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9989B1 -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 Google Patents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989B1
KR102529989B1 KR1020220151733A KR20220151733A KR102529989B1 KR 102529989 B1 KR102529989 B1 KR 102529989B1 KR 1020220151733 A KR1020220151733 A KR 1020220151733A KR 20220151733 A KR20220151733 A KR 20220151733A KR 102529989 B1 KR102529989 B1 KR 10252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frame
fixed
rack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상층과 하층의 복층으로 많은 양의 수납이 가능하고 상층과 하층의 이동랙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층 랙(고정랙과 이동랙)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방지와 함께 하층 이동랙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층 고정랙(10)과; 상기 하층 고정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하층 고정랙에 고정되는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5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서 상기 하층 고정랙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상층 고정랙(30)과; 상기 하층 고정랙 사이의 바닥에 상기 하층 고정랙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층용 바닥측 레일(22)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층 레일(80)과; 상기 하층용 바닥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층 이동랙(20)과; 상기 상층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층 이동랙(4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저면이 상기 하층 이동랙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겸하고, 상기 하층 이동랙은 바닥측 바퀴를 통해 상기 바닥측 레일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천정측 바퀴(23)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한다.

Description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INDEPENDENT MOVEMENT OF UPPER AND LOWER FLOORS AND LOAD DISTRIBUTED DOUBLE FLOORS MOBILE RACK}
본 발명은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층 이동랙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며 상층의 하중을 하층으로 분산(하중 전이 저감)시키는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모빌랙은 이동랙과 고정랙으로 구성되어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랙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랙의 사이에 복수 개의 이동랙이 겹친 상태로 배열되면서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빌랙은 이동랙에 피수납물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피수납물을 꺼내기 위하여 이동랙을 이동시켜 이동랙들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빌랙은 한번 설치한 후에는 높낮이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피수납물의 수납량이 증가될 경우에는 모빌랙을 증설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2414989호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부고정랙과 상부고정랙의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랙지지대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랙;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하부고정랙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랙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층이동랙; 사용자가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랙과 하부고정랙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랙에 고정되는 발판부재;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랙에 고정되도록 발판부재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퀴프레임; 및 하부에 바퀴프레임에 접촉되는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부고정랙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고정랙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층이동랙; 사용자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발판부재의 후면 상측에 구비되는 난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이동랙과 하층이동랙은 독립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층이동랙의 하층이동랙프레임 중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바퀴프레임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가이드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하층이동랙의 상부에 복수개의 상부바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발판부재의 저면에 상부바퀴에 대응하는 바퀴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난간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층이동랙에 연결되어 상층이동랙의 이동에 따라 전개되어 상층이동랙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거나 상층이동랙의 후면으로 수납되는 다단 구조의 주난간과, 상층이동랙의 후면측에 구비되고 주난간의 타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난간의 이동을 안내하는 난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고, 하층 이동랙이 하부에만 이동바퀴가 구성되어 상부쪽의 지지기반이 없기 때문에 흔들림을 심하게 일으키고 상부의 하중으로 바퀴프레임의 휨 변형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4149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층과 하층의 복층으로 많은 양의 수납이 가능하고 상층과 하층의 이동랙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층 랙(고정랙과 이동랙)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방지와 함께 하층 이동랙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하는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은,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층 고정랙과; 상기 하층 고정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하층 고정랙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서 상기 하층 고정랙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상층 고정랙과; 상기 하층 고정랙 사이의 바닥에 상기 하층 고정랙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층용 바닥측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층 레일과; 상기 하층용 바닥측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층 이동랙과; 상기 상층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층 이동랙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저면이 상기 하층 이동랙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겸하고, 상기 하층 이동랙은 바닥측 바퀴를 통해 상기 바닥측 레일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천정측 바퀴를 통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의하면, 상측 이동랙과 하층 이동랙을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상호 간에 간섭을 받지 않고 상층 이동랙과 하층 이동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초 구성인 프레임을 통해 하층 이동랙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와주면서 상층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시켜 프레임과 발판의 변형(휨 변형 등)과 하층 이동랙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성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층 이동랙이 하중을 적게 받은 상태에서 상하부가 동시에 구동하여 하층 이동랙이 상부의 흔들림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하여 하층 이동랙을 적은 힘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고 복층 모빌랙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진으로 모빌랙이 설치된 건축물이 거동할 때 고정랙이 설치 위치를 유지하거나 이동하더라도 그 이동 폭을 줄여 고정랙의 탈락을 막고 고정랙과 연관된 이동랙의 탈락도 막을 수 있으므로 모빌랙 전체의 손상을 극소화하며 또한 고정랙과 이동랙의 붕괴(전복)로 인한 인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면에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프레임과 프레임 연결브래킷의 예시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프레임과 프레임 연결브래킷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프레임 연결브래킷과 천정측 바퀴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하층 이동랙과 프레임 및 상층 이동랙의 연결관계를 보인 측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상하 동시 주행수단을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고정랙용 내진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고정랙용 내진 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고정랙용 내진 장치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에 적용된 고정랙용 내진 장치의 작동 상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은, 한 쌍의 하층 고정랙(10), 하층 고정랙(1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을 통해 수납부를 개방하는 다수의 하층 이동랙(20), 한 쌍의 상측 고정랙(30), 상층 고정랙(3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을 통해 수납부를 개방하는 다수의 상층 이동랙(40), 상층의 이용을 위한 발판(50) 및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60)을 포함하며, 하층 고정랙(10)과 상측 고정랙(30)은 프레임(60)을 통해 고정되고 하층 이동랙(20)과 상층 이동랙(40)은 프레임(6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통로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층 고정랙(10)과 하층 이동랙(20)과 상층 고정랙(30) 및 상층 이동랙(40)은 공지의 랙과 동일한 구성이 가능하고, 하기에서는 일 예를 설명할 뿐이다.
하층 고정랙(10)은 다단의 선반을 통해 수납물을 수납하는 수납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선반없이 프레임(50)과 상층 구조물(30,40)의 지지기반으로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층 고정랙(10)의 구성은 예를 들어, 전후좌우 4개소에 세워지는 수직대, 수직대들을 연결하는 횡대, 둘레부를 막는 판재, 다단의 선반으로 구성되며, 저부가 지면 또는 후술하는 하층용 바닥측 레일에 앵커 등으로 고정된다.
하층 고정랙(10)은 설치 현장에 별도의 구조물이 있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반대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1개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층 이동랙(20)은 수납물의 수납을 위한 다단의 선반이 갖추어지고 하층 고정랙(10)과 동일한 구성이면서 구동장치가 더 포함되어 하층 고정랙(10)들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하층 이동랙(20)은 저부의 바닥측 바퀴가 지면에 설치되는 하층용 바닥측 레일(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기술은 공지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빌랙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고 도면에서는 수동 핸들(21)을 도시하였다. 상기 구동장치는 전동식도 가능하다.
상층 고정랙(30)은 하층 고정랙(10)과 동일한 제품이고, 상층 이동랙(40)은 하층 이동랙(20)과 동일한 제품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물론, 하층 구조물(10,20)과 다른 구조의 제품도 가능하다.
상층 고정랙(30)은 바람직하게 하층 고정랙(10)의 상부에 동일선상으로 설치된다.
상층 고정랙(30)은 하층 고정랙(10)에 맞춰 구조물의 반대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1개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판(50)은 사용자가 상층 이동랙(4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60)의 위에 후술하는 상층 레일(8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특징이 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하층 이동랙.
하층 이동랙(20)은 저부의 바닥측 바퀴가 바닥측 레일(22)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아울러, 상부의 천정측 바퀴(23)가 프레임(60)을 레일로 하여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하층 이동랙(20)은 저부와 상부 모두가 지지되기 때문에 저부만 바닥측 바퀴가 포함되는 것에 비해 상부의 흔들림이 없고 이동이 매우 원활하고 자연스럽다.
천정측 바퀴(23)는 하층 이동랙(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되며 둘레부가 프레임(60)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하층 이동랙(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홈은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태의 하층 채널(대차)(24)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하층 채널(24)은 용접이나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를 통해 하층 이동랙(20)에 고정된다.
천정측 바퀴(23)의 경우 프레임(60)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높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천정측 바퀴(23)의 높이 조절은 직접 높이 조절되는 것과 하층 채널(24)의 높이 조절을 통해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의 방법은 높이조절 볼트에 의한 방법, 천정측 바퀴(23)의 저부에 스페이서(예를 들어 판)를 추가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2. 프레임(60).
프레임(60)은 H 빔, I 빔, 각관 등을 자재로 하며 상층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고, 하층 고정랙(10)들 사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양쪽 끝이 하층 고정랙(10)에 고정된다.
프레임(60)은 바람직하게 전후 양쪽의 2개소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3개 이상도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연결빔(6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사용된다. 연결빔(61)은 프레임(60)과 동일한 자재이며 프레임(60)들 사이에 이들(6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양쪽이 프레임(60)들에 용접 또는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를 통해 조립 고정된다.
프레임(60)은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을 통해 하층 고정랙(10)에 고정된다.
도 4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은 하층 고정랙(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홈(상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태의 하층 채널(11)에 삽입되고 용접이나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로 고정되는 예컨대 육면체 형태의 고정부(71), 고정부(71)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세워지며 프레임(60)의 양쪽을 감싸면서 용접이나 체결구로 고정되는 연결부(7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의 연결을 위하여 프레임(60)에는 고정브래킷(62)이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은 고정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고정부(71)의 저부가 하층 채널(11)에 삽입되고 상부가 하층 고정랙(10)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71)는 프레임(60)의 폭보다 적은 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연결부(72)는 고정부(71)의 상부에 고정부(71)보다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는 구조이며, 프레임(60)의 저부가 안착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상부를 향해 세워지게 되어 프레임(60)(고정브래킷(62))의 바깥쪽을 덮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프레임(60)과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프레임(60)은 기성품이 아닌 예로서 도면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는 2개의 하부편(60-1,60-2)과 2개의 상부편(60-3,60-4)에 의한 조립식이다.
하부편(60-1,60-2)은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부에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제1수직부보다 낮은 높이의 제2수직부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수직부들이 맞닿는 상태로 조립된다.
상부편(60-3,60-4)은 하부편(60-1,60-2)의 제1수직부의 바깥쪽에 겹쳐지는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제1수직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2수직부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편(60-1,60-2)과 상부편(60-3,60-4)은 제1수직부들이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구로 조립된다.
상기 구조는 프레임 연결브래킷(70)과 조립을 위한 구조이면서 휨 강성을 확보하는 구조이다.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은 박스형태의 고정부(71)와 판형의 연결부(72)로 분할 구성한 것이며, 체결구를 통해 서로 조립되고 프레임(60)의 하부편(60-1,60-2)의 제2수직부와 겹쳐지면서 체결구로 조립되고, 일체형과 동일한 구조(수평부, 수직부)를 갖는다.
여기에, 보강판(7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강판(73)은 평평한 판상이면서 양쪽 끝에 하부편(60-1,60-2)의 제2수직부를 바깥쪽에서 감싸는 플랜지를 갖는 구조이고, 프레임 연결브래킷(70)의 상부에 올려지게 되어 상부에 프레임(60)의 저부가 적층되어 이들(60,70)과 함께 조립되어 결속강도를 높여준다.
도 6은 프레임(6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좌우 2개의 앵글(60-5,60-6)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앵글(60-5,60-6)은 동일한 구조로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어 조립되며, 조립 후 통상의 H 빔의 형태이면서 프레임 연결브래킷(70)과 조립을 위한 수직부를 갖는다.
프레임(60)은 하층 이동랙(20)의 천정측 바퀴(23)가 이동하는 레일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하층용 천정측 레일이며, 천정측 바퀴(23)의 안정적인 이동과 이탈 방지를 위하여 이탈방지부(63)(도 8, 도 9에 도시됨)가 포함된다.
이탈방지부(63)는 프레임(6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면을 따라 이동하는 천정측 바퀴(23)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즉, 전후 양쪽의 2개소에 설치되어 하층 이동랙(20)이 프레임(6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탈방지부(63)는 프레임(60)에 부착되는 별도의 자재(박스, 띠, 판 등)도 가능하고 프레임(6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도 가능하다.
이탈방지부(63)는 하층 이동랙(20)의 이동 경로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가능하다.
프레임(60)은 상면에 상층 고정랙(30)의 저부가 올려지고 고정브래킷과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된다.
3. 상층 레일(80).
상층 레일(80)은 프레임(6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층 이동랙(40)의 바닥측 바퀴(42)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바닥측 바퀴(42)의 구조에 따라 바닥측 바퀴(42)가 삽입되는 홈이나 돌기를 갖는 구조이고 프레임(60) 상면에 올려진 후 고정브래킷(81)과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고정브래킷(81)은 프레임(60)의 고정브래킷(62)에 겹쳐지면서 체결구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상층의 하중 전이 저감(하중 분산).
상층 구조물인 상층 고정랙(30)의 하중은 프레임(60)을 통해 하층 고정랙(10)으로 전달되어 분산된다.
또한, 상층 이동랙(40)의 하중은 프레임(60)으로 전가되고 하층 이동랙(20)의 천정측 바퀴(23)를 통해 하층 이동랙(20)으로 전가되어 분산된다.
2. 상층 이동랙 이동.
상층 이동랙(40)을 이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수동 핸들(41)을 잡고 돌리면 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상층 이동랙(42)의 바닥측 바퀴(42)가 상층 레일(80)을 따라 이동한다.
상층 이동랙(40)의 이동 시 동적 하중은 프레임(60)으로 전가되어 다수의 하층 이동랙(20)과 하층 고정랙(10)으로 분산된다.
3. 하층 이동랙 이동.
하층 이동랙(20)을 이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수동 핸들(21)을 잡고 돌리면 구동장치가 구동하여 하층 이동랙(20)의 바닥측 바퀴가 바닥측 레일(22)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천정측 바퀴(23)가 프레임(6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층 이동랙(20)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하층 이동랙(20)은 저부와 상부 모두가 지지기반을 갖기 때문에 상부가 지지기반을 갖지 못하는 것과 달리 상부의 흔들림, 이로 인한 탈선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층 이동랙(20)은 전후 양쪽에 설치된 바닥측 바퀴와 천정측 바퀴(23)에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움직임과 탈락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하층 이동랙(20)의 경우 바닥측 바퀴와 천정측 바퀴가 구동 회전하면서 바닥측 레일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 또는 바닥측 바퀴만 구동 회전하고 천정측 바퀴는 아이들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자의 경우 저부와 상부 모두 구동력을 갖기 때문에 후자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바닥측 바퀴와 천정측 바퀴를 각각의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나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바닥측 바퀴와 천정측 바퀴를 함께 구동 회전시키는 것이 경제성과 구동성 모두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독립 구동수단의 경우 동일한 회전 구동을 하지 않을 수 있고 많은 구성으로 원가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동수단은 다음과 같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하 동시 주행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어 수동 핸들(21)의 회전 조작)으로 바닥측 바퀴(24)와 천정측 바퀴(23)를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동 핸들(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90), 구동휠(90)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측 전달휠(91), 바닥측 바퀴(24)에 고정되며 하측 전달휠(91)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동일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닥측 바퀴(24)를 회전시키는 바닥측 전달휠(92), 구동휠(9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예를 들어 직접 기어 연결)되는 상측 전달휠(93), 천정측 바퀴(23)에 고정되며 상측 전달휠(93)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천정측 바퀴(23)를 바닥측 바퀴(2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천정측 전달휠(94)을 포함한다.
상기 휠은 동력 전달 관계에 맞춰 기어, 휠 등으로 구성되고, 1단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벨트 또는 체인이며, 구동휠(90)과 하측 전달휠(91)을 연결하는 체인(95), 하측 전달휠(91)과 바닥측 전달휠(92)을 연결하는 체인(96), 상측 전달휠(93)과 천정측 전달휠(94)을 연결하는 체인(97)이다.
하측 전달휠(91), 바닥측 전달휠(92), 체인(95), 체인(96)은 하층 전달수단이고, 상측 전달휠(93), 천정측 전달휠(94), 체인(97)은 상층 전달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면, 수동 핸들(21)을 예를 들어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구동휠(90) 시계방향 ?? 하측 전달휠(91) 시계방향 ?? 체인(96) 시계방향 ?? 바닥측 전달휠(92)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바닥측 바퀴(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구동휠(90) 시계방향 ?? 상측 전달휠(93) 반시계방향 ?? 체인(97) 반시계방향 ?? 천정측 전달휠(94) 반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천정측 바퀴(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바닥측 바퀴(24)와 천정측 바퀴(23)의 회전으로 하층 이동랙(20)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수동 핸들(21)을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바닥측 바퀴(24)는 반시계방향, 천정측 바퀴(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층 이동랙(20)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 장치를 포함한다.
도 12 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정랙용 내진 장치(100)는, 지진으로 건축물의 바닥이 거동하더라도 하층 고정랙(10)이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층 고정랙(10)의 저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13과 도 1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고정대(110,120), 슬라이딩 봉(130), 제1,2탄성부재(140,150)를 포함한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이 거동할 때 하층 고정랙(10)이 설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측 레일(22) 위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60)가 포함되며, 바닥측 레일(22)은 하층 이동랙(20)의 이동을 위한 레일이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레일이고, 바퀴(160)는 예를 들어 하층 고정랙(10)의 저부의 4개소에 설치되며 바닥측 레일(22)에 안착되어 바닥측 레일(22)이 바닥과 함께 거동할 때 회전하면서 마찰저항을 줄여준다.
제1,2고정대(110,120)는 하층 고정랙(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앵커 등을 고정된다.
상기 앵커는 지면 아래에 삽입 정착되어 고정되거나 바닥측 레일(22)에 고정되거나 바닥측 레일(22)을 관통하여 지면 아래에 삽입 정착으로 고정된다.
제1,2고정대(110,120)는 제1,2탄성부재(140,150)의 설치를 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 것이 바람직하지만, 연결부재(판, 봉, 관 등)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취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고정대(110,120)는 슬라이딩 봉(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슬라이딩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부는 구멍 또는 상하부의 가장자리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봉(130)은 하층 고정랙(10)에 고정되어 하층 고정랙(1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이며, 예를 들어 원형의 봉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쪽이 하층 고정랙(10)의 프레임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131)를 통해 고정되며 제1,2고정대(110,120)의 제1,2슬라이딩부에 삽입된다.
아울러, 슬라이딩 봉(130)은 중앙의 둘레부에 지지턱(132)이 형성되며, 하층 고정랙(10)의 이동 시 제1,2탄성부재(140,150)를 가압한다.
지지턱(132)은 슬라이딩 봉(130)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모든 형태로 제1,2탄성부재(140,150)를 가압할 수 있는 크기와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봉(130)의 외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지지턱(132)을 너트로 하여 지지턱(13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봉(132)은 1개 이상이 가능하고 도면은 3개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제1,2탄성부재(140,150)는 슬라이딩 봉(130)의 둘레부에 결합되도록 코일스프링이며 슬라이딩 봉(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턱(132)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길이방향의 양쪽이 지지턱(132)과 제1,2고정대(110,120)에 각각 지지되며, 제1,2고정대(110,120)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막아 하층 고정랙(10)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제1,2탄성부재(140,150)는 길이방향의 양쪽이 지지턱(132)과 제1,2고정대(110,12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상태로 슬라이딩 봉(13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길이방향의 양쪽이 지지턱(132)과 제1,2고정대(110,12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140 또는 150)가 압축될 때 나머지의 탄성부재(150 또는 140)가 인장력으로 고정대를 지지하게 되어 제1,2고정대(110,120)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하층 고정랙(10)에 대한 충격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하층 고정랙(10)은 바닥이 거동하여도 설치 위치를 유지하며, 만약 이동이 필요한 경우 그 이동 방향은 하층 이동랙(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내진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4은 지진이 발생하지 않아 건축물의 바닥이 거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지진의 발생으로 건축물의 바닥이 거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의 (A)는 건축물의 바닥이 좌측으로 거동하는 상태이고 (B)는 건축물의 바닥이 우측으로 거동하는 상태이다.
도 15의 (A)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2고정대(110,12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2고정대(110,120)가 건축물의 바닥과 동일한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고정대(120)가 제2탄성부재(150)를 압축하며, 이 과정에서 제1,2고정대(110,120)가 슬라이딩 봉(130)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하층 고정랙(10)은 건축물의 바닥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설치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2탄성부재(150)가 제2고정대(120)를 탄력 지지하면서 제2고정대(120)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하층 고정랙(10)에 전가되는 충격에너지를 줄여준다.
또한, 도 15의 (B)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2고정대(110,120)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2고정대(110,120)가 건축물의 바닥과 동일한 방향인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1탄성부재(140)가 제1고정대(110)에 의해 압축되면서 완충하며, 하층 고정랙(10)은 제1,2고정대(110,12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봉(130)을 통해 설치 상태를 유지한다.
복층형 모빌랙의 경우 상층 고정랙(30)도 고정랙용 내진 장치를 통해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상층 고정랙(30)은 하측 고정랙(10)과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층용 내진 장치는 전술한 제1,2고정대(110,120), 슬라이딩 봉(130), 제1,2탄성부재(140,150)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1,2고정대(110,120)는 프레임(60)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봉(130)은 상층 고정랙(30)에 고정되면서 제1,2고정대(110,120)가 슬라이딩 하도록 연결되며, 제1,2탄성부재(140,150)는 슬라이딩 봉(13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층 고정랙(30)이 고정랙용 내진 장치를 통해 적용되는 경우 하층 구조물(하층 고정랙(10), 프레임(60))이 거동하는 경우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10 : 하층 고정랙, 11 : 하층 채널
20 : 하층 이동랙, 21 : 수동 핸들
22 : 바닥측 레일, 23 : 천정측 바퀴
24 : 바닥측 바퀴,
30 : 상층 고정랙,
40 : 상층 이동랙, 41 : 수동 핸들
42 : 바닥측 바퀴,
50 : 발판,
60 : 프레임, 61 : 연결빔
62 : 고정브래킷, 63 : 이탈방지부
70 : 프레임 연결브래킷, 71 : 고정부
72 : 연결부, 80 : 상층 레일
90 : 구동휠, 91 : 하측 전달휠
92 : 바닥측 전달휠, 93 : 상측 전달휠
94 : 천정측 전달휠, 95,96,97 : 체인
100 : 고정랙용 내진 장치,
110,120 : 제1,2고정대, 130 : 슬라이딩 봉
131 : 체결구, 132 : 지지턱
140,150 : 제1,2탄성부재, 160 : 바퀴

Claims (7)

  1. 하나 이상의 하층 고정랙과;
    상기 하층 고정랙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하층 고정랙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서 상기 하층 고정랙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상층 고정랙과;
    상기 하층 고정랙 옆의 바닥에 형성되는 하층용 바닥측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층 레일과;
    상기 상층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층 이동랙과;
    바닥측 바퀴와 천정측 바퀴를 통해 상기 상층 이동랙과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하층 이동랙과;
    상기 하층 고정랙이 지진으로 인한 바닥의 거동 시 설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랙용 내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랙용 내진 장치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상기 하층 이동랙의 이동을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측 레일에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1,2고정대, 상기 하층 고정랙에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둘레부에 턱이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슬라이딩 봉 및 상기 슬라이딩 봉의 둘레부로서 상기 턱의 양쪽에 결합되어 상기 턱과 상기 제1,2고정대에 지지되며 바닥의 거동을 완충하는 제1,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층 이동랙의 천정측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층 고정랙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과 하층 고정랙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51733A 2022-11-14 2022-11-14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KR10252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733A KR102529989B1 (ko) 2022-11-14 2022-11-14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733A KR102529989B1 (ko) 2022-11-14 2022-11-14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989B1 true KR102529989B1 (ko) 2023-05-08

Family

ID=8638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733A KR102529989B1 (ko) 2022-11-14 2022-11-14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9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611A (ja) * 1990-06-01 1992-02-06 Nippon Filing Co Ltd 積層式免震移動棚
JPH0630735Y2 (ja) * 1989-02-23 1994-08-17 株式会社文祥堂 二層式移動棚装置に於ける下層可動棚装置
KR102414989B1 (ko) 2021-10-25 2022-06-29 이종진 독립형 복층 모빌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735Y2 (ja) * 1989-02-23 1994-08-17 株式会社文祥堂 二層式移動棚装置に於ける下層可動棚装置
JPH0435611A (ja) * 1990-06-01 1992-02-06 Nippon Filing Co Ltd 積層式免震移動棚
KR102414989B1 (ko) 2021-10-25 2022-06-29 이종진 독립형 복층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2004A (en) Push-back retrofit system for a storage rack assembly
US6676233B1 (en) Storage lift
US10342333B2 (en) Double-wide drive-in storage rack assembly with dual-rail truss-beam
US9234361B2 (en) Powered telescopic seating riser assembly
US4319689A (en) Storage rack
US20180044146A1 (en) Cantilevered crane system for a factory work station
KR20220069405A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29989B1 (ko) 상하층 독립 이동과 하중 분산형 복층 모빌랙
TWI516426B (zh) Items shelves
US3828680A (en) Storage system
US20230189993A1 (en) Shelving unit tie bar
US3589310A (en) Library stacks and base supports therefor
GB2622996A (en) Collapsible structural support and storage module
AU2010201726A1 (en) Loading drawer
KR102518354B1 (ko) 내진 모빌랙 및 고정랙용 내진 장치
JP3408423B2 (ja) 絵画ラック装置
US20220340362A1 (en) A storage system
EP1872685A1 (en) Shelf-fixing system
KR20240022628A (ko) 격자 프레임워크 구조
JP6687506B2 (ja) 壁面収納舞台の直立保持装置
JPH0515445B2 (ko)
JP2689818B2 (ja) コイル格納用倉庫
JPH07408Y2 (ja) 移動棚の台枠構造
JPH11131785A (ja) 建物における床下収納装置
JPH03184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