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2397B1 -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397B1
KR102552397B1 KR1020160032743A KR20160032743A KR102552397B1 KR 102552397 B1 KR102552397 B1 KR 102552397B1 KR 1020160032743 A KR1020160032743 A KR 1020160032743A KR 20160032743 A KR20160032743 A KR 20160032743A KR 102552397 B1 KR102552397 B1 KR 10255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disabled
quality
evalua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596A (ko
Inventor
최지훈
안충현
서정일
양승준
장인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3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단말 및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장애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QUALITY OF BROADCASTING FOR HANDICAPPED}
본 발명은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장애인방송 고시 의무사업자 선정기준을 축소하고 자막, 화면해설, 수화통역 등의 편성 비율 목표 달성 시점을 연기하였다.
현실적인 방송환경이 열악함을 고려해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대상과 범위를 축소하고, 권고 편성시점도 2~3년 연기한다는 것이다. 즉, KBS, MBS, SBS 지상파는 2015년까지 자막 100%, 수화통역 5%, 2014년까지는 화면해설 10%를 달성해야 했으나 이러한 기준은 2016년까지로 연기되었다. 위성방송, 종편 등의 유료방송은 2016년까지 자막 70%~100%, 화면해설 5~7%, 수화통역 3~5% 편성해야 했으나 이 시점도 2018년까지로 수정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개정 이유로 “장애인방송 제작 인프라 환경이 열악하고 방송 광고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방송사업자의 재정상황을 고려해 장애인방송 편성비율 목표치 달성 시점을 일정 기간 연기한다.”라고 밝혔다.
이는 장애인방송 편성 비율 목표치 달성기준의 만족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고, 장애인방송 콘텐츠의 품질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솔루션은 없고, 관련 장애인단체 중심으로 사람이 직접 시청하면서 수동적으로 샘플링 조사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고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인방송 콘텐츠와 시그널링을 분석하여 장애인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단말 및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장애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상기 장애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및 상기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제 2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상기 장애인방송의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부가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상기 타겟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 및 메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는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타겟 정보 및 제 2 분석부의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석부는 상기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의 콘텐츠와 상기 자막 데이터의 콘텐츠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석부는 상기 화면해설 오디오의 시간 구간 및 상기 메인 오디오의 상기 화면해설 오디오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비중을 비교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석부는 상기 메인 오디오 대비 상기 자막의 정확도, 상기 메인 오디오 대비 상기 자막의 동기화 정도, 상기 메인 오디오 대비 상기 수화 영상의 비중을 분석하여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애인방송 콘텐츠와 시그널링을 분석하여 장애인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정보 중 여러 종류의 디스크립터 유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해설 오디오구간과 메인 오디오의 대응하는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정보 중 여러 종류의 디스크립터 유무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해설 오디오구간과 메인 오디오의 대응하는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단말(100) 및 모니터링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단말(100)은 장애인방송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방송신호로부터 타겟 정보를 생성하며,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수신하는 방송신호에는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단말(100)은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타겟 정보는 장애인의 방송 시청을 위한 정보로써,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자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일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에는 방송화면을 해설하는 오디오인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 및 방송의 메인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막 데이터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해 실시간으로 모든 음성 내용을 문자로 표현한 폐쇄자막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100)은 이와 같이 생성한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단말(100)은 방송 수신부(110), 제 1 분석부(120), 제 1 저장부(130) 및 제 1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제 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채널을 튜닝하고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방송신호에는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에는 방송화면을 해설하는 오디오인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 및 방송의 메인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막 데이터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해 실시간으로 모든 음성 내용을 문자로 표현한 폐쇄자막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프로그램 편성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 1 분석부(120)는 방송 수신부(110)가 수신한 방송신호로부터 타겟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분석부(120)는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로부터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의 유무와 폐쇄자막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30)는 제 1 분석부(120)가 획득한 타겟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30)는 이러한 타겟 정보를 채널별로 또는 방송 프로그램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140)는 모니터링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외부(예를 들어, 특정 웹사이트) 또는 방송 수신부(110)로부터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부(110)가 특정 시간에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40)는 제 1 분석부(120)가 생성한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타겟 정보가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경우, 제 1 저장부(130)에 저장된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단말(100)로부터 타겟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인 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모니터링 서버(200)는 수신한 타겟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여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한 장애인 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200)는 제 2 제어부(210), 제 2 저장부(220), 제 2 분석부(230) 및 통계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210)는 모니터링 단말(100)로부터 타겟 정보 (시그널링 정보,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등)를 수신한다. 제 2 제어부(210)는 이러한 타겟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타겟 정보를 제 2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210)는 모니터링 단말(100)의 오류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타겟 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모니터링 단말(100)에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 2 저장부(220)는 제 2 제어부(210)가 수신한 타겟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 2 저장부(220)는 제 2 후술할 제 2 분석부(230)가 출력한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 2 분석부(230)는 제 2 제어부(210)가 수신한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이 때 타겟 정보가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된 경우, 제 2 저장부(220)에 저장된 타겟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품질 평가 결과를 다시 제 2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분석부(230)가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분석부(230)는 도 2와 같은 표의 PMT(Program map table)를 참조하여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AC-3 오디오 디스크립터(audio descriptor)를 확인하고, 폐쇄자막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자막 서비스 디스크립터(caption service descriptor)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해설 오디오의 콘텐츠와 폐쇄자막 콘텐츠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PSIP(Program & System Information Protocol)와 PMT의 AC-3 오디오 디스크립터(audio descriptor)와 자막 서비스 디스크립터(caption service descriptor)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분석부(230)는 도 3a와 같이 특수효과음에 대응하는 화면해설 오디오의 시간 구간의 비중을 분석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무대사구간에 대응하는 화면해설 오디오의 시간 구간의 비중을 분석할 수 있다. 제 2 분석부(230)는 이와 같이 시간 구간의 비중을 분석하여 메인오디오의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화면해설 오디오 구간의 비중이 크다면 해당 장애인방송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제 2 분석부(230)는 메인오디오 대비 폐쇄자막의 정확도, 메인오디오 대비 폐쇄자막 동기화 정도, 메인오디오 대비 수화 비중 등을 분석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통계부(240)는 제 2 분석부(230)가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를 지역별로 또는 채널별로 분류하여 평가 결과를 집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들을 기초로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모니터링 단말의 제 1 제어부가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수신한다(S100).
제 1 제어부가 외부(웹사이트 등)로부터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단말의 방송 수신부가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200).
제 1 제어부는 수신한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부가 특정 시간에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방송 수신부는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가 수신하는 방송신호에는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의 제 1 분석부가 방송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한다(S300).
제 1 분석부는 방송 수신부가 수신한 방송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등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로부터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의 유무와 폐쇄자막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한 정보 및 추출한 데이터가 타겟 정보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분석부가 추출한 타겟 정보가 제 1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의 제 1 제어부가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한다(S400).
제 1 제어부는 제 1 분석부가 생성한 타겟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며, 이 때 타겟 정보가 제 1 저장부에 저장되는 경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타겟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의 제 2 분석부가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S500).
모니터링 서버의 제 2 분석부는 타겟 정보(시그널링 정보,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수화 영상 데이터 등)를 이용하여 품질 평가 결과를 출력하며, 구체적인 평가방법은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분석부의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결과가 모니터링 서버의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의 통계부가 품질 평가 결과를 지역별 또는 채널별로 집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모니터링 단말
110 : 방송 수신부
120 : 제 1 분석부
130 : 제 1 저장부
140 : 제 1 제어부
200 : 모니터링 서버
210 : 제 2 제어부
220 : 제 2 저장부
230 : 제 2 분석부
240 : 통계부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장애인을 위한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로부터 타겟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여기서, 상기 타겟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한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 및 메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데이터는,
    음성 내용을 문자로 표현한 폐쇄자막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상기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새로운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AC-3 오디오 디스크립터(audio descriptor)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자막 서비스 디스크립터(caption service descriptor)에 기초하여 폐쇄자막 데이터 유무를 판단하는 것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PSIP(Program &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및 AC-3 오디오 디스크립터(audio descriptor)에 기초하여 화면해설 오디오의 콘텐츠와 폐쇄자막 콘텐츠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특수효과음 또는 무대사구간에 대응하는 화면해설 오디오의 시간 구간의 비중을 분석하는 것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메인 오디오 대비 폐쇄자막의 정확도, 메인 오디오 대비 폐쇄자막의 동기화 정도 및 메인 오디오 대비 수화 비중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인,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방법.
  10. 장애인을 위한 방송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수신한 장애인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고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로부터 타겟 정보를 추출하는 제1 분석부; 및
    상기 추출한 타겟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인방송의 품질을 평가하는 제2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수화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화면해설 오디오 데이터 및 메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장치.
KR1020160032743A 2016-03-18 2016-03-18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5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43A KR102552397B1 (ko) 2016-03-18 2016-03-18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43A KR102552397B1 (ko) 2016-03-18 2016-03-18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96A KR20170108596A (ko) 2017-09-27
KR102552397B1 true KR102552397B1 (ko) 2023-07-06

Family

ID=6003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743A KR102552397B1 (ko) 2016-03-18 2016-03-18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4964A (ja) 1999-07-08 2001-01-26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情報提示装置、及びtv受信装置
KR100779117B1 (ko) * 2006-10-11 2007-11-27 (주)아이젠데이타시스템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51B1 (ko) * 2005-01-31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에서 수화 비디오 데이터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7639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4964A (ja) 1999-07-08 2001-01-26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情報提示装置、及びtv受信装置
KR100779117B1 (ko) * 2006-10-11 2007-11-27 (주)아이젠데이타시스템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96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8756B (zh) 在媒體內容替換事件期間使媒體內容靜音的方法、非暫時性電腦可讀介質及計算系統
US20100106482A1 (en) Additional language support for televisions
CN113330750B (zh) 用于媒体内容替换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和计算系统
US20150201246A1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US112276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X2014014741A (es) Metodos y aparatos para identificar medios.
US86459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ble channel announce
US20230396860A1 (en) Computing system with channel-change-based trigger feature
KR101192207B1 (ko) 온라인 생방송을 위한 실시간 다국어 자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6269A (ko) 시청률 산출 서버, 시청률 산출 방법, 및 시청률 산출 리모트 장치
CN107659538A (zh) 一种视频处理的方法及设备
KR20150104358A (ko) 서버 장치 및 그의 핑거프린트 전송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장치
US90084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10204033A1 (en) System and computerized method for subtitles synchronization of audiovisual content using the human voice detection for synchronization
Utray et al. Monitoring accessibility services in digital television
GB2468878A (en) A receiver for a testing device
KR102552397B1 (ko)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EP2555540A1 (en) Method for auto-detecting audio language name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US11342002B1 (en) Caption timestamp predictor
KR101625567B1 (ko) 화면동기화정보 검증장치 및 방법
JP2009265909A (ja) デジタル放送用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22649B1 (ko) 실시간 자막 분석을 통한 디지털 방송의 시청 등급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3083A (ko) 방송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92552B1 (ko) 장애인 시청권 향상을 위한 영상 동기화 시스템
KR101143942B1 (ko) 방송사업자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