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9117B1 -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117B1
KR100779117B1 KR1020060099004A KR20060099004A KR100779117B1 KR 100779117 B1 KR100779117 B1 KR 100779117B1 KR 1020060099004 A KR1020060099004 A KR 1020060099004A KR 20060099004 A KR20060099004 A KR 20060099004A KR 100779117 B1 KR100779117 B1 KR 10077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ption
content
screen
com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젠데이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젠데이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젠데이타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9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 혹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 제작 컨텐츠에 수화, 자막, 화면해설등을 삽입하여 장애인이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하여 컨텐츠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처리부(11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막으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구비하는 자막신호를 제공하는 자막처리부(12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화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신호를 제공하는 수화처리부(130);
상기 컨텐츠 신호와 자막신호와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신호믹싱부(140);
상기에서 믹싱된 신호를 송출하는 믹싱신호송출부(15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음성과는 별개로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설명하여 해설신호를 제공하는 화면해설부(160);
상기 해설신호를 사용자의 화면해설디코더부에 송출하는 화면해설송출부(170);
상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상기 믹싱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210);
상기 해설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화면해설디코더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제작 컨텐츠에 장애인을 위한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하여 제작, 미디어 접근권이 제한된 장애인들의 알권리, 볼권리를 위해 지상파 드라마, 오락, 다큐 및 케이블, 위성방송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장애인들을 위해 수화, 자막, 화면해설을 재제작할 수 있으며, 위성, 케이블, DMB , IPTV 등 다매체 시대에 맞추어 전문채널을 통해 24시간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한 장애인 전문방송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의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시청각, 장애인, 수화, 자막, 화면해설, 방송.

Description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Sight and Hearing of Difficulty-person Support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컨텐츠처리부 120 : 자막처리부
130 : 수화처리부 140 : 신호믹싱부
150 : 믹싱신호송출부 160 : 화면해설부
170 : 화면해설송출부 180 : 제어부
210 : 화면표시부 220 : 화면해설디코더부
230 : 폐쇄자막처리부 240 : 폐쇄자막디코더부
본 발명은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 혹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 제작 컨텐츠에 수화, 자막, 화면해설등을 삽입하여 장애인이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방송은 단순히 정보제공과 오락매체로서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상파 방송을 제외하고도 케이블과 위성 방송의 시청자는 약 1400만 가구에 이르고 있다. 이같이 방송매체의 기능이 확대되면 될수록 매체이용에 제한을 받는 장애인들의 고립과 소외는 더욱 심화된다. 결국 방송으로부터 소외 당하는 장애인들은 다양한 사회적 참여까지 배제당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애인들의 방송 접근권 요구는 점점 적극적이고 거세어질 수 밖에 없다.
지금까지 장애인들의 방송 접근권에 대한 법적 제도적 지원은 지상파 방송에 국한되었고 케이블, 위성방송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현 시점에서 케이블,위성 방송의 100개 이상의 채널이 지상파와 같이 수화,자막 방송을 하도록 시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자막, 수화 방송을 전문으로 하는 장애인 전문방송을 육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지상파에서 자막, 수화방송을 일부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 구속력이 없어 일부 프로그램에만 국한돼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장애인들은 점점 방송으로부터 소외당하고 다양한 사회적 참여까지 배제당하고 있다.
지상파 중심 시대에서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아 케이블, 위성 방송에 이어 DMB 방송까지 출범하게 되었지만 매체의 기능이 확대될수록 장애인이 방송 매체로부터 느끼는 고립과 소외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지상파 방송으로 국한돼 있는 장애인의 방송 접근에 대한 법적 제도적 지원은 다매체 시대에서는 엄연한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자막, 수화 방송을 전문으로 하는 장애인 전문 케이블, 위성방송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할 때이다.
종래에는 지상파 드라마, 오락, 다큐멘터리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장애인용으로 재제작하여 장애인에게 수준높은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제공한다 하더라도 일부 장애인에 한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종래의 방송 서비스의 형태는 일반인들만을 대상으로 고려함으로써 장애인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으며, 각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장애인간의 통신뿐만 아니라, 장애인과 일반인간의 통신의 장벽을 형성하고 있어 일반인과 장애인간의 괴리감을 조성하고 장애인의 사회 참여에 대한 기대감을 억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장애인에게 텔레비젼의 방송 서비스를 하고자 할 때, 시각장애인에게는 별도로 해설을 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방송해설을 들으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청각장애인에게는 수화 및 자막를 통하여 방송내용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시각장애인과 정상인, 청각장애인과 정상인등을 고려한 서비스는 이루어져 있었으나,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정상인이 모두 고려된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과의 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
한편, 장애인 및 노인등의 소외계층의 절실한 문제를 선정하여 이를 프로그램화하여 소외 계층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장애인 및 노인등의 환경에 맞게 컨텐츠를 재가공하여 방송할 수 있게 하는 노력 또한 부족한 게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이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시청하도록 장애인의 장애에 따라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여 정상인 및 장애인이 종합적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하여 컨텐츠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처리부;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막으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구비하는 자막신호를 제공하는 자막처리부;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화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신호를 제공하는 수화처리부;
상기 컨텐츠 신호와 자막신호와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신호믹싱부;
상기에서 믹싱된 신호를 송출하는 믹싱신호송출부;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음성과는 별개로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설명하여 해설신호를 제공하는화면해설부;
상기 해설신호를 사용자의 화면해설디코더부에 송출하는 화면해설송출부;
상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믹싱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
상기 해설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화면해설디코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막처리부는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믹싱신호를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오픈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는 폐쇄자막디코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처리부는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막신호는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 안할것인지 결정하는 폐쇄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 온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와 함께 화면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오프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화면표시부에 보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믹싱신호와 해설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하여 컨텐츠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처리부(11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막으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구비하는 자막신호를 제공하는 자막처리부(12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화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신호를 제공하는 수화처리부(130);
상기 컨텐츠 신호와 자막신호와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신호믹싱부(140);
상기에서 믹싱된 신호를 송출하는 믹싱신호송출부(15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음성과는 별개로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설명하여 해설신호를 제공하는 화면해설부(160);
상기 해설신호를 사용자의 화면해설디코더부에 송출하는 화면해설송출부(170);
상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상기 믹싱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210);
상기 해설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화면해설디코더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막처리부(120)는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믹싱신호를 화면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는 오픈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는 폐쇄자막디코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처리부는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막신호는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 안할것인지 결정하는 폐쇄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 온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와 함께 화면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오프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화면표시부에 보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믹싱신호와 해설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처리부(110)는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되어 저장되 어 있는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하여 컨텐츠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컨텐츠의 종류로는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오락등을 다루는 지상파와 영화, 스포츠등을 다루는 케이블 위성과 수화 뉴스등을 다루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장애인들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에 따라 송출하는 송출자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호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피드백을 위한 것으로는 설문조사방법과 시청율 조사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자막처리부(120)는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막으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구비하는 자막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텐츠처리부(110)에서 처리되는 컨텐츠에 대해 동일한 시간길이에 해당하는 자막을 싱크하여 자막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막방송 제공을 위하여 속기사가 방송을 수신한 후 제1입력 속기사, 제1수정속기사, 제2입력속기사, 제2수정속기사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화처리부(130)는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화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화는 농아인과 청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수화 언어나 제스추어로 또는 반대로 수어를 음성언어로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신호믹싱부(140)는 컨텐츠 신호와 자막신호와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송출 예정인 컨텐츠 신호와, 컨텐츠 신호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자막신호와, 컨텐츠 신호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믹싱부(140)에서 컨텐츠 신호와, 컨텐츠 신호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자막신호와, 컨텐츠 신호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믹싱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믹싱 기술을 사용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믹싱 기술은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믹싱된 신호를 믹싱신호송출부(150)를 통해 믹싱하게 된다.
상기 화면해설부(160)는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음성과는 별개로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설명하여 해설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화면해설방송이란 시각장애인을 위해 화면의 내용을 음성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의 대사 외에 영상으로만 보여지는 배경, 상황등을 라디오 드라마처럼 성우가 설명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면해설방송 제작은 컨텐츠를 보고 중요한 시각 요소들을 기술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하며, 대화 중간에 생기는 자연스런 공백 안에 해설이 들어가게끔 그 위치와 길이를 정하게 된다. 해설부분을 녹음하여 컨텐츠의 기존 오디오와 합성시키면 화면해설이 들어간 안전한 오디오 트랙이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디오 트랙은 컨텐츠가 방송용으로 제작되면 여분 채널의 마스터로 옮겨진다. 이때, 화면 해설이 들어간 오디오 트랙이 방송용 오디오 채널에 전해지면, 시청자들은 화면해설을 들을 지 말을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인 화면해설디코더부(220)에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해설신호는 화면해설송출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화면해설디코더부(220)에 송출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믹싱신호송출부(150)와 화면해설송출부(170)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방송국의 방송 송출수단을 통해 일반가정에 송출하게 되는데 상기 방송국 송출 수단을 통해 송출된 믹싱 신호를 화면표시부(210)를 포함하고 있는 텔레비전이나 기타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면표시부(210)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하거나 종래의 텔레비전이나 기타 디스플레이 수단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해설송출부(170)를 통해 송출된 해설신호를 화면해설디코더부(220)를 통해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자막처리부(120)는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믹싱신호를 화면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는 오픈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는 폐쇄자막디코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처리부는 상기의 믹싱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막신호는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 안할것인지 결정하는 폐쇄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서비스하는 자막은 크게 개방 자막(open caption)과 폐쇄자막(closed capt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자막(open caption)은 영상화면과 함께 항상 삽입되어 있는 자막으로 시청자가 화면에 자막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가 없다. 개방 자막은 일반적으로 생방송용 캡션 인코딩 방식으로 속기 기술 및 컴퓨터에 의한 번역기술을 필요로 한다. 주로 뉴스, 스포츠 등 생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보면서 자막을 편집기에 입력하여 방송국에 전송하면, 방송국에서는 자막방송 인코더에서 코드로 변환하여 인서터를 통해 텔레비전 신호에 삽입하여 송출하게 된다.
상기 폐쇄자막(closed caption)은 캡션 데이터를 영상 신호으 빈 구간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시청자는 캡션 기능을 갖는 디코더에서 자막의 표시 유무를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폐쇄자막 방송은 텔레비전 화면에 드라마 출연자의 대사나 뉴스 진행자의 멘트, 그리고 기타 음성 출력을 모두 자막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화 진행자없이 청각장애인들의 텔레비전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폐쇄자막은 단순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부속자막의 효과 뿐만아니라 직업성 및 노인성 난청환자들, 유아 한글 교육 및 우리말을 배우려는 외국인들, 온라인 텔레비전 가이드, 비상방송등을 가능케 한다. 일반적으로 자막방송이라 하면 폐쇄자막방송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자막처리부(120)는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믹싱 신호를 화면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는 오픈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개방 자막(open caption)방송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는 폐쇄자막디코더부(240); 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처리부(120)는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막신호는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 안할것인지 결정하는 폐쇄자막처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시각장애인일 경우에 별도의 폐쇄자막디코더부를 구성하여 하기 때문이다.
상기 폐쇄자막디코더부(240)는 바람직하게는 비디오처럼 텔레비전에 간단하게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외장형으로 공중파를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내장형과 외장형이 있으며, 내장형은 일반적으로 한글/영문 캡션 기능 텔레비전을 출시되어 있다. 외장형은 글자, 배경색, 오픈자막과 분리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 온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와 함께 화면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옵션에서 자막오프 되었을 시에 자막신호를 화면표시부에 보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일반 가정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믹싱신호와 해설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별도의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송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제작 컨텐츠에 장애인을 위한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는 상기 도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처리부(110)를 통해 컨텐츠를 처리하게 되며, 자막처리부(120)를 통해 자막처리하게 되며, 수화처리부(130)를 통해 수화처리하게 된다. 또한, 화면해설부(160)를 통해 화면해설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컨텐츠 및 자막, 수화는 상기 신호믹싱부(140)를 통해 믹싱처리되며, 믹싱신호송출부(150)를 통해 송출하며, 화면해설은 화면해설송출부(170)를 통해 별도의 방송국 송출 수단을 통해 각 가정에 송출하게 된다. 이때, 가정에서는 텔레비전을 통해 오픈자막 방송 혹은 폐쇄자막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시각 장애인의 가정에서는 별도의 화면해설디코더부(220)를 구성하여 화면해설을 통해 방송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출된 자막은 폐쇄자막디코더부(240)를 통해 디코딩되어 자막을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미디어 접근권이 제한된 장애인들의 알권리, 볼 권리를 위해 지상파 드라마, 오락, 다큐멘터리 및 케이블, 위성방송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장애인들을 위해 수화, 자막, 화면해설을 재제작할 수 있게 된다.
지상파에서 일부 자막, 수화방송을 일부 시행하고 있지만 시청률이 낮은 낮시간대나 오후 시간대에 편성되어 있으며, 법적 구속력이 없어 그나마 일부 프로그램에 국한돼 시행되고 있다.
종합편성 채널인 지상파는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시행하게 되면 떨어지게 되는 시청률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지상파를 통한 장애인 전문방송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케이블, 위성 등 다채널의 장점을 활용한다면 지상파에서 한정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자막, 수화, 화면해설방송을 전문 채널을 통해 종합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문 채널을 통해 종합적인 장애인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제작 컨텐츠에 장애인을 위한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하여 제작, 미디어 접근권이 제한된 장애인들의 알권리, 볼 권리를 위해 지상파 드라마, 오락, 다큐멘터리 및 케이블 , 위성방송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장애인들을 위해 수화, 자막, 화면해설을 재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지상파에서 일부 시행하고 있는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종합적으로 편성하는 개념보다 상위 개념은 위성, 케이블, DMB, IPTV 등 다매체 시대에 맞추어 전문채널을 통해 24시간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한 장애인 전문방송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은,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컨텐츠 및 자체제작 컨텐츠에 장애인을 위한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하여 제작, 미디어 접근권이 제한된 장애인들의 알권리, 볼권리를 위해 지상파 드라마, 오락, 다큐 및 케이블, 위성방송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아 장애인들을 위해 수화, 자막, 화면해설을 재제작할 수 있으며, 위성, 케이블, DMB , IPTV 등 다매체 시대에 맞추어 전문채널을 통해 24시간 수화, 자막, 화면해설방송을 삽입한 장애인 전문방송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의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컨텐츠를 방송하기 위하여 컨텐츠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처리부(11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자막으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구비하는 자막신호를 제공하는 자막처리부(12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화로 처리하여 상기의 컨텐츠와 동일한 시간길이를 갖는 수화신호를 제공하는 수화처리부(130);
    상기 컨텐츠 신호와 자막신호와 수화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신호믹싱부(140);
    상기 신호믹싱부를 통해 믹싱된 신호를 송출하는 믹싱신호송출부(150);
    상기 해당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음성과는 별개로 해당 컨텐츠를 음성으로 설명하여 해설신호를 제공하는 화면해설부(160);
    상기 해설신호를 사용자의 화면해설디코더부에 송출하는 화면해설송출부(170);
    상기 컨텐츠처리부, 자막처리부, 수화처리부, 신호믹싱부, 믹싱신호송출부, 화면해설부, 화면해설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상기 믹싱된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210);
    상기 해설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화면해설디코더부(220);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컨텐츠 신호와 수화신호를 화면에 표시하고 자막신호는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 결정하는 폐쇄자막처리부(230);
    상기의 믹싱 신호로부터 자막신호를 분리하는 폐쇄자막디코더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99004A 2006-10-11 2006-10-11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KR10077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004A KR100779117B1 (ko) 2006-10-11 2006-10-11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004A KR100779117B1 (ko) 2006-10-11 2006-10-11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117B1 true KR100779117B1 (ko) 2007-11-27

Family

ID=3908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004A KR100779117B1 (ko) 2006-10-11 2006-10-11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55B1 (ko) 2015-01-20 2016-04-06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8596A (ko) * 2016-03-18 2017-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1642A (ko) 2018-01-29 2019-08-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통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77A (ko) * 2001-11-09 2001-12-07 이창선 음성인식을 통한 쓰리디 애니메이션 수화표현 시스템
KR20040062369A (ko) * 2002-12-26 2004-07-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멀티미디어 캡셔닝 및 오디오 디스크립션용 동기화 메카니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77A (ko) * 2001-11-09 2001-12-07 이창선 음성인식을 통한 쓰리디 애니메이션 수화표현 시스템
KR20040062369A (ko) * 2002-12-26 2004-07-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멀티미디어 캡셔닝 및 오디오 디스크립션용 동기화 메카니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55B1 (ko) 2015-01-20 2016-04-06 (주)씨에이씨엔터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8596A (ko) * 2016-03-18 2017-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52397B1 (ko) * 2016-03-18 2023-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방송 품질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1642A (ko) 2018-01-29 2019-08-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통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4965B (zh) 视频信号中编码文本的翻译
EP2356654B1 (en) Method and process for text-based assistive program descriptions for television
CN1256583A (zh) 与视频/音频播放协同的视频/音频及图形演示系统
JP2005516488A (ja)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アドレス可能なコンテンツを持つ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EP2574054B1 (en) Method for synchronising subtitles with audio for live subtitling
Mikul Audio description background paper
US6665318B1 (en) Stream decoder
KR100779117B1 (ko) 장애인 시청각 지원 시스템
KR100436088B1 (ko)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데이터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Neves A world of change in a changing world
KR1009272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제한 방법
KR100462621B1 (ko) 음성 epg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020090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system
EP1868307B1 (en) Transmitting and outputting content triggered by an event at the receiver
WO2014207874A1 (ja) 電子機器、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artin et al. Access services based on MHP interactive applications
KR100854716B1 (ko) 시각정보의 음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4372A (ko) 시각장애인용 화면해설 영상물 시스템
KR10053952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오디오 정보 처리 장치
KR100862612B1 (ko) 장면 표현 언어를 이용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의선별 저작 및 디코딩 방법
KR20000051331A (ko) 메모리카드를 이용하여 부가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Looms Access
Dosch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broadband Internet-a benefi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or us all)
Homer Closed Caption Services
KR20040083705A (ko) 디지털 티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