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8443B1 -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 Google Patents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43B1
KR102288443B1 KR1020200045322A KR20200045322A KR102288443B1 KR 102288443 B1 KR102288443 B1 KR 102288443B1 KR 1020200045322 A KR1020200045322 A KR 1020200045322A KR 20200045322 A KR20200045322 A KR 20200045322A KR 102288443 B1 KR102288443 B1 KR 10228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tire
resonance chamber
nois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욱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7Resonators
    • G10K2210/32272Helmholtz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는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내부 공동 공명음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하여 로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Sound absorber for tires with Helmholtz resonators}
본 발명은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타이어용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차량의 전체하중을 지탱하는 지지기능,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능, 불규칙적인 노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부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기능,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전환기능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의 일반적인 구조는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두꺼운 고무층인 트레드(Tread); 가장 두꺼운 두께로 타이어의 어깨부를 구성하는 쇼울더(Shoulder); 타이어의 측면부에 유연한 굴신운동으로 승차감을 좋게 하며 타이어의 종류, 규격, 제조회사 등이 표시되는 사이드월(Side Wall); 타이어가 림에 장착되게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싸주는 비드(Bead);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 및 하중이나 충격을 견디는 부분으로 타이어 코드지로 된 카카스(Carcass) 즉, 바디 플라이(Body Ply)와, 상기 트레드와 바디 플라이의 내부에 삽입된 층으로 주행시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트레드의 갈라짐이나 외상이 바디 플라이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층 및; 상기 바디 플라이의 내부에 구비된 고무층으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이너라이너(Inner Liner)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는 비드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림(Rim)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비드에 림을 장착시 타이어 내부에 공동부(空洞部)가 형성되고, 상기 공동부에 압축공기를 충진시키면 타이어가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체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타이어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됨으로써 차량 주행시 음파가 공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공기의 진동에 의한 공동 공명음(Cavity Resonance)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공동 공명음은 차량의 외부 및 내부로 전달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소음에 대한 불만을 유발시킴은 물론, 외부 주변환경에 소음 공해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특히, 공기입 타이어의 로드 노이즈(Road noise)는 도로를 주행하는 타이어로부터 발생되는 50 내지 400 Hz 범위의 음파이며, 로드 노이즈의 주원인은 타이어 공동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공명 진동이다.
상기 공동 공명음은 타이어 트레드가 노면의 요철에 의해 진동하고, 상기 진동이 타이어 내부의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상기 공동 공명음의 주파수는 대략 200 내지 250 Hz 부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주파수 대역의 소음 레벨을 저하시키는 것이 타이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데에 중요하다.
이러한 공동 공명음 현상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수법으로서 최근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었다. 타이어 트레드의 저면에 흡음재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이드월의 굴신 운동을 고려하여 흡음재의 장착 위치를 변경한 것도 있다.
여기서, 공동 공명음의 효과적인 흡수에는 흡음 댐퍼의 재료 특성 이외에도 흡음 댐퍼의 기하학적 형상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흡음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흡음재 형상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05511호 ‘흡음 댐퍼를 부착한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는 흡음재가 다수 개로 이루어진 쐐기 형상의 흡음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쐐기형 흡음 채널이 서로 90도 각도로 교차 되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내부에 부착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공명실은 표면에 흡음층이 코팅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공명실은 표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통로는 몸체의 측벽에 한 쌍으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몸체는 타이어 내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복수의 몸체는 제1공명실의 형태가 서로 다르지만 질량은 동일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몸체는 아랫면에 공명홈이 형성되고, 몸체는 공명홈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몸체는 제1공명실과 공명홈을 이어주는 제3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내부 공동 공명음의 효과적인 흡수를 통하여 로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제1공명실은 표면에 흡음층이 코팅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내부 공동 공명음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제1공명실은 표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소음 파동을 나누고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제1통로는 몸체의 측벽에 한 쌍으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공명실로 이어지는 경로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몸체는 타이어 내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편심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복수의 몸체는 제1공명실의 형태가 서로 다르지만 질량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제1공명실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 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몸체는 아랫면에 공명홈이 형성되고, 몸체는 공명홈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명홈과 타이어 내부 표면이 형성하는 별도의 공간에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에 의하면, 몸체는 제1공명실과 공명홈을 이어주는 제3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명홈과 타이어 내부 표면이 형성하는 별도의 공간이 제1공명실과 연결되어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를 타이어 내부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헬름홀츠(Helmholtz) 공명원리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는 비교적 작은 개구와 기밀한 공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부(頸部)의 공기의 질량과 공동의 체적 탄성으로 단일 공진 기구를 형성한다.
즉, 헬름홀츠 공명기는 경부의 공기가 질량으로서, 또 내부의 공기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공명을 일으키고, 공명기의 구조를 변경하면 공명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주파수는 아래 수학식1과 같다.
Figure 112020038722569-pat00001
f: 헬름홀츠의 공명주파수
C: 유체의 음속
S: 유체 유입구의 단면적
L: 유체 유입구의 길이
V: 공명공간의 체적
도 1, 2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는, 타이어(10) 트레드(11)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120); 상기 제1공명실(120)과 몸체(110)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130); 상기 몸체(110)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140); 및 상기 제1공명실(120)과 제2공명실(140)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1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제1공명실(120), 제1통로(130), 제2공명실(140) 및 제2통로(150)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10)는 타이어(10) 트레드(11)의 반대편인 타이어(10) 내부의 표면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110)는 원주 방향의 단면적의 중심부가 돌출된 돔 또는 다면체 형태의 블록(Block)일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타이어(10) 내부의 이너라이너(15)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다공질 소재(다공성 발포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질 소재는 소재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이 소음이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는 복수로 분리되므로 원형 고리 형태보다 경량화가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몸체(110)는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타이어(10)가 회전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몸체(110)는 동일한 질량으로 형성되어 타이어(10)가 회전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몸체(110)는 동일한 체적과 질량을 가지고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타이어(10)가 회전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공명실(120)은 몸체(110) 외부에서 유입된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1공명실(120)은 제1통로(130)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헬름홀츠(Helmholtz) 공명 원리를 이용해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몸체(110)는 각각의 몸체(110)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120)의 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각각의 제1공명실(120)이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공명실(120)은 표면에 흡음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제1공명실(120)로 유입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소재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공명실(120)은 표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소음의 파동을 나누고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크기와 개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통로(130)는 몸체(110) 외부의 소음이 제1공명실(120)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이다.
상기 제1통로(130)는 몸체(110)의 윗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30)는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단면적과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30)는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를 크게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30)는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공명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30)는 몸체(110)의 측벽에 한 쌍으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소음이 유입되는 경로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130)는 제1공명실(120)에 코팅된 흡음층을 함께 코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명실(140)은 제1공명실(120)에서 유입된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공명실(140)은 제2통로(150)를 통해 유입된 소음을 헬름홀츠(Helmholtz) 공명 원리를 이용해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제2공명실(140)의 위치나 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공명실(140)은 제1공명실(120)의 표면이면 어디든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공명실(140)은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공명실(140)은 표면에 흡음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제2공명실(140)로 유입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소재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공명실(140)은 표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소음의 파동을 나누고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크기와 개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통로(150)는 제1공명실(120)의 소음이 제2공명실(140)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이다.
상기 제2통로(150)는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단면적과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통로(150)는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를 크게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150)는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공명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150)는 제2공명실(140)에 코팅된 흡음층을 함께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는 상기 실시예 1과 기본적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는, 상기 몸체(110)는 아랫면에 공명홈(170)이 형성되고, 몸체(110)는 공명홈(170)과 몸체(110)의 외부를 이어주는 연결홈(180)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공명홈(170)은 몸체(110)가 타이어(10) 부착될 때 타이어(10)의 내부 표면과 함께 제3공명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공명실은 몸체(110) 외부에서 유입된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3공명실은 연결홈(180)을 통해 유입된 소음을 헬름홀츠(Helmholtz) 공명 원리를 이용해서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몸체(110)는 각각의 몸체(110)에 형성되는 제3공명실의 체적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각각의 제3공명실이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공명실(120), 제2공명실(140) 및 제3공명실에서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는 서로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공명홈(170)은 표면에 흡음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제3공명실로 유입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소재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3공명실은 표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소음의 파동을 나누고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흡수를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크기와 개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홈(180)은 몸체(110) 외부의 소음이 제3공명실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이다.
상기 연결홈(180)은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80)은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단면적과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홈(180)은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소음이 유입되는 입구를 크게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80)은 외측 단면적을 내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공명공간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80)은 몸체(110)의 측벽에 한 쌍으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소음이 유입되는 경로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180)은 공명홈(170)에 코팅된 흡음층을 함께 코팅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는 제1공명실(120)과 공명홈(170)을 이어주는 제3통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90)는 제1공명실(120)과 제3공명실의 소음이 서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이다.
상기 제3통로(190)는 제1공명실(120)과 제3공명실이 상호 공명공간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90)를 통해서, 상기 제3공명실은 제1공명실(120)에서 유입된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 되고, 상기 제1공명실(120)은 제3공명실에서 유입된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90)는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서 단면적과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3통로(190)는 제1공명실(120) 또는 공명홈(170)에 코팅된 흡음층을 함께 코팅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타이어
11: 트레드
12: 사이드월
13: 쇼울더
14: 비드
15: 이너라이너
100: 흡음재
110: 몸체
120: 제1공명실
130: 제1통로
140: 제2공명실
150: 제2통로
170: 공명홈
180: 연결홈
190: 제3통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상기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상기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몸체는 제1공명실의 형태가 서로 다르지만 질량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7.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상기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상기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8.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상기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상기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공명실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9.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 표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명실;
    상기 제1공명실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제1통로;
    상기 몸체의 내부 측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공명실; 및
    상기 제1공명실과 제2공명실을 이어주는 복수의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아랫면에 공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공명홈과 몸체의 외부를 이어주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공명실과 공명홈을 이어주는 제3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KR1020200045322A 2020-04-14 2020-04-14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KR10228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322A KR102288443B1 (ko) 2020-04-14 2020-04-14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322A KR102288443B1 (ko) 2020-04-14 2020-04-14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43B1 true KR102288443B1 (ko) 2021-08-10

Family

ID=7731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322A KR102288443B1 (ko) 2020-04-14 2020-04-14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09A (ja) * 1999-09-29 2003-03-18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車両ホイール用騒音減衰器を備えた安全支持体
KR20100048068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명 차단 방법과 공명 차단 흡음재
EP2783879B1 (en) * 2013-03-29 2015-11-18 Honda Motor Co., Ltd. Vehicle whe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09A (ja) * 1999-09-29 2003-03-18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車両ホイール用騒音減衰器を備えた安全支持体
KR20100048068A (ko) * 2008-10-30 2010-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명 차단 방법과 공명 차단 흡음재
EP2783879B1 (en) * 2013-03-29 2015-11-18 Honda Motor Co., Ltd. Vehicle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8587B2 (ja) 防音タイヤ
KR101100069B1 (ko) 저소음 공기 타이어
KR101100065B1 (ko) 저소음 공기 타이어
JP2012016973A (ja) レゾネータ
US20160031269A1 (en) Pneumatic tire
BRPI0611591A2 (pt) dispositivo e sistema de redução de ruìdo de pneu e roda
US10000096B2 (en) Pneumatic tire
JP2004168212A (ja) 車輪用吸音装置および該吸音装置を備えた車輪
JPH0212710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67598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み立て体
JP7095280B2 (ja) タイヤ
JP2009029348A (ja) 車両用ホイール
KR102288443B1 (ko) 헬름홀츠 공명기를 적용한 타이어용 흡음재
KR10092662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69474B1 (ko) 나선형 밴드 타입의 타이어용 흡음재
JP2004148978A (ja) 支持体、および空気入りランフラットタイヤ
KR102310057B1 (ko) 타이어용 흡음재
KR102324316B1 (ko) 타이어용 흡음재
KR102324315B1 (ko) 타이어용 흡음재
KR20100005511A (ko) 흡음 댐퍼를 부착한 저소음 공기입 타이어
CN111186262B (zh) 一种低噪音充气轮胎
KR20220124520A (ko) 공기입 타이어의 흡음재의 장착 구조
JPH01115704A (ja) 低騒音タイヤ車輪
KR100826766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230047526A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