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0787B1 -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갈비탕 제조용 재료 - Google Patents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갈비탕 제조용 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0787B1 KR102730787B1 KR1020240116338A KR20240116338A KR102730787B1 KR 102730787 B1 KR102730787 B1 KR 102730787B1 KR 1020240116338 A KR1020240116338 A KR 1020240116338A KR 20240116338 A KR20240116338 A KR 20240116338A KR 102730787 B1 KR102730787 B1 KR 1027307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oth
- weight
- ribs
- soy sauce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87 Lamb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41000246354 Saturej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972673 Phellodendron amur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57513 Senna surat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8 Cellop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4101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80 Saccharomyces cerevisi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1 fermente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L3/36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form of blocks or por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물에 갈비를 투입하고 끓여서 삶은 후, 삶은 갈비를 손질하는 갈비 전처리 단계(S10); 물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제1 간장 및 제1 조미료를 투입하고 끓이는 찜갈비 제조단계(S20); 사골육수 및/또는 양지육수를 배합한 기본육수에, 제2 간장 농축액과 제2 조미료를 포함하는 육수양념 및 제1 생야채를 투입하고 끓이는 본육수 제조단계(S30); 및 상기 찜갈비 및 상기 본육수를 혼합하여 갈비탕을 완성하는 혼합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에서,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은 간장 100 중량부에 제2 생야채 60~80 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열 전 총부피의 40~60 부피%가 될 때까지 끓여서 농축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 제조방법 및 갈비탕 제조용 재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장 농축액이 함유된 본육수와 찜갈비를 사용하는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갈비탕 제조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갈비탕은 국내 소비자들은 물론 외국인들도 매우 선호하는 국내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이다. 갈비 부위에 고기 국물을 내어서 만든 음식으로 일반적으로 갈비와 양지 등을 오랜 시간 동안 우려내고 국간장과 소금, 양념 등을 넣고 끓인다. 대체로 고기가 붙은 뼈를 건져먹고 나서 밥을 말아 마무리를 하는 편이지만, 식성에 따라 냉면이나 당면사리 등을 넣어서 먹을 수 있다.
갈비탕의 주요 재료 중 갈비는 그 종류로 돼지고기를 이용한 돼지갈비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고기를 이용한 소갈비를 사용하고 있다.
육수로는 무, 대파 등과 원료육을 혼합하여 끓여낸 국물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사골육수, 양지육수 또는 잡뼈 등으로 끓여낸 육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갈비탕은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단순히 삶거나, 1차로 삶은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다시 한번 삶아서 제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에, 육수로 감칠맛을 낼 수 있을지는 모르나 고기가 육수와 구분되어 삶은 고기맛이 나거나 갈비 원육 고유의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감칠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육수에 갈비 특유의 잡내와 비린내가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KR 2538010 B1)은 갈비탕 육수 제조시 솔잎 및 양파 발효액을 첨가함으로써 갈비탕의 맛과 향은 증대시키면서 갈비탕 특유의 누린내는 감소시키고 저장성도 향상시킨 갈비탕 육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2(등록특허 KR 2599200 B1)는 숙성 및 훈연한 돼지갈비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수에 넣고 함께 끓여 풍미가 더욱 향상된 돼지갈비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은 솔잎 및 양파 발효액이나 황칠나무 추출물로 인한 이들의 독특한 향과 맛이 가미되기 때문에 갈비탕 고유의 맛과 향을 기대하는 취식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갈비탕에서 삶은 소갈비의 누린내, 각종 잡내가 육수로 유입되어 육수의 본연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갈비탕에서 육수와 삶은 소갈비에 베인 양념 맛에 큰 차이가 없어, 갈비 부위의 특징과 육수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부각 및 조화시키기가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갈비탕은 모든 뼈의 성분이 함께 우러나서 국물이 맑은 특징이 있어 육수의 깊은 맛이 육안으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단순히 삶거나, 1차로 삶은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다시 한번 삶아서 섭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육수로 감칠맛을 낼 수 있더라도 고기는 육수와 구분되어 삶은 고기맛을 내거나 갈비 원육 고유의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감칠맛이 떨어지는 단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물에 갈비를 투입하고 끓여서 삶은 후, 삶은 갈비를 손질하는 갈비 전처리 단계(S10); 물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제1 간장 및 제1 조미료를 투입하고 끓이는 찜갈비 제조단계(S20); 사골육수 및/또는 양지육수를 배합한 기본육수에, 제2 간장 농축액과 제2 조미료를 포함하는 육수양념 및 제1 생야채를 투입하고 끓이는 본육수 제조단계(S30); 및 상기 찜갈비 및 상기 본육수를 혼합하여 갈비탕을 완성하는 혼합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에서,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은 간장 100 중량부에 제2 생야채 60~80 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열 전 총부피의 40~60 부피%가 될 때까지 끓여서 농축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찜갈비 제조단계(S20)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230~270 중량부, 상기 제1 간장 10~15 중량부 및 상기 제1 조미료 0.1~0.5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이며, 상기 전처리된 갈비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기 제1 간장의 중량 비율이 3~7 중량%이고, 상기 제1 간장에 대한 제2 간장 농축액의 중량 비율(C2/C1)이 4~7%이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1]
1.2 < T1/T2 < 1.5
관계식 1에서, T1은 상기 찜갈비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2은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는, 상기 기본육수 100 중량부에 상기 육수양념 0.5~1 중량부 및 상기 제1 생야채 2~3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이며, 상기 제1 생야채에 대한 제2 생야채의 중량 비율(D2/D1)이 5~10%이고,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관계식 2]
0.05 < T2/T3 < 0.25
관계식 2에서, T2는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3는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약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찜갈비를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상기 본육수를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각각 포장재에 포장한 후 냉동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 제조용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제조된 찜갈비를 사용함으로써 삶은 소갈비 누린내, 각종 잡내의 본육수로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지방과 연골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풍부한 맛과 감칠맛이 특징인 갈비 부위의 특징과, 오랫동안 지속되는 혀를 덮는 듯한 감칠맛이 나는 육수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부각 및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육수 제조시 간장과 생야채를 가열하여 농축시킨 간장 농축액을 사용함으로써 일반 간장과 야채 재료의 사용만으로도 갈비탕 육수의 깊은 맛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약불, 중불, 강불 등의 용어는 불의 세기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불이 가열용기의 바닥면에서 어느 높이에 위치하는 지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불은 불의 높이가 가열 용기의 바닥 아래에 있는 경우, 중불은 불의 높이가 가열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는 경우, 강불은 불이 전체적으로 팬 바닥을 뒤덮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가 아닌 전기레인지(인덕션)의 경우 상술한 가스레인지의 강불, 중불, 약불에 대응되는 가열 세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고,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갈비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갈비 전처리 단계(S10); 찜갈비 제조단계(S20); 본육수 제조단계(S30); 및 혼합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갈비 전처리 단계(S10)는 물에 갈비를 투입하고 끓여서 삶은 후, 삶은 갈비를 손질하여 전처리된 갈비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우선 소갈비를 먹기 간편하게 8~10cm 간격으로 절단한 후, 소갈비의 누린내, 핏물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찬물에 약 12 시간동안 넘치도록 유지한다.
상기 절단된 소갈비를 90~100℃의 끓는 물에 넣고 20~50분 동안 삶아서 소갈비의 덜 제거된 누린내, 핏물 및 각종 이물질을 추가로 제거한다.
상기 삶은 소갈비를 건지고 추가로 지방 제거 등 마무리 손질을 진행한다.
상기 찜갈비 제조단계(S20)는 물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제1 간장 및 제1 조미료를 투입하고 끓여서 찜갈비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인 갈비탕의 경우 육수에 삶은 갈비를 넣고 소금, 간장 등으로 간을 맞춰서 제조하고 있으나, i)삶은 소갈비의 누린내, 각종 잡내가 육수로 유입되어 육수의 본연의 맛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ii)육수와 삶은 소갈비에 베인 양념 맛에 큰 차이가 없어, 지방과 연골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풍부한 맛과 감칠맛이 특징인 갈비 부위의 특징과, 오랫동안 지속되는 혀를 덮는 듯한 감칠맛이 나는 육수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부각시키고 조화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찜갈비 제조단계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전처리된 갈비 230~270 중량부, 제1 간장 10~15 중량부 및 제1 조미료 0.1~0.5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인다.
상기 제1 간장은 일반간장, 국간장, 진간장, 양조간장, 혼합간장 및/또는 맛간장 등을 들 수 있고, 좋게는 일반간장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미료는 천연/인공/발효 조미료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소금, 맛술, 마늘, 후추, 소주, 식초, 젓갈, 다시다, 미원, 누룩, 꿀, 조청, 물엿, 황설탕 및/또는 백설탕 등을 들 수 있고, 좋게는 제1 조미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황설탕 60~80 중량%, 마늘 10~20 중량%, 다시다 1~10 중량%, 미원 1~10 중량% 및 후추 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된 갈비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기 제1 간장의 중량 비율이 3~7 중량%, 예를 들면 4.8~5.2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찜갈비 제조단계에서 간장의 중량비율을 전체 전처리된 갈비 대비 약 5 중량% 내외로 조절함으로써 일반적인 갈비찜 음식보다 간이 세지 않도록 하면서 이후 육수 혼합시 갈비 부위의 맛 특징을 잘 부각시킬 수 있으며, 삶은 소갈비의 잡내가 육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장(C1)에 대한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에서 육수양념에 포함되는 제2 간장(C2)의 중량비율(C2/C1)이 4~7%, 예를 들면 5~6%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간장의 전체 사용량에 대하여 찜갈비 제조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간장에 비해, 본육수 제조단계에서 사용되는 제2 간장의 중량비율을 약 5% 내외로 조절함으로써 본 육수는 간이 좀 약하면서도 시원하고 담백하며 깊은 맛을 부각시키고, 반면에 찜갈비는 본육수에 의해 간이 더 세지지 않아서 갈비의 맛과 질감이 상대적으로 돋보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소갈비의 누린내와 각종 잡내가 현저한 수준으로 제거되는, 동시에 갈비찜의 달달·짭짤한 맛과 부드러운 질감이 발현되고, 본육수의 짜지지 않아서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이 제공된다.
상기 가열(끌임)은 투입된 재료들을 중불 내지 강불로 30~60분 동안 끌인 후 상온으로 식힌 다음 기름을 제거하여 찜갈비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가열할 수 있다.
[관계식 1]
1.2 < T1/T2 < 1.5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상기 찜갈비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2은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상기 관계식 1에서 1.2 < T1/T2 < 1.5, 1.2 < T1/T2 < 1.4, 좋게는 1.3 < T1/T2 < 1.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찜갈비 제조시 가열시간을 본육수 제조시 대비 상기 관계식 1의 하한값 초과하도록 하는 경우 i)삶은 소갈비가 살짝 타면서 이미 스며든 제1 간장/조미료가 찜갈비 ?j유의 풍미를 낼 수 있고, ii) 본육수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피복효과가 있어 소갈비와 육수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부각 및 조화시킬 수 있다. 반면에, 찜갈비 제조시 가열시간을 본육수 제조시 대비 상기 관계식 1의 상한값 미만으로 조절하는 경우 소갈비가 과도하게 질겨지지 않고 고유의 감칠맛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는 사골육수 및/또는 양지육수를 배합한 기본육수에, 제2 간장 농축액과 제2 조미료를 포함하는 육수양념 및 제1 생야채를 투입하고 끓여서 본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종래의 갈비탕은 모든 뼈의 성분이 함께 우러나서 국물이 맑은 특징이 있어 육수의 깊은 맛이 육안으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단순히 삶거나, 1차로 삶은 갈비를 육수와 혼합하여 다시 한번 삶아서 섭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육수는 감칠맛을 낼 수 있더라도 고기는 육수와 구분되어 삶은 고기맛이 나거나 갈비 원육 고유의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감칠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기본육수 100 중량부에 상기 육수양념 0.5~1 중량부 및 상기 제1 생야채 2~3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여서 본육수를 제조한다.
상기 기본육수는 사골육수, 양지육수 및 이들을 배합한 육수일 수 있다. 종래의 갈비탕에서 육수는 무, 대파 등과 원료육을 혼합하여 끓여낸 국물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육수에 갈비 특유의 잡내와 비린내가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사골육수 및 양지육수를 사용하고 필요시 갈비가 아닌 잡뼈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육수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은 간장 100 중량부에 제2 생야채 60~80 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열 전 총부피의 40~60 부피%가 될 때까지 끓여서 농축액으로 제공된다. 종래 갈비탕에서 육수의 감칠맛을 높이고 갈비 원육의 잡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인공 조미료 성분들은 갈비탕 본연의 맛과 향을 해치거나 제조단계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간장과 야채 재료의 사용만으로도 갈비탕 육수의 깊은 맛을 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간장 대비 (제2) 생야채를 약 70 중량%의 높은 비율로 사용하고, 가열 전 총부피의 약 50 부피%가 될 때까지 끓여서 농축액으로 제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간장 대비 제2 생야채의 투입 중량이 60% 미만이면 생야채가 충분히 풀어지지(용융) 않아서 눅진한 질감과 깊은 감칠맛을 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80 중량%를 초과하면 가열 후 제조된 농축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결과 본육수에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농축액의 부피가 가열 전 총부피의 40 부피% 미만이면 농축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고 색상이 어두워져 본육수와 혼화성이 좋지 못하다. 반대로 60 부피% 초과하면 생야채가 충분히 풀어지지 않아서 눅진한 질감과 깊은 감칠맛을 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가열(끓임)은 투입된 재료들을 약불로 3~6시간 동안 끌여서 가열 전 총부피의 40~60 부피%의 농축액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에 사용되는 간장은 일반간장, 국간장, 진간장, 양조간장, 혼합간장 및/또는 맛간장 등을 들 수 있고, 좋게는 국간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에 사용되는 제2 생야채는 무우, 양파, 대파, 통생강, 통마늘, 다시마, 대추, 감초, 고추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무우, 양파, 대파, 통생강 및 통마늘을 포함할 수 있고, 좋게는 무우 15~25 중량%, 양파 10~20 중량%, 대파 5~15 중량%, 통생강 15~25 중량% 및 통마늘 30~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수양념의 제2 조미료는 상기 기재된 제1 조미료 재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좋게는 소금 35~45 중량%, 다시마 25~35 중량%, 미원 25~35 중량% 및 후추 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생야채는 무우, 양파, 대파, 통생강, 간생강, 통마늘, 간마늘, 다시마, 대추, 감초, 고추 등을 들 수 있고, 좋게는 제1 생야채 전체 중량에 대하여, 무우 50~60 중량%, 통마늘 5~15 중량%, 대파 5~15 중량%, 양파 15~25 중량%, 통생강 1~10 중량% 및 고추 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생야채에 대한 제2 생야채의 중량 비율(D2/D1)이 5~10%, 좋게는 6.7~8%일 수 있다. D2/D1이 약 7%로 제어되면 i)제1 생야채의 풋풋한 생야채 본연의 향과 맛이 본육수에 전체적으로 발현되고, ii)수분이 증발되면서 야채 재료와 간장 재료의 특성이 합쳐져 깊고 담백한 맛과 향이 농축되는 효과가 있어 생야채와 발효 유사 야채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부각 및 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생야채에 대한 제2 생야채의 중량 비율(D2/D1)이 약 7% 수준으로 제어되면 본육수를 입에 머금었을 때 풋풋한 생야채의 향과 맛이 느껴지고, 이후 발효 유사 야채의 깊고 담백한 향과 맛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혀를 덮는 듯한 여운을 남기게 된다. 여기서, 제2 생야채의 중량(D1)은 본육수 제조시 투입된 제2 생야채의 중량 수치이고, 제2 생야채의 중량(D2)는 본육수 제조시 투입된 제2 간장 농축액 함량에,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전체 재료 함량(중량) 중 제2 생야채 재료의 중량비율로 계산된 제2 생야채 농축물의 중량비율(%)을 곱한 수치이다.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에서 가열(끌임)은 투입된 재료들을 중불 내지 강불로 20 내지 40분 동안 끌인 후 제1 생야채 등을 건져내고 본육수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가열할 수 있다.
[관계식 2]
0.05 < T2/T3 < 0.25
관계식 2에서, T2는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3는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약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상기 관계식 2에서 0.1 < T2/T3 < 0.2 좋게는 0.1 < T2/T3 < 0.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육수 제조시 가열시간을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대비 상기 관계식 2의 하한값 미만이면 제2 간장 농축액의 점도가 높아져 본육수에 혼합시 섞임성이 좋지 못하고 육수의 간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하다. 반대로, 상한값 초과이면 제2 간장 농축액의 눅진한 제2 생야채 특성과 제1 생야채의 특성이 모두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다.
상기 혼합단계(S40)는 상기 찜갈비 및 상기 본육수를 혼합하여 갈비탕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개인 뚝배기(용기)에 상기 본육수 100 중량부, 상기 찜갈비 30~40중량부, 무 15~20중량부, 대추 1~3중량부, 은행 1~3중량부, 계란 지단 5~10중량부, 탕파 5~7중량부 및 당면 10~15중량부를 넣고 90~100℃의 온도에서 끓여 갈비탕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갈비탕 제조용 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갈비탕 제조용 재료는 상기 (S20)단계에서 제조된 찜갈비를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S30)단계에서 제조된 본육수를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각각 포장재에 포장한 후 냉동시켜 제공한다.
이에, 취식자는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상기 제1 재료와 제2 재료를 가열 용기에 혼합한 후 상기 (S40)단계와 같이 가열함으로써 편리하게 갈비탕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재료는 액체 성분인 육수를 포함하므로 냉동 또는 동결 건조된 상태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재료는 냉동, 동결 건조 또는 진공 건조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a) 소갈비를 8~10cm로 제단하고 흐르는 찬물에 넘치게 하여 12시간 동안 핏물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끓는 물에 30분 간 삶은 뒤 건져서 지방 및 이물질을 추가 제거하여 삶은 소갈비를 제조했다.
b) 물 160 중량부에, 소갈비 400 중량부, 제1 간장(일반간장) 20 중량부, 황설탕 16 중량부, 마늘 3 중량부, 다시다 1 중량부, 미원 1 중량부, 후추 0.3 중량부를 투입하고 40분 동안 끓였다. 이어서 상온으로 식힌 후에 기름을 제거하고 찜갈비를 제조했다.
c) 국간장 130 중량부에 왕소금 20 중량부, 제2 생야채 87 중량부(무우 20 중량부, 양파 12 중량부, 대파 10 중량부, 통생강 15 중량부, 통마늘 30 중량부)를 투입하고 약불로 생야채가 전부 풀어지고 가열 전 총부피의 50 부피%가 될 때까지 4시간 동안 끓여서 제2 간장 농축액을 제조했다.
사골육수 60 중량부, 양지육수 300 중량부를 배합한 기본육수에, 제조된 제2 간장 농축액 1 중량부, 조미료 1.73 중량부(소금 0.7 중량부, 다시다 0.5 중량부, 미원 0.5 중량부, 후추 0.03 중량부) 및 제1 생야채 9.15 중량부(무우 5 중량부, 통마늘 1 중량부, 대파 1 중량부, 양파 2 중량부, 통생강 0.05 중량부, 땡초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중불 내지 강불로 30분 동안 가열한 후 고형분을 건져내고 본육수를 제조했다.
개인 뚝배기에 본육수 100 중량부, 찜갈비 40 중량부, 무 15 중량부, 계란지단 10 중량부, 탕파 5 중량부, 당면 10 중량부를 넣고 강불로 끓여서 갈비탕을 제조했다.
(비교예 1)
개인 뚝배기에 b)찜갈비 대신에 a)삶은 소갈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갈비탕을 제조했다.
(비교예 2)
본육수에서 간장 농축액(1 중량부) 대신에 일반간장(2 중량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갈비탕을 제조했다.
실험예
[실험예 1]: 관능평가
(평가방법)
임의로 선정한 인원 30명에게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갈비탕을 섭취시키고, 관능검사지의 관능 정도를 잘 반영한 점수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관능 기호도의 항목은 맛, 풍미, 식감, 종합 기호도를 5점 기호 척도법(1=매우 나쁨, 3=보통, 5=매우 좋음)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맛 | 풍미 | 식감 | 종합 기호도 | |
실시예 1 | 4.1 | 4.2 | 3.9 | 4.0 |
비교예 1 | 3.3 | 3.1 | 2.6 | 3.0 |
비교예 2 | 2.8 | 3.0 | 4.0 | 3.3 |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갈비탕이 비교예 1 내지 2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은 삶은 소갈비의 누린내, 각종 잡내가 육수로 일부 유입되는 문제가 있고 갈비 부위의 특징이 잘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비교예 2는 다른 갈비탕에 비해 외관상 국물의 색이 맑아서 육수의 깊은 맛이 특별히 기대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감칠 맛과 깊은 맛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2]: 양념물의 함량 및 가열시간 변경에 따른 관능 평가
(실시예 2-1, 2-2, 3-1 및 3-2)
하기 표 2에 기재된 재료와 가열 조건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갈비탕을 제조하였다.
재료 함량(C1, C2, D1, D2)이 실시예 1과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각 재료 내 구성성분의 중량비율은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가열시간 (비율) | 재료 함량 (중량%) | |||
T1/T2 | T3/T2 | C2/C1 (wt%) | D2/D1 (wt%) | |
실시예 1 | 1.333 | 0.125 | 5 | 7.3 |
실시예 2-1 | 2.0 | 0.125 | 5 | 7.3 |
실시예 2-2 | 1.0 | 0.125 | ||
실시예 2-3 | 1.333 | 0.333 | 5 | 7.3 |
실시예 3-1 | 1.333 | 0.125 | 10 | 7.3 |
실시예 3-2 | 1.333 | 0.125 | 5 | 15 |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1 및 2-2에서, 삶은 소고기가 충분히 추가 가열되지 않아 제1 간장/조미료가 찜갈비에 목적한 만큼 스며들지 않을 수 있고(실시예 2-2), 반대의 경우 소갈비의 질감이 다소 질겨져서 고유의 감칠맛이 일부 떨어질 수 있었다(실시예 2-1).
실시예 2-3에서, 제2 간장 농축액의 눅진한 제2 생야채 특성과 제1 생야채의 특성이 모두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본육수의 시원하고 풋풋한 생야채의 풍미와 눅진한 간장 농축액의 풍미가 조화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시예 3-1에서, 제2 간장 농축액의 사용량이 다소 높은 경우 투입된 찜갈비의 간이 다소 세지고 갈비 부위의 맛과 질감이 육수로부터 독립적으로 부각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있었다.
실시예 3-2에서, 본육수를 입에 머금었을 때 의도한 생야채의 향과 맛이 다소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4)
- 물에 갈비를 투입하고 끓여서 삶은 후, 삶은 갈비를 손질하는 갈비 전처리 단계(S10);
물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제1 간장 및 제1 조미료를 투입하고 끓이는 찜갈비 제조단계(S20);
사골육수 및/또는 양지육수를 배합한 기본육수에, 제2 간장 농축액과 제2 조미료를 포함하는 육수양념 및 제1 생야채를 투입하고 끓이는 본육수 제조단계(S30); 및
상기 찜갈비 및 상기 본육수를 혼합하여 갈비탕을 완성하는 혼합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에서,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은 간장 100 중량부에 제2 생야채 60~80 중량부를 투입하고 가열 전 총부피의 40~60 부피%가 될 때까지 끓여서 농축액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갈비 제조단계(S20)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전처리된 갈비 230~270 중량부, 상기 제1 간장 10~15 중량부 및 상기 제1 조미료 0.1~0.5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이며,
상기 전처리된 갈비의 전체 중량에 대한 상기 제1 간장의 중량 비율이 3~7 중량%이고,
상기 제1 간장에 대한 제2 간장 농축액의 중량 비율(C2/C1)이 4~7%이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의 제조방법:
[관계식 1]
1.2 < T1/T2 < 1.5
관계식 1에서, T1은 상기 찜갈비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2은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육수 제조단계(S30)는, 상기 기본육수 100 중량부에 상기 육수양념 0.5~1 중량부 및 상기 제1 생야채 2~3 중량부를 투입하고 끓이는 단계이며,
상기 제1 생야채에 대한 제2 생야채의 중량 비율(D2/D1)이 5~10%이고,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의 제조방법:
[관계식 2]
0.05 < T2/T3 < 0.25
관계식 2에서, T2는 상기 본육수 제조시 중불 내지 강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고, T3는 상기 육수양념의 제2 간장 농축액 제조시 약불로 가열하는 시간(h)이다. - 제1항에서 제조된 상기 찜갈비를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제1항에서 제조된 상기 본육수를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각각 포장재에 포장한 후 냉동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탕 제조용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30787B1 true KR102730787B1 (ko) | 2024-11-15 |
Family
ID=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1079B1 (ko) | 2014-12-12 | 2016-02-03 | 농업회사법인(주)산청자연식품 | 산약초 추출액을 이용한 갈비탕 제조방법 |
KR102599200B1 (ko) | 2022-08-11 | 2023-11-10 | 주식회사 삼한 통상 | 풍미가 향상된 돼지갈비탕의 제조방법 |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1079B1 (ko) | 2014-12-12 | 2016-02-03 | 농업회사법인(주)산청자연식품 | 산약초 추출액을 이용한 갈비탕 제조방법 |
KR102599200B1 (ko) | 2022-08-11 | 2023-11-10 | 주식회사 삼한 통상 | 풍미가 향상된 돼지갈비탕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822B1 (ko) | 피쉬 소스를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 |
KR102075348B1 (ko) | 돼지갈비 제조방법 | |
KR102288313B1 (ko) | 흑마늘 돼지갈비 제조 방법 | |
KR100698874B1 (ko) | 삼색 돼지 양념 갈비 | |
KR102297656B1 (ko) | 감칠맛이 뛰어난 건어물용 매운맛 마요네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어물용 매운맛 소스 | |
CN107581458B (zh) | 一种黑椒牛排专用烧烤酱及其制备方法 | |
KR101919656B1 (ko) |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 |
KR102240912B1 (ko) | 찌게 육수 제조방법 | |
KR102730787B1 (ko) | 갈비탕의 제조방법 및 갈비탕 제조용 재료 | |
CN107156794A (zh) | 一种香菇黑猪肉酱及其加工方法 | |
KR102624480B1 (ko) | 물불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물불고기 | |
KR101861747B1 (ko) | 버섯 및 오징어를 포함하는 조림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86612B1 (ko) | 양념소스 및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 |
KR20060054918A (ko) | 육류용 양념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양념소스로처리한 양념 소갈비 | |
KR101521167B1 (ko) | 토마토 소스를 이용한 우동 스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12206B1 (ko) | 떡볶이 조리용 양념 조성물 | |
KR20180007141A (ko) | 요리용 양념 육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자탕과 국밥의 조리방법 | |
KR102600277B1 (ko) | 파불고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파불고기 | |
KR102618801B1 (ko) | 고기 양념용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2425007B1 (ko) | 육류요리 전용 맛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류요리 전용 맛간장 | |
KR20200105214A (ko) | 저염식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2506510B1 (ko) | 뼈해장국의 제조방법 및 뼈해장국 제조용 재료 | |
KR102716076B1 (ko) | 샤프란을 이용한 만능 특제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2643290B1 (ko) | 오삼불고기 도시락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오삼불고기 도시락 | |
KR102654252B1 (ko) |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용 양념장, 이를 이용한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