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789B1 -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Google Patents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5789B1 KR102325789B1 KR1020187006465A KR20187006465A KR102325789B1 KR 102325789 B1 KR102325789 B1 KR 102325789B1 KR 1020187006465 A KR1020187006465 A KR 1020187006465A KR 20187006465 A KR20187006465 A KR 20187006465A KR 102325789 B1 KR102325789 B1 KR 102325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waist
- pants
- protection belt
- fab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바지(1)의 벨트 천(10)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허리부 보호 벨트(31, 310)와, 뒷길(3)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한 바지 본체(1a)를 구비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31, 310)의 대략 중앙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바지 본체(1a)의 허리부 배면의 벨트 천 부분에, 상기 바지 본체(1a)에 대한 높이 방향의 장착 위치를 조절 가능한 위치 조절부(7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허리부 보호 벨트가 바지의 벨트부에 장착되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작업 시에 착용하는 요통대(腰痛帶)로서는,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요통대는, 탄성 심재(芯材)로 이루어지고 골반을 둘러싸는 소정 띠 폭(10∼15 cm)의 요배부(腰背部) 및 복위부(腹位部)를 구비하고, 골반을 확실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요추의 감압, 요선추(腰仙椎) 결합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요통대 부착 바지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3은, 작업자가 요통대를 한 채 작업을 행할 때, 요통대가 바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통대를 바지와 접합시키고 있다. 또한, 바지와 요통대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바지를 벗지 않고 요통대의 위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요통대를 착용하여 작업할 때의 편리성을 개선하고 있다.
특허문헌 2, 3의 기술에 있어서는, 요통대와 바지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지 자체가 입위(立位) 자세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입위 시와 좌위(座位) 시에는, 인체에 대한 바지의 벨트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입위 자세로부터 좌위 자세 등으로 자세를 변경하면, 벨트에 장착된 요통대의 위치가 벗어나게 되어, 요통대를 올바른 장착 위치에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는, 착용자의 골반 주변을 덮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골반의 위치에는 개인차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마다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는, 바지 본체와, 상기 바지 본체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신축성 생지와, 상기 바지 본체의 벨트 천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를 구비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는, 바지의 벨트 천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허리부 보호 벨트와, 뒷길(back piece)의 허리부에 신축성 생지를 설치한 바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대략 중앙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바지 본체의 허리부 배면의 벨트 천 부분에, 상기 바지 본체에 대한 높이 방향의 장착 위치를 조절 가능한 위치 조절부가 설치되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바지의 허리부 배면에 신축성 생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자세를 변경해도 인체에 대한 바지의 벨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신축성 생지가 신장(伸長)하므로, 착용자가 자세를 변경해도 벨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의 위치가 벗어나게 되어, 허리부 보호 벨트를 올바른 장착 위치에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허리부 보호 벨트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설치했다. 이에 따라, 각 착용자의 체격의 개인차에 따라, 최적인 위치에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신축성 생지주변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앞길과 뒷길과 바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전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전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허리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허리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쭈그린 자세 또는 좌위(座位) 자세에서의 뒷길의 피부 연신량을 나타내는 첨부 자료 1이다.
도 21은 의복압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첨부 자료 2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의복압의 측정 개소(箇所)를 나타낸 첨부 자료 3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의복압의 측정 결과의 일부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첨부 자료 4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있어서, 허리부 보호 벨트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신축성 생지주변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앞길과 뒷길과 바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전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전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허리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허리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쭈그린 자세 또는 좌위(座位) 자세에서의 뒷길의 피부 연신량을 나타내는 첨부 자료 1이다.
도 21은 의복압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첨부 자료 2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의복압의 측정 개소(箇所)를 나타낸 첨부 자료 3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의복압의 측정 결과의 일부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첨부 자료 4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바지 본체(1a)와, 바지 본체(1a)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신축성 생지(15)와, 신축성 생지(15)를 덮는 덮개 천(16)과,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가진다. 바지 본체(1a)는, 앞길(2)의 가랑이 내측 둘레(2a)와 뒷길(3)의 가랑이 내측 둘레(3a)가 봉제되어 있고, 또한 앞길(2)의 가랑이 외측 둘레(2b)와 뒷길(3)의 가랑이 외측 둘레(3b)가 봉제되고, 앞길(2)의 상단(上端) 둘레(2d)와 뒷길(3)의 상단 둘레(3d)에 벨트 천(10)이 봉제되어 있다.
또한, 바지 본체(1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형의 벨트 천(10)을 절반으로 접고, 벨트 천(10)의 접은 끝둘레측(10a, 10a)에서 상기 앞길(2)의 상단 둘레(2d)와 뒷길(3)의 상단 둘레(3d)를 끼우고, 벨트 천(10)의 접은 끝둘레측(10a, 10a)과 상기 앞길(2) 및 뒷길(3)의 상단 둘레(2d, 3d)를 봉제하여, 환형(環形)의 벨트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앞길(2), 뒷길(3) 및 벨트 천(10)은, 포백(布帛) 등의 신축성을 거의 구비하지 않고 있는 생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바지 본체(1a)는, 좌우 한쌍의 앞길(2) 및 좌우 한쌍의 뒷길(3)에 더하여, 허벅지측의 바대부(5)를 꿰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바대부(5)는, 우측 다리 부분(6)의 옷자락으로부터 좌측 다리 부분(7)의 옷자락까지 연속하여 설치되고, 앞길(2)의 가랑이 내측 둘레(2a)와 뒷길(3)의 가랑이 내측 둘레(3a)의 사이에 봉제되어 있다 (도 7 등 참조).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바지(1)를 입은 착용자로부터 본 방향을 따라 좌우를 표시한다. 또한, 도 2, 5에 있어서, 지면(紙面) 우측은 전방측(F), 지면 좌측은 후방측(R)을 나타낸다.
여기서 바대부(5)는,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단된 1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진다. 바지 본체(1a)는, 상기 바대부(5)에, 재단된 앞길(2, 2)과 뒷길(3, 3)을 꿰매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즉, 바지 본체(1a)는, 좌우 각각의 바대부(5)의 전측 둘레(5a)와 앞길(2)의 가랑이 내측 둘레(2a)를 봉제하고, 바대부(5)의 후측 둘레(5b)와 뒷길(3)의 가랑이 내측 둘레(3a)를 봉제하고, 좌우의 앞길(2)의 가랑이 외측 둘레(2b)와 뒷길(3)의 가랑이 외측 둘레(3b)를 봉제하고, 또한 좌우의 앞길(2)의 동부(胴部)측 끝둘레(2c, 2c)끼리를 척(chuck)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꿰매고, 좌우의 뒷길(3)의 동부측 끝둘레(3c, 3c)끼리를 봉제하여 동부를 만드는 것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 본체(1a)에 바대부(5)를 설치한 경우, 바지 본체(1a)의 각부(脚部)의 가동 범위가 넓어지고, 착용자의 쭈그리는 동작 등이 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허리부 등에 쓸데 없는 부하가 걸리는 것을 더 한층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본체(1a)는, 환형의 벨트부(11)의 길이 방향(착용자의 몸통 둘레의 방향)의 일부, 예를 들면, 바지 본체(1a)의 착용자의 허리의 좌우의 측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탄성체(13)를 설치하여 신축 자재(自在)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13)는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지고, 통형(筒形)의 벨트 천(10)의 내측에 봉제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본체(1a)에는,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벨트 루프(21)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벨트 루프(21)는, 벨트부(11)의 외주에 봉제에 의해 장착되고, 벨트 루프(21)를 통과시킨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의해 바지 본체(1a)를 웨이스트에서 적절하게 죄는 것에 의해, 바지 본체(1a)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루프(21)에는, 일반적인 벨트를 통과시킬 수도 있다.
또한, 벨트 천(10)의 좌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좌측 복부 면파스너(25)가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벨트 천(10)의 우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우측 복부 면파스너(26)가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본체(1a)의 뒷길(3, 3)의 상부, 즉 바지 본체(1a)의 착용자의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의 상측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절결(스페이스)(1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지 본체(1a)의 뒷길(3, 3)의 벨트부(11)의 아래에, 가로 방향에 있어서 등뼈(선골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골부의 폭의 1.5배∼3배 정도의 길이(대략 30cm),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선골부의 길이의 1.0배∼1.5배 정도의 스페이스(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스(12)에는, 상기 한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생지(15)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둘레(15a)가, 환형의 벨트부(11)의 하부, 즉 벨트 천(10)의 접은 끝둘레측(10a, 10a)에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도 6 참조). 또한, 신축성 생지(15)는, 이 하단 둘레(15b) 및 좌우 양단 둘레(15c, 15d)가 뒷길(3, 3)에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성 생지(15)는, 어느 정도의 신축성과, 탄력성과 강도를 구비한 천, 예를 들면, 파워네트 생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파워네트 생지란, 스트레치성을 구비한 미세한 네트형의 편물이다. 나일론 등의 섬유와 폴리우레탄의 탄성 섬유를 서로 교편(交編)하여 생성되어 있고, 연신될 때의 킥백(kickback)성이 우수하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생지(15)가 파워네트 생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덮개 천(16)은, 폭 치수(가로 방향의 치수)가 신축성 생지(15)와 거의 같고, 상하 방향의 치수가 신축성 생지(15)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접은 주름(17)에 산 모양 접이 및 골 모양 접이로 180도 접혀서 주름형 혹은 벨로우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플리츠(pleat)로 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형이 되어 있는 덮개 천(16) 상하 방향의 치수는, 신축성 생지(15)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뒷길(3, 3)과 마찬가지로, 포백 등의 신축성을 거의 구비하지 않고 있는 생지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바지 본체(1a)의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신축성 생지(15)에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신축성 생지(15)와 함께, 이 상단 둘레(16a)가, 환형의 벨트부(11)의 하부, 즉 벨트 천(10)의 접은 끝둘레측(10a, 10a)에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신축성 생지(15)와 함께, 이 하단 둘레(16b) 및 좌우 양단 둘레(16c, 16d)가 뒷길(3, 3)에 봉제되어 있다.
또한, 덮개 천(16)은, 각각의 접은 주름(17) 중에서 위로부터 짝수개째의 골 모양으로 접은 측 접은 주름(17B, 17D)에 혹은 그 근방에서, 가로 방향의 전장(全長)에 걸쳐 연장된 솔기(18)에서 신축성 생지(15)에 일체적으로 봉합되어 있다. 또한, 덮개 천(16)의 제1 접은 주름(17A)의 근방과 제3 접은 주름(17C)의 근방에, 덮개 천(16)의 폭 전장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솔기(19)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 천(16)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로써, 접은 주름(17A, 17C)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 천(16)은, 플리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색깔이 빠지는 것이 적고, 솔기(18)가 가려져서 실오라기가 생기기 어렵다.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은,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과 상단 둘레(15a, 16a)와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과 하단 둘레(15b, 16b)가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면, 신축성 생지(15)가 탄성 변형하고, 덮개 천(16)의 접혀진 주름이 퍼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된다. 그리고, 덮개 천(16)은, 접혀진 주름이 퍼져서 접은 주름(17)이 소멸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지 않게 되므로, 덮개 천(16)과 일체가 되어 있는 신축성 생지(15)도 그 이상은 연신되지 않는다.
전술한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부 신축부(20)를 구성한다. 신축성 생지(15)는, 덮개 천(16)의 내측(바지 본체(1a)의 착용자의 허리측)에 설치되고, 덮개 천(16)과 중첩되어 있으므로, 바지 본체(1a)의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신축성 생지(15)가 밖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어, 바지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 천(16)이 주름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 천(16)이 접혀진 상태로부터 전개할 수 있고, 신축성 생지(15)의 신축의 폐해는 되지 않는다.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벨트 천(10)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의해, 요통의 예방과, 요통의 경감과, 요통 후의 허리의 보호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바지 본체(1a)와 일체가 되어 있으므로, 바지 본체(1a)가 부풀지 않고, 스마트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바지 본체(1a)가 찢어지기 어렵고, 움직임에 지장이 없는 등의 쾌적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바지는 착용자의 직립 자세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고, 전후의 앞길의 상하 치수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바지에 있어서는, 착용자가 좌위 자세나 쭈그린 자세를 취하고 허리부 후배부의 피부가 늘어나면, 바지 생지가 피부의 연신에 추종할 수 없어, 바지의 후배부(뒷길(3), 벨트부(11))가 흘러내린다(도 18, 19 참조). 그 결과, 벨트 천에 통상의 벨트나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설치한 경우, 착용자의 자세에 따라 벨트나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장착 위치도 함께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에 있어서는, 바지 본체(1a)에 신축성 생지(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0,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착용자가 쭈그리는 등에 의해 바지 본체(1a)가 하방으로 당겨져도, 신축성 생지(15) 및 덮개 천(16)이 적절하게 연신되는 것에 의해, 바지의 벨트부(11)가 하방으로 당겨지지 않게 된다. 환언하면,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장착 위치가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항상 착용자의 골반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허리부 보호 벨트(31)로서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생지(15)는, 자세 변화 시의 허리부의 피부 연신에 추종하므로, 높은 운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장착 시의 쾌적성을 해치지도 않게 된다.
또한, 신축성 생지(15)는, 상단 둘레(15a)가 벨트 천(10)에 봉제되고, 하단 둘레(15b)가 뒷길(3)에 봉제되어 바지 본체(1a)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허리부 보호 벨트(31)와 바지 본체(1a)의 사이에 신축성 생지(15)가 설치되는 형태가 되어, 장착의 쾌적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이 착용자의 허리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운동에 수반하여 신축성 생지(15) 및 덮개 천(16)이 적절하게 신축하므로, 착용자가 운동하기 쉽고,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어긋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신축성 생지(15)에서의 필링(pilling)이나 스낵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시간의 착용에 견디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명세서에 있어서 「허리부」란, 바지(1)의 착용자의 골반에서의 전방으로 돌출한 부위(일반적으로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으로 불리우는 부위)의 부근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요통의 발생 방지 효과를 가장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지(1)의 가랑이 아래 부분(벨트 천(10) 하단으로부터 가랑이부 상단에 있어서의 부위)을 대폭 얕게(예를 들면, 종래의 바지에 비해 5cm 정도 짧게) 형성함으로써, 바지 장착시에 벨트 천(10)이 자연스럽게 허리부의 위치에 오도록 하고 있다. 벨트 천(10)이 허리부에 위치함으로써, 벨트 천(10)에 장착되는 허리부 보호 벨트(31)도 허리부에 위치하여, 허리부 보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통상의 바지의 벨트 천 위치는 웨이스트와 골반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벨트 천에 허리부 보호 벨트를 설치해도, 요통 완화·요통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지(1)의 가랑이 윗부분을 얕게 하여, 벨트 천의 위치가 골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통상의 허리 벨트와 같이 장착한 경우에 골반 위치를 둘러 싸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요통 완화·요통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바지에서는, 가랑이 아래 부분을 얕게 형성하면, 좌위 자세나 쭈그린 자세 등을 취한 경우, 바지의 허리부가 더욱 하방으로 당겨진다. 그러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허리부에 허리부 신축부(20)(신축성 생지(15), 덮개 천(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의 위치가 허리부로부터 벗어나서 내려가지 않는다. 즉, 좌위 자세나 쭈그린 자세 등을 취했을 때, 도 10과 같이 허리부 신축부(20)가 적절하게 연신되므로,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허리부로부터 벗어나서 내려가지 않고 항상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허리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권취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만을 조을 수 있으므로, 안정된 요통의 발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부 신축부(20)(신축성 생지(15), 덮개 천(16))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통상의 바지의 경우, 착용자가 좌위 자세나 쭈그린 자세 등을 취하여 착용자의 허리부나 엉덩이부의 피부가 연신되었을 때, 피부의 연신에 바지를 추종할 수 없어, 바지의 후(後)벨트부(11b)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착용자의 허리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셔츠가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후벨트부(11b)가 하방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전(前)벨트부(11a)에 의해 착용자의 복부가 과도하게 압박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1)에 있어서는, 착용자가 좌위 자세나 쭈그린 자세 등을 취한 경우라도, 피부의 연신에 추종하여 신축성 생지(15)가 적절하게 연신된다. 이 때문에, 바지의 후벨트부(11b)가 아래로 흘러내려 착용자의 허리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벨트부(11)(보다 정확하게는, 전벨트부(11a))에 의한 착용자의 복부로의 압박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벨트를 착용한 경우라도, 벨트부(11)의 위치를 착용자의 골반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부에 과도한 복압(腹壓)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요통의 예방, 발생 방지, 요통 완화의 효과를 가진다.
더욱 설명을 하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착용자가 쭈그린 자세 등을 취하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허리부로부터 엉덩이부(위로부터 아래)로 향할수록, 피부가 연신되는 양이 많아진다(엉덩이부 상방보다 엉덩이부 하부(엉덩이 홈부)의 쪽이 피부의 연신율이 크다). 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허리부 신축부(20)의 상측(신축성 생지(15)의 상단 둘레(15a)와 덮개 천·신축성 생지 접합 부위(18A)의 사이)보다 하측(덮개 천·신축성 생지 접합 부위(18A)와 덮개 천·신축성 생지 접합 부위(18B)의 사이)에서 신축성 생지(15)가 크게 연신되도록 했다. 이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착용자가 쭈그린 자세 등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허리부나 엉덩이부의 위화감이나 복부의 압박감을 저감할 수 있고, 요통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착용자가 허리를 굴곡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부 등의 피부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서, 신축성 생지(15)가 피부의 연신에 따라 연신되어도, 주름형의 덮개 천(16)도 동일하게 연신되므로, 신축성 생지(15)가 노출하지 않고, 또한,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의 연신에 의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벨트부(11)의 후방측 후벨트부(11b)와 착용자의 허리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허리부가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허리부를 보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중에 상기 간극으로부터 바지(1) 내에 오물이나 파편, 불꽃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지(1)로부터 셔츠 등이 비어져 나와 볼품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계 등에 말려들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생지(15)를 구비함으로써, 땀으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가 착용자의 피부에 달라붙어도, 쭈그리는 동작이 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에 의해, 요통이 있는, 요통 예비군, 현재는 건강하더라도 그 작업이 직업성 요통증의 발증 원인이 되는 「중량물의 취급」, 「엉거주춤한 자세, 앞쪽으로 기울어진 자세 등의 불량 자세」, 「장시간의 구속 좌위 자세」 및 「전신 진동」 등을 행하는 작업자가,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착용한 채로 그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사에서의 사무 작업 등의 가벼운 작업(예를 들면, 데스크워크만을 하는 작업, 슈퍼마켓의 점원 작업, 가전양판 점원의 작업, 웨이터의 작업, 조리사의 작업, 파칭코(pachinko)점의 홀 스태프의 작업, 청소 업자의 작업 등) 시에, 종업원 등이 입고 작업을 하는 경작업용 바지(슬랙스(slacks), 트라우저스, 팬츠 소위 통상적인 바지)에 적합하다.
도 8,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벨트 천(10)의 허리부 배면에 설치된 착탈부(4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벨트 천(10)의 허리부 배면에 착탈부(40)를 설치한 경우,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바지 본체(1a)로부터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제거하여 세탁, 교환할 수 있다. 착탈부(40)는, 예를 들면, 수(雄) 잠금쇠(40a, 40a)와, 상기 수 잠금쇠(40a, 40a)를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암(雌) 잠금쇠(40b, 40b)로 이루어지는 스냅 버튼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허리부 보호 벨트(31)에는, 수 잠금쇠(40a, 40a) 및 암 잠금쇠(40b, 40b)의 한쪽(도 13에서는 수 잠금쇠(40a))가 설치되고, 벨트 천(10)의 허리부 배면에 수 잠금쇠(40a, 40a) 및 암 잠금쇠(40b, 40b)의 다른 쪽(도 12에서는 암 잠금쇠(40b))이 설치된다.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설치된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한쪽(수 잠금쇠(40a))을 상기 벨트 천(10)의 허리부 배면에 설치된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다른 쪽(암 잠금쇠(40b))에 걸어맞춤으로써,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상기 벨트 천(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벨트 천(10)에 봉제되어 장착되는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바지 본체(1a)의 외측에 장착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즉, 바지 중에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착용하고 있으면, 어긋날 때 바지(1)를 벗고 다시 올바로 입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있어서는, 바지 본체(1a)에 외측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필요할 때, 용이하게 죄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죈 상태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바지(1) 중에 없으므로, 착용 시의 위화감이 적어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도 12,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벨트 본체(32)가, 신축성을 가지는 주 벨트(33)와, 주 벨트(33)의 좌우로 봉제되어 장착된, 신축성을 가지는 대략 V자형의 좌측 보조 벨트(51) 및 우측 보조 벨트(61)를 가진다.
주 벨트(33)는, 폭이 약 5.5cm 정도이며 길이가 약 60cm 정도의 2개의 고무 띠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주 벨트(33)의 우단(右端)(34) 측에는, 우측 연결띠(45)가 봉제되어 장착되어 있다. 우측 연결띠(45)는, 비신축성의 천이 접혀서, 폭이 약 5.5cm 정도이며 길이가 약 27cm 정도로 형성되고, 주 벨트(33)의 우측단(34) 측을 끼워넣도록 하여, 봉제되어 있다. 우측 연결띠(45)의 내측(착용자측)에는, 우측 연결 면파스너(46)가 전체면에 봉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벨트(33)의 좌단(左端)(35) 측에는, 좌측 연결띠(41)가 봉제되어 장착되어 있다. 좌측 연결띠(41)는, 비신축성의 생지가 접혀서, 폭이 약 5.5cm 정도이며 길이가 약 15cm 정도로 형성되고, 주 벨트(33)의 좌단(35) 측을 끼워넣도록 하여, 봉제되어 있다. 좌측 연결띠(41)의 내측(착용자측)에는, 부분적(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좌측의 약 절반)에 좌측 접속 면파스너(42)가 봉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연결띠(41)의 외측(반착용자측)의 전체면에는, 좌측 연결 면파스너(43)가 봉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의해 허리부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골반 부분을 지지하는 것, 및 전(前)복부에 있어서 적절하게 복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동작을 가능한 한정하지 않고, 또한, 벨트부(11)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벨트(31)의 폭을 4.8∼11 cm의 범위로 설정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히 폭이 넓은 것이 요구될 것으로 여겨지는 요배부에 대해서는, 보조 벨트(51, 61)를 주 벨트(33)에 중첩하여 골반을 넓게 덮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있어서는, 지주재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주 벨트(33)의 단부끼리를 중첩하고, 파스너(좌측 접속 면파스너(42), 좌측 연결 면파스너(43), 우측 연결 면파스너(46))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허리부 보호에 중요한 요소인 복압의 유지를 실현하고 있다.
도 12, 13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하면,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좌측 연결띠(41), 주 벨트(33), 및 우측 연결띠(45)에 의해 주 띠(48)가 구성되며, 좌측 연결띠(41)의 좌측단으로부터 우측 연결띠(45)의 우측단까지의 길이가 약 1m 정도가 되어 있다. 이 주 띠(48)의 대략 중심은, 주 벨트(33)의 중심에 대하여 우측 연결띠(45) 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보조 벨트(51)는, 대략 V자형으로 접어지고, 접은 주름(52)이 주 벨트(33)의 좌측에 봉제되어 있다. 좌측 보조 벨트(51)는 주 벨트(33)와 대략 동일 폭을 가지므로, 접은 주름(52)은 주 벨트(33)의 상단(33c) 및 하단(33d)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또한, 좌측 보조 벨트(51)의 양단(53, 55)은, 주 띠(48)의 대략 중심까지 연신되고, 주 벨트(33)와 함께 연결 천(70)에 봉제되어 있다. 양단(53, 55)은, 대략 V자형으로 접어지고 있으므로, 주 벨트(33)의 상단(33c) 및 하단(33d)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연결 천(70)은, 예를 들면, 폭이 약 2.5cm의 비신축성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우측 보조 벨트(61)는, 대략 V자형으로 접어지고, 접은 주름(62)이 주 벨트(33)의 우측(더욱 상세하게는, 우단(35))에 봉제되어 있다. 우측 보조 벨트(61)는 주 벨트(33)와 대략 동일 폭을 가지므로, 접은 주름(62)은 주 벨트(33)의 상단(33c) 및 하단(33d)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또한, 우측 보조 벨트의 양단(63, 65)은, 주 띠(48)의 대략 중심까지 연신되고, 주 벨트(33) 모두에 연결 천(70)에 봉제되어 있다. 양단(63, 65)은, 대략 V자형으로 접어지고 있으므로, 주 벨트(33)의 상단(33c) 및 하단(33d)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허리부 보호 벨트에서는, 등부는 띠의 중앙이 가장 폭이 넓게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골반 전체를 감싸는 형상이 되어 있다. 또한, 인체의 요배부는 근육량이 많고, 골성 지지가 강고하므로 압박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탄성 심재나 지지 부재 등의 경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배근(背筋)의 지지나 배주(背柱)를 안정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V자형의 좌우측 보조 벨트(51, 61)에 의해, 띠의 중앙이 가장 폭이 넓게 되는 형상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연결체(41, 45)를 설치하고, 두껍게 경성의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배근의 지지나 배주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이 상기 벨트 천(10)의 허리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된다. 또한, 이 때, 길이 방향의 좌우 양단 부위가 중첩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중첩 중합면에 각각 좌측 연결 면파스너(43)와 우측 연결 면파스너(46)가 설치되어 있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좌단측의 좌측 연결 면파스너(43)에 우단측의 우측 연결 면파스너(46)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여 허리부를 보호한다. 그리고, 좌측 연결 면파스너(43)는, 좌측 접속 면파스너(42)의 이면(裏面)(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 등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통상의 바지와 동일하게 입고,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연결띠(41) 및 우측 연결띠(45)를 벨트 루프(21)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주 벨트(33), 좌측 보조 벨트(51)를 탄성에 저항하여 신장시켜 좌측 연결띠(41)를 끌어내고, 좌측 연결띠(41)에 설치한 좌측 접속 면파스너(42)를, 벨트부(11)의 좌측 복부 면파스너(25) 및/또는 우측 복부 면파스너(2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한다. 이로써, 바지 본체(1a)(벨트부(11))에 대하여,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위치 결정(가체결)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주 벨트(33), 우측 보조 벨트(61)를 탄성에 저항하여 신장시켜 우측 연결띠(45)를 끌어내고, 우측 연결띠(45)에 설치한 우측 연결 면파스너(46)를 좌측 연결띠(41)에 설치한 좌측 연결 면파스너(43)에 중첩하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복부 전체 주위에 압박하도록 하여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연결 면파스너(43)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측 연결 면파스너(45)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주 벨트(33), 좌우측 보조 벨트(51, 61)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허리부 보호 벨트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배측(腹側)에 있어서, 보호 벨트의 단부를 중첩하여 면 파스너 등으로 고정하고 있어, 복부 전체 주위를 죄고 있다. 허리부 보호 벨트가 중첩하지 않고 있는 구성에서는 복압을 균일하게 가할 수 없어, 요통 완화·요통 예방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1개의 허리부 보호 벨트의 단부를 중첩하여 복부 전체 주위를 죄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허리부 보호 벨트에 있어서는, 보호 벨트 본체의 외측에 보조 벨트를 설치한 것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즉, 보호 벨트 본체를 죈 후, 보조 벨트로 다시 강하게 죄는 것에 의해, 골반의 안정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바지(1)의 벨트부(11)의 복부 면파스너(25, 26)와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좌측 접속 면파스너(42)에 의해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가 체결(위치 결정)한 후,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단부(즉, 좌우의 연결 면파스너(43), 46)끼리를 중첩시켜 연결함으로써, 본 체결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로써, 바지(1)의 벨트부(11)와 허리부 보호 벨트(31)에 의해 골반을 강하게 죌 수 있어, 상기 다른 허리부 보호 벨트 및 보조 벨트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는, 연결 천(70) 부근이 허리부와 맞닿아 허리부를 보호하지만, 연결 천(70)에 주 벨트(33)를 중심으로 한 상하의 위치에서 보조 벨트(51, 61)의 양단(53, 55, 63, 65)이 봉제되고, 주 벨트(33)와 2개의 보조 벨트(51, 61)의 3개가 전개된 형으로 폭이 넓어지고 있어, 허리부를 주 벨트(33)만으로 국부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아닌, 주 벨트(33)와 2개의 보조 벨트(51, 61)로 허리부를 전체적으로 서포트한다. 따라서, 요통을 완화하는 효과와 허리의 보호 효과를 높이고, 착용자에게 더 한층의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31)와,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바지 본체(1a)로 이루어지므로, 바지 본체(1a)를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형상에 맞추어 디자인할 수 있어, 외관을 단정하게 하여, 인상 깊은 외관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13에 있어서, 주 벨트(33)를 내측(이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측), 좌우의 보조 벨트(51, 61)를 외측(이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 벨트(33)를 외측, 좌우의 보조 벨트(51, 61)를 내측에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 벨트의 외측 표면에 자수나 로고 등의 장식을 실시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착용자가 기호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리버시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9,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본체(1a)에는, 좌우의 엉덩이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1쌍의 뒷포켓(22, 23)이 설치되어 있다. 뒷포켓(22, 23)은, 예를 들면, 아름다운 테두리 포켓이 되어 있고,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의 좌우단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15의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은, 바지 본체(1a)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단(15c, 16c)의 위치가 좌측의 뒷포켓(22)의 중심에 대략 일치하고, 우측단(15d, 16d)의 위치가 우측의 뒷포켓(23)의 중심에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경작업용 바지는 인간의 웨이스트보다 아래에 그 상단(웨이스트부)이 있고, 뒷포켓(22, 23)은 그보다 더 아래의 미들 힙보다 다소 아래에 개구부가 설치된다. 이 위치에서의 힙 주위 길이는 웨이스트의 주위 길이보다 약 25% 정도 폭이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신축성 생지(15) 및 덮개 천(16)은, 양단이 포켓(22, 23)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으면, 도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적 좁은 것이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첨부 자료 1은, 신축성 생지(15)와 덮개 천(16)의 좌우 양단의 위치가 좌우의 뒷포켓(22, 23)의 중심에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행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의 피험자는, 신장 169cm, 웨이스트 80cm이며, L 사이즈(웨이스트 80∼85 cm용)의 바지를 입고 있으며, 그 포켓 중심 사이의 간격은 27.3cm이다. 도 20에 있어서, 직선은 피험자가 쭈그린 자세를 취한 경우의 결과를, 파선은 피험자가 좌위 자세를 취한 경우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직립 자세로부터, 쭈그린 자세 또는 좌위 자세로 자세를 변경했을 때의, 허리부 뒷길의 피부 연신량을 측정한 것이다. 도 20에 있어서, 중심이 등뼈의 위치(뒷길 중심)에 상당하고, 가로축의 수치는, 등뼈 위치로부터 측정 위치까지의 좌우측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그 위치에서의 피부 연신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좌우 뒷포켓(22, 23)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27.3cm이므로, 좌우 뒷포켓(22, 23)의 중심 위치는 뒷길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약 13.7cm 떨어진 점에 위치한다.
동 도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쭈그린 자세를 취했을 때, 뒷길 중심에서는, 1.7cm의 피부 연신이 생기지만, 중심으로부터 8.1c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연신은 약 절반이 되고, 13.5cm 정도 떨어진 부위에서는 연신은 0(제로)가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좌위 자세를 취했을 때 중심에서는, 1.2cm의 피부 연신이 생기지만, 중심으로부터 8.1c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연신은 약 절반이 되고, 13.5c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는 연신은 0가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환언하면, 본 실험 결과로부터, 중심으로부터 13.5c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축성 생지(15)의 길이를, 좌우 뒷포켓(22, 23)의 중심 사이의 간격 27.3cm에 대략 일치시키면, 신축성 생지(15)의 끝은 뒷길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약 13.7cm 떨어진 점에 위치한다. 그 결과, 피부 연신이 생기는 범위에는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하고, 생기지 않는 부분에는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굴곡 자세 시의 피부 연신에 따른 생지의 인장을 최소한의 신축성 생지(15)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쓸데없는 신축성 생지(15)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뒷포켓(22, 23)의 배치는 바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바, 상기 실험에 의하여, 피부 연신량이 제로가 되는 지점이 바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략 뒷포켓(22, 23)의 중심에 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신축성 생지(15)의 길이를 좌우 뒷포켓(22, 23)의 중심 사이의 간격으로 함으로써, 최소의 길이(폭)의 신축성 생지(15)로, 좌위 자세 등에서의 후벨트부(11b)의 인장 및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벨트부(11a)에서의 복부 압박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1(첨부 자료 2)은, 바지 본체(1a)를 입었을 때의 착용자의 복부나 허리부에서의 의복압의 측정 결과 등을 나타낸다. 의복압의 측정은, 착용자가 바지 본체(1a) 혹은 종래의 바지를 입고, 벨트부(11)의 외주의 벨트 루프(21)에 벨트를 통하여 벨트를 설치하고, 벨트로 바지 본체(1a)가 낙하하지 않도록 웨이스트를 적절하게 죈 상태에서, 벨트부(11)와 벨트의 사이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행하였다.
압력 센서의 설치 위치는, 도 22(첨부 자료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견갑골직하부(左肩胛骨直下部)(P1), 좌액직하부(左腋直下部)(P2), 좌유두직하부(左乳頭直下部)(P3), 정중선부(正中線部)(P4), 우유두직하부(右乳頭直下部)(P5), 우액직하부(右腋直下部)(P6), 우견갑골직하부(右肩胛骨直下部)(P7)의 7개소로 했다. 착용자는, 직립 자세(기립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 좌위 자세를 취하고, 각각 압력 센서로 벨트와 벨트부(11)의 사이의 압력을 측정했다. 그리고, 바지 본체(1a)에서의 직립 자세에서의 압력의 측정은 생략하고 있다.
착용자(피험자)는, A, B의 2명이다. 피험자 A는, 신장 172cm, 체중 78kg, 웨이스트 88cm의 체격의 남성이다. 피험자 B는, 신장 169cm, 체중 72.5kg, 웨이스트 90cm의 체격의 남성이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낸 값(단위는 kPa)은, 평균값이다. 이 평균값은, 10초간의 측정 시간에서의 평균값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초간에 1초마다 11회 측정한 압력의 평균값이다.
도 21의 (I)는, 피험자 A가 종래의 보통의 팬츠를 입고, 직립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의, 압력의 측정 결과(7개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II)는, 피험자 A가 바지 본체(1a)를 입고,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의, 압력의 측정 결과(7개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III)은, 피험자 B가 종래의 보통 팬츠를 입고, 직립 자세,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의, 압력의 측정 결과(7개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IV)는, 피험자 B가 바지 본체(1a)를 입고,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의, 압력의 측정 결과(7개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직립 자세에 비해, 무릎을 세운 자세,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의 쪽이, 압력 센서의 검출한 압력(의복압)이 커지고 있다. 또한, 피험자 A, B의 개인차는 있지만, 통상의 팬츠 의복압과 바지 본체(1a)의 의복압을 비교하면, 특히 무릎을 세운 자세를 취했을 때, 착용자의 전면(前面)(배측)에 걸리는 의복압이, 바지 본체(1a)에서 저감되고 있다. 그리고,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했을 때에 있어서도, 무릎을 세운 자세 정도는 아니지만, 착용자의 전면(배측)에 걸리는 의복압이, 바지 본체(1a)에서 저감되고 있다.
또한, 의복압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3.92kPa가 허용 한계로 되어 있지만, 바지 본체(1a)에서는, 최대의 값이 2.83kPa이며, 어느 쪽의 의복압도 상기 허용값을 밑돌고 있다. 이로써, 바지 본체(1a)에서는, 착용자의, 요통의 발생 방지 등의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혈압의 상승, 맥박의 상승, 발한 등의 생리 현상, 권태감, 두통, 구토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첨부 자료 4는, 도 21의 (III) (IV)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점 P3, P4, P5는, 좌유두직하, 정중선부, 우유두직하를 나타내고, 그 막대 그래프는 각 점에서의 피복압을 나타낸다. 이 점 P3, P4, P5는 피험자의 몸에 있어서, 뒷길에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한 위치의 정면측에 위치하는 점이다.
이들 점의 의복압은,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하면 직립 자세의 경우보다, 상승하지만, 그 상승 정도는,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생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보다 작아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점 P1, P7은 좌견갑골직하, 우견갑골직하를 나타내고, 이들 점 P1, P7은, 피험자의 몸에 있어서, 뒷길에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한 위치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점이다.
이들 점의 의복압은, 의자에 앉은 자세를 취하면 직립 자세의 경우보다, 감소하지만, 그 감소 정도는 신축성 생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생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보다 작아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바지 본체(1a)는, 통상적인 바지에 비해, 의자에 앉은 자세에 있어서, 신체의 정면측의 의복압이 증대하지 않고(즉, 복부를 압박하지 않고), 또한 신체의 배면측 의복압이 감소하지 않는(즉, 인장 및 흘러내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경작업용 바지(통상적인 바지)에 있어서, 쭈그린 자세를 취했을 때 등에, 벨트부(11) 등의 바지의 후방측 후벨트부(11b)와 착용자의 허리부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바지의 전방측 후벨트부(11a)에서의 복부 압박을 저감할 수 있도록, 뒷길의 피부가 연신되는 위치에 허리부 신축부(20)가 설치되어, 피부의 연신에 바지(신축부)를 추종시키도록 하고 있다.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좌위 자세 등에서의 후벨트부(11b)의 인장 등을 방지하고, 전 벨트부(11a)에서의 복부 압박을 회피하기 위하여, 허리부 신축부(20)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이지만, 피부 연신이 생기는 허리부의 필요한 부분에만 허리부 신축부(2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최소한의 가로 폭으로 되어 있고, 경작업용 바지로서의 본래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쭈그린 자세, 좌위 자세 등을 취한 경우, 허리부의 등뼈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피부 연신은 0이 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 거리 상(도 20에 있어서 13.5cm 이상) 떨어진 장소에서는, 피부 자신이 축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소에 신축성 생지(15)를 설치하면, 쭈그린 자세 등에 있어서 바지가 불필요하게 부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부풀어지면, 생지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돌기물 등에 걸리는 위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신축성 생지(15)의 폭을 포켓(22, 23)의 중심 사이의 폭과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바지 본체(1a)와, 상기 바지 본체(1a)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신축성 생지(15)와, 상기 바지 본체의 벨트 천(10)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31)를 구비한다.
실시예 1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착용자가 쭈그리거나 의자에 앉거나 해도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장착 위치를 적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즉, 착용자가 쭈그리는 등을 행하여 바지 본체(1a)가 하방으로 당겨져도, 신축성 생지(15)가 적절하게 연신되는 것에 의해, 바지의 벨트부(11)(벨트 천(10)) 및 상기 벨트부(11)에 장착된 허리부 보호 벨트(31)가 하방으로 당겨지지 않는다. 또한, 바지의 벨트부(11)가 하방으로 당겨지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복부가 과도하게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0)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310)는, 보호 벨트 본체(32)의 대략 중앙(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천(70))에, 바지 본체(1a)에 대한 높이 방향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위치 조절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장착 위치 조절부(71)를 통하여 허리부 보호 벨트(310)를 바지 본체(1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 개인의 체형에 따라, 허리부 보호 벨트(310)를 적정한 위치에서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위치 조절부(71)는,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한쪽(도 16에 있어서는, 수 잠금쇠(73a, 73b, 73c))을, 보호 벨트 본체(3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2개(도 16에 있어서는 3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장착 위치 조절부(71)의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한쪽과 걸어맞추어지는, 암 잠금쇠(40b) 및 수 잠금쇠(40a)의 다른 쪽(도 8, 15에 있어서는, 암 잠금쇠(40b))을 적어도 1개(도 8, 15에 있어서는 2개)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호 벨트 본체(32)에 서치한 잠금쇠(수 잠금쇠(73a, 73b, 73c))와, 바지 본체(1a)에 설치한 잠금쇠(암 잠금쇠(40b, 40b))에 의해 장착 위치 조절부(71)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바지 본체(1a)에 설치된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다른 쪽(암 잠금쇠40b))과 걸어맞추어지는, 보호 벨트 본체(32)에 설치된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한쪽(수 잠금쇠(73a, 73b, 73c))을 변경함으로써, 바지 본체(1a)에 대한 보호 벨트 본체(32)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과 도 17의 대비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벨트 본체(32)의 수 잠금쇠(73b, 73c)와 바지 본체(1a)의 암 잠금쇠(40b, 40b)를 걸어맞춤시키면, 보호 벨트 본체(32)는,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한다(도 3 참조). 한편, 보호 벨트 본체(32)의 수 잠금쇠(73a, 73b)와 바지 본체(1a)의 암 잠금쇠(40b, 40b)를 걸어맞춤시키면 보호 벨트 본체(32)는,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한다(도 17 참조).
이상과 같이,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에 있어서는, 장착 위치 조절부(71)에 의해, 허리부 보호 벨트(310)의 장착 위치를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즉, 바지(1) 자체는, 겨드랑이부에 설치한 탄성체(13)에 의해 약간의 웨이스트 사이즈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지만, 가랑이 상의 길이에 대해서는, 착용자의 체형의 차이에 대응할 수 없다. 그러나, 본원의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허리부 보호 벨트(310)의 장착 위치를, 상이한 체형의 착용자의 골반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허리부 보호 벨트 본체(32)에 설치된 수 잠금쇠(73a, 73b, 73c)는, 상하 방향(허리부 보호 벨트 본체(3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소정 등(等)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 잠금쇠(73a, 73b, 73c)와 걸어맞추어지는,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에 설치된 암 잠금쇠(40b, 40b)도,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장착 위치 조절부(71)는 테이프 스냅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장착 위치 조절부(71)를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바지(1)의 장착 시,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바지 본체(1a)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또한 장착 위치의 조절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허리부 보호 벨트(31)의 장착 시에는, 걸어맞추어져 있는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에 대하여, 좌우의 보호 밴드(55, 59)로부터 각각 대략 균등하게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수 잠금쇠와 암 잠금쇠의 걸어맞춤이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수 잠금쇠(73a, 73b, 73c) 및 암 잠금쇠(40b, 40b)의 한쪽을, 보호 벨트 본체(3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1개 설치하고, 수 잠금쇠 및 암 잠금쇠의 다른 쪽을, 바지 본체(1a)의 벨트 천(10)에 적어도 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수 잠금쇠(73a, 73b, 73c)를 허리부 보호 벨트(310)에 설치하고, 암 잠금쇠(40b, 40b)를 바지 본체(1a)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수 잠금쇠(73a, 73b, 73c)를 바지 본체(1a)에 설치하고, 암 잠금쇠(40b, 40b)를 허리부 보호 벨트(310)에 설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장착 위치 조절부(71)의 구성은,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장착 위치 조절부(71)는 면 파스너라도 되고, 래칫 구조의 잠금쇠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실시예 2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1)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실시예 1에 있어서 상술한 기능, 효과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타당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타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는 상기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 벨트 등의 사이즈를 구체적으로 나타냈으나,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및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의 사이즈는 이들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측 보조 벨트(51) 및 우측 보조 벨트(61)를, 각각 신축성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천을 접는 것에 의해 대략 V자형을 형성하였으나, 좌측 보조 벨트(51) 및 우측 보조 벨트(61)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좌측 보조 벨트(51) 및 우측 보조 벨트(61) 자체를, 각각 신축성을 가지는 대략 V자형으로 잘라내어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장착 위치 조절부(71)의 잠금쇠를 3개 설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잠금쇠의 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착 위치의 조절 정밀도에 따라 잠금쇠의 수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를 실시예 1, 2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과 관련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0월 27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2015-211314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개시는 완전히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1: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1a: 바지 본체, 2: 앞길, 3: 뒷길, 15: 신축성 생지, 16: 덮개 천, 20: 허리부 신축부, 31: 허리부 보호 벨트, 33: 주 벨트, 40: 착탈부, 40a: 수 잠금쇠, 40b: 암 잠금쇠, 41: 좌측 연결체, 42: 좌측 접속 면파스너, 43: 좌측 연결 면파스너, 45: 우측 연결체, 46: 우측 연결 면파스너, 51: 우측 보조 벨트, 61: 좌측 보조 벨트, 70: 연결 천, 71: 장착 위치 조절부, 73a∼73c: 수 잠금쇠
Claims (9)
- 바지의 벨트 천(belt cloth)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허리부(腰部) 보호 벨트;
뒷길(back piece);
바지 본체; 및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중앙과,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바지 본체의 허리부 배면(背面)의 벨트 천 부분에 설치된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바지 본체에 대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상하 방향의 장착 위치를, 착용자의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 부근으로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가 상전장골극을 덮는 위치로 조절 가능하며,
상기 바지 본체는, 상기 바지의 뒷길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신축성 생지(stretchable cloth)를 가지고,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상기 바지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 본체는, 상기 벨트 천의 좌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된 좌측 복부 면파스너와, 상기 벨트 천의 우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된 우측 복부 면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상기 벨트 천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 좌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좌측 복부 면파스너 및 상기 우측 복부 면파스너 중 어느 한쪽과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좌측 접속 면파스너를 포함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 본체는, 상기 벨트 천의 좌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된 좌측 복부 면파스너와, 상기 벨트 천의 우측 복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된 우측 복부 면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상기 벨트 천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복부 면파스너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좌측 접속 면파스너와, 상기 길이 방향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측 복부 면파스너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우측 접속 면파스너를 포함하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부재를 가지고,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상기 벨트 천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길이 방향의 좌우 양단(兩端) 부위가 중첩하는 길이를 가지고, 또한 상기 중첩하는 길이의 부위에 각각 좌측 연결 면파스너 및 우측 연결 면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 면파스너와 상기 우측 연결 면파스너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수(雄) 잠금쇠와 암(雌) 잠금쇠를 포함하고,
상기 수 잠금쇠 및 상기 암 잠금쇠 중 한쪽은,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중앙이며,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 잠금쇠 및 상기 암 잠금쇠 중 다른 쪽은, 상기 바지 본체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수 잠금쇠와 암 잠금쇠를 포함하고,
상기 수 잠금쇠 및 상기 암 잠금쇠 중 한쪽은,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의 중앙에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 잠금쇠 및 상기 암 잠금쇠 중 다른 쪽은, 상기 바지 본체의 허리부에 상당하는 위치로서, 상하 방향에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 보호 벨트는 보호 벨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벨트 본체는,
신축성을 가지는 주(主) 벨트;
상기 주 벨트의 좌우에 각각 봉제(縫製)되어 장착된, 신축성을 가지는 V자형의 좌측 보조 벨트; 및
상기 주 벨트의 좌우에 각각 봉제되어 장착된, 신축성을 가지는 V자형의 우측 보조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보조 벨트는, 정상부(頂部)가 상기 주 벨트의 좌측에서 봉제되고, 양단이 상기 주 벨트의 중앙측에서 연결 천을 통하여 봉제되어 있고,
상기 우측 보조 벨트는, 정상부가 상기 주 벨트의 우측에서 봉제되고, 양단이 상기 주 벨트의 중앙측에서 상기 연결 천을 통하여 봉제되어 있고,
상기 연결 천에는, 상기 위치 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생지는, 사용 시에 있어서, 등뼈를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는,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11314 | 2015-10-27 | ||
JPJP-P-2015-211314 | 2015-10-27 | ||
PCT/JP2016/066714 WO2017073105A1 (ja) | 2015-10-27 | 2016-06-06 | 腰部保護ベルト付ズボ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478A KR20180075478A (ko) | 2018-07-04 |
KR102325789B1 true KR102325789B1 (ko) | 2021-11-12 |
Family
ID=5863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6465A KR102325789B1 (ko) | 2015-10-27 | 2016-06-06 |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1096433B2 (ko) |
EP (1) | EP3369404B1 (ko) |
JP (2) | JP6532955B2 (ko) |
KR (1) | KR102325789B1 (ko) |
CN (1) | CN108024865B (ko) |
AU (1) | AU2016345783B2 (ko) |
BR (1) | BR112018004838B1 (ko) |
CA (1) | CA2999406C (ko) |
MX (1) | MX2018003111A (ko) |
MY (1) | MY191485A (ko) |
RU (1) | RU2699348C1 (ko) |
WO (1) | WO20170731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96469S1 (en) * | 2018-05-08 | 2020-09-22 | Nike, Inc. | Garment |
KR102030325B1 (ko) * | 2019-01-25 | 2019-10-10 | 천우홍 | 신축성 허리벨트가 구비된 의류 및 그 제조방법 |
US20230122354A1 (en) * | 2019-05-29 | 2023-04-20 | Charles R. Sherts | Reduced fabric outdoor protective garment-like device |
WO2022030703A1 (ko) * | 2020-08-07 | 2022-02-10 | 밸류앤드트러스트(주) | 의복 일체형 허리 보호대 |
KR102372533B1 (ko) * | 2021-09-23 | 2022-03-08 | 안중민 | 허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바지 |
JP7451067B2 (ja) | 2021-11-26 | 2024-03-18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ズボン |
CN114259100B (zh) * | 2022-01-07 | 2023-10-27 | 湖南工程学院 | 一种裤子版型套尺 |
US20240122271A1 (en) * | 2022-10-12 | 2024-04-18 |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 Garment waistband system and method |
KR102562357B1 (ko) * | 2023-05-30 | 2023-08-01 | 정민경 | 전술벨트 장착이 용이한 프리벨트 군용바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33292A (ja) * | 2011-04-22 | 2012-11-29 | Midori Anzen Co Ltd | ズボン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57519U (ko) | 1986-03-28 | 1987-10-06 | ||
US4890337A (en) * | 1988-12-27 | 1990-01-02 | Bert Greenberg | Pants-like garment incorporating a stretchable construction |
US5334134A (en) * | 1991-06-21 | 1994-08-02 | The Saunders Group | Lumbosacral back support releasably secured to a stabilizing belt |
JPH066812Y2 (ja) | 1991-07-17 | 1994-02-23 | 博 宇土 | 腰椎装具 |
GB9120452D0 (en) * | 1991-09-25 | 1991-11-06 | Vesty Uk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belts |
US5188586A (en) * | 1991-10-04 | 1993-02-23 | The Smith Truss Company | Back support belt |
US5257419A (en) * | 1992-05-14 | 1993-11-02 | American Powersports Products, Inc. | Abdominal support belt |
JP3597228B2 (ja) * | 1994-09-28 | 2004-12-02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腰痛保護帯 |
JP3030834U (ja) | 1996-05-02 | 1996-11-12 | モリト株式会社 | スポーツウェア |
JP3341204B2 (ja) * | 1996-07-31 | 2002-11-05 | モリト株式会社 | 腰用保護具付きスポーツ用衣服 |
JP3052914U (ja) * | 1998-04-03 | 1998-10-13 | ハワード株式会社 | ウエスト部にコルセット部を設けた衣服 |
US6108819A (en) * | 1998-06-24 | 2000-08-29 | Debaene; David | Pants with detachable back support |
US6311333B1 (en) * | 1999-08-05 | 2001-11-06 | Union Underwear Company, Inc. | Invisible stretch garment |
JP3783110B2 (ja) * | 1999-12-28 | 2006-06-07 | 株式会社デサント | インナーパンツ |
JP3630224B2 (ja) * | 1999-12-29 | 2005-03-16 | 公司 高山 | 腰裏構造 |
KR100481664B1 (ko) * | 2004-03-19 | 2005-04-08 | 덕용 전 낸시 | 기능성 의류 |
JP4491302B2 (ja) * | 2004-08-27 | 2010-06-30 | レカロ株式会社 | 腰部保護ベルトを取り付けた衣服 |
JP2008081864A (ja) * | 2006-09-26 | 2008-04-10 | Toshitsugu Matsuda | 腰部保護ズボン |
JP2009114553A (ja) * | 2007-11-01 | 2009-05-28 | Atsushi Matsubara | 携帯電話機保持部を備えた衣類 |
US7882574B2 (en) * | 2008-03-25 | 2011-02-08 | James Arsenault | Back support garment apparatus |
CA2770911C (en) | 2009-08-13 | 2017-01-17 | James Arsenault | Back support garment apparatus |
USD626244S1 (en) * | 2009-12-01 | 2010-10-26 | Electrostim Medical Services, Inc. | Back wrap for maintaining electrodes adjacent body for physical therapy |
JP5433898B2 (ja) * | 2009-12-25 | 2014-03-05 | アルケア株式会社 | 腰痛帯 |
CN201742955U (zh) * | 2010-06-26 | 2011-02-16 | 际华三五一二皮革服装有限公司 | 防寒民用皮裤 |
JP3172676U (ja) * | 2011-10-17 | 2012-01-05 | 美香 岡 | 体形補整機能を備えたボトムス |
CN202536149U (zh) * | 2012-01-18 | 2012-11-21 | 朱凌俊 | 护腰 |
JP2014113434A (ja) * | 2012-12-10 | 2014-06-26 | Tomomi Kobo:Kk | 骨盤ベルト付き下着 |
JP7158823B2 (ja) * | 2014-10-15 | 2022-10-24 | 東レ株式会社 | 下衣 |
CN204466971U (zh) * | 2015-02-04 | 2015-07-15 | 新乡学院 | 一种多功能女式裤子 |
JP3199495U (ja) * | 2015-06-15 | 2015-08-27 | 株式会社ヤマワ | ズボン |
-
2016
- 2016-06-06 MY MYPI2018701142A patent/MY191485A/en unknown
- 2016-06-06 JP JP2017547640A patent/JP6532955B2/ja active Active
- 2016-06-06 BR BR112018004838-0A patent/BR112018004838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06 AU AU2016345783A patent/AU2016345783B2/en active Active
- 2016-06-06 WO PCT/JP2016/066714 patent/WO201707310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6-06 RU RU2018108588A patent/RU2699348C1/ru active
- 2016-06-06 CN CN201680051909.7A patent/CN108024865B/zh active Active
- 2016-06-06 EP EP16859342.4A patent/EP3369404B1/en active Active
- 2016-06-06 MX MX2018003111A patent/MX2018003111A/es unknown
- 2016-06-06 KR KR1020187006465A patent/KR102325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06 CA CA2999406A patent/CA2999406C/en active Active
- 2016-06-06 US US15/770,335 patent/US11096433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1-07 JP JP2019000822A patent/JP6796152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33292A (ja) * | 2011-04-22 | 2012-11-29 | Midori Anzen Co Ltd | ズボ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8004838A2 (pt) | 2019-04-30 |
AU2016345783A1 (en) | 2018-04-12 |
WO2017073105A1 (ja) | 2017-05-04 |
CN108024865A (zh) | 2018-05-11 |
RU2699348C1 (ru) | 2019-09-04 |
EP3369404A1 (en) | 2018-09-05 |
KR20180075478A (ko) | 2018-07-04 |
JP6796152B2 (ja) | 2020-12-02 |
JPWO2017073105A1 (ja) | 2018-05-24 |
AU2016345783B2 (en) | 2020-11-26 |
US20180310646A1 (en) | 2018-11-01 |
CN108024865B (zh) | 2021-08-06 |
EP3369404B1 (en) | 2021-05-19 |
CA2999406C (en) | 2021-08-10 |
CA2999406A1 (en) | 2017-05-04 |
JP2019049094A (ja) | 2019-03-28 |
EP3369404A4 (en) | 2020-03-18 |
JP6532955B2 (ja) | 2019-06-19 |
MY191485A (en) | 2022-06-28 |
US11096433B2 (en) | 2021-08-24 |
BR112018004838B1 (pt) | 2022-07-05 |
MX2018003111A (es) | 2018-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5789B1 (ko) |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 |
US20100050313A1 (en) | Posture improving device | |
JP6445656B2 (ja) | ズボン | |
JP4000254B2 (ja) | 腰部負担軽減具 | |
JP2017202139A (ja) | 子守帯 | |
KR200485256Y1 (ko) |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 |
JP7451067B2 (ja) | ズボン | |
KR20160035495A (ko) | 아기띠 | |
JP6562824B2 (ja) | 腰痛保護帯付きズボン | |
JP4491302B2 (ja) | 腰部保護ベルトを取り付けた衣服 | |
JP6352335B2 (ja) | 骨盤帯付きズボン | |
EP4437891A1 (en) | Trousers | |
JP2020127701A (ja) | 姿勢矯正具及びその使用法 | |
US20030212355A1 (en) | Multi-purpose back brace | |
KR200273034Y1 (ko) | 허리단 조절이 용이한 바지 | |
JP3113365U (ja) | 健康ガードル | |
JP2008106395A (ja) | ヒップ用パッ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