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0539B1 -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539B1
KR102390539B1 KR1020210145188A KR20210145188A KR102390539B1 KR 102390539 B1 KR102390539 B1 KR 102390539B1 KR 1020210145188 A KR1020210145188 A KR 1020210145188A KR 20210145188 A KR20210145188 A KR 20210145188A KR 102390539 B1 KR102390539 B1 KR 10239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hammer crusher
stone
auxiliary tank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홍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천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02C23/12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with return of oversize material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63Multi-layer screen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활용되는 석재 또는 기초자원단계의 석재로 형성되는 골재가 투입되는 상기 호퍼에 투입된 상기 골재(M)가 파쇄되어 소화되도록 동작되는 해머크러셔; 상기 해머크러셔에 파쇄되어 소화된 상기 골재가 1차 분류되는 타공망으로 형성되는 석분거름망; 상기 석분거름망에서 분류된 제품 대상크기의 상기 골재가 저장되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골재가 선별되는 3단선별챔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석분거름망은 타공을 통과되지 못한 상기 골재가 상기 해머크러셔의 전측에 배치된 리턴벨트로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리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해머크러셔에서 파쇄된 상기 골재를 일정비율 저장하여 상기 해머크러셔의 공급양과 별개로 상기 골재의 공급이 연속되는 자동 골재 선별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System for crushing and assorting gravels and sand}
본 발명은 자동화된 골재 파쇄 및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및 기초 자원단계이 석재 등은 파쇄되어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재활용되고 있다. 이때, 선별되는 골재는 하천, 산림, 공유수면, 기타 지상, 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 모래, 자갈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골재는 석재가 가공된 형태 또는 건설폐기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골재를 재가공할 경우 현장에서 요구되는 골재의 크기가 상이하여 크기 별 분류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골재를 선별하는 기술이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골재의 선별효율이 낮으며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나 미분 등을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미분을 사전에 분류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골재 분류 장치를 대체하여 재활용 또는 기초 자원단계의 석재를 파쇄하고 분류하는 자동 골재 선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재활용되는 석재 또는 기초자원단계의 석재로 형성되는 골재가 투입되는 상기 호퍼에 투입된 상기 골재(M)가 파쇄되어 소화되도록 동작되는 해머크러셔; 상기 해머크러셔에 파쇄되어 소화된 상기 골재가 1차 분류되는 타공망으로 형성되는 석분거름망; 상기 석분거름망에서 분류된 제품 대상크기의 상기 골재가 저장되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골재가 선별되는 3단선별챔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석분거름망은 타공을 통과되지 못한 상기 골재가 상기 해머크러셔의 전측에 배치된 리턴벨트로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리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해머크러셔에서 파쇄된 상기 골재를 일정비율 저장하여 상기 해머크러셔의 공급양과 별개로 상기 골재의 공급이 연속되는 자동 골재 선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는 보조탱크가 구비되어 유사시에도 연속공정이 가능한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골재 선별기의 전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의 후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쇄기의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3단선별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10)는 재활용되는 석재 또는 기초자원단계의 석재로 형성되는 골재(M)가 투입되는 호퍼(100)와, 호퍼(100)에 투입된 골재(M)가 파쇄되어 소화되도록 동작되는 해머크러셔(200)와, 해머크러셔(200)에 파쇄되어 소화된 골재(M)가 1차 분류되는 타공망으로 형성되는 석분거름망(300)과, 석분거름망(300)에서 분류된 제품 대상크기의 골재(M)가 저장되는 보조탱크(400)와, 보조탱크(400)에서 공급되는 골재(M)가 선별되는 3단선별챔버(6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골재 선별기의 전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골재 선별기는 일측에 형성된 입구에 골재(M)가 투입되는 호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100)는 외관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2개의 측면(110)과 이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연결면(1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호퍼(100)는 하측으로 수렴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호퍼(100)는 일측에 소정크기로 개방된 골조배출구(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퍼(100)의 하측으로 수렴되는 방향은 골조배출구(100a)의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호퍼(100)는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퍼(100)에는 제1 이송라인(13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0)은 이송벨트형태로 형성되는 이송경로가 될 수 있다. 제1 이송라인(130)은 호퍼(100)에 투입되는 원재료 형태의 골재가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송라인(130)은 호퍼(100)에 형성된 골조배출구(100a)에 연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라인(130)은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라인(130)은 이송단계에서 외측으로 골재들이 낙하하여 발생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격벽형태의 가이드베리어(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베리어(131)는 골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송라인(130)의 이송방향의 끝단에는 거름판(140)이 배치될 수 있다. 거름판(140)은 제1 이송라인(130)을 통해 이송된 골재(M)들 중 제품에 가까운 크기의 골재(M)를 불필요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선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름판(140)은 제품으로 승인되는 크기의 150% 비율로 형성된 타공이 복수개 형성된 철판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거름판(140)은 다양한 크기의 골재가 통과되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충분한 내구성이 형성되는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거름판(140)은 골재가 습윤상태에 있는 경우 타공이 막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품화 가능한 크기보다 소정 큰 비율인 150%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제품화보다 소정 비율 큰 크기라면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비율이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이송라인(130)의 끝단에 거름판(140)의 경계부분에는 충격조절사슬(150)이 배치될 수 있다. 충격조절사슬(150)은 제1 이송라인(130)에 형성된 가이드베리어(131)에 양끝단이 지지된 형태로 형성된 지지대(132)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충격조절사슬(150)은 이송되는 골재(M)와 접촉되어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속도를 조절하는 차단막과 같은 역할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조절사슬(150)은 지지대(132)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21)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충격조절사슬(150)은 서로 수평하게 배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지지대(132)의 외측에 배치되는 충격조절사슬(150)은 상측에 양단이 지지되어'U'자 형태가 형성되는 사슬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충격조절사슬(150)에 의해 외측으로 향하는 골재(M)들은 'U'형태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내측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골재(M) 외측으로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고 중심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 골재 선별기는 거름판(140)에 연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골재(M)의 초기 파쇄공정이 진행되는 해머크러셔(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머크러셔(200)는 호퍼형태의 투입구가 형성되어 골재(M)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해머크러셔(200)는 내부로 진입된 골재(M)를 내측에 배치된 톱니형태의 파쇄날(미도시)로 분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해머크러셔(200)에서 수용하는 골재(M)의 양은 해머크러셔(200)의 다음 단계에 배치되는 보조탱크(400)에서 배출되는 골재(M)량보다 많거나 같은 양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자동 골재 선별기는 해머크러셔(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이송라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10)은 해머(200)를 통과한 골재(M)가 이송되는 이송로가 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10)은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머크러셔(200)에 통과되어 1차 소화된 골재(M)가 이송되어 제1 이송라인(130)의 하측에 위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라인(210)은 일측으로 골재(M)를 이송시키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송라인(210)의 후측에 진행되는 골재(M)의 공정 진행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자동 골재 선별기는 골재의 이송이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1 이송라인(1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석분 거름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석분 거름망(300)은 1차 파쇄기에 의해 소화된 골재(M) 및 초기 투입되는 골재(M) 중 제품화 크기보다 작은 석분이 통과되는 크기의 타공이 형성된 망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석분으로 판별되는 크기는 0.5mm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석분 거름망(300)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석분 거름망(300)은 일측에 바이브레이터가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가진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석분 거름망(300)으로 이동되는 석분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골재(M)는 진동에 의해 경사를 따라 이동되거나 타공홀 사이로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석분 거름망(300)은 거름판(140)에서 낙하되는 골재(M)를 제2 이송라인(210)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석분 거름망(300)은 중심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골재(M)는 진동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중심측으로 모집될 수 있다. 또한, 석분거름망(300)은 후측에 소정부분이 타공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석분거름망(300)의 후측은 제품크기의 100%비율로 형성된 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석분거름망(300)의 후측에 형성된 타공으로 제품크기의 골재(M)가 통과되어 하측에 배치된 보조탱크(4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석분거름망(300)은 리턴벨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벨트(310)는 석부거름망(300)의 후측에 형성된 타공을 통과하지 못한 제품크기 이상의 골재(M)가 해머크러셔(200)의 전측에 배치된 제1 이송라인(130)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턴벨트(310)를 통해 제1 이송라인(130)으로 이동된 골재(M)는 해머크러셔(200)에서 재파쇄되어 제품에 적합한 크기로 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석분 거름망(300)의 경사를 따라 이동된 골재(M)는 보조탱크(400)에 수용될 수 있다. 보조탱크(400)는 파쇄되어 소화된 골재(M)의 공급량과 배출량을 조절하는 탱크가 될 수 있다. 보조탱크(400)는 내부에 소정량의 골재(M)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탱크(400)는 석분거름망(300)에서 골재가 공급되는 보조탱크입구(401)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탱크입구(401)는 호퍼와 같이 골재(M)를 수용하기 용이한 역방향의 원뿔 또는 상광하협의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탱크(400)는 일측에 보조탱크배출구(3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탱크배출구(402)는 보조탱크(400)에 저장된 골재(M)가 다음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탱크(400)는 해머크러셔(200)에서 파쇄된 골재(M)를 일정비율 저장하여 해머크러셔(200)의 공급양과 별개로 골재(M)의 공급이 연속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보조탱크(400)의 이와 같은 동작은 보수 빈도가 잦은 해머크러셔(200)의 보수작업 시에도 저장된 골재(M)를 공급하게 되어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 작업이 연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의 후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골재선별기는 파쇄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쇄기(500)는 해머크러셔(200)의 파쇄작업만으로 골재(M)의 소화량이 목표량에 미달될 경우 배치될 수 있다. 파쇄기(5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보조탱크(400)는 골재(M)를 3단선별챔버(600)로 공급하게 될 수 있다. 파쇄기(500)는 보조탱크(400)에서 공급되는 골재(M)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 이송라인(210)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쇄기(500)는 설치면에 접촉되며 전체를 지지하는 외측케이싱지지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케이싱지지부(510)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케이싱지지부(510)는 일측에 형성되어 소화된 골재(M)가 배출되는 파쇄배출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파쇄배출구(511)는 후측에 배치된 3단 선별챔버(600)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쇄기(500)는 외측케이싱지지부(510)보다 소정작은 직경의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외측케이싱(5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케이싱(52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케이싱(520)은 파쇄기(500)에 투입되는 골재(M)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측케이싱(520) 파쇄기(500)에서 파쇄되는 골재가 파쇄힘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측이 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쇄기(500)는 회전날지지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지지판(530)은 외측케이싱(5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정두께의 판이 될 수 있다. 또한, 회전날지지판(530)은 중심에 골재투입구(530a)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날지지판(530)에 형성된 골재투입구(530a)는 소정 직경의 원형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골재투입구(530a)는 해머크러셔(200)에 의한 1차 파쇄공정 이후 2차 파쇄공정이 진행되는 골재(M)들의 투입이 용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골재투입구(530a)에는 내축회전날(540)이 관통되어 결합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500)는 내축회전날(5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축회전날(540)은 파쇄기(500)에서 골재(M)가 파쇄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내축회전날(540)은 외측케이싱(520)의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동작될 수 있다. 이때, 내축회전날(540)은 회전축이 좌우로 유동되는 형태의 회전동작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축회전날(540)은 'I'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중심단부(541)가 형성될 수 있다. 내축회전날(540)의 중심단부(541)은 골재투입구(530a)보다 소정비율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축회전날(540)과 골재투입구(530a)의 크기차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을 통해 골재(M)가 투입되어 파쇄될 수 있다.
또한, 내축회전날(540)의 하측에는 하측유선날(54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유선날(542)은 중심단부(541)의 하측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측유선날(542)은 원형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유선형의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유선날(542)은 회전날지지판(530)과 하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500a)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하측유선날(542)과 회전날지지판(5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500a)은 파쇄대상의 골재(M)가 투입되어 파쇄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쇄기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측유선날(542)과 회전날지지판(5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500a)은 파쇄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유선형으로 형성된 하측유선날(542)은 하측에 베어링(B)이 대칭형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날지지판(530)은 베어링(B)의 표면에 접촉되며 구름동작이 형성되어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하측유선날(542)은 베어링(B)에 접촉되어 유동되어 형성되는 갭(500a)이 일정크기 이상 벌어지지 않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갭(770a)이 일정 크기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유동에 의해 미파쇄된 골재가 통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측유선날(542)은 중심축이 좌우로 유동되며 회전날지지판(530)과 간격이 변동될 수 있다. 이때, 사이에 투입되는 골재(M)는 하측유선날(542)과 회전날지지판(530)의 갭으로 생긴 공간에서 압착되어 파쇄될 수 있다.
또한, 내축회전날(540)의 상측에는 상측마개판(5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마개판(543)은 중심단부(541)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정직경의 원형판이 될 수 있다. 이때, 상측마개판(543)의 크기는 하측유선날(542)에 의해 파쇄되는 골재(M)가 파쇄힘에 의해 상측으로 튀어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용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골재선별기(10)는 파쇄기(500)의 파쇄배출구(511)방향에 연접한 부분에 배치되는 3차 이송라인(550)을 포함할 수 있다. 3차 이송라인(550)은 3단선별챔버(600)로 골재(M)를 이송하는 이송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파쇄기(5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보조탱크(400)는 3단 선별챔버(600)로 골재(M)가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3단선별챔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단선별챔버(6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챔버하우징(610)과, 챔버하우징(610)의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품 100%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1차 선별망(620)과, 1차 선별망(620)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1차선별망의 80%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2차 선별망(630); 및 2차 선별망(630)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품크기의 60%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3차 선별망(64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1차 선별망(620)은 'ㄱ'자 형태의 공간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선별망(620)이 배치되는'ㄱ'자형태의 공간은 챔버하우징(610)의 내부공간의 최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선별망(620)이 배치되는'ㄱ'자 형태의 공간에서 종방향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경계에는 1차 제품배출구(621)가 형성될 수 있다. 1차 제품배출구(621)는 1차 선별망(620)을 통해 골재(M)가 충분히 분류된 후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실시예의 2차 선별망(630)은 1차 선별망(620)보다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된 'ㄱ'형태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2차 선별망(630)은 1차 선별망(620)의 배치와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차 선별망(630)이 배치되는 'ㄱ'자 형태의 공간에서 종방향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경계에는 2차 제품배출구(631)가 형성될 수 있다. 2차 제품배출구(631)는 2차 선별망(630)을 통해 골재(M)가 충분히 분류될 경우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 실실시예의 3차 선별망(640)은 2차 선별망(630)보다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된 'ㄱ'형태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3차 선별망(640)은 2차 선별망(63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충분히 분류될 경우 3차 제품배출구(641)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차 선별망(640)을 거쳐 하측으로 이동된 골재(M)는 제품화되는 최소 크기의 골재(M)로 배출되어 총 4개의 제품크기로 분류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단선별챔버(600)는 챔버하우징(610)의 전방에 모터수용단부(650)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수용단부(650)는 챔버하우징(6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삼각형태의 단부형태가 될 수 있다. 모터수용단부(650)의 끝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작동축(651)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축(651)은 모터(M)에 편심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챔버하우징(610)은 모터(M)가 작동될 경우 전방 및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방 및 후방의 움직임에 의해 챔버하우징(610) 내부로 유입되는 골재의 분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 골재 선별기는 1차 내지 3차에 이르는 이송라인, 파쇄기를 통해 모집되는 골재가 균일한 크기가 될 수 있는 선별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M : 골재 100 : 호퍼
200 : 해머크러셔 300 : 석분거름망
400 : 보조탱크 500 : 파쇄기
600 : 3단선별챔버

Claims (5)

  1. 재활용되는 석재 또는 기초자원단계의 석재로 형성되는 골재(M)가 투입되는 호퍼(100);
    상기 호퍼(100)에 투입된 상기 골재(M)가 파쇄되어 소화되도록 동작되는 해머크러셔(200);
    상기 해머크러셔(200)에 파쇄되어 소화된 상기 골재(M)가 1차 분류되는 타공망으로 형성되는 석분거름망(300);
    상기 석분거름망(300)에서 분류된 제품 대상크기의 상기 골재(M)가 저장되는 보조탱크(400);
    상기 보조탱크(400)에서 공급되는 상기 골재(M)가 선별되는 3단선별챔버(600); 를 포함하고
    상기 석분거름망(300)은
    타공을 통과되지 못한 상기 골재(M)가 상기 해머크러셔(200)의 전측에 배치된 리턴벨트(310)로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리턴벨트(31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400)는 상기 해머크러셔(200)에서 파쇄된 상기 골재(M)를 일정비율 저장하여 상기 해머크러셔(200)의 공급양과 별개로 상기 골재(M)의 공급이 연속되고
    상기 보조탱크(400)는 상기 3단선별챔버(600)의 사이에
    상기 골재(M)가 이송되어 파쇄되는 파쇄기(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쇄기(500)는
    설치면에 접촉되며 전체를 지지하는 외측케이싱지지부(510);
    상기 외측케이싱지지부(510)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외측케이싱(520);
    상기 외측케이싱(5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정두께의 판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소정 직경의 원형홈으로 형성된 골재투입구(530a)가 형성된 회전날지지판(530); 및
    상기 골재투입구(530a)을 관통된 형태로 위치되어 상기 골재(M)가 파쇄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내축회전날(540); 을 포함하고
    상기 내축회전날(540)은
    'I'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골재투입구(530a)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된 중심단부(541);
    하측에 원형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유선형의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지지판(530)과 사이에 소정크기의 갭(500a)이 형성되는 하측유선날(542);
    상측에 소정 직경의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상측마개판(543); 을 포함하는 자동 골재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단선별챔버(6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후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챔버하우징(610);
    상기 챔버하우징(610)의 내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품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1차 선별망(620);
    상기 1차 선별망(620)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1차 선별망(620)의 80%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2차 선별망(630); 및
    상기 2차 선별망(630)에서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1차 선별망(620)의 60%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3차 선별망(640); 을 포함하는 자동 골재 선별기.
KR1020210145188A 2021-10-28 2021-10-28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239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8A KR102390539B1 (ko) 2021-10-28 2021-10-28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8A KR102390539B1 (ko) 2021-10-28 2021-10-28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39B1 true KR102390539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88A KR102390539B1 (ko) 2021-10-28 2021-10-28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345B1 (ko) 2022-06-14 2023-09-21 대형환경 주식회사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83B1 (ko) * 2004-03-20 2004-05-28 주식회사 태영 친환경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86167B1 (ko) * 2004-12-17 2005-04-29 정규성 광석 및 건설폐기물을 다양한 입도의 소재로 파·분쇄하는장치
KR101198484B1 (ko) * 2012-01-09 2012-11-06 하용간 콘형 크러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83B1 (ko) * 2004-03-20 2004-05-28 주식회사 태영 친환경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486167B1 (ko) * 2004-12-17 2005-04-29 정규성 광석 및 건설폐기물을 다양한 입도의 소재로 파·분쇄하는장치
KR101198484B1 (ko) * 2012-01-09 2012-11-06 하용간 콘형 크러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345B1 (ko) 2022-06-14 2023-09-21 대형환경 주식회사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8284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895436B1 (ko) 금속 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건설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US11724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gravimetric sorting of a mixture of substances
KR102465597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제조방법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0661842B1 (ko) 골재 입도 분포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JPH11197534A (ja) 自走式破砕機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8921B1 (ko) 건식라인 및 습식라인이 구비된 자동 골재 선별 시스템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KR0123017B1 (ko) 폐건축물의 분리방법 및 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JP2000051731A (ja) 骨材の比重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