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126B1 -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2126B1 KR102382126B1 KR1020210042184A KR20210042184A KR102382126B1 KR 102382126 B1 KR102382126 B1 KR 102382126B1 KR 1020210042184 A KR1020210042184 A KR 1020210042184A KR 20210042184 A KR20210042184 A KR 20210042184A KR 102382126 B1 KR102382126 B1 KR 102382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am
- layer
- artificial turf
- base layer
- p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기포층, 기재층, 파일부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에서,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 배치된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는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한 파일부의 부분을 지지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에 비해 시공 비용이 저렴하기에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축구장, 운동장, 골프 연습장, 야구장 등에 사용된다.
인조잔디는 잔디 잎사귀 역할을 하는 복수의 파일사를 기재에 고정시켜 제작된다. 제작된 인조잔디는 시공하고자 하는 땅에 설치되고, 이후 파일사의 직립성 및 충격흡수를 위해 충진재를 포설한다. 충진재는 복수의 파일사 사이를 채우는 물질로, 규사 및 고무칩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충진재는 우천, 바람 및 경기자의 활동으로 인해 유실되었다. 이에 관리자가 충진재를 지속적으로 보충해줘야 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조잔디 구조체 내부에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는 발포체를 형성시켜 충진재 사용을 최소화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기재층, 파일부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에서,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 배치된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는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한 파일부의 일부분을 지지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수성연질폼, 연질폴리우레탄, 반경질폴리우레탄, 경질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포층, 상기 기포층에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의 파일부, 상기 복수의 파일부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층 및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의 사이에서 이웃한 파일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한 발포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은 상기 발포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발포체에는 각각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포체에 의해 이웃한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A)은 상기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B)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기포층과 상기 백킹층 사이에 배치된 기재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은 기포층과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기포층에 파일부를 터프팅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에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에 발포물을 분사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물은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로 유입되어 발포되면서 상기 기포층과 접한다.
상기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파일부의 의해 파일부의 주변에 홀이 형성되고, 발포체는 파일부를 지지한다.
상기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상기 발포물이 분사된 상기 매트를 40~80℃에서 3분 내지 10분간 가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발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발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발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기포층(110), 파일부(130), 기재층(150), 백킹층(120) 및 발포체(140)를 포함한다.
기포층(11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S), 셀룰로오즈(Cellulose; CL), 나일론(Nylo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포층(110)은 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포층(110)의 구조를 네트로 한정하지 않는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적층되어 파일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기재층(15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PO),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S),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재층(150)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치수 안정성을 발휘한다. 이에 계절의 온도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는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같은 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재층(150)의 구조를 네트로 한정하지 않는다.
파일부(130)는 복수의 파일사(131)로 이루어져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에서 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파일사(131)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테리프랄테이트(Polyethylene phthalate; PET)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백킹층(120)은 파일부(130)와 결합되어 있으며 밀도가 5 내지 40g/m3인 부직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도가 5g/m3 미만일 경우 파일부(130)가 강하게 고정되지 않아 직립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백킹층(120)은 파일부(130)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파일부(130)가 기포층(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은 기포층(110), 파일부(130), 백킹층(120) 및 기재층(150)은 공지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기포층, 파일부 및 백킹층과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발포체(140)는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체(140)의 상부 일부분은 기포층(110)과 결합되어 있고 하부 일부분은 기재층(150)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서 발포체(14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발포체(140)는 기포층(110) 및 기재층(150)과 결합되지 않고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발포체(140)에는 파일부(130)가 위치하는 홀(160)이 형성되어 있다. 우수는 홀(160)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100)는 발포체(1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우수의 배수 효율이 우수하다.
그리고 네트 구조의 기포층(110)과 기재층(150), 부직포의 백킹층(120) 및 발포체(140)에 형성된 홀(160)에 의해 인조잔디 구조체(100)에 별도의 배수홀 성형 공정이 발생하지 않아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아울러, 파일부(130)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발포체(14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발포체(140)는 기재층(150)을 기준으로 기포층(110)의 방향으로 10~20mm 두께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기포층(110)은 기재층(1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발포체(140)의 두께(D)는 파일부(130) 높이(E)의 20~40%이다. 두께(D)가 파일부(130) 높이의 40%를 초과하면 파일부(130)의 높이(E)가 짧아져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되고, 두께(D)가 파일부(130) 높이(E)의 20% 미만이면, 충격흡수 기능 및 파일부(130)의 직립 성능이 발휘될 수 없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발포체(140)는 수성연질폼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경도는 Shore A 20 내지 7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성연질폼은 폴리우레탄의 일종이고 오픈셀 구조이며, 밀도는 6 내지 8kg/m3이다. 수성연질폼은 발포제로 물을 사용하기에 일반적인 폴리우레탄폼과 달리 염화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s; CFC) 또는 펜탄(Pentane; C5H12)과 같은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유해성이 적음으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수성연질폼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포체의 밀도가 1,000㎏/㎥를 초과하는 것은 경질, 150 내지 1,000㎏/㎥인 것인 반경질, 150㎏/㎥ 미만인 것은 연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포체(140)는 반경질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체의 강도를 경질, 반경질 및 연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조잔디 구조체의 설계에 따라 발포체의 강도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발포체(140)에는 복수의 기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발포체(140)의 기공(141)은 발포체(140)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체(140)는 앞서 설명한 소재와 기공의 존재로 인해 충격 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발포체(140)는 인조잔디 구조체(100) 내부에 있어 충진재와 달리 유실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 도 1에서 기포층(110)이 평평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발포체(140)의 발포 정도에 따라 기포층(110) 및 기포층(110)과 접하고 있는 발포체(140)의 상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포체(140)의 상면은 기재층(150)을 기준으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파형을 갖는다.
그리고 위 설명과 도면에서 발포체(140)와 백킹층(120)의 사이에 기재층(150)이 형성된 것으로 하였으나, 기재층(15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포체(140)는 기포층(11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a)는 기포층(110), 파일부(130), 백킹층(120) 및 발포체(140)를 포함한다.
기포층(110)은 네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포층(110)의 신율은 100% 이상일 수 있다. 이에 기포층(110)은 외력에 의해 늘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B)은 백킹층과 결합되어 있다(도 4 참조).
파일부(130)는 복수의 파일사(131)로 이루어져 기포층(110)에서 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백킹층(120)은 파일부(130)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파일부(130)가 기포층(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은 기포층(110), 파일부(130) 및 백킹층(120)은 공지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기포층, 파일부 및 백킹층과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발포체(140)는 기포층(11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발포체(140)의 상부 일부분은 기포층(110)과 결합되어 있고 하부 일부분은 백킹층(120)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서 발포체(14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발포체(140)는 기포층(110) 및 백킹층(120)과 결합되지 않고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발포체(140)로 인해 기포층(110)은 백킹층(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백킹층(120)은 기포층(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한 파일부(130)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이에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위치한 기포층(110) 부분(A)의 길이 값은 이웃한 파일부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간격(C) 값보다 커질 수 있다. 이웃한 파일부(13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간격(C)은 1~25mm가 될 수 있고, 이웃한 파일부(130)의 사이에 위치한 기포층(110) 부분(A)의 길이 값은 2~30mm가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b)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기재층(1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파일부(130)는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을 관통하여 기재층(150)과 기포층(110)에 결합되어 있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적층되어 파일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기재층(150)은 기포층(11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기재층(150)은 발포체(140)가 형성됨에 따라 불규칙적인 파형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체(140)는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의 사이, 기재층(15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발포체(140)는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의 사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발포체(140)는 기재층(15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을 적층시키는 단계(S10),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S20), 매트에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S30) 및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기재층(150)에 기포층(110)을 적층한다(S10).
하나의 파일사를 바늘과 같은 터프팅 기구에 연결하여, 바늘을 여러 차례에 걸쳐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통시켜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에 연속적인 형상의 파일사(131)를 결합시킨다. 이후 연속적인 형상의 파일사(131)를 절단하여 복수의 파일부(130)가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에 고정한다(S20).
기포층(110)과 기재층(150)에 결합된 파일부(130)에 밀도가 5 내지 40g/m3인 부직포로 이루어진 백킹층(120)을 결합한다. 백킹층(120)은 파일부(130)와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백킹층(120)은 기재층(150)의 일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S30).
작업자는 백킹층(120)에 액체 상태의 발포물을 분사한다. 이때 백킹층(120)의 밀도가 5g/m3 미만일 경우 파일부(130)가 강하게 고정되지 않아 직립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g/m3를 초과할 경우 발포물이 백킹층(120)을 통과하지 못해 기재층(150)과 기포층(110) 사이에 발포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발포물이 분사된 상태에서 40~80℃에서 3분 내지 10분간 가열한다. 발포물을 가열함으로써 발포체(140)의 형성이 가속화되어 발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온도가 40℃ 미만이면 발포체(140)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발포물이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매트를 가열할 경우 인조잔디 구조체(100)의 형태가 변형되어 손상될 수 있다. 3분 미만의 시간동안 매트를 가열할 경우 발포체(140)가 용이하기 형성되기 어렵고, 10분을 초과하여 매트를 가열할 경우 인조잔디 구조체(100)가 변형되어 손상될 수 있다.
발포물은 기재층(150)과 기포층(110) 사이에서 발포되면서 발포체(140)로 형성된다(S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실시예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기재층(150)에 기포층(110)을 적층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부(130)는 기재층(150)과 결합되며 발포체(140)는 기재층(150)과 백킹층(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파일부(130)를 지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7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충격흡수 효과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높이 55mm의 파일부를 기포층 및 기재층에 터프팅하였다.
상기 기재층의 한쪽 면에 밀도 25g/mm3의 부직포로 구성된 백킹층을 열융착한 후 발포물을 분사하였다.
다음으로 인조잔디 구조체의 중간체를 60℃에서 5분간 가열하여 수성연질폼으로 구성된 발포물을 발포시켜 경도가 Shore A 50이고 두께가 16mm(파일부 높이의 29%)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발포체의 경도가 Shore A 20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경도가 Shore A 70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두께가 11mm(파일부 높이의 20%)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두께가 22mm(파일부 높이의 40%)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발포체의 경도가 Shore A 0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발포체의 경도가 Shore A 100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두께가 5mm(파일부 높이의 9.1%)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두께가 30mm(파일부 높이의 55%)인 발포체가 형성된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발포체가 없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5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충격흡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측정방법
인조잔디 구조체의 충격흡수성은 KS F 3888-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충격흡수성(%) | |
실시예 1 | 33 |
실시예 2 | 27 |
실시예 3 | 29 |
실시예 4 | 29 |
실시예 5 | 36 |
비교예 1 | 11 |
비교예 2 | 15 |
비교예 3 | 17 |
비교예 4 | 36 |
비교예 5 | 5 |
충격흡수율은 수치가 높을수록 충격흡수율이 우수하고, 50 이상의 경우 A-1 또는 A-2에 해당되고, 20 이상 50 미만의 경우 B-1 또는 B-2에 해당되며, 10 이상 20 미만의 경우 B-3에 해당된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내지 3 및 5의 충격흡수성은 B-3 등급에 해당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5의 충격흡수성은 B-1에 해당되는 품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의 경우 충격흡수성은 36%이지만, 인조잔디 구조체 외부로 돌출된 파일부의 높이가 낮아 인조잔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실시예 1 내지 5의 인조잔디 구조체는 충격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1 등급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발포체를 포함하지 않는 인조잔디 구조체, 그리고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발포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비해 월등한 충격흡수 성능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조잔디 구조체 100a: 인조잔디 구조체
100b: 인조잔디 구조체 110: 기포층
120: 백킹층 130: 파일부
131: 파일사 140: 발포체
141: 기공 150: 기재층
160: 홀
A: 이웃한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
B: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
C: 이웃한 파일부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간격
D: 발포체의 상 하 두께 E: 파일부의 높이
100b: 인조잔디 구조체 110: 기포층
120: 백킹층 130: 파일부
131: 파일사 140: 발포체
141: 기공 150: 기재층
160: 홀
A: 이웃한 파일부 사이의 기포층 부분
B: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부분
C: 이웃한 파일부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간격
D: 발포체의 상 하 두께 E: 파일부의 높이
Claims (7)
- 기포층, 기재층, 파일부 및 백킹층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에서,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에서 배열되어 상기 기포층 및 상기 기재층과 결합되어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복수의 발포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은 적층되어 있고 상기 파일부는 상기 기재층과 결합되어 상기 기포층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파일부는 상기 복수의 발포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발포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발포체는 각각 폴리우레탄, 수성연질폼, 연질폴리우레탄, 반경질폴리우레탄, 경질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기포층과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에 파일부를 터프팅하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에 백킹층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에 발포물을 분사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물은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로 유입되어 발포되면서 상기 기포층과 상기 기재층의 사이를 벌리며, 상기 기포층 및 상기 기재층과 결합되어 배열되고, 상기 파일부는 배열된 상기 발포체에 의해 지지되며, 배열된 상기 발포체는 각각 폴리우레탄, 수성연질폼, 연질폴리우레탄, 반경질폴리우레탄, 경질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되며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상기 발포물이 분사된 상기 매트를 40~80℃에서 3분 내지 10분간 가열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184A KR102382126B1 (ko) | 2021-03-31 | 2021-03-31 |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184A KR102382126B1 (ko) | 2021-03-31 | 2021-03-31 |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2126B1 true KR102382126B1 (ko) | 2022-04-04 |
Family
ID=8118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184A KR102382126B1 (ko) | 2021-03-31 | 2021-03-31 |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212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290A (ko) | 2022-04-27 | 2023-11-03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
KR102717026B1 (ko) * | 2023-09-20 | 2024-10-15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완충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384B1 (ko) | 2007-12-28 | 2013-04-15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신발류 및 바닥재 용품에 사용되는 충격패드 및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고 충전제 함량 pe 기재 가교 탄성중합체성 발포체 |
KR20150105146A (ko) * | 2014-03-07 | 2015-09-16 | 주식회사 태현 |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
JP2019056211A (ja) * | 2017-09-20 | 2019-04-11 |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 人工芝構造体 |
KR20190058253A (ko) * | 2017-11-21 | 2019-05-29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2184A patent/KR1023821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384B1 (ko) | 2007-12-28 | 2013-04-15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신발류 및 바닥재 용품에 사용되는 충격패드 및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고 충전제 함량 pe 기재 가교 탄성중합체성 발포체 |
KR20150105146A (ko) * | 2014-03-07 | 2015-09-16 | 주식회사 태현 |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
JP2019056211A (ja) * | 2017-09-20 | 2019-04-11 |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 人工芝構造体 |
KR20190058253A (ko) * | 2017-11-21 | 2019-05-29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2290A (ko) | 2022-04-27 | 2023-11-03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
KR102717026B1 (ko) * | 2023-09-20 | 2024-10-15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완충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2126B1 (ko) |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9739053B2 (en) | Multi-tiered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 |
US5908673A (en) | Textile damping material and tee-off golfing mat and impact and water absorbing mat made thereof | |
KR102424160B1 (ko) |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 |
US20140311074A1 (en) |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 |
KR101481144B1 (ko) | 인조 잔디 섬유 및 적어도 이러한 인조 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 |
US3900656A (en) | Synthetic structure for covering a surface | |
EP3354794B1 (en) | A support layer for supporting an artificial turf assembly, and artificial turf system | |
US20140193593A1 (en) | Artificial turf | |
ES2720756T3 (es) | Estera para formar un césped artificial y proceso para producir tal estera | |
EP2076627B1 (en) | An artificial lawn, in particular for an artificial grass sports field | |
JP5909311B2 (ja) |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 |
KR20170030372A (ko) | 인조잔디 구조체 | |
KR102019094B1 (ko) |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 |
US20210301475A1 (en) | Polymeric foam material for shock pads in artificial grass systems | |
KR200451272Y1 (ko) |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 |
KR102427406B1 (ko) |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
KR102417615B1 (ko) | 인조잔디 구조체 | |
ES2638423T3 (es) | Esponja de limpieza a base de microfibras | |
EP4261348A1 (en) | Shock-absorbing layer as well as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 |
CN115003882B (zh) | 具有贮水性的自冷却人造草皮系统 | |
CN218779276U (zh) | 一种减震人造草坪 | |
KR102263446B1 (ko) | 수분함유율을 향상시킨 인조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EP3947818B1 (en) | Artificial turf and method for producing it | |
KR102375538B1 (ko) |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