수되므로 스텝S34로 나아가서 정상탈수 진입후의 변화하는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이는, 거품의 양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면 수위센서 내부에 있는 주파수 발진회로의 주파수가 낮아지는 원리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수위데이터(H)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스텝S35에서 제어수단(104)은 거품의 압력에 의해 감지된 수위데이터(H)가 기설정된 기준수위데이터(Hs) 이상인가를 판별하여, 수위데이터(H)가 기준수위데이터(Hs) 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거품의 양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32로 복귀하여 제어수단(104)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탈수행정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3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35에서의 판별결과, 수위데이터(H)가 기준수위데이터(Hs) 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거품의 과다발생이라고 판단하여 스텝S3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기위해 터브(9)내에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06)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냉급수밸브(7,8)를 개방(온)시킴으로서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세탁수가 터브(9)내에 급수된다.
상기 터브(9)내에 세탁수가 급수완료되면, 스텝S3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온·냉급수밸브(7,8)를 폐쇄(오프)시키고, 모터(27)를 구동시키도록 모터구동수단(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모터(27)를 회전시킴으로서 드럼(11)이 좌우반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급수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세탁물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거품을 분리시키는 헹굼이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27)의 구동에 따라 헹굼이 이루어지면, 스텝S38로 나아가서 배수펌프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배수펌프(29)를 구동시킴으로서 터브(9)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가 완료되면, 스텝S39에서 모터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27)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드럼(11)이 고속회전하면서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가 이루어지고, 스텝S40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드럼세탁기의 다음행정을 수행한다음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스텝S33에서의 판별결과, 탈수종료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4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드럼세탁기의 다음행정을 수행하면서 스텝S4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에 의하면, 세탁/헹굼 후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배수시간을 카운터하거나 정상탈수 진입시 거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데이터를 감지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거품의 과다발생시에는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거품을 정상배수시키므로 거품을 원활하게 제거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터브내에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및 헹굼 후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터브내의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수위까지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상기 배수단계에서 세탁수가 배수되는 시간을 카운터하는 배수시간카운터단계와,
    상기 배수시간카운터단계에서 카운터한 배수시간을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기준배수시간과 비교판단하여 거품의 과다발생여부를 판별하는 거품과다판별단계와,
    상기 거품과다판별단계에서 거품의 과다발생이라고 판별되면 헹굼행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상기 터브내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과다판별단계에서 거품의 과다발생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정상탈수 행정을 바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19990003820A 1999-02-01 1999-02-01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00055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20A KR20000055285A (ko) 1999-02-01 1999-02-01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820A KR20000055285A (ko) 1999-02-01 1999-02-01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85A true KR20000055285A (ko) 2000-09-05

Family

ID=1957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820A KR20000055285A (ko) 1999-02-01 1999-02-01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2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32B1 (ko) * 2002-07-29 2008-12-05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드럼세탁기의 세탁조내에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1034198B1 (ko) * 2005-02-02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KR101463809B1 (ko) * 2007-11-29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CN107385768A (zh) * 2016-04-21 2017-11-24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用于检测洗衣机中泡沫的方法和使用所述方法的洗涤循环
WO2024122912A1 (ko) * 2022-12-08 202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정보를 이용하여 거품을 제거하는 방법 및 세탁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32B1 (ko) * 2002-07-29 2008-12-05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드럼세탁기의 세탁조내에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101034198B1 (ko) * 2005-02-02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감지방법
KR101463809B1 (ko) * 2007-11-29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CN107385768A (zh) * 2016-04-21 2017-11-24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用于检测洗衣机中泡沫的方法和使用所述方法的洗涤循环
CN107385768B (zh) * 2016-04-21 2021-03-30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检测洗衣机中泡沫的方法、洗涤衣物的方法和洗衣机
WO2024122912A1 (ko) * 2022-12-08 202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정보를 이용하여 거품을 제거하는 방법 및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628B2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at water feed unit
US20060168740A1 (en) Washing machine and suds sensing method thereof
EP1213384A2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JPH0698989A (ja) 一槽式洗濯機
JP201217069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615446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および泡検知装置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10077081A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JP3983605B2 (ja) 洗濯機
JPH0927658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00055286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87390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210097B1 (ko) 세탁기의 부하량감지방법
JPH11262595A (ja) 洗濯機
KR101152377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690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150143285A (ko) 세탁기
KR19980082406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00009643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온도제어방법
KR100242494B1 (ko) 최적 헹굼이 가능한 전자동 세탁기
KR100286821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100543334B1 (ko)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행정시간 조절방법
KR10025774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20090046071A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 제어 방법
KR19990041574A (ko) 세탁기의 세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