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1400B1 - 캡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캡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400B1
KR102641400B1 KR1020217039422A KR20217039422A KR102641400B1 KR 102641400 B1 KR102641400 B1 KR 102641400B1 KR 1020217039422 A KR1020217039422 A KR 1020217039422A KR 20217039422 A KR20217039422 A KR 20217039422A KR 102641400 B1 KR102641400 B1 KR 10264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eat
driver
cap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42A (ko
Inventor
노리히로 이와하시
도모코 기쿠마
마코토 사사키
히로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0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캡은, 운전석(31)과, 운전석(31)의 측방에 배치되는 콘솔(61R)과, 콘솔(61R)에 설치되고, 작업기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71)와, 콘솔(61R)에 설치되는 표시부로서의 모니터(81)를 구비한다.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는, 운전석(31)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캡 및 작업 차량
본 개시는, 캡 및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4-13694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캡을 가지는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캡 내부의 전방측의 코너부에는, 각종 모니터 기능을 가지는 평면형의 표시부를 가지는 모니터 장치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유압 셔블의 현상(現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8-8122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운전실을 가지는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운전실 내의 우측방부에는,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그 컨트롤 패널에는,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13694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8-8122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모니터 장치 및 모니터가, 캡 내부의 전방측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석으로부터 모니터 장치 및 모니터까지의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모니터 장치 및 모니터를 보기 어렵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모니터가, 운전실 내의 우측방부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모니터가 운전실 내의 측벽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상의 이유에 의해, 모니터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에 일정 이상 가까이 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모니터를 보기 어렵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개시의 목적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표시부의 시인성(視認性)이 양호한 캡과, 그와 같은 캡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캡은 운전석과, 콘솔과, 조작 레버와, 표시부를 구비한다. 콘솔은 운전석의 측방에 배치된다. 조작 레버는 콘솔에 설치된다. 조작 레버는 작업기를 조작한다. 표시부는 콘솔에 설치된다.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 및 표시부는, 운전석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 및 표시부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본 개시를 따른 작업 차량은 캡과, 작업기를 구비한다. 작업기는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표시부의 시인성이 양호한 캡과, 그와 같은 캡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 중의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1 중의 캡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 도 1 중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1 중의 캡 내부에서의 운전석과, 운전석의 우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 도 1 중의 캡 내부에서의 운전석과, 운전석의 우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前面)도이다.
[도 7] 도 6 중의 VII-VII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도 5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 도 6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0] 도 7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도 1 중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콘솔에 대한 모니터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콘솔에 대한 모니터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 콘솔에 대한 모니터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5]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slide end)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6]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7]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거기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붙여 있다.
도 1은,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서의 캡을 구비하는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1)와, 작업기(12)를 구비한다. 차량 본체(11)는, 선회체(旋回體)(13)와, 주행 장치(15)를 가진다.
주행 장치(15)는, 한 쌍의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15Cr)와, 주행 모터(15M)를 가진다. 유압 셔블(100)은, 크롤러 벨트(15Cr)의 회전에 의해 주행 가능하다. 주행 모터(15M)는, 주행 장치(15)의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장치(15)가 차륜(타이어)를 가져도 된다.
선회체(13)는 주행 장치(15) 위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13)는, 선회 중 심(26)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 장치(15)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다. 선회 중심(2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선회체(13)는 캡(운전실)(30)을 가진다. 캡(30) 내에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에는, 운전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거주 공간(120)에 탑승하고, 운전석(31)에 착석하여 유압 셔블(100)을 조작한다.
선회체(13)는 엔진 후드(19)와, 선회체(13)의 후부(後部)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를 가진다. 엔진 후드(19)에는, 엔진, 작동유 탱크, 에어 클리너 및 유압 펌프 등이 수용되고 있다.
작업기(12)는 차량 본체(11)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선회체(13)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2)는 지면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한다. 작업기(12)는 붐(boom)(16)과, 암(17)과, 버킷(18)을 가진다.
붐(16)은 붐 핀(23)을 통하여, 차량 본체(11)(선회체(13))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17)은 암 핀(24)을 통하여, 붐(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18)은 버킷 핀(25)을 통하여, 암(1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업기(12)는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와, 암 실린더(21)와, 버킷 실린더(22)를 추가로 가진다.
붐 실린더(20A), 붐 실린더(20B), 암 실린더(21) 및 버킷 실린더(22)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다. 붐 실린더(20A) 및 붐 실린더(20B)는, 붐(16)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붐(16)을 회동 동작시킨다. 암 실린더(21)는 암(17)을 회동 동작시킨다. 버킷 실린더(22)는 버킷(18)을 회동 동작시킨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정면 방향이 전방이고,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배후 방향이 후방이다. 좌우 방향(측방)이란,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이다.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우측이 오른쪽이며,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향했을 때의 좌측이 왼쪽이다.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지면이 있는 측이 아래쪽이며, 비어 있는 측이 위쪽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 중의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계속해서, 캡(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전면(30A)과, 후면(30B)과, 우측면(30C)과, 좌측면(30D)과, 상면(30E)과, 바닥면(30F)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전면(30A)은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면(30B)은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우측면(30C)은 오른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우측면(30C)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작업기(12)과 대향하고 있다. 좌측면(30D)은 왼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면(30E)은 위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30F)은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캡(30)은 바닥 부재(40)와, 기둥 부재(42L)와, 좌우 한 쌍의 기둥 부재(43) (43L, 43R)와, 좌우 한 쌍의 기둥 부재[44(44L, 44R)]와, 빔(beam) 부재(51, 52, 53)와, 좌우 한 쌍의 거더(girder) 부재[54(54L, 54R)]와, 좌우 한 쌍의 거더 부재[55(55L, 55R)]를 가진다.
바닥 부재(40),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는,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화됨으로써 캡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 부재(40)는 바닥면(30F)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 부재(40)는 판재(예를 들면, 강판)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는, 일방향으로 장척형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진다.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120)은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기둥 부재(44),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바닥 부재(40) 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바닥 부재(40)에 접속되고 있다. 기둥 부재(42L), 기둥 부재(43) 및 기둥 부재(44)는, 상면(30E) 및 바닥면(30F)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는, 전면(30A) 및 좌측면(30D)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는 전면(30A)의 전단부(前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2L)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운전석(31)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는 좌측면(30D)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R)는 우측면(30C)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는, 기둥 부재(42L)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는, 좌측면(30D) 및 후면(30B)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는, 좌측면(30D)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R)는, 우측면(30C) 및 후면(30B)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R)는 우측면(30C)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기둥 부재(43L) 및 기둥 부재(43R)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기둥 부재(44L) 및 기둥 부재(44R)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운전석(31)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는 상면(30E)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 빔 부재(52) 및 빔 부재(5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빔 부재(51)는 전면(30A)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1)의 좌측 단부는, 기둥 부재(42L) 및 후술하는 거더 부재(54L)의 접속부에 접속되고 있다. 빔 부재(51)의 우측 단부는, 후술하는 거더 부재(54R)의 전단부(前端部)에 접속되고 있다.
빔 부재(52)는 빔 부재(51)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2)의 우측 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上端部)에 접속되고 있다. 빔 부재(52)의 좌측 단부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빔 부재(53)는, 상면(30E) 및 후면(30B)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3)는 빔 부재(52)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53)의 우측 단부는, 기둥 부재(44R)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빔 부재(53)의 좌측 단부는, 기둥 부재(44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4L) 및 거더 부재(5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4L) 및 거더 부재(54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4L)는, 좌측면(30D)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4L)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2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4L) 및 기둥 부재(42L)는, 일체의 프레임재로 구성되어 있다. 거더 부재(54L)의 후단부(後端部)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4R)는, 우측면(30C)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4R)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5L) 및 거더 부재(55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5L) 및 거더 부재(55R)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5L)는, 좌측면(30D)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5L)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3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5L)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4L)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5R)는, 우측면(30C) 및 상면(30E)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거더 부재(55R)의 전단부는, 기둥 부재(43R)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거더 부재(55L)의 후단부는, 기둥 부재(44R)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브래킷(41)을 추가로 가진다. 브래킷(41)은, 빔 부재(51) 및 거더 부재(54R)의 접속부와, 바닥 부재(40)의 우측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41)은, 기둥 부재(42L)와 좌우 한 쌍에 설치될 프레임재 대신에 설치되어 있다. 캡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재끼리가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데에 대하여, 브래킷(41)은 볼트 등에 의해, 캡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천장 부재(45)와, 도어 부재(32)를 추가로 가진다. 천장 부재(45)는 상면(30E)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 부재(45)는 판재(예를 들면, 강판)로 구성되어 있다. 천장 부재(45)는 빔 부재(51, 52, 53), 거더 부재(54) 및 거더 부재(55) 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 부재(32)는, 좌측면(30D)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 부재(32)는, 오퍼레이터가 거주 공간(120)에 대하여 입퇴실할 때 개폐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은 전방 투명 부재(46)와, 측방 투명 부재(48)를 추가로 가진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측방 투명 부재(48)는, 광이 투과가능한 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 및 측방 투명 부재(48)는,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아크릴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전면(30A)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둥 부재(42L) 및 브래킷(4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기둥 부재(43)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운전석(31)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우측면(30C)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브래킷(41), 기둥 부재(43R) 및 기둥 부재(44R)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측방 투명 부재(4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브래킷(41) 및 기둥 부재(43R) 사이에만 걸쳐 설치되어도 된다.
전방 투명 부재(46)는, 상방 투명 부재(46P)와, 하방 투명 부재(46Q)를 가진다. 상방 투명 부재(46P)는, 하방 투명 부재(46Q)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하방 투명 부재(46Q) 및 측방 투명 부재(48)가 고정식인 반면, 상방 투명 부재(46P)는 개폐 동작 가능한 가동식이다. 상방 투명 부재(46P)는, 전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와, 전면(30A)을 폐쇄 상태로 하는 위치 사이에서 개폐 동작한다. 상방 투명 부재(46P)는, 전면(30A)을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에 동작했을 때, 상면(30E)으로 이동한다.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는, 캡(30) 내의 오퍼레이터가 작업기(12)에 의한 작업을 확인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시계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위치에는, 기둥 부재(42L)와 좌우 한 쌍이 되어야 할 프레임재 대신에, 브래킷(41)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41)은, 캡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재와 같이 강도를 담보하는 부재가 아니므로, 브래킷(41)을 얇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시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위치에 있어서, 브래킷(41)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고정식의 전방 투명 부재와, 고정식의 측방 투명창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도 4는, 도 1 중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31)은 시트 쿠션(37)과, 시트백(36)과, 단트(38)를 가진다.
시트 쿠션(37)은 바닥 부재(40)와 평행하게 가로놓여 있다. 시트 쿠션(37)은, 오퍼레이터가 앉는 시트 부위이다. 시트백(36)은, 시트 쿠션(37)의 후단부로부터 위쪽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36)은, 오퍼레이터의 등받이가 되는 시트 부위이다. 헤드레스트는 시트백(36)의 상측 단에 설치되어 있다. 헤드레스트(38)는 오퍼레이터의 후두부를 떠받치는 시트 부위이다.
캡(30)은 서스펜션 기구부(39)를 추가로 가진다. 서스펜션 기구부(39)는, 운전석(31)(시트 쿠션(37))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31)은 서스펜션 기구부(39)를 통하여 바닥 부재(40)에 장착되어 있고, 서스펜션 기구부(39)는 운전석(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캡(30)은 좌우 한 쌍의 콘솔[61(61L, 61R)]과, 좌우 한 쌍의 암레스트(56) (56L, 56R)를 추가로 가진다.
콘솔(61)은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61L)은 운전석(31)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다. 콘솔(61R)은 운전석(31)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6)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6)는 콘솔(6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6L)는 운전석(31)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6R)는 운전석(31)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56)는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팔걸이로서 이용된다.
캡(30)은 조작 레버(71)와, 조작 레버(76)을 추가로 가진다. 조작 레버(71) 및 조작 레버(76)는, 오퍼레이터에 조작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작업기(12)를 조작한다. 조작 레버(71) 및 조작 레버(76)는, 운전석(3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운전석(31)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콘솔(61R)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암레스트(56R)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콘솔(61R)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콘솔(61R)의 후방단(後方端)보다도, 콘솔(61R)의 전방단(前方端)에 가깝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시트백(36)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시트 쿠션(37)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6)는 운전석(31)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6)는 콘솔(61L)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6)는, 조작 레버(71)와 좌우 대칭의 형태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캡(30)은 모니터(81)와, 조작부(80)를 추가로 가진다. 모니터(81)는 유압 셔블(100)의 운전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모니터(81)는 엔진 수온 게이지, 작업 모드, 주행 속도 및 연료계 등의 각종 인디케이터를 표시한다. 모니터(81)는 터치패널식의 모니터다. 모니터(81)는 작업 모드 선택, 주행 속도 선택, 와이퍼 스위치 및 화면 전환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를 표시한다.
모니터(81)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유압 셔블(100)의 주위의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모니터(81)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유압 셔블(100)의 현상 위치, 버킷의 날끝(teeth)의 위치 정보 및 시공·설계 데이터 등을 표시해도 된다.
조작부(80)는, 유압 셔블(100)의 운전 시에 사용되는 각종 전환 스위치 및 다이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 중의 캡 내부에서의 운전석과, 운전석의 오른쪽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 중의 캡 내부에서의 운전석과, 운전석의 오른쪽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6 중 VII-VII선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부터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모니터(81) 및 조작부(80)는 콘솔(61R)에 설치되어 있다.
캡(30)은 브래킷(62)을 추가로 가진다. 브래킷(62)은 콘솔(61R)에 장착되어 있다. 모니터(81) 및 조작부(80)는, 브래킷(6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모니터(81) 및 조작부(80)는, 브래킷(62)을 통하여 콘솔(61R)에 장착되어 있다. 콘솔(61R)은, 브래킷(62)을 통하여 모니터(81) 및 조작부(80)의 중량을 받고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는, 운전석(31)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는, 운전석(31)으로부터, 운전석(31)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상면에서 볼 때, 모니터(81)는, 조작 레버(71)에 대하여 운전석(31)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71)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조작 레버(7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콘솔(61R)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암레스트(56R)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중에는, 좌우 방향에서의 운전석(31)의 중심 위치(101)와, 좌우 방향에서의 캡(30)의 중심 위치(102)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31)의 중심 위치(101)로부터 모니터(81)까지의 거리는, 운전석(31)의 중심 위치(101)로부터 조작 레버(71)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캡(30)의 중심 위치(102)로부터 모니터(81)까지의 거리는, 캡(30)의 중심 위치(102)로부터 조작 레버(71)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모니터(8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우측면(30C)으로부터 분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상면에서 볼 때, 모니터(81)는, 조작 레버(71)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상면에서 볼 때, 모니터(81) 및 조작 레버(71)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니터(81)는 기둥 부재(43R)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암레스트(56R)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시트백(36) 및 헤드레스트(38)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브래킷(41) 및 기둥 부재(42L)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면(30A)과 우측면(30C)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코너부(T)가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헤드레스트(38)의 헤드레스트 전면(38a)의 중심 위치(S)와, 코너부(T)를 연결하는 직선(103)이 규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모니터(81)는, 직선(103)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직선(103)의 오른쪽이면서 또한 후방의 캡(30) 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81)는, 직선(103)과 우측면(30C) 사이에 협지된 캡(30) 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콘솔(61R)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와, 암레스트(56R)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0)는 모니터(8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전면에서 볼 때, 모니터(81) 중 적어도 일부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전면에서 볼 때, 모니터(81)의 일부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어 있다.
도 8은, 도 5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6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0은, 도 7 중의 조작 레버 및 모니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부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1)는, 오퍼레이터가 파지 가능한 원기둥형의 그립으로 이루어진다. 조작 레버(71)는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궁형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져도 된다.
조작 레버(71)는 좌우 방향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중립 포지션(71A: 조작 레버(71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와, 중립 포지션(71A)으로부터, 오른쪽(운전석(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한 우측 포지션(71B: 조작 레버(71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71)는, 중립 포지션(71A)과, 중립 포지션(71A)으로부터, 왼쪽(운전석(31)으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시프트한 좌측 포지션(71C: 조작 레버(71C)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71)는,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우측 포지션(71B) 및 좌측 포지션(71C)에 경도되었을 때, 작업기(12)를 동작시킨다(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버킷(18)의 굴삭 동작 및 덤프 동작).
조작 레버(71)는 전후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71)는, 중립 포지션(71A)과, 중립 포지션(71A)으로부터 전방으로 시프트한 앞측 포지션(71D: 조작 레버(71D)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71)는, 중립 포지션(71A)과, 중립 포지션(71A)으로부터 후방으로 시프트한 뒤측 포지션(71E: 조작 레버(71E)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위치) 사이에서 경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71)는,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앞측 포지션(71D) 및 뒤측 포지션(71E)에 경도되었을 때, 작업기(12)를 동작시킨다(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붐(16)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
조작 레버(71)는,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탄성력을 받아, 우측 포지션(71B), 좌측 포지션(71C), 앞측 포지션(71D) 및 뒤측 포지션(71E)으로부터, 중립 포지션(71A)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조작 레버(71)는, 중립 포지션(71A)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작업기(12)를 정지시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중립 포지션(71A), 우측 포지션(71B), 좌측 포지션(71C), 앞측 포지션(71D) 및 뒤측 포지션(71E)에 위치결정된 조작 레버(71)를 각각, 조작 레버[71(71A)], 조작 레버[71(71B)], 조작 레버[71(71C)], 조작 레버[71(71D)] 및 조작 레버[71(71E)]라고도 한다.
모니터(81)는 박판(薄板)형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모니터(81)는 표시면(82)을 가진다. 표시면(82)은 예를 들면 액정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면(82)은 모니터(81)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면(8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1(71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전후 영역(22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전후 영역(220)은, 조작 레버[71(71A)]의 전단부(72)로부터 후단부(73)까지의 전후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모니터(8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2 전후 영역(21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전후 영역(210)은, 모니터(81)의 전단부(87)로부터 후단부(88)까지의 전후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1 전후 영역(22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전후 영역(21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제1 전후 영역(220)의 일부와, 제2 전후 영역(210)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모니터(81)의 전단부(87)는, 조작 레버[71(71A)]의 전단부(7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모니터(81)의 후단부(88)는, 조작 레버[71(71A)]의 전단부(72)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조작 레버[71(71A)]의 후단부(88)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제2 전후 영역(210)이, 조작 레버[71(71A)]가 설치되는 제1 전후 영역(220)보다 전방으로 시프트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제2 전후 영역(210)이, 조작 레버[71(71A)]가 설치되는 제1 전후 영역(220)보다 후방으로 시프트한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제1 전후 영역(220)의 전부와, 제2 전후 영역(210)의 일부가 중첩되는 구성(제2 전후 영역(210)이, 제1 전후 영역(220)에 포함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제1 전후 영역(220)의 일부와, 제2 전후 영역(210)의 전부가 중첩되는 구성(제1 전후 영역(220)이, 제2 전후 영역(210)에 포함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제1 전후 영역(220)의 전부와, 제2 전후 영역(210)의 전부가 중첩되는 구성(제1 전후 영역(220) 및 제2 전후 영역(210)이 일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조작 레버(7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3 전후 영역(230)에서 동작한다. 제3 전후 영역(230)은, 조작 레버[71(71D)]의 전단부(72)로부터 조작 레버[71(71E)]의 후단부(73)까지의 전후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3 전후 영역(23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전후 영역(21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제3 전후 영역(230) 및 제2 전후 영역(210)은, 제1 전후 영역(220) 및 제2 전후 영역(210) 사이의 상기 관계와 동일한 관계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1(71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높이 영역(25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높이 영역(250)은, 조작 레버[71(71A)]의 상단부(74)로부터 하단부(下端部)(75)까지 상하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모니터(8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2 높이 영역(24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높이 영역(240)은, 모니터(81)의 상단부(85)로부터 하단부(86)까지 상하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1 높이 영역(25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높이 영역(24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제1 높이 영역(250)의 일부와, 제2 높이 영역(240)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모니터(81)의 상단부(85)는, 조작 레버[71(71A)]의 상단부(7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조작 레버[71(71A)]의 하단부(75)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니터(81)의 하단부(86)는, 조작 레버[71(71A)]의 하단부(75)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제2 높이 영역(240)이, 조작 레버[71(71A)]가 설치되는 제1 높이 영역(250)보다 아래쪽 가까이에 시프트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제2 높이 영역(240)이, 조작 레버[71(71A)]가 설치되는 제1 높이 영역(250)보다 위쪽 가까이에 시프트한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제1 높이 영역(250)의 전부와, 제2 높이 영역(240)의 일부가 중첩되는 구성(제2 높이 영역(240)이, 제1 높이 영역(250)에 포함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제1 높이 영역(250)의 일부와, 제2 높이 영역(240)의 전부가 중첩되는 구성(제1 높이 영역(250)이, 제2 높이 영역(240)에 포함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제1 높이 영역(250)의 전부와, 제2 높이 영역(240)의 전부가 중첩되는 구성(제1 높이 영역(250)의 모두 및 제2 높이 영역(240)이 일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조작 레버(7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3 높이 영역(260)에서 동작한다. 제3 높이 영역(260)은, 조작 레버[71(71E)]의 상단부(74)로부터 조작 레버[71(71C)]의 하단부(75)까지 상하 방향의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제3 높이 영역(26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높이 영역(24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제3 높이 영역(260) 및 제2 높이 영역(240)은, 제1 높이 영역(250) 및 제2 높이 영역(240) 사이의 상기 관계와 동일한 관계를 가진다.
도 8부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82)은, 표시면(82)의 상단부(83)가 표시면(82)의 하단부(84)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71(71A)]는, 조작 레버[71(71A)]의 상단부(74)가 조작 레버[71(71A)]의 하단부(75)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표시면(82)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는, 조작 레버[71(71A)]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보다 크다. 표시면(82)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는, 조작 레버[71(71A)]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각도 이하라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82)은 상면에서 볼 때 운전석(31) 측을 향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82)의 상단부(83)는, 조작 레버[71(71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도 1 중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중에는, 운전석(3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시야가 나타내어져 있다. 오퍼레이터의 우측 경사 전방에서는, 고정식의 전방 투명 부재(46)와, 고정식의 측방 투명 부재(48)가, 서로 맞대어져 접합되어 있다.
도 5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0)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71)가 설치된 콘솔(61R)에, 모니터(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는, 운전석(31)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니터(81)가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미치는 범위의 주변에 설치되므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보기 용이해진다. 또한, 모니터(81)가 터치패널식인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위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운전석(31)에 드나드는 오퍼레이터의 동작이 모니터(81)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는, 우측면(30C)(측방 투명 부재(48)) 및 조작 레버(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전면(30A) 및 우측면(30C) 너머로 작업기(12)의 동작을 보고 있을 때, 그 시선을 크게 움직일 일 없이 모니터(81)를 시야에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보기 용이해지거나, 작업기(12)를 시야의 끝에 남기면서, 모니터(81)를 보거나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71(71A)]가 설치되는 제1 높이 영역(250) 중 적어도 일부와, 모니터(81)가 설치되는 제2 높이 영역(24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이 모니터(81)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전방 시계성(視界性)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유압 셔블(100)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우측 경사 전방에 있어서, 프레임재 대신에 브래킷(41)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41)에 의해 전방 투명 부재(46) 및 측방 투명 부재(48)가 지지되는 구성, 또는, 전방 투명 부재(46)와 측방 투명 부재(48)가, 서로 맞대어져 접합되는 구성에 의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우측 경사 전방의 시계성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가 전방 투명 부재(46) 및 측방 투명 부재(48) 너머로 작업기(12)의 동작을 보는 경우에, 작업기(12)의 시인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이 조작 레버[71(71A)] 또는 콘솔(61R)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더욱 보기 용이해진다. 또한, 모니터(81)가 터치패널식인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자신의 손을 크게 움직일 일 없이 조작 레버(71)로부터 모니터(81)까지 옮길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8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82)은, 표시면(82)의 상단부(83)가 표시면(82)의 하단부(84)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면(82)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측을 향하므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더욱 보기 용이해진다.
또한, 표시면(82)은, 상면에서 볼 때 운전석(31)의 측을 향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표시면(82)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측을 향하므로,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더욱 보기 용이해진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82)의 상단부(83)는, 조작 레버[71(71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표시면(82)이 조작 레버[71(71A)]보다 전방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전방을 보고 있을 때, 그 시선을 크게 움직일 일 없이 표시면(82)을 시야에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더욱 보기 용이해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볼 때, 모니터(81)중 적어도 일부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둥 부재(43R)의 전후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모니터(8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가 우측면(30C)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우측면(30C) 및 운전석(31)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있어서, 모니터(81)의 대화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2부터 도 14는, 콘솔에 대한 모니터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솔(61R)은 본체부(63)와, 암레스트 장착부(64)와, 조작 레버 장착부(65)를 가진다.
본체부(63)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운전석(31)(시트 쿠션(37))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63)는 전체로서,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고,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 되는 장척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63)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63)는 내판부(63J)와, 외판부(63K)를 가진다. 내판부(63J) 및 외판부(63K)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내판부(63J)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시트 쿠션(37))과 대향하고 있다. 외판부(63K)는, 내판부(63J)에 대하여, 운전석(31)(시트 쿠션(37)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 장착부(64)에는, 암레스트(56R)가 장착되어 있다. 암레스트 장착부(64)는 본체부(6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암레스트 장착부(64)는, 본체부(63)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통 형상을 가진다. 암레스트(56R)는 폴부(pole member)(57)를 가진다. 폴부(5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폴부(57)는 암레스트 장착부(64)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폴부(57)를 암레스트 장착부(6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암레스트(56R)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조작 레버 장착부(65)에는, 조작 레버(71)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 장착부(65)는 본체부(6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 장착부(65)는, 본체부(63)의 전방단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 장착부(65)는 판 형상을 가지고, 내판부(63J) 및 외판부(63K)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62)은 플랜지부(66)와, 돌출부(projection member)(68)와, 연장부(extension member)(67)를 가진다. 플랜지부(66)는 좌우 방향으로 직교하는 판 형상을 가진다. 플랜지부(66)는 본체부(63)에 접속되고 있다. 플랜지부(66)는 외판부(63K)에 접속되고 있다. 돌출부(68)는 플랜지부(66)의 상단부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6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66)로부터 멀어질수록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돌출부(68)에는, 조작부(80)가 장착되어 있다.
연장부(67)는, 돌출부(68)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67)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68)로부터 멀어질수록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연장부(67)에는, 모니터(81)가 장착되어 있다. 모니터(81)의 표시면(82)은, 연장부(67)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62)은 위치 조정 기구(機構)(91)를 가진다. 위치 조정 기구(91)는 연장부(67)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91)는, 모니터(81)를 표시면(8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치 조정 기구(91)는 모니터(81)를 전후 방향으로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부(67)에는, 복수의 장착공(92)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92)은, 연장부(67)의 연장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장공(長孔)의 개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니터(81)는 장착공(92)에 삽입되는 볼트(93)에 의해, 연장부(67)에 대하여 체결되어 있다. 연장부(67)에 대한 모니터(81)의 체결 시, 모니터(81)를 장착공(92)이 이루는 장공의 개구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모니터(8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눈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면(8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모니터(81)를 더욱 보기 용이해진다.
그리고, 도 8부터 도 10 중에는, 하방측이면서 또한 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모니터(81)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5는,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6은,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7은, 모니터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의 캡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81)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에도,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제2 전후 영역(210)과, 제1 전후 영역(220) 및 제3 전후 영역(230) 사이의 관계가 동일하게 충족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81)가 상방측이면서 또한 전방측의 슬라이드단에 위치 조정된 경우에도,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제2 높이 영역(240)과, 제1 높이 영역(250) 및 제3 높이 영역(260) 관계가 동일하게 충족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캡(30) 및 유압 셔블(1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한다.
캡(30)은 운전석(31)과, 콘솔(61R)과, 조작 레버(71)와, 표시부로서의 모니터(81)를 구비한다. 콘솔(61R)은 운전석(31)의 측방에 배치된다. 조작 레버(71)는 콘솔(61R)에 설치된다. 조작 레버(71)는 작업기(12)를 조작한다. 모니터(81)는 콘솔(61R)에 설치된다. 상면에서 볼 때,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는, 운전석(31)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71) 및 모니터(81)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니터(81)가,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손길이 미치는 범위의 주변에 설치되므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71(71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높이 영역(250)에 설치된다. 모니터(8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2 높이 영역(240)에 설치된다. 제1 높이 영역(250)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높이 영역(240)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방을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이 모니터(81)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전방 시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시선이 조작 레버[71(71A)] 또는 콘솔(61R)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는 표시면(82)을 가진다. 표시면(82)은, 표시면(82)의 상단부(83)가 표시면(82)의 하단부(84)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된다. 또한, 표시면(82)은, 상면에서 볼 때 운전석(31) 측을 향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시면(82)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측을 향하므로,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면(82)의 상단부(83)는 조작 레버[71(71A)]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시면(82)이, 조작 레버[71(71A)]보다 전방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전방을 보고 있을 때, 그 시선을 크게 움직일 일 없이 표시면(82)을 시야에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캡(30)은 브래킷(62)을 더 구비한다. 브래킷(62)은 콘솔(61R)에 장착된다. 브래킷(62)은 모니터(81)를 지지한다. 브래킷(62)은, 모니터(81)를 표시면(8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 기구(91)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눈의 위치에 맞추어, 표시면(8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81)는 터치패널식의 모니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니터(81)이, 운전석(3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의 손길이 미치는 범위의 주변에 설치되므로, 오퍼레이터에 의한 모니터(81)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00)은 캡(30)과, 작업기(12)를 구비한다. 작업기(12)는 조작 레버(71)에 의해 조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로부터의 모니터(81)의 시인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유압 셔블(100)을 운전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캡(30)은 전면(30A)과, 측면으로서의 우측면(30C)를 가지는 상자체로 이루어진다. 전면(30A)은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다. 우측면(30C)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작업기(12)와 대향한다. 우측면(30C)은 전면(30A)과 코너부를 이룬다. 모니터(81)는 우측면(30C) 및 조작 레버(71)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전면(30A) 및 우측면(30C) 너머로 작업기(12)의 동작을 보고 있을 때, 그 시선을 크게 움직일 일 없이 모니터(81)를 시야에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유압 셔블(100)을 더욱 운전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캡(30)은 기둥 부재(43R)를 더 구비한다. 기둥 부재(43R)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둥 부재(43R)는 우측면(30C) 및 운전석(31) 사이에 설치된다. 전면에서 볼 때, 모니터(81) 중 적어도 일부가 기둥 부재(43R)와 중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둥 부재(43R)의 전후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모니터(81)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에서 볼 때, 모니터(81)가, 조작 레버(71)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상면에서 볼 때, 모니터(81)는, 조작 레버(71)의 우측 경사 전방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고, 조작 레버(71)의 우측 경사 후방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모니터(81)는 브래킷(62)을 통하지 않고, 콘솔(61R)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캡은 유압 셔블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크레인, 휠 로더 또는 모터 그레이더 등의 작업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1: 차량 본체, 12: 작업기, 13: 선회체, 15: 주행 장치, 15Cr: 크롤러 벨트, 15M: 주행 모터, 16: 붐, 17: 암, 18: 버킷, 19: 엔진 후드, 20A, 20B: 붐 실린더, 21: 암 실린더, 22: 버킷 실린더, 23: 붐 핀, 24: 암 핀, 25: 버킷 핀, 26: 선회 중심, 30: 캡, 30A: 전면, 30B: 후면, 30C: 우측면, 30D: 좌측면, 30E: 상면, 30F: 바닥면, 31: 운전석, 32: 도어 부재, 36: 시트백, 37: 시트 쿠션, 38: 헤드레스트, 38a: 헤드레스트 전면, 39: 서스펜션 기구부, 40: 바닥 부재, 41: 브래킷, 42L, 43, 43L, 43R, 44, 44L, 44R: 기둥 부재, 45: 천장 부재, 46: 전방 투명 부재, 46P: 상방 투명 부재, 46Q: 하방 투명 부재, 48: 측방 투명 부재, 51, 52, 53: 빔 부재, 54, 54L, 54R, 55, 55L, 55R: 거더 부재, 56, 56L, 56R: 암레스트, 57: 폴부, 61, 61L, 61R: 콘솔, 62: 브래킷, 63: 본체부, 63J: 내판부, 63K: 외판부, 64: 암레스트 장착부, 65: 조작 레버 장착부, 66: 플랜지부, 67: 연장부, 68: 돌출부, 71, 71A, 71B, 71C, 71D, 71E, 76: 조작 레버, 72, 87: 전단부, 73, 88: 후단부, 74, 83, 85: 상단부, 75, 84, 86: 하단부, 80: 조작부, 81: 모니터, 82: 표시면, 91: 위치 조정 기구, 92: 장착공, 93: 볼트, 100: 유압 셔블, 101, 102: 중심 위치, 103: 직선, 120: 거주 공간, 210: 제2 전후 영역, 220: 제1 전후 영역, 230: 제3 전후 영역, 240: 제2 높이 영역, 250: 제1 높이 영역, 260: 제3 높이 영역.

Claims (10)

  1.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측방에 배치되는 콘솔;
    상기 콘솔에 설치되고, 작업기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
    상기 콘솔에 설치되는 표시부;
    상기 콘솔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브래킷;
    을 구비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조작 레버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운전석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 레버 및 상기 표시부의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표시부를 상기 표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정 기구를 가지고,
    상기 위치 조정 기구에 의한 상기 표시부의 이동 중에, 상기 표시면은, 단일의 평면 내를 이동하는,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높이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2 높이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높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높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은, 상기 표시면의 상단부(上端部)가 상기 표시면의 하단부(下端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경사 자세로 세워 설치되는,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은,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운전석 측을 향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의 상단부는, 상기 조작 레버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패널식의 모니터인, 캡.
  7. 제1항에 기재된 캡; 및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기;
    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전면(前面)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와 대향하고, 상기 전면과 코너부를 이루는 측면을 가지는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측면 및 상기 조작 레버 사이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 및 상기 운전석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 부재를 더 구비하고,
    전면에서 볼 때,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둥 부재와 중첩되는, 작업 차량.
  10. 삭제
KR1020217039422A 2019-07-10 2020-07-09 캡 및 작업 차량 KR102641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8550A JP7473305B2 (ja) 2019-07-10 2019-07-10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JP-P-2019-128550 2019-07-10
PCT/JP2020/026777 WO2021006308A1 (ja) 2019-07-10 2020-07-09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42A KR20220002642A (ko) 2022-01-06
KR102641400B1 true KR102641400B1 (ko) 2024-02-27

Family

ID=7411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422A KR102641400B1 (ko) 2019-07-10 2020-07-09 캡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6177A1 (ko)
JP (2) JP7473305B2 (ko)
KR (1) KR102641400B1 (ko)
CN (1) CN113994050A (ko)
DE (1) DE112020001919T5 (ko)
WO (1) WO2021006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859A1 (en) * 2018-07-19 2020-01-23 Clark Equipment Company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KR20230040483A (ko) * 2021-09-16 2023-03-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및 그 조립방법
EP4350079A1 (de) * 2022-10-06 2024-04-10 BAUER Maschinen GmbH Tief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iefbaumas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122A (ja) 2006-06-30 2008-01-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
JP2013245508A (ja) * 2012-05-28 2013-12-09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WO2017075343A1 (en) 2015-10-30 2017-05-04 Caterpillar Global Mining America Llc Ergonomic adjustment system for operator station
JP2017145586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417B2 (ja) * 1997-12-04 2003-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US6039141A (en) * 1998-02-23 2000-03-21 Case Corporation Moving operator and display unit
EP1325988B1 (en) * 2000-09-18 2011-07-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2003147810A (ja) * 2001-11-09 2003-05-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7032703B2 (en) * 2002-06-17 2006-04-25 Caterpillar Inc. Operator control station for controlling different work machines
US6715269B2 (en) * 2002-07-17 2004-04-06 Cnh America Llc Adjustable monitor mount
JP4191585B2 (ja) * 2003-12-15 2008-12-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US20130011232A1 (en) * 2010-03-24 2013-01-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591994B2 (ja) * 2011-02-24 2014-09-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498442B2 (ja) * 2011-06-24 2014-05-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作業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用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841008B2 (ja) * 2012-05-28 2016-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6932651B2 (ja) * 2016-02-09 2021-09-08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6120032B1 (ja) * 2016-03-28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取付け装置
JP7001350B2 (ja) * 2017-02-20 2022-0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US10434914B2 (en) * 2017-03-13 2019-10-08 Cnh Industrial America Llc Armrest system for holding monitors in an operator cab
WO2019003412A1 (ja) 2017-06-30 2019-01-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WO2019131721A1 (ja) * 2017-12-27 2019-07-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製造方法
WO2020018859A1 (en) * 2018-07-19 2020-01-23 Clark Equipment Company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CN109383405B (zh) * 2018-08-24 2020-08-04 衢州职业技术学院 车用电子显示屏
US11040670B2 (en) * 2018-11-26 2021-06-2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Adjustable working machine operator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122A (ja) 2006-06-30 2008-01-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
JP2013245508A (ja) * 2012-05-28 2013-12-09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WO2017075343A1 (en) 2015-10-30 2017-05-04 Caterpillar Global Mining America Llc Ergonomic adjustment system for operator station
JP2017145586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94050A (zh) 2022-01-28
JP2021014689A (ja) 2021-02-12
JP7473305B2 (ja) 2024-04-23
KR20220002642A (ko) 2022-01-06
JP2023113762A (ja) 2023-08-16
WO2021006308A1 (ja) 2021-01-14
US20220316177A1 (en) 2022-10-06
DE112020001919T5 (de)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400B1 (ko) 캡 및 작업 차량
JP5064880B2 (ja) キャブを搭載したモータグレーダ
US6450284B1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WO2009157230A1 (ja) ローダ作業機
US11801794B2 (en) Display position for cab with overhead door
JP2002371595A (ja) 建設機械
CN112639217B (zh) 作业车辆
GB2184419A (en) Complete swivel type backhoe vehicle
CN113544337A (zh) 作业机械用操作机构以及具备该操作机构的作业机械
JP5094649B2 (ja) ローダ作業機
CN112236561B (zh) 作业机械及驾驶室
JP5016572B2 (ja) ローダ作業機
KR20180071331A (ko) 작업 차량
JP2010059681A5 (ko)
JP7423393B2 (ja) 作業車両およびブルドーザ
JP4704859B2 (ja) 建設機械
JP2010059684A5 (ko)
CN110691878B (zh) 作业车辆
JP5094651B2 (ja) ローダ作業機
JP5094650B2 (ja) ローダ作業機
JP2022172817A (ja) 建設機械
JP2024117974A (ja) 作業機械
JP201005968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