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944A - 전자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자음향 변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32944A KR19980032944A KR1019970053459A KR19970053459A KR19980032944A KR 19980032944 A KR19980032944 A KR 19980032944A KR 1019970053459 A KR1019970053459 A KR 1019970053459A KR 19970053459 A KR19970053459 A KR 19970053459A KR 19980032944 A KR19980032944 A KR 19980032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iron core
- diaphragm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3/00—Transducers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of magnetisable material directly co-acting with electro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및 편평화를 실현한 전자음향 변환기를 제공한다. 이 전자음향 변환기는 철심의 길이에 대하여 마그넷의 높이방향의 두께를 얇게 함과 동시에, 철심의 꼭대기부쪽에 마그넷을 설치함으로써 마그넷의 배면쪽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공간부를 진동판의 배면공간의 일부나 코일단말과 외부단자와의 접속처리 등에 이용함으로써,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편평화를 실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변환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전자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종래의 전자음향 변환기의 일반적인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자음향 변환기에는 윗케이스(100) 및 아래케이스(102)로 된 외장케이스(104)가 사용되고 있다. 아래케이스(102)에는 단부(10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부(106)를 윗케이스(100)의 아래 가장자리부로 덮듯이 하여 진동판(108)이 지지되어 있다. 이 진동판(108)은 자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무게를 주기위한 자편(磁片)(11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케이스(102)쪽에는 요오크의 일부를 이루는 베이스(112)가 기판(114)과 적층제를 이루어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112)의 중앙부에는 기판(114)을 관통하는 형태로 철심(116)이 세워 설치되고, 이 철심(116)과 진동판(108)과의 사이에는 갭(118)이 설치되어 있다. 철심(116)에는 코일(120)이 감겨있고, 철심(116)의 높이에 대하여 코일(120)의 감긴 길이는 약간 짧고, 그 결과, 철심(116)의 꼭대기부쪽이 코일(12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코일(120)의 주위부에는 공간을 두고 환상을 이루는 마그넷(122)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판(114)에 돌출설치된 막대형상의 단자(124, 126)에는 베이스(112)의 투과구멍(128)으로부터 코일의 단말이 외장케이스(104)의 외부에 당겨내어져서 기판(114)의 배면쪽에서 납땜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투과구멍부(12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과 코일단말의 보호나 고정 및 투과구멍을 봉하기 위한 절연성 수지가 충전된다.
또, 전동판(108)의 윗면쪽에는 윗케이스(100)로 둘러싸인 공명실(1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명실(130)은 윗케이스(100)에 형성된 방음통(132), 즉 방음구멍(134)을 통하여 외기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음향 변환기에서는 베이스(112), 철심(116), 진동판(108) 및 마그넷(122)이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마그넷(122)에 의한 정자계(靜磁界)가 진동판(108)에 적용하여, 착자된 진동판(108)이 철심(116) 쪽으로 당겨져 있다. 이른바 마그넷(122)은 진동판(108)에 대하여 바이어스 자계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자계가 이루는 1방향의 자계에 대하여 단자(124, 126)의 사이에 교류나 펄스등의 전기신호가 가해지면, 그 신호전류가 코일(120)에 흘러 철심(116)에는 전기신호에 따른 진동자계가 발생한다. 이 진동자계의 방향이 마그넷(122)의 정자계와 반대방향이 되는 구간에서 진동판(108)은 철심(11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진동하여, 정자계와 동일방향이 되는 구간에서 철심(116) 쪽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기계적인 상하운동은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의존하며, 그 결과, 진동판(108)이 진동하여, 공기를 진동시킨다. 이 진동이 공명실(130)에서 공진(공명) 음향으로서 증폭된다. 이 음향은 주로 방음구멍(134)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음향 변환기가 갖는 해결해야 할 과제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코일(120)과 단자(124, 126)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고, 외장케이스(104)의 배면쪽에 코일단말의 접속부분을 노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노출된 코일단말이 손상을 받기 쉬워, 단선사고의 원인이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절연수지에 의한 외복처리 등의 방호 대책이 필요하였다.
② 코일단말의 접속처리를 외장케이스(104)의 바깥쪽에 설치하기 때문에, 전자음향 변환기의 높이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전자음향 변환기의 박형화나 소형화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③ 종래의 환상으로 된 마그넷의 일부를 노치하여 공간부를 확보하고, 외장케이스(104)의 내부에서 코일단말과 단자(124, 126)와의 접속처리를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마그넷(122)의 가공은 쉽지 않고, 마그넷(122)의 일부에 자로를 절단하는 노치를 설치하면, 마그넷(122)과 진동판(108)과의 자기결합력이 저하하여, 마그넷(122)의 절단부분에 의한 진동판(108)의 지지력이 부분적으로 저하한다. 이러한 마그넷(122)의 가공은 가공코스트가 전자음향 변환기의 코스트상승의 원인이 되고, 진동판(108)의 지지력이 부분적으로 저하하는 것, 환언하면 진동판(108)의 강성이 부분적으로 변하게 되기 때문에, 진동이 불안전하게 되어, 음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④ 코일(120)과 마그넷(122)과의 높이는 대략 일치되어 있고, 마그넷(122)의 높이가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편평화를 방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이 발생하는 자력은 입력전류와 감는수에 의존하고 있으나, 코일이 발생하는 자력에 대하여 마그넷의 자력은 개선되어 매우 높아지고 있어서, 자력이 큰 마그넷에서는 코일에 대하여 불필요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것이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및 편평화를 저해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화 및 편평화를 실현한 전자음향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전자음향 변환기의 케이스를 노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전자음향 변환기의 제조에 사용하는 리드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리드프레임위에 형성된 베이스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리드프레임위에 형성된 베이스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11은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베이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지지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X IV-X IV선 단면도.
도 15는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X VI-X VI선 단면도.
도 17은 케이스의 배면도.
도 18은 전자음향 변환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지지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한 저면도.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도 1 내지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철심(16)의 길이에 대하여 마그넷(22)의 높이방향의 두께를 얇게 함과 동시에, 철심의 꼭대기부쪽에 마그넷을 설치함으로써, 마그넷의 배면쪽에 공간부(38)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를 진동판(20)의 배면공간(23)의 일부나 코일단말(19, 21)과 외부단자(단자 10, 12)와의 접속처리 등에 이용함으로써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편평화를 실현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도 1 내지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성 재료로 형성된 진동판(20)에 정자계를 작용시킴과 동시에, 전기신호에 의하여 발생시킨 진동자계를 작용시켜, 상기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전자음향 변환기로서, 상기 진동판에 대하여 갭(34)을 마련하여 설치된 철심(16)과, 이 철심에 감겨 상기 전기신호에 의하여 진동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18)과, 상기 코일을 둘러싸고 상기 철심의 꼭대기부쪽에 설치되며, 상기 철심의 높이보다 두께가 얇게 설정된 마그넷(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존하는 자석재료로써 마그넷을 형성한 경우, 그 자력은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력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감긴길이 내지 철심길이에 비교하여 마그넷의 두께를 얇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마그넷의 배면쪽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진동판외 배면공간의 용적확대 등에 이용할 수 있어서, 음압의 증감과 함께 마그넷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상기 마그넷의 배면쪽에 상기 진동판의 배면공간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마그넷의 배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진동판의 배면공간의 일부에 이용되어, 배면진동 공간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 결과, 배면공간에 의한 진동판에의 탄성부여 효과를 줄일 수 있어서, 음압출력의 향상 및 주파수 특성의 평탄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상기 마그넷의 배면쪽에 상기 전기신호를 받는 외부단자와 상기 코일의 단말과의 접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그넷의 배면쪽에 형성된 공간부에 외부단자와 코일단말과의 접속부를 설치함으로써, 외장케이스내에 외부단자와 코일단말과의 접속부를 수납할 수 있어서, 그 결과,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및 편평화를 꾀할 수 있다. 특히 이 공간부의 바깥쪽에 면실장이 가능한 단자를 배치하면, 전자음향 변환기의 편평화 및 소형화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외장케이스 또는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재로 상기 마그넷을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그넷을 철심의 꼭대기 부쪽의 위치에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외장케이스나 그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사용하면, 바라는 위치에 마그넷을 설치·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상기 마그넷에 상기 철심의 직경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설정한 마그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그넷의 박형화에 의하여 자력의 저하가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그 보상을 직경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행한다. 또, 이러한 두께조정에 의하여 마그넷의 자력을 바라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특색, 이익 등은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참작에 의하여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자음향 변환기는 편평한 각통체로 된 외장케이스(2)로써 구성되고, 이 외장케이스(2)는 각통체로 된 케이스(4)의 개구부쪽을 덮개를 이루는 베이스부(6)로써 폐색한 것이다. 케이스(4) 및 베이스부(6)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것이다. 케이스(4)의 윗면부는 복수의 방음구멍(8)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6) 쪽에는 평판상의 단자(10)가 돌출되어 있고, 이 단자(10)는 케이스(4)의 측벽쪽에 L자형으로 굽어서, 프린트기판의 도체패턴위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면실장이 가능한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 단자(10)의 반대쪽에는 동일형상의 단자(12)(도 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의 외장케이스(2)의 천정면쪽을 노치한 전자음향 변환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베이스부(6)에는 상부쪽에 베이스(14)가 인서트성형되고, 그 배면쪽에는 단자(10, 12)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14)는 자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원주형상의 철심(16)이 부착되어 있다. 이 철심(16)에는 코일(18)이 감겨있고, 코일길이는 철심(16)의 높이보다 짧아서, 그 때문에 철심(16)의 꼭대기부쪽은 코일(18)의 종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6)의 윗면에는 진동판(20)이나 마그넷(22)의 지지부재로서 지지링(24)이 설치되고, 이 지지링(24)의 주위부는 케이스(4)의 내벽부에 닿아서 위치결정되고 있다. 지지링(24)은 외장케이스(2)와 똑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26)에는 환상의 마그넷(22)이 지지되어 있으며, 마그넷(22)의 외주면은 지지링(24)의 내주면부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넷(22)의 중심과 철심(16)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마그넷(22)과 함께 지지링(24)을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한, 즉 마그넷(22)를 인서트성형한 것이다. 또, 이 지지링(24)의 지지부(28)에는 진동판(20)의 엣지가 얹어 놓여 있고, 이 진동판(20)의 엣지의 윗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4)의 돌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진동판(20)과 철심(16)의 꼭대기부와의 사이에는 일정폭의 갭(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판(20)의 윗면에는 진동판(20)의 질량을 증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판형상의 자편(36)이 부착되어 있고, 이 진동판(20)은 마그넷(22)의 정자계의 작용에 의하여 흡인상태에 있다. 그 결과, 진동판(20)은 마그넷(22)쪽으로 당겨져서 고정상태가 된다. 이 진동판(20)의 배면쪽에는 배면공간(23), 진동판(20)의 윗면쪽에는 공명실(25)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단말(19, 21)은 마그넷(22)의 배면쪽, 즉 지지링(24)의 아래쪽외 공간부(38)에 적절한 배선에 의한 최단거리로 당겨내어져서, 단자(10, 12)에 납땜 등의 접속수단에 의하여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있다.
다음에, 이 전자음향 변환기를 분해하여 그 제조방법과 함께 각부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리드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이 리드프레임에는 장방형의 틀체로 된 프레임부(40)의 복수의 위치결정구멍(42)이 형성되고, 위치결정구멍(42)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의 성형시에, 성형형의 위치결정핀을 삽입하여, 성형형과 프레임부(40)의 위치관계가 고정밀하게 설정된다. 프레임부(40)의 투과구멍(44)에는 프레임부(40)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로 부터 단자(10, 12)가 되는 장방형으로 된 리드부(46, 48)가 돌출하고, 이 리드부(46, 48)의 종단부에는 리드부(46, 48)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리드부(50, 52)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보조리드부(50, 52)보다 면적이 넓은, 예를 들면 원형으로 된 패드부(54, 56)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46)에 있어서의 보조리드부(50) 및 패드부(54)와, 리드부(48)에 있어서의 보조리드부(52) 및 패드부(56)는 회전대칭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리드부(50) 및 패드부(54)는 리드부(46)의 근방에서 보조리드부(50)를 굴곡시킴으로써, 리드부(46)와는 다른 높이로 설정되어 평행면을 이루고 있다. 보조리드부(52) 및 패드부(56)와 리드부(48)와의 관계도 똑같다. 즉, 리드부(46, 48)와 패드부(54, 56)와의 사이에는 간격(d)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의 2점쇄선은 페이스부(6)를 표시하고 있다.
이 리드프레임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수지 등에 의하여 리드프레임의 리드부(46, 48) 및 패드부(54, 56)가 노출되도록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베이스부(6)가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14)가 부착된다. 도 7은 베이스부(6)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베이스부(6)의 배면도이다. 베이스부(6)는 전자음향 변환기의 평면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또 그 두께는 리드부(46, 48)와 패드부(54, 56)와의 간격(d)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베이스부(6)의 배면쪽에는 리드부(46, 48)가 노출되고, 또 베이스부(6)의 윗면쪽에는 패드부(54, 56) 및 베이스(14)의 표면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6)의 배면쪽에는 패드부(54, 56)에 대응하는 위치에 트인구멍(58, 60)이 형성되고, 트인구멍(58, 60)으로부터 패드부(54, 56)의 일부를 납땜의 편의를 위하여 노출시키고 있다.
베이스(1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자성재료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형상은 원판에 원호형상의 노치(62, 64)를 형성한 것인데, 그 중심에 철심(16)의 고정구멍(66)이 형성되고, 이 고정구멍(66)을 중심에 끼우고 가장자리부쪽에 관통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68)은 베이스(14)를 인서트성형할 때의 수지를 통과시킬 수 있어서, 베이스부(6)에 베이스(14)가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 도 13 및 도 14는 지지링(24)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13의 X IV-X IV선 단면도이다. 이 지지링(24)은 마그넷(22)을 지지하는 지지부(26), 진동판(20)을 지지하는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8)는 진동판(20)의 둘레 가장자리를 고르게 지지하기 위하여 둘레회전형상인데 대하여, 지지부(26)는 90도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이고, 지지링(24)을 베이스부(6)위에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지지부(26, 28)의 사이에는 공간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링(24)의 아래쪽에 형성된 공간부(38)는 배면공간(23)의 일부를 구성하고, 배면공간(23)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지지부(26)의 크기, 즉 공간내를 차지하는 용적을 작게 함으로써 배면공간(23)의 용적을 가급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 지지링(2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마그넷(22)이 지지링(24)의 성형에 의하여 인서트성형된다. 이러한 성형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지지링(24)과 마그넷(22)과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고, 전자음향 변환기의 조립상 부품수를 삭감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은 케이스(4)를 도시한 것인데, 도 15는 그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X VI-X VI선 단면도, 도 17은 그 배면도이다. 케이스(4)는 배면쪽을 개방한 각통체인데, 원형의 복수의 방음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4)의 천정면에는 진동판(20)에 대응하는 원환형상의 입벽(7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쪽에는 진동판(20)의 윗쪽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중심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32)가 45도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4)의 천정면의 모퉁이 구석부에는 대각선상에 1쌍의 끼워 맞춤핀(74)이 돌출되어 있고, 이 선단부는 베이스부(6)의 끼워맞춤구멍(76)에 삽입된다. 또, 케이스(4)의 개구부에는 걸어맞춤 凹부(7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凹부(78)에는 베이스부(6)의 걸어맞춤단부(80)가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4)와 베이스부(6)는 이러한 걸어맞춤관계에 의하여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양자는 초음파 용착이나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으로 일체화 되어, 단단히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전자음향 변환기에 의하면 철심(16) 또는 코일(18)의 높이에 비하여 마그넷(22)의 두께를 얇게하여, 마그넷(22)을 철심(16)의 꼭대기부쪽에 지지링(24)으로 고정시키고, 마그넷(22)의 아래면쪽과 베이스(14) 또는 베이스부(6)와의 사이에 공간부(38)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공간부(38)가 배면공간(23)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 지지링(24)의 지지부(26)의 용적은 그 형태에 따라 배면공간(23)에 차지하는 비율을 저감시킬 수 있어서, 보다 배면공간(23)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22)의 두께를 줄여서 공간부(38)를 형성함으로써 이 공간부(38)에서 외부단자인 단자(10, 12)와 코일단말(19, 21)과의 납땜처리, 즉 그들의 접속처리를 하여, 그 접속부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 공간부(38)에 접속부를 수납한 결과, 베이스부(6)의 배면부에는 면실장용의 외부단자인 편평한 접속면을 형성한 단자(10, 12)가 노출될 뿐이고, 외장케이스(2)의 배면쪽의 단순화가 꾀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전자음향 변환기의 방음구멍(8)에 대해서는 도 18과 같이, 케이스(4)의 측면부쪽에 장방형의 방음구멍(9)을 형성하는 등, 방음방향에 따라 임의의 개소에 형성할 수 있다.
또, 지지링(24)에 마그넷(22)을 고정시키려면,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6)를 설치하고, 그 위에 얹는 형태,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24)의 내벽부에 링형상의 지지부(26)를 돌출시키고, 그 안쪽에 마그넷(22)을 고정시키는 형태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마그넷(22)의 배면쪽에 넓은 공간부(38)가 얻어지고, 배면공간(23)의 확대나 코일단말(19, 21)의 접속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24)의 안쪽에 매립하는 형태로 고정시켜도 좋다. 이러한 고정구조에서는 마그넷(22)의 강도를 이용하여 지지링(24)의 직경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결과, 전자음향 변환기의 직경방향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소형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배면공간(23)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22)의 직경방향의 두께는 코일(18)의 직경이나 외장케이스(2)의 내용적과의 관계에 의하여 임의로 두껍게 설정할 수 있다. 마그넷(22)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높이방향의 두께의 줄임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고가의 자석재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한 자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마그넷(22)을 얇게하여, 마그넷(22)과 베이스(14)를 이간시켜도, 마그넷(22)을 형성하는 자기재료의 성능이 개선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전자음향 변환기와 동등의 음향출력이나 음압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전자음향 변환기의 소형화 및 편평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동판의 배면공간을 확대할 수 있어서, 음압출력의 향상 및 주파수특성의 평탄화에 기여할 수 있다.
b. 마그넷에는 단순형상의 원통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넷의 가공에 따르는 종래의 전자음향 변환기에 비하여 제조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c. 원통형의 마그넷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노치 등의 자력을 저하시키는 부분이 없고, 진동판에 대하여 균일한 자장을 줄 수 있어서, 자장의 치우침에 의한 음질의 변화가 생기는 일이 없다.
d. 마그넷의 배면쪽에 형성된 공간부에서 외부단자와 코일단말과의 접속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외장케이스의 외부에 접속부를 설치하고 있던 전자음향 변환기에 비하여 소형화나 편평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자음향 변환기는 상기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목적, 실시예에 의하여 추측되는 각종의 구성·변형 등의 당업자가 추측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5)
- 자성재료로 형성된 진동판에 정자계와 함께 전기신호에 의하여 발생시킨 진동자계를 작용시켜, 상기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전자음향 변환기에 있어서,상기 진동판과의 사이에 갭을 마련하여 설치된 철심과,이 철심에 감겨서 상기 전기신호에 의하여 진동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철심을 통하여 상기 진동판에 상기 진동자계를 작용시키는 코일과,상기 코일을 둘러싸서 상기 철심의 꼭대기부쪽에 설치되고, 상기 철심의 높이보다(수직방향의) 두께를 얇게 설정하여, 상기 진동판에 상기 정자계를 작용시키는 마그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배면쪽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의하여 상기 진동판의 배면공간의 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배면쪽에 상기 전기신호를 받는 외부단자와 상기 코일의 단말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이 외장케이스 또는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원환형상으로서 직경방향의 두께를 높이방향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향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285160 | 1996-10-28 | ||
JP28516096A JP3251868B2 (ja) | 1996-10-28 | 1996-10-28 | 電磁音響変換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2944A true KR19980032944A (ko) | 1998-07-25 |
KR100478985B1 KR100478985B1 (ko) | 2005-07-07 |
Family
ID=1768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3459A KR100478985B1 (ko) | 1996-10-28 | 1997-10-17 | 전자음향변환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953437A (ko) |
JP (1) | JP3251868B2 (ko) |
KR (1) | KR100478985B1 (ko) |
CN (1) | CN1151702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41930A1 (en) * | 1998-02-16 | 1999-08-19 | Soo Hyung Lee | Communication buzzer |
DE60009692T2 (de) * | 1999-05-14 | 2004-09-2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 Elektromagnetischer wandler und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
US20040194285A1 (en) * | 1999-12-20 | 2004-10-07 | Kazuro Okuzawa |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001326995A (ja) * | 2000-05-17 | 2001-11-22 | Star Micronics Co Ltd | 電磁音響変換器 |
US20050218052A1 (en) * | 2004-04-06 | 2005-10-06 | Houts Christina M | Abient noise power generator |
CN201657295U (zh) * | 2010-03-29 | 2010-11-24 |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 微型发声器 |
CN107454521A (zh) * | 2017-07-25 | 2017-12-08 | 苏州逸巛声学科技有限公司 | 一种受话器及其装配方法 |
CN112203199B (zh) * | 2019-07-08 | 2022-02-08 | 歌尔股份有限公司 | 换能器振动悬挂系统、换能器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5800A (en) * | 1979-03-22 | 1980-09-27 | Citizen Watch Co Ltd | Sound body for watch |
CH642504A5 (en) * | 1981-06-01 | 1984-04-13 | Asulab Sa | Hybrid electroacoustic transducer |
JPS58171198A (ja) * | 1982-04-01 | 1983-10-07 |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 電磁形スピ−カ |
JPH0188598U (ko) * | 1987-12-03 | 1989-06-12 | ||
CN1038179C (zh) * | 1992-09-30 | 1998-04-22 | 星精密株式会社 | 电音响变换器 |
JP2728622B2 (ja) * | 1993-05-04 | 1998-03-18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電気音響変換器 |
JP2790421B2 (ja) * | 1993-10-25 | 1998-08-27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電気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1996
- 1996-10-28 JP JP28516096A patent/JP325186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10-17 KR KR1019970053459A patent/KR1004789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0-23 US US08/956,341 patent/US595343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0-28 CN CNB971141290A patent/CN115170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1702C (zh) | 2004-05-26 |
CN1186406A (zh) | 1998-07-01 |
US5953437A (en) | 1999-09-14 |
KR100478985B1 (ko) | 2005-07-07 |
JPH10133666A (ja) | 1998-05-22 |
JP3251868B2 (ja) | 2002-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456968B1 (en) | Piezoelectric transducer | |
US6804369B2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KR100478985B1 (ko) | 전자음향변환기 | |
US4317965A (en) | Thin miniaturized dynamic-type loudspeaker | |
JP2862802B2 (ja) | 小型発音体 | |
US7010142B2 (en) |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 |
US6373959B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JP4553278B2 (ja) | 多機能型発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1209387A (ja) | 電磁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取付構造 | |
US6654478B2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US20010028722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JP3747361B2 (ja) | 電磁音響変換器 | |
KR100570857B1 (ko) |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 |
JP2876187B2 (ja) |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 |
JP2600363B2 (ja) | 電磁型発音体 | |
JP3639784B2 (ja) | 電気音響変換器 | |
JPH06113395A (ja) | 電気音響変換器 | |
WO1999045742A1 (en) | A loudspeaker featuring acoustic friction to damp resonance | |
KR20000059016A (ko) | 박형 스피커 | |
JP2781126B2 (ja) | 電気音響変換器 | |
JP3732088B2 (ja) | 電気音響変換器 | |
JP3179405B2 (ja) | 小型発音体 | |
JPH06113394A (ja) | 電気音響変換器 | |
JP2002186095A (ja) | 電気音響変換器 | |
CN115297411A (zh) | 扬声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