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4741B1 -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4741B1
KR102724741B1 KR1020210173801A KR20210173801A KR102724741B1 KR 102724741 B1 KR102724741 B1 KR 102724741B1 KR 1020210173801 A KR1020210173801 A KR 1020210173801A KR 20210173801 A KR20210173801 A KR 20210173801A KR 102724741 B1 KR102724741 B1 KR 102724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fruit
extract
mulberry
liv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543A (ko
Inventor
안창균
Original Assignee
안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균 filed Critical 안창균
Priority to KR102021017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47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물 90~96 중량%, 배농축액 1.5~4.5 중량%, 설탕 1.0~3.5 중량%, 구연산 0.1~1.0 중량%, L-아스파라진 0.1~1.0 중량%, 밀크씨슬 0.05~0.3 중량%, 감귤추출물 0.01~0.05 중량%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로서,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f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관한 것으로, 식물혼합추출물에 배농축액, 설탕, 구연산, L-아스파라진, 밀크씨슬, 감귤추출물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지질 등의 대사 작용, 해독, 담즙의 배설, 각종 영양소의 저장, 조혈이나 혈액 응고 및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 많은 기능을 갖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이와 같은 간은, 특히 약물, 술, 독성물질 등을 해독시키는 해독 및 분해기능도 갖고 있어 간세포가 손상되기 쉽고 이에 따라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 질환 등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과다한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간장 장해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효과가 인정되는 약물 및 간장 장해에 대한 유효한 천연 약물탐색은 많은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 간염,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면역자극제, 항바이러스제, 실리마린, 운지다당체, 메티오닌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효과를 제공하는 약제가 없어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가 강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간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체체로 생약성분 및 이들의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2-0019344호에는, 아마씨나 들깨에 함유되어 있는 α- 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 질환 예방 및 치료조성물이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1327호에는, 황기, 오미자, 감초 등의 생약조성물을 이용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48620호에는 황기유래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제가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9591호에는 간기능 개선 및 간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78080호에는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 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등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이와 관련된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추어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종 제제 형태의 기능성 식품들이 개발되었고, 그 중 인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양강장 드링크제가 다수 시판되고, 콩나물을 주원료한 식물 엑기스를 함유한 제품과 미배아와 대두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나,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숙취증상 중에서 일부 증상에만 효과가 있거나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하고, 제제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9036호에 헛개나무와 오가피를 혼합하여 증숙과정을 거친 후, 이들에 배, 밤, 곶감, 대추 및 정수를 첨가 혼합하여 가열농축 여과하여 헛개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52261호에 헛개나무추출액에 비타민 C를 강화한 숙취제거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헛개나무 추출액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는 음료보다 숙취 회복의 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는 비타민 C 강화 헛개나무 추출액 함유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있다.
이와같은, 음주 후의 숙취제거를 위하여 각종 생약제를 포함하는 드링크제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일부 드링크제는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고가로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가진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2-00193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132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486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95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780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90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522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된 식물혼합추출물에 배농축액, 설탕, 구연산, L-아스파라진, 밀크씨슬, 감귤추출물을 성분으로 포함시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에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식물혼합추출물 90~96 중량%, 배농축액 1.5~4.5 중량%, 설탕 1.0~3.5 중량%, 구연산 0.1~1.0 중량%, L-아스파라진 0.1~1.0 중량%, 밀크씨슬 0.05~0.3 중량%, 감귤추출물 0.01~0.05 중량%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2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2 중량%, 헛개나무열매 2~5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4 중량%, 오미자열매 1~2 중량%, 참당귀뿌리 0.1~2 중량%, 뽕나무열매 0.1~1 중량%, 계피 0.1~1 중량%, 삽주뿌리 0.1~1.5 중량%, 결명자 0.1~1.0 중량%, 산약 1~2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1~1.0 중량%, 건생강 0.1~1.0 중량%, 만삼뿌리 0.1~1.0 중량%, 미나리 0.1~1.0 중량%, 곶감 2~3 중량% 및 정제수 69.5~88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13 중량%, 오미자열매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및 정제수 80.5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13 중량%, 오미자열매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및 정제수 80.55 중량%로 이루어진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
배농축액 2.67 중량%;
갈색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 및
감귤추출물 0.02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줄기,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각각 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각 분말을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 3.13 중량%, 오미자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줄기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계측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한 혼합분말에 3~5배의 물을 첨가한 후 100~110℃의 추출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식물혼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배를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에 10~30 분간 침지한 다음, 침지 처리된 배를 착즙하여 수득된 주스를 100 ℃의 온도에서 10~30분간 가열농축하여 배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감귤류 진피를 준비하여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고 중탕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재차 가열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해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의 감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와 배농축액 2.67 중량%, 감귤추출물 0.02 중량%에, 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을 가한 후, 100~110℃ 온도에서 30분~1시간 열탕가열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은 임상실험 결과 우수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식품 및 생약성분을 배합하여 편리하게 섭취하게 함으로써 간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 혈액순환 개선, 만성피로 개선 등을 통해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식물혼합추출물, 배농축액, 설탕, 구연산, L-아스파라진, 밀크씨슬, 감귤추출물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식물혼합추출물은 90~96 중량%, 배농축액 1.5~4.5 중량%, 설탕 1.0~3.5 중량%, 구연산 0.1~1.0 중량%, L-아스파라진 0.1~1.0 중량%, 밀크씨슬 0.05~0.3 중량%, 감귤추출물 0.01~0.05 중량%, 바람직하게는 식물혼합추출물 93~95 중량%, 배농축액 2.0~3.5 중량%, 설탕 2.0~3.0 중량%, 구연산 0.1~0.2 중량%, L-아스파라진 0.1~0.2 중량%, 밀크씨슬 0.08~0.2 중량%, 감귤추출물 0.01~0.0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 배농축액 2.67 중량%, 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 감귤추출물 0.02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식물혼합추출물은 90~96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식물혼합추출물이 90 중량% 미만이면 간기능 개선효과 및 알콜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대사에 관련된 효소(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 강화효과가 미흡하고, 96 중량%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배농축액은 1.5~4.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배농축액이 1.5 중량% 미만이면 면역력 증진 및 산성중화효과가 미흡하고 4.5 중량%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설탕은 갈색설탕 1.0~3.5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갈색설탕이 1.0중량% 미만이면 각 구성성분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못하고 쓴맛을 개선시키지 못하며, 3.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지나친 단맛으로 인해 풍미를 잃게하고 초과량에 따른 효과증가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구연산은 0.1~1.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구연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혈액 산성화 개선효능이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구성성분과의 상승작용도 없고 약알카리성 유지기능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L-아스파라진은 0.1~1.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L-아스파라진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간기능 개선효능이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밀크씨슬은 0.05~0.3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밀크씨슬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독소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없고, 0.3 중량%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서 감귤추출물은 0.01~0.05 중량% 사용될 수 있다. 감귤추출물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비타민C나 구연산이 부족하여 물질대사 촉진기능이 없을 뿐만아니라 카로티노이드 성분 중 감귤류에 많이 들어 있는 베타크립토산틴의 항산화·항암 등의 활성 효능이 없고, 0.05 중량%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서, 식물혼합추출물은 조성물이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산청목은,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라고도 불리며,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고지대에서 습생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산청목 껍질을 약재로 사용해 왔으며 간기능 회복, 지사제 등의 효능과, 독성이 없어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산초는 동북 아시아권에서 동북 아시아권에서 널리 자생하고 있는 운향과(Rutaceae)의 낙엽관목으로서 분지나무 또는 상초나무로도 불리며, limonene, citronellal 등의 향기 주요성분과, flavonoid계 성분, caproic acid 등의 지방산 화합물의 성분을 포함한다. 산초의 약효로는 온중, 산한, 제습, 지통, 살충의 효능이 있고, 소화불량, 위내정수, 심복냉통, 구토, 하리, 음부소양증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뽕나무는, 칼슘 등의 각종 미네랄이 50여종이 포함되어 있어 비만증, 각기병과 몸이 붓는 증세, 풍, 멍들고 아픈증세, 청뱅(눈 뜬장님), 머리가 자라지 않는 증세, 탈항, 종기, 동창, 당뇨병치료와 혈압 및 혈당강하, 항암,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녹차에 비해서 칼슘은 6.1배, 철분은 2.2배, 칼리는 1.4배에 해당된다고 한다.
특히, 뽕나무 어린가지는 술독을 제거하는 아스파라긴산과 알라닌, 뇌속의 피를 잘 돌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면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주는 세린과 타이로신, 혈압 강화작용이 있어 뇌출혈, 방사선 장해, 각종 출혈성 질환을 예방해 주는 루틴(Rutin), 혈압 강하 작용을 하는 아미노 부티르산 이외에도 탄닌(Tannin), 유산과당, 프락토스(Fructos), 스타시오스(Stacyose), 포도당, 말토스(Maltose), 라피노스(Raffinose), 아라비노스(Arabinos), 자일로스(Xylos), 베타-아미린(β-Amyrin), 알파-헥사놀(α-Hexanol), 크리산세민(Chrysanthemin), 쿠드라린(Cudrar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모린(Morin), 플라보노이드계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간질환, 고혈압 및 뇌졸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헛개나무열매(oriental raisin tree fruit)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인 헛개나무의 열매로, 헛개나무는 높이 10m 정도이고 수피는 검은빛을 띤 회색으로 세로로 갈라지고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위에 털이 없거나 있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둥근모양이고 갈색을 띤다.
헛개나무열매는 열매가 익을 무렵에 과경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또한"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숙취에 대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숙취 해소 음료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구기자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한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성숙한 과실로, Carotene 3.39㎎%, vitamin B1 0.23㎎%, vitamin B2 0.33㎎%, nicotin acid 1.7㎎%, vitamin C 3㎎%을 함유하고, β-sitosterol, linoleic acid등이 함유되어 있다.
오미자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에 속한 오미자(북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l. 또는 화중오미자(남오미자) S. sphenanthera Rehd. et Wils.의 완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정유가 약 3%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 속에 다양의 sesquicarene, β2 -bisabclene, β-chamigrene, α-ylang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된 오미자열매는 citral 12%, 사과산 10% 및 소량의 주석산을 함유하고 그 밖에 과당,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갈증을 해소하고 간을 회복시킨다.
참당귀뿌리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참당귀는 비교적 습한 땅에 나는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이다. 상기 참당귀의 살찐 뿌리에는 젖빛 즙을 함유하고 있으며 강한 향을 풍긴다.
뽕나무열매(이하 "오디")는, 동의보감에는 "까만 오디는 뽕나무의 정령이 모여있는 것이며, 당뇨와 오장에 이롭다. 오래 먹으면 허기침을 잊는다"고 기록되고 있고, 또한 화한약백과도감에 오디가 "간장과 신장을 보익하고 음혈(정력)을 길러 주는 효능이 있고 양혈거풍의 작용을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그것의 여러 생리활성으로 인하여 쨈, 젤리, 쥬스, 시럽, 술 등의 식품의 재료로 이용되거나 화장품 등의 재료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한 육계 Cinnamomum cassia Presl의 수피로 정유성분이 1~2%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성분은 cinnamaldehyde가 75~90%이다. 성질은 뜨겁고 맛은 맥고 달다.
삽주뿌리(창출)는 삽주(학명: Atractylodes ovata)의 뿌리를 껍질을 벗기지 않고 0.5-1.0cm의 두께로 썰어 햇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창출(삽주뿌리)는 장(腸)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소화의 촉진과 가스의 배출을 돕고 부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결명자는, 결명자는 콩과의 일년생 초본식물 결명초의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비타민 C, 에모딘(Emodin), 베타카로틴, 안트라퀴논(Anrhraquinone)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결명자는 눈, 안과질병에 효과가 있고, 이뇨작용과 배변작용을 용이하게 하며, 간을 다스려 해독작용에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약은, 마과(Dioscoreaceae)에 속한 마 Dioscorea batatas Decne.(=D. opposita Thunb.)와 참마 D.japonica Thunb.의 껍질을 제거한 뿌리줄기로 사포닌(Saponin), 점액, 콜린(cholin), 전분(16%), 글리코프로틴(glycoprotein)과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며, 또한 abscisin Ⅱ, polyphenol 산화효소, 비타민 C, 3,4-dihydroxy-phenyle-thylamine(dopamine)을 함유하고 점액 중에는 마난(mannan)과 피틴(phytin)산이 함유되어 있다.
왕느릅나무껍질은, 버드나무과(Salicaceae)의 낙엽교목인 버드나무의 뿌리껍질(Ulmus macrocarpa Hance)로, 검은 갈색이고 얕게 갈라지며 작은 가지는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밑으로 처지고 털이 나지만 없어진다. 약물의 성미는 고신(苦辛), 한(寒)하고, 간, 신, 방광경에 작용하는데, 청열하고 습을 제거하며 풍을 헤치고 부스럼을 삭이는 효능이 있어 방광염, 황달형, 안염, 풍습성관절염, 소변불리, 습진, 치통이뇨, 해열제, 이뇨제, 폐농양, 구내염, 치은염 치료제로 쓰여 왔다.
화학 성분은 살리실산(salicylic acid), 튜틴(tutin), 나린게닌-7-글루코시드(naringenin-7-glucoside), 나린게닌-5-글루코시드(naringenin-5-glucoside), 쿠에르시트린(quercitrin), 쿠에르세트린(quercetrin)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리작용으로는 중추억제작용 및 강압작용의 보고가 있으며(Balbaa S. I. et al., U.S. Dispensatory, 25Ed, p98, 1983 ; 녹회흥 et al., 중초약, 15(12), p540,1984), 면역 증강 효과도 있다.
건생강은 생강을 건조한 것으로, 생강은 항응혈작용, 건위작용, 식욕증진작용, 신진대사기능촉진작용, 구토억제작용, 소염진통작용, 혈액점도낮춤작용, 설사, 차멀미 예방, 풍습통, 코막힘, 오한, 가래, 수종, 땀내기(발한), 해열, 구토, 위가 차고 배가 아픈 데, 기침, 방향성 건위약, 백반증, 신진대사기능을 촉진한다.
만삼뿌리는, 도라지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만삼(蔓蔘)"의 뿌리를 일컫으며, 학명은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또는 Codonopsis tangshen Oliv. 이다. 또한, 만삼은 당삼 또는 천당삼이라고도 불린다. 중국에서는 코도높시스 필로술라(C. pilosula (Franch.) Nannf.) 및 코도높시스 탕셈 (C. tangshem Oliv)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만삼이라고 하지 않고 당삼이라고 하며, 전자를 서당, 후자를 천당이라고 한다.
만삼은 대한민국의 강원도, 경상남도에서 자생 한다. 만삼은 적혈구를 증가시키고 백혈구를 감소시키며, 면역력증강, 강장작용, 위산과다로 인한 소화성궤양등의 치료제로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만삼은 인삼의 부작용이 있는 사람에게 인삼대용으로 사용되어온 약재이다 (박종희, 이정규, 상용 약용 식물도감, p115, 도서출판 신일상사(2000)).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사할린섬, 중국대륙, 일본,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아한대, 온대로부터 열대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미나리는 비타민 A, B1, B2, C 등이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 철분, 칼슘, 인 등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혈액의 산성화를 막아주며, 특유의 정유성분(이소람네틴, 페르시카린, 알파피넨, 미르센 등)과 철분이 함유하고 있어 정신을 맑게 하고 혈액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고 심한 갈증을 없애고 열을 깨끗이 내리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미나리는 해독 및 중금속 정화작용이 있고 가래를 삭히며 기관지와 폐를 보호하는 효능도 있으며, 변비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나리는 알코올의 분해를 빠르게 하여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다. 또한 미나리는 수분이 맣기 때문에 변통 촉진성 식품이라 볼 수 있으며, 미나리의 생즙이 황달이나 소장질환, 대장질환, 신경쇠약등에 좋은 치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곶감은 비타민A와 비타민C(사과의10배)가 풍부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끝 맛이 떫은 타닌 성분이 설사를 멎게 해주고 모세혈관을 강화시켜서 고혈압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음주 전후에 복용하면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만성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쓰이며, 곶감을 꾸준히 먹게 되면 면역력이 향상되어서 각종 질병 및 감기예방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 창출(삽주뿌리), 감귤추출물은 복합적으로 상승작용하여 소화기의 부종을 없애고 소화기의 연동운동을 강화시켜 에탄올의 소화기 체류시간을 줄이고, 요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여 에탄올의 신속한 체외배출을 이룰 수 있다. 에탄올의 소화기 체류시간을 줄이고 신속히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숙취발생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 헛개나무줄기, 오미자열매가 복합적으로 상승작용하여 간의 기능을 개선하고, 알콜과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대사에 관련된 효소(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해독작용을 촉진시키고, 간에서 소화기로의 독소물질의 배출을 증진시키고 요관의 움직임을 좋게하여 각종 독소를 체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숙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물혼합추출물의 조성 함량은,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2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2 중량%, 헛개나무열매 2~5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4 중량%, 오미자열매 1~2 중량%, 참당귀뿌리 0.1~2 중량%, 뽕나무열매 0.1~1 중량%, 계피 0.1~1 중량%, 삽주뿌리 0.1~1.5 중량%, 결명자 0.1~1.0 중량%, 산약 1~2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1~1.0 중량%, 건생강 0.1~1.0 중량%, 만삼뿌리 0.1~1.0 중량%, 미나리 0.1~1.0 중량%, 곶감 2~3 중량% 및 정제수 69.5~88 중량%, 바람직하게는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13 중량%, 오미자열매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및 정제수 80.55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혼합추출물의 조성물은 상기한 구성성분비를 가질 때,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각 성분의 상승작용에 의해 최적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이다.
우선, 식물혼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줄기,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각각 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각 분말을 혼합한다.
각 분말의 혼합 함량은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 3.13 중량%, 오미자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줄기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계측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한 혼합분말에 대략 3~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100~110℃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로 3회 연속 추출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다음 85 ~ 100 ℃에서 감압농축하여 식물혼합추출물을 수득한다.
또한, 배농축액은, 배를 3 cm 두께로 4 등분 분할 한 후 상온에서 0.1 ~0.3 g/L의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에 10~30 분간 침지한 다음, 침지 처리된 배를 착즙하여 수득된 주스를 100 ℃의 온도에서 10~30분간 가열농축하여 배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감귤추출물은 감귤류 진피를 준비하여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한 다음, 분쇄된 감귤류 진피를 고온/고압의 히터 장치를 이용하여 120℃ 온도 하에 3atm의 고압 증기로 팽화 처리하였다. 이 후, 팽화 처리된 감귤류 진피를 중탕기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중탕 가열한 후 20℃의 온도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전처리 된 감귤류 진피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대략 85℃ 이상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해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의 감귤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와 배농축액 2.67 중량%, 감귤추출물 0.02 중량%에, 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을 가한 후, 100~110℃ 온도에서 대략 30분~1시간 열탕가열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혼합추출물을 1회 복용량인 50~75mL씩 분리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장용기에 담을때 85~95℃ 상태로 내열용기에 진공압축하여 포장한다.
포장되는 복용량을 100mL, 120mL, ... 단위로 하여 분리 포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험예1>
상기에서 제조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1회 복용량 50mL 씩 분리 포장하여, 성인 40명에게 제공하여 음주 전에 50mL 복용케하고 술 마신 뒤 평상시 잘 겪는 숙취 증상의 완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성인 40명 중 8명이 평상시 음주 후 머리가 아픈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8명 중 6명이 머리가 아픈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75%의 머리가 아픈 숙취 증상 완화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인 40명 중 11명이 평상시 음주 후 머리가 무거운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11명 중 10명이 머리가 무거운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91%의 머리가 무거운 숙취 증상 완화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인 40명 중 35명이 평상시 음주 후 갈증이 심한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35명 중 26명이 갈증이 심한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74%의 갈증이 심한 숙취 증상 완화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인 40명 중 24명이 평상시 음주 후 술 냄새가 심하게 나는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24명 중 18명이 술 냄새가 심하게 는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75%의 술 냄새가 심하게 나는 숙취 증상 완화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인 40명 중 17명이 평상시 음주 후 속이 쓰리거나 아픈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17명 중 14명이 속이 쓰리거나 아픈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82%의 속이 쓰리거나 아픈 숙취 증상 완화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인 40명 중 23명이 평상시 음주 후 피곤을 느끼는 숙취 증상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음주 전에 50mL 복용하고 술 마신 경우 23명 중 20명이 피곤을 느끼는 숙취 증상이 평상시 음주 후 보다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여, 86%의 피곤을 느끼는 숙취 증상 완화 비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소화기의 연동운동을 강화하여 에탄올의 소화기 내 체류시간을 줄이고, 에탄올의 체내 흡수를 줄이면서 체외 배출을 촉진하는 숙취예방의 효과, 간의 부종을 없애 간기능을 개선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를 촉진하며 독성물질의 체외배출을 활성화시켜 숙취발생을 억제하는 효과 및 발생된 숙취를 신속하게 해소하는 효과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다양한 숙취 증상에 범용적인 효과가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6)

  1. 식물혼합추출물 90~96 중량%, 배농축액 1.5~4.5 중량%, 설탕 1.0~3.5 중량%, 구연산 0.1~1.0 중량%, L-아스파라진 0.1~1.0 중량%, 밀크씨슬 0.05~0.3 중량%, 감귤추출물 0.01~0.05 중량%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며,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2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2 중량%, 헛개나무열매 2~5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4 중량%, 오미자열매 1~2 중량%, 참당귀뿌리 0.1~2 중량%, 뽕나무열매 0.1~1 중량%, 계피 0.1~1 중량%, 삽주뿌리 0.1~1.5 중량%, 결명자 0.1~1.0 중량%, 산약 1~2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1~1.0 중량%, 건생강 0.1~1.0 중량%, 만삼뿌리 0.1~1.0 중량%, 미나리 0.1~1.0 중량%, 곶감 2~3 중량% 및 정제수 69.5~88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혼합추출물은, 상기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13 중량%, 오미자열매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및 정제수 80.5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식물혼합추출물 100중량% 기준으로, 산청목 1.67 중량%, 뽕나무 어린가지 1.58 중량%, 헛개나무열매 2.53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3.13 중량%, 오미자열매 1.56 중량%, 참당귀뿌리 0.78 중량%, 뽕나무열매 0.83 중량%, 계피 0.73 중량%, 삽주뿌리 0.73 중량%, 결명자 0.78 중량%, 산약 1.19 중량%, 왕느릅나무껍질 0.63 중량%, 건생강 0.47 중량%, 만삼뿌리 0.31 중량%, 미나리 0.46 중량%, 곶감 2.07 중량% 및 정제수 80.55 중량%로 이루어진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
    배농축액 2.67 중량%;
    갈색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 및
    감귤추출물 0.02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6. 산청목, 뽕나무 어린가지, 헛개나무열매, 구기자, 오미자, 참당귀뿌리, 뽕나무열매, 계피, 삽주뿌리줄기, 결명자, 산약, 왕느릅나무껍질, 건생강, 만삼뿌리, 미나리, 곶감을 각각 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 한 후, 각 분말을 소정량씩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한 혼합분말에 3~5배의 물을 첨가한 후 100~110℃의 추출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고형물을 제거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식물혼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배를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에 10~30 분간 침지한 다음, 침지 처리된 배를 착즙하여 수득된 주스를 100 ℃의 온도에서 10~30분간 가열농축하여 배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감귤류 진피를 준비하여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고 중탕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재차 가열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해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의 감귤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한 식물혼합추출물 94.37 중량%와 배농축액 2.67 중량%, 감귤추출물 0.02 중량%에, 설탕 2.5 중량%, 구연산 0.17 중량%, L-아스파라진 0.17 중량%, 밀크씨슬 0.1 중량%을 가한 후, 100~110℃ 온도에서 30분~1시간 열탕가열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10173801A 2021-12-07 2021-12-07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724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01A KR102724741B1 (ko) 2021-12-07 2021-12-07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01A KR102724741B1 (ko) 2021-12-07 2021-12-07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43A KR20230085543A (ko) 2023-06-14
KR102724741B1 true KR102724741B1 (ko) 2024-10-30

Family

ID=8674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01A KR102724741B1 (ko) 2021-12-07 2021-12-07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47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04B1 (ko) 1991-04-10 1994-01-05 주식회사 우방랜드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KR100200182B1 (ko) 1996-12-18 1999-06-15 박명규 황기 유래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제
KR100310979B1 (ko) 1999-03-25 2001-10-17 김상조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TW573133B (en) 2001-05-22 2004-0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jection display device
KR100422966B1 (ko) 2002-03-26 2004-03-12 김성도 헛개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20040052261A (ko) 2002-12-16 2004-06-23 민상규 비타민 c 강화 헛개나무 추출액 함유 음료의 제조방법
KR20050078080A (ko) 2004-01-30 2005-08-04 김판현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43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CN102988638A (zh) 一种青钱柳叶降脂降糖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3636874A (zh) 一种金银花火麻茶
CN106889233A (zh) 一种袋泡参苓白术茶及其制备方法
CN102342351A (zh) 护肝茶
CN103749782A (zh) 一种金花火麻养生茶
CN100577193C (zh) 一种醒酒保健品
KR102724741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766528A (zh) 一种中草药养颜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5795053A (zh) 一种火棘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20100005868A (ko) 양파 음료 조성물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CN104082647A (zh) 一种仙人掌蜂蜜冻干粉及其制备方法
CN103947753A (zh) 一种牡丹皮养颜饮品的制备方法
CN103340411B (zh) 一种润肺油茶蜂蜜
CN107308266A (zh) 一种女性养生保健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919436A (zh) 一种簕菜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900916A (zh) 一种当归茱萸明目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394279A (zh) 一种添加中药的降脂减肥茶及其制备方法
CN110623103A (zh) 一种生津止渴的罗汉果茉莉花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719760A (zh) 一种清热调理组合物
KR20200061446A (ko) 함초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