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295B1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0295B1 KR102680295B1 KR1020230078323A KR20230078323A KR102680295B1 KR 102680295 B1 KR102680295 B1 KR 102680295B1 KR 1020230078323 A KR1020230078323 A KR 1020230078323A KR 20230078323 A KR20230078323 A KR 20230078323A KR 102680295 B1 KR102680295 B1 KR 102680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pipe
- fire
- pipe member
- exhaust duct
- preven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5 specific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확산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ESS 전기실 천장에 마련되는 에어덕트와 연결되는 유로관; 일단이 상기 유로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배기덕트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본체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주름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확산방지 장치는, 상기 복수의 케이스에 대응되는 수만큼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케이스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ESS 전기실에서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를 빠른 시간 내에 진화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진압에 성공하여 주변에 화재가 전도됨에 따라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SS 전기실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화재를 소화하는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ESS(Energy Storage System) 전기실은 주야간에 화재 발생 시 전기실이 대부분 전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특히 ESS 전기실은 배터리랙의 배치가 조밀하게 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주변 배터리랙까지 화재가 번져서 전소되는 상황이다.
최근까지 ESS 전기실 내부 구조에 대한 법적 규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기실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배터리랙을 최대한 많이 배치하다 보니 화재로 인한 피해를 더욱 키울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근래에는 ESS 전기실은 배터리랙의 간격을 규제하는 규제들이 만들어져 배터리랙 간의 간격을 일정거리 이격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ESS 전기실은 배터리랙 간의 안전 거리를 형성한다 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 셀의 특성상 고온과 고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변에 화재가 전도되어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는 여전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ESS 전기실에서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SS 전기실에서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빠른 시간 내에 진화가능하도록 하는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ESS 전기실에서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진압에 성공하여 주변에 화재가 전도됨에 따라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랙(R)을 포함하는 케이스(C)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실에 마련되고, 종합제어장치(5)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상기 ESS 전기실 천장에 마련되는 에어덕트(11)와 연결되는 유로관(12), 일단이 상기 유로관(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배기덕트 본체(13)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주름관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상기 케이스(C)에 대응되는 수만큼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C)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상기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거나 상기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는 주름관 열림부(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름관부재(14)는, 타단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주름관 하강추(141)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일단은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의 타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주름관 하강추(141)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케이스(C)의 외부를 커버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는,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의 일측과 연결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거치대(151), 일단이 상기 제1 거치대(151)의 타단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고정된 상태의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높이에 기초한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되, 상기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제1 거치대(151)와 평행하게 굴절되는 제2 거치대(153), 상기 제2 거치대(153)에 위치하는 구동모터(155),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155)에 연결되는 스크류(157) 및 상기 스크류(157)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55)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부(159)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는, 상기 구동모터(155)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55)에 전원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통신모듈(1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확산방지 장치는,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약제 탱크(18), 상기 소화약제 탱크(18)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약제가 이동하는 약제 이동통로(19), 일단은 상기 약제 이동통로(19)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 본체(13)를 관통하여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분사유로(20), 상기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상기 분사유로(20)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21), 상기 분사유로(20)의 일면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유로(20)가 개방되면 상기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2) 및 상기 분사유로(20)가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분사 연결부재(23)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ESS 전기실에서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를 빠른 시간 내에 진화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진압에 성공하여 주변에 화재가 전도됨에 따라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소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소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실에는 ESS 안전 관리법에 따라 1m 간격으로 일정한 높이(대략 2m)를 갖는 사각형의 케이스(C)가 복수개로 배치되며, 도 1은 ESS 전기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케이스(C)는 전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금속재로서, 케이스(C)의 내측에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상하로 이격되어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ESS 배터리랙(R)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랙(R)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병렬 또는 직렬-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해당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C)에 배치된 다른 배터리모듈로 화재가 전도되며, 해당 케이스의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지 못하면 다른 케이스(C)로도 화재가 전도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소화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케이스 이외의 케이스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를 조기진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화재 소화 시스템은 화재 확산방지 장치(1), 감지센서(3) 및 종합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배터리랙(R)을 포함하는 케이스(C)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실에 마련되고, 종합제어장치(5)에 의해 원격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에어덕트(11), 유로관(12), 배기덕트 본체(13), 주름관부재(14), 주름관 열림부(15), 소화약제 탱크(18), 약제 이동통로(19), 분사유로(20), 개폐밸브(21), 분사노즐(22), 분사 연결부재(23), 댐퍼(24), 제1 송풍팬(25) 및 제2 송풍팬(26)의 구성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에어덕트(11)는 ESS 전기실의 천장면에 위치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평시에는 전기실 내부의 환기를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에어덕트(11)의 끝단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덕트(11)에는 복수의 유로관(12)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에어덕트(11)는 연결된 복수의 유로관(1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나 에어덕트(11)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덕트(11)의 끝단에 위치한 배출구 근처에는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제2 송풍팬(26)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로관(12)은 일단이 에어덕트(11)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덕트 본체(13)와 연결되어 배기덕트 본체(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덕트(11)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기덕트 본체(13)는 일단은 유로관(1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주름관부재(14)와 연결되어 주름관부재(14)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유로관(12)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배기덕트 본체(13)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송풍팬(25)이 배기덕트 본체(1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덕트 본체(13)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 본체(13)는 주름관부재(14)와 연결되는 타단은 유로관(12)과 연결되는 일단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다가 동일한 면적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굴뚝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름관부재(14)는 배기덕트 본체(13)의 타단과 연결되고, 자바라식으로 유연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름관부재(14)의 높이 전체에 걸쳐 자바라식 주름이 형성된 접이식 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관부재(14)는 화재 발생 시 케이스(C)를 커버하여 화재가 다른 케이스(C)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주름관 열림부(15)에 의해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주름관부재(14)의 재질은 열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게 하는 재질과 연질의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에스터나 유리 섬유 등과 같이 널리 알려진 공지의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주름관부재(14)의 재질은 배터리모듈의 화재 특성에 적합한 소재의 방염막, 불연재의 재질로 채택될 수 있다.
주름관부재(14)는 화재 시 케이스(C)를 커버하기 위해 케이스(C)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주름관 열림부(15)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주름관 열림부(15)의 일단은 배기덕트 본체(13)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수직낙하하여 케이스(C)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C)를 주름관부재(14)가 씌움으로써 화재가 다른 케이스(C)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케이스(C) 내에 있는 배터리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름관부재(14)는 주름관 하강추(141)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관 하강추(141)는 주름관 열림부(15)에 의해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이 해제되면 주름관부재(14)의 타단이 주름관 하강추(141)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케이스(C)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주름관 하강추(141)는 주름관부재(14) 타단의 테두리, 즉 하부면의 사각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고,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마련되어 수직낙하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주름관 하강추(141)는 금속 재질로 주름관부재(14)를 하강시키는 무게추 역할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주름관부재(14)는 배터리모듈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주름관 하강추(141)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여 케이스(C)를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주름관 하강추(141)의 일정한 중량이라 함은 케이스(C)의 파손을 방지하되, 수직낙하를 통해 주름관부재(14)가 완전히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름관부재(14)의 길이 및 낙하속도를 고려하여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거나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의 최하단의 상면은 주름관부재(14)와 접함으로써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관 열림부(15)의 일부는 배기덕트 본체(13)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공중에 위치할 수 있고, 주름관 열림부(15)의 다른 일부는 주름관부재(14)의 타단에 마련되는 주름관 하강추(141)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되어 주름관 하강추(141)가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화재가 긴급상황이 발생한 상황이 발생하면 평상 시에 주름관 하강추(141)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되는 주름관 열림부(15)의 다른 일부가 이동하여 주름관 하강추(141)의 하면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주름관 열림부(15)는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여 주름관 하강추(141)가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 본체(13) 및 주름관부재(14)의 일측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도 1과는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소화약제 탱크(18)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약제를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소화약제가 약제 이동통로(19)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소화약제 탱크(18)는 ESS 전기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일정 부피를 가지며 일정 수준 이상의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소화약제 탱크(18)에 충전된 소화약제는 팽창비 500배 이상의 높은 팽창률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거품은 화재의 표면을 덮어 가연성 증기와 산소의 접촉을 방지하는 산소차단효과(질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약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화약제는 거품 속에 함유된 수분에 의한 냉각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열폭주 및 재발화 특성이 있는 ESS 화재 대응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소화약제 탱크(18)에 충전되는 소화약제는 가스,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혼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화약제 탱크(18)는 내부 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가압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약제 이동통로(19)는 소화약제 탱크(18)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소화약제 탱크(18)와 연결될 수 있고, 분사유로(2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소화약제 탱크(18)로부터 유입된 소화약제가 분사유로(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이동통로(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11)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동일선상에서 에어덕트(1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사유로(20)는 화재 발생 시 약제 이동통로(19)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주름관부재(14) 내부에 소화약제가 도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개폐밸브(21)에 의해 약제 이동통로(19)와 연통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유로(20)의 일단은 약제 이동통로(19)와 연결되고, 타단은 배기덕트 본체(13)를 관통하여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분사 연결부재(23)에 의해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및 후면으로 2면이 개방된 케이스(C)를 기준으로 상정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분사유로(20)가 제1 분사유로(20-1) 및 제2 분사유로(20-2)로 마련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분사유로(20)의 개수는 단수개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진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분사유로(20)의 일면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2)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채워진 소화약제가 분사노즐(22)을 통해 케이스(C)를 향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유로(20)는 주름관부재(14)의 내부에서, 케이스(C)의 배터리랙(R)과 마주보는 위치인 케이스(C)의 개방된 전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유로(20)는 평시(화재 미발생)에는 주름관부재(14) 내부에서 주름진 상태 또는 꼬인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반면 화재 발생 시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이 해제되어 하강하면, 분사유로(20)는 주름진 상태 또는 꼬인 상태가 풀리면서 길이가 늘어나 분사노즐(22)의 분사 위치가 케이스(C)를 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분사유로(20)는 주름관부재(14)의 길이 변경에 대응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폐밸브(21)는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약제 이동통로(19)와 분사유로(20)의 사이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21)의 수는 분사유로(20)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분사유로(20-1)는 제1 개폐밸브(21-1)를 통해 개폐되고, 제2 분사유로(20-2)는 제2 개폐밸브(21-2)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2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사노즐(22)은 분사유로(20)로 공급된 소화약제가 케이스(C)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분사노즐(22-1, 22-2)은 분사유로(20)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개폐밸브(21)에 의해 분사유로(20)가 개방되면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연결부재(23-1, 23-2)는 복수개의 분사유로(20-1, 20-2) 각각이 주름관부재(14)의 내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사 연결부재(23-1, 23-2)은 분사유로(20-1, 20-2)의 일면과 주름관부재(14)의 내면사이에서 일정간격마다 배치되어 분사유로(20-1, 20-2)와 주름관부재(14)의 내면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분사 연결부재(23)는 제1 분사유로(20-1)와 주름관부재(14)를 연결하는 제1 분사 연결부재(23-1) 및 제2 분사유로(20-2)와 주름관부재(14)를 연결하는 제2 분사 연결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24)는 유로관(12)과 에어덕트(11) 사이에 위치하여 유로관(12)과 에어덕트(11)가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종합제어장치(5)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할 주름관 열림부(15)의 통신모듈(163) 또는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와 연동되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댐퍼(24)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댐퍼(24)는 각각의 유로관(12)에 대응되어 마련되고, 평시에는 댐퍼(24)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에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화재가 발생한 케이스(C)에 대응되는 댐퍼(24)는 개방되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케이스(C)들에 대응되는 댐퍼(24)를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송풍팬(25)은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에 마련되어 화재 발생 시 배기덕트 본체(13)와 연결된 주름관부재(1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유로관(1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풍팬(26)은 에어덕트(11)의 끝단 주변에 위치하고 에어덕트(11)에 포함된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3)는 케이스(C)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되, 배터리랙(R)에 배치되는 각각의 배터리모듈로부터 연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감지된 신호를 종합제어장치(5)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3)는 각각의 배터리랙(R)에 적층되는 배터리모듈의 일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만 도시되었을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센서(3)가 연기감지센서인 경우에는 배터리모듈의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감지신호를 종합제어장치(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3)가 온도감지센서인 경우에는 배터리모듈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감지신호를 종합제어장치(5)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온도감지센서는 열전쌍 온도센서, 반도체 온도센서 등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감지센서(3)는 연기감지 및 온도감지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 전류 신호나 이상 전압 신호도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제어장치(5)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무선으로도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합제어장치(5)는 복수의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ESS 전기실의 화재여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ESS 전기실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면에서와는 달리 ESS 전기실을 관리하는 별도의 종합제어실에 마련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종합제어장치(5)는 연기 또는 온도 측정 간격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기설정된 시간은 1초 내외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종합제어장치(5)는 각각의 감지센서(3)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므로 연기 또는 온도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전송한 감지센서(3)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종합제어장치(5)는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한 각 배터리모듈의 연기감지신호 또는 온도감지신호를 기준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분석결과 기준 임계값 이상이면 해당 감지센서(3)에 대응되는 배터리모듈의 화재 이상 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제어장치(5)는 화재 이상 징후로 판단된 배터리모듈에 대응되는 특정한 감지센서(3)에 대응되는 주름관 열림부(15)의 구동신호를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주름관 열림부(1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합제어장치(5)와 주름관 열림부(15)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한 주름관 열림부(15)는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여 화재 이상 징후로 판단된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C)가 커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종합제어장치(5)는 필요에 따라 화재 이상 징후로 판단된 배터리모듈이 아닌 다른 케이스(C)에 포함된 배터리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가 필요한 케이스(C)에 대응되는 주름관 열림부(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종합제어장치(5)는 케이스(C)와 주름관 열림부(15)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종합제어장치(5)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는 후술할 주름관 열림부(15)의 통신모듈(163) 또는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로 전송되고, 이에 의해 화재 확산방지 장치(1)의 구성들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소화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ESS 전기실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주름관부재(14)가 수직하부에 위치한 케이스(C)를 커버하여 화재의 확대 또는 확산을 막고, 소화액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초기 진압하여 대형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화재 발생으로 인해 한번 사용된 주름관부재(14)는 용도 폐기하여 제거되고 새로운 주름관부재(14)로 교체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163)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시 케이스(C)의 외면을 커버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화재로부터 케이스(C)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확산방지 장치(1)의 구성 중 주름관 열림부(15)를 제외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되었거나 이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덕트 본체(13)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공중에 위치할 수 있게 되며, 주름관부재(14)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를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주름관 열림부(15)는 제1 거치대(151), 제2 거치대(153), 구동모터(155), 스크류(157), 수평이동부(159), 솔레노이드 밸브(161) 및 통신모듈(163)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거치대(151)는 주름관 열림부(15)가 배기덕트 본체(13)와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은 배기덕트 본체(13)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거치대(151)의 일단은 배기덕트 본체(13)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51)의 상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61) 및 통신모듈(163)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거치대(153)는 일단이 제1 거치대(151)의 타단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제2 거치대(153)의 타단은 고정된 상태의 주름관부재(14)의 높이에 기초한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되, 소정의 높이에서 제1 거치대(151)와 평행하게 굴절될 수 있다. 그리고 굴절된 제2 거치대(153) 타단의 높이는 고정된 상태의 주름관부재(14)의 타단보다 지면에서 더 가까운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거치대(153)에는 구동모터(155)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제1 거치대(151) 및 제2 거치대(153)를 통해 주름관 열림부(15)는 솔레노이드 밸브(161), 통신모듈(163), 구동모터(155), 스크류(157) 및 수평이동부(159)를 포함하여 배기덕트 본체(1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55)는 제2 거치대(153)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61)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155)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구동모터(155)의 회전축에는 수평 방향, 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의 스크류(157)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스크류(157)의 일단은 구동모터(155)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내부 너트부(미도시)를 구비한 수평이동부(159)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지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다. 또한 스크류(157)는 수평이동부(159)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159)는 구동모터(155)의 작동에 따라 지면과 평행한 수평으로 이동하여 주름관부재(14)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 위해 마련되며, 너트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미도시)는 원통 형상으로 스크류(157)와 결합되고, 수평이동부(159)의 일단 및 타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너트부(미도시)는 스크류(157)와 나사결합을 위해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스크류(157)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부(159)는 중앙이 개방된 창틀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이동부(159)의 상면은 주름관 하강추(141)의 하부면 일측과 접촉하여 주름관부재(14)의 주름이 펼쳐져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평이동부(159)는 나사 결합을 통해 스크류(157)에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155)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해줄 수 있다. 즉, 수평이동부(159)는 구동모터(155)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57)가 회전하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미도시)의 회전으로 스크류(157)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수평이동부(159)의 상면은 평상 시에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주름관부재(14)의 주름관 하강추(141) 하부면 일측에 접함으로써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반면, 화재 발생시에는 수평이동부(159)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구동모터(155)의 작동하면 스크류(157)를 따라 구동모터(155) 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161)는 구동모터(155)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5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거치대(151)의 상면 또는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161)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포트가 구비된 밸브바디와 밸브바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플런저와 전원 공급에 따라 플런저를 개방 또는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163)은 제1 거치대(151)의 상면 또는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 일측 위치하되,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63)은 종합제어장치(5)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6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63)은 송수신부(1631), 제어부(1633), 솔레노이드 전류컨트롤러(1635) 및 전원부(1637)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송수신부(1631)는 제어부(1633)의 제어에 의해 종합제어장치(5)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소모가 적어 가정이나 산업 현장의 자동화 분야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적합하도록 IEEE 80215 규격에 기반을 두는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규격으로서, 20 내지 250kbps의 비교적 저속의 전송속도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633)는 송수신부(1631)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작동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33)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각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기기별 식별정보를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솔레노이드 전류 컨트롤러(1635)에 솔레노이드 온오프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33)는 솔레노이드 밸브(161)의 온 구동 신호인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55)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 경우 수평이동부(159)는 구동모터(155)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155) 방향으로 수평이동함으로써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이 해제되고, 주름관 하강추(141)의 무게에 의해 주름관부재(14)가 하강하여 케이스(C)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C)가 커버된 이후에 이어서 제어부(1633)는 개폐밸브(21-1, 2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개방함으로써 소화약제가 복수의 분사노즐(22-1, 22-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633)는 복수의 분사노즐(22-1, 22-2)을 통해 소화약제가 분사된 이후 일정시간이 지연된 이후 전원부(1637)를 이용해 송풍팬 구동 제어신호를 제1 송풍팬(25) 및 제2 송풍팬(26)으로 전송하여 제1 송풍팬(25) 및 제2 송풍팬(26)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제어부(1633)는 댐퍼(24)의 댐퍼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댐퍼(24)에 연결된 모터로 전송하여 모터의 동작에 의해 댐퍼(24)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다른 유로관(12)의 댐퍼(24)는 개방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오염된 공기가 다른 유로관(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33)는 제1 송풍팬(25), 제2 송풍팬(26) 및 댐퍼(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전류 컨트롤러(1635)는 전원부(1637)의 전원으로부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에어덕트(11), 유로관(12), 배기덕트 본체(13), 주름관부재(14), 주름관 열림부(15), 소화약제 탱크(18), 약제 이동통로(19), 분사유로(20), 개폐밸브(21), 분사노즐(22), 분사 연결부재(23), 댐퍼(24), 제1 송풍팬(25) 및 제2 송풍팬(26)의 구성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중 주름관부재(14) 및 주름관 열림부(15)를 제외한 모든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부재(14)는 주름관 하강추(141) 및 하강추 고리(1411)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주름관 하강추(141)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하강추(141)로부터 유추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하강추 고리(1411)는 주름관 하강추(141)의 상면에 고정되고 후술할 주름관 열림부(15)의 와이어(1515)와 결합되며, 하강추 고리(1411)는 주름관부재(14)의 타단 테두리에 마련되는 주름관 하강추(141)의 각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배기덕트 본체(13)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와 달리 배기덕트 본체(13) 및 주름관부재(1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는 도르래(1511), 와이어 락(1513), 와이어(1515), 도르래 고정핀(1517), 연결부재(1519),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 및 케이블(1525)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 중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를 제외한 도르래(1511), 와이어 락(1513), 와이어(1515), 도르래 고정핀(1517), 연결부재(1519),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 및 케이블(1525)은 모두 복수개로 마련되되 각각의 구성을 하나의 세트(set)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트는 주름관부재(14)의 모서리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부재(14)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바, 모서리가 총 4개이므로, 도르래(1511), 와이어 락(1513), 와이어(1515), 도르래 고정핀(1517), 연결부재(1519),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 및 케이블(1525) 각각이 하나의 세트로 묶이므로 총 4개의 세트로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르래(1511)는 배기덕트 본체(13)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하여 와이어(1515)와 연결되고, 도르래(1511)에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1515)가 감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도르래(15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 본체(13)의 내측 모서리에 마련된 별도의 고리를 통해 배기덕트 본체(13)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와이어 락(1513)은 도르래(15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와이어(1515)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와이어(1515)가 도르래(1511)에 감긴 상태에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락(1513)은 와이어(1515)가 관통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에 와이어(1515)의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어 락(1513)은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와이어 락(1513)의 상면 및 하면에 와이어(1515)를 묶을 수 있는 고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 락(1513)은 도르래 고정핀(1517)의 상부에 올려져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와이어 락(1513)은 도르래 고정핀(1517)에 마련되는 홈(1519)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와이어(1515)는 주름관부재(14)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은 도르래(1511)에 연결되어 도르래(1511)에 감기고, 타단은 와이어 락(1513)을 관통하여 하강추 고리(14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르래 고정핀(1517)은 와이어 락(15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락(1513)을 거치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 고정핀(1517)은 일단에서 내측으로 패인 홈(1519)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홈(1519)의 직경은 와이어 락(15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도르래 고정핀(1517)이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도르래 고정핀(1517)의 상면에 접하여 거치되어 있던 와이어 락(1513)을 지지하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와이어 락(1513)은 아래로 떨어지고, 주름관 하강추(141)가 하강함에 따라 도르래(1511)에 감긴 와이어(1515)가 풀려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도르래 고정핀(1517)은 와이어 락(1513)이 분리되면 하방으로 처져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에 매달리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1519)는 도르래 고정핀(1517)이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연결부재(1519)의 일단은 도르래 고정핀(1517)과 연결되고, 타단은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519)는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르래 고정핀(1517)이 와이어 락(151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는 연결부재(1519)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연결부재(1519)의 타단에 연결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연결된 연결부재(1519)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는 이를 위해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솔레노이드(전자석)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는 케이블(1525)을 통해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의 세부 구조 및 작동 방식은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는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열림부(15)의 통신모듈(163)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163)의 구성 중 솔레노이드 전류 컨트롤러(1635)는 전원부(1637)의 전원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1521)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확산방지 장치(1)를 포함하는 화재 소화 시스템에서의 종합제어장치(5)는 케이스(C)와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으며, 주름관 하강제어기(1523)는 케이스(C)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배기덕트 본체(1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종합제어장치(5)와의 원격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 : 케이스 R : 배터리랙
1 : 화재 확산방지 장치 11 : 에어덕트
12 : 유로관 13 : 배기덕트
14 : 주름관부재 141 : 주름관 하강추
1411 : 하강추 고리 15 : 주름관 열림부
151 : 제1 거치대 153 : 제2 거치대
155 : 구동모터 157 : 스크류
159 : 수평이동부 161 : 솔레노이드 밸브
163 : 통신모듈 1631 : 송수신부
1633 : 제어부 1635 : 솔레노이드 전류컨트롤러
1637 : 전원부 1511 : 도르래
1513 : 와이어 락 1515 : 와이어
1517 : 도르래 고정핀 15171 : 홈
1519 : 연결부재 1521 :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
1523 : 주름관 하강제어기 1525 : 케이블
18 : 소화약제 탱크 19 : 약제 이동통로
20 : 분사유로 21 : 개폐밸브
22 : 분사노즐 23 : 분사 연결부재
24 : 댐퍼 25 : 제1 송풍팬
26 : 제2 송풍팬 3 : 감지 센서
5 : 종합제어장치
1 : 화재 확산방지 장치 11 : 에어덕트
12 : 유로관 13 : 배기덕트
14 : 주름관부재 141 : 주름관 하강추
1411 : 하강추 고리 15 : 주름관 열림부
151 : 제1 거치대 153 : 제2 거치대
155 : 구동모터 157 : 스크류
159 : 수평이동부 161 : 솔레노이드 밸브
163 : 통신모듈 1631 : 송수신부
1633 : 제어부 1635 : 솔레노이드 전류컨트롤러
1637 : 전원부 1511 : 도르래
1513 : 와이어 락 1515 : 와이어
1517 : 도르래 고정핀 15171 : 홈
1519 : 연결부재 1521 : 솔레노이드 엑츄레이터
1523 : 주름관 하강제어기 1525 : 케이블
18 : 소화약제 탱크 19 : 약제 이동통로
20 : 분사유로 21 : 개폐밸브
22 : 분사노즐 23 : 분사 연결부재
24 : 댐퍼 25 : 제1 송풍팬
26 : 제2 송풍팬 3 : 감지 센서
5 : 종합제어장치
Claims (1)
- 배터리랙(R)을 포함하는 케이스(C)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실에 마련되고, 종합제어장치(5)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화재 확산방지 장치(1)에 있어서,
상기 ESS 전기실 천장에 마련되는 에어덕트(11)와 연결되는 유로관(12);
일단이 상기 유로관(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배기덕트 본체(13); 및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주름관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상기 케이스(C)에 대응되는 수만큼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C)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상기 주름관부재(14)를 고정하거나 상기 주름관부재(14)의 고정을 해제하는 주름관 열림부(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름관부재(14)는,
타단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주름관 하강추(141)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일단은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의 타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주름관 하강추(141)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케이스(C)의 외부를 커버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는,
일단이 상기 배기덕트 본체(13)의 일측과 연결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거치대(151);
일단이 상기 제1 거치대(151)의 타단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고정된 상태의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높이에 기초한 소정의 높이로 마련되되, 상기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제1 거치대(151)와 평행하게 굴절되는 제2 거치대(153);
상기 제2 거치대(153)에 위치하는 구동모터(155);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155)에 연결되는 스크류(157); 및
상기 스크류(157)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55)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부(159)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 열림부(15)는,
상기 구동모터(155)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55)에 전원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6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통신모듈(1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확산방지 장치(1)는,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약제 탱크(18);
상기 소화약제 탱크(18)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약제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약제 이동통로(19);
일단은 상기 약제 이동통로(19)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덕트 본체(13)를 관통하여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분사유로(20);
상기 종합제어장치(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 상기 분사유로(20)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21);
상기 분사유로(20)의 일면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유로(20)가 개방되면 상기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2);
상기 분사유로(20)가 상기 주름관부재(14)의 내부면에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분사 연결부재(23); 및
유로관(12)과 에어덕트(11) 사이에 위치하여 유로관(12)과 에어덕트(11)가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댐퍼(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323A KR102680295B1 (ko) | 2021-10-25 | 2023-06-19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2949A KR102548115B1 (ko) | 2021-10-25 | 2021-10-25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23A KR102680295B1 (ko) | 2021-10-25 | 2023-06-19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2949A Division KR102548115B1 (ko) | 2021-10-25 | 2021-10-25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048A KR20230095048A (ko) | 2023-06-28 |
KR102680295B1 true KR102680295B1 (ko) | 2024-07-03 |
Family
ID=86160055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2949A KR102548115B1 (ko) | 2021-10-25 | 2021-10-25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32A KR102680298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확산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06A KR102641539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확산방지 장치 |
KR1020230078324A KR102641544B1 (ko) | 2021-10-25 | 2023-06-19 | 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36A KR102680304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23A KR102680295B1 (ko) | 2021-10-25 | 2023-06-19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19A KR102641543B1 (ko) | 2021-10-25 | 2023-06-19 | 종합제어장치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15A KR102641545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진압이 가능한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13A KR102641542B1 (ko) | 2021-10-25 | 2023-06-19 | Ess 전기실의 배터리 모듈에 의한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2949A KR102548115B1 (ko) | 2021-10-25 | 2021-10-25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32A KR102680298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확산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0230078306A KR102641539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확산방지 장치 |
KR1020230078324A KR102641544B1 (ko) | 2021-10-25 | 2023-06-19 | 주름관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36A KR102680304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소화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8319A KR102641543B1 (ko) | 2021-10-25 | 2023-06-19 | 종합제어장치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15A KR102641545B1 (ko) | 2021-10-25 | 2023-06-19 |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진압이 가능한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KR1020230078313A KR102641542B1 (ko) | 2021-10-25 | 2023-06-19 | Ess 전기실의 배터리 모듈에 의한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9) | KR102548115B1 (ko) |
WO (1) | WO20230750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8115B1 (ko) * | 2021-10-25 | 2023-07-03 | 주식회사 시너지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KR102698432B1 (ko) * | 2023-11-13 | 2024-08-26 | 주식회사 더본컴퍼니 | 소화 및 배연 장치를 갖는 방음 터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502Y1 (ko) | 2003-04-14 | 2003-07-22 | 김대천 | 로스터용 배기장치 |
KR102028880B1 (ko) | 2019-05-20 | 2019-11-04 |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KR102123685B1 (ko) | 2019-10-29 | 2020-06-29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가스감지식 ess 소화장치 |
KR102548115B1 (ko) * | 2021-10-25 | 2023-07-03 | 주식회사 시너지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6163B1 (ko) | 1995-04-14 | 1998-11-02 | 임경찬 | 자동확산 소화시스템 |
JP2001248874A (ja) * | 2000-03-06 | 2001-09-14 | Shinpo Co Ltd | 上引き吸引装置の支持構造 |
KR20110077895A (ko) * | 2009-12-30 | 2011-07-07 | 오문탁 |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
JP7379178B2 (ja) * | 2020-01-16 | 2023-11-14 | ホーチキ株式会社 | 防災設備 |
-
2021
- 2021-10-25 KR KR1020210142949A patent/KR102548115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01 WO PCT/KR2021/017950 patent/WO202307500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6-19 KR KR1020230078332A patent/KR1026802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06A patent/KR102641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24A patent/KR1026415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36A patent/KR102680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23A patent/KR1026802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19A patent/KR1026415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15A patent/KR1026415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6-19 KR KR1020230078313A patent/KR102641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502Y1 (ko) | 2003-04-14 | 2003-07-22 | 김대천 | 로스터용 배기장치 |
KR102028880B1 (ko) | 2019-05-20 | 2019-11-04 |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KR102123685B1 (ko) | 2019-10-29 | 2020-06-29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가스감지식 ess 소화장치 |
KR102548115B1 (ko) * | 2021-10-25 | 2023-07-03 | 주식회사 시너지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 확산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소화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0304B1 (ko) | 2024-07-02 |
KR20230093221A (ko) | 2023-06-27 |
KR20230093223A (ko) | 2023-06-27 |
KR20230093222A (ko) | 2023-06-27 |
KR20230092861A (ko) | 2023-06-26 |
KR102641543B1 (ko) | 2024-02-28 |
KR102641542B1 (ko) | 2024-02-28 |
KR102680298B1 (ko) | 2024-07-02 |
KR20230093220A (ko) | 2023-06-27 |
KR102641539B1 (ko) | 2024-02-28 |
KR102641545B1 (ko) | 2024-02-28 |
KR102548115B1 (ko) | 2023-07-03 |
KR102641544B1 (ko) | 2024-02-28 |
KR20230093219A (ko) | 2023-06-27 |
KR20230095048A (ko) | 2023-06-28 |
WO2023075002A1 (ko) | 2023-05-04 |
KR20230093218A (ko) | 2023-06-27 |
KR20230058997A (ko) | 202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0295B1 (ko) | Ess 전기실에서의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 장치 | |
JP6096188B2 (ja) | ホットアイル/コールドアイルデータセンター火災抑止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100981725B1 (ko) |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 |
KR101356088B1 (ko) | 조립식 자동제어식 에너지 절약형 안전캐비닛 | |
KR101999290B1 (ko) |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 |
KR10188702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CN106974452B (zh) | 可燃性气体高压气瓶存储保护柜及方法 | |
EA001072B1 (ru) |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с системой тушения пожара | |
KR102035764B1 (ko)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
KR102172697B1 (ko) |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 |
CN108263771A (zh) | 一种危险品安全储物柜 | |
CN106581915A (zh) | 一种可燃气体防爆系统及其控制方法和油漆存储库 | |
CN210644901U (zh) | 一种储能箱的灭火装置 | |
KR20180010798A (ko) |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 |
CN215741507U (zh) | 换电站的消防系统 | |
CN221487212U (zh) | 一种具有防火结构的低压集成开关柜 | |
CN217642317U (zh) | 一种具有智能灭火功能的电气柜 | |
CN116845719A (zh) | 一种高低压开关柜智能灭火系统及方法 | |
CN113318361A (zh) | 电控间消防系统及消防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