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13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913B1 KR102273913B1 KR1020190101424A KR20190101424A KR102273913B1 KR 102273913 B1 KR102273913 B1 KR 102273913B1 KR 1020190101424 A KR1020190101424 A KR 1020190101424A KR 20190101424 A KR20190101424 A KR 20190101424A KR 102273913 B1 KR102273913 B1 KR 1022739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terminal
- information
- target terminal
- interfere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102000006479 Heterogeneous-Nuclear Ribonucleoproteins Human genes 0.000 title 1
- 108010019372 Heterogeneous-Nuclear Ribonucleoproteins Proteins 0.000 title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CSRZQMIRAZTJOY-UHFFFAOYSA-N trimethylsilyl iodide Substances C[Si](C)(C)I CSRZQMIRAZTJ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 H04W72/08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공서비스를 위해서 통신 사업자가 아닌 제3자가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의 위치나 이동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었다. 이러한 일 예로 도로공사, 경찰청의 공공단체가 특정 지역을 지나가는 단말기의 수 또는 속도 등의 정보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 사업자가 아닌 제3자가 공공 서비스를 목적으로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위치 또는 소통량 정보 등을 획득하는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통신장비 및 통신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제약 사항이 있다. 또한, 통신 사업자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도 단말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긴급구조, 위치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상향링크의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향 링크 신호를 판단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어 상향링크의 간섭을 제어하여 타겟단말기에 대한 검출 및 신호측정 정확도를 향상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에서 안출된 본 개시는, 일 측면에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현에서 하향링크 수신기를 포함하지 않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만으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의 간섭제어에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신호측정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타겟단말기에 대해 상기 간섭원이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연계하고,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간섭원이 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타겟단말기에 대해 간섭원이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연계하고,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간섭원이 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탐색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 또는 간섭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간섭 발생 정보 또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또한,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의 주파수를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르게 설정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와 타겟단말기에 할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각기 다른 시간에 할당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간섭 발생 정보 또는 간섭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신호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자원 할당 정보 획득 단계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기지국이 타겟단말기 또는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이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 또는 간섭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간섭 발생 정보를 기초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간섭제어 방법으로서,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간섭원이 될 수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섭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대역폭을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의 대역폭과 다른 대역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측정기에서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간섭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들을 일부 시간구간 동안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게 설정하고, 시간구간에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게 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신호측정기가 측정하여 타 단말기로부터의 간섭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기존의 통신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단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향링크 간섭을 감소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검출 및 측정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의 사용자가 타겟단말기 검출 및 측정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같은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 기지국, 타겟단말기의 전체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간섭원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리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제어하는 상량링크 신호 수신대역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상향링크 신호 수신대역폭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타 단말기들이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시간과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타겟단말기의 신호전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 기지국, 타겟단말기의 전체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간섭원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리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제어하는 상량링크 신호 수신대역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채널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가 상향링크 신호 수신대역폭을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타 단말기들이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시간과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타겟단말기의 신호전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 또는 역방향)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부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부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기지국은 PDCCH를 통해서 단말기에게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PDSCH를 통해서도 단말기에게 자원할당 및 신호전송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겟단말기의 존재 여부 또는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상기한 존재 여부는 타겟단말기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호측정기는 위치측정기라는 용어 등으로 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 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장치로 해석할 수 있다.
공공 서비스를 위해 통신 사업자가 아닌 제3자가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단말의 위치나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도로공사, 경찰청과 같은 공공단체가 특정 지역을 지나가는 단말기의 수 또는 속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공공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통신 사업자가 아닌 제3자가 공공 서비스를 목적으로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의 수, 위치 또는 소통량 정보 등을 획득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구현이 기존의 통신장비 또는 통신망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수행되어야 하며, 단말기의 정보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R10-2018-0054836의 발명에서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측정기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하향링크 신호 수신기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구성하고,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나아가, KR10-2018-0046139에는 상기 장치를 활용하여 특정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상기 장치들은 공통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신호 검출하여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주변에 타겟단말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상기 신호측정기 주변에 다른 통신장치가 동작한다면, 다른 통신 장치가 상기 신호측정기에 큰 간섭원으로 작용하여 신호측정기가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검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사람이나 소정의 이동체에 휴대되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신호측정기를 작동하는 사람은 다른 통신 단말기를 소지할 확률이 높다. 즉, 신호측정기를 이용하는 사람은 상기 신호측정기를 이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휴대전화 또는 이동 단말기를 추가로 소지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또는, 탐색자 주변에 다른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동행하거나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측정기는 이용자의 휴대전화 또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신호로 인해 큰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신호측정기를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신호측정기에 작용하는 간섭이 더욱 커진다. 특히, 이용자의 휴대전화 또는 이동 단말기가 신호측정기와 동일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간섭의 확률은 매우 크다. 예를 들면, 타겟단말기가 LTE 방식으로 통신을 하고, 신호측정기를 소지하고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소지한 사람의 휴대전화 또는 이동 단말기 또한 LTE 방식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사람이 사용하는 LTE 단말기의 신호로 인해 본 개시의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겟단말기 이외의 단말기의 신호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알려, 기지국이 간섭을 일으키는 타 단말기의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측정기를 제안한다. 또한,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정보의 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여 신호측정기의 간섭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식별정보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IMSI, TMSI 또는 제조시 일련번호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식별번호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 예에 따라,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는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가 소유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는 탐색자와 같이 동행하는 사람들 또는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소지한 단말기일 수 있다. 탐색자는 신호측정기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장치의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한다. 이 때 보내는 정보는 신호측정기의 식별정보와 이에 대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라, 상기 간섭원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사업자 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간섭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는 각 신호측정기별 간섭 단말기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각 신호측정기가 전송한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타겟단말기를 탐색하는 신호측정기들을 모두 리스트한 후, 각 신호측정기가 보낸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들을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 때 보내는 정보는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동시에 해당 타겟단말기에 대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의 식별정보를 같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로 타겟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측위 시스템내의 할당받은 작업 번호 (task ID) 또는 타겟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타겟단말기를 탐색하는 신호측정기들에 대한 간섭원의 정보를 모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보내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즉, 위치측정서버는 각 신호측정기가 전송한 신호측정기별 간섭원(또는 간섭원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각 타겟단말기별 간섭원(또는 간섭원 가능성 있는 단말기)의 정보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위치측정서버는 타겟단말기의 사업자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의 정보만 선별하여 해당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가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은 타겟단말기를 탐색하기 위한 호설정 또는 탐색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 설정이 진행되기 이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가 사전에 간섭을 발생하지 못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자원할당을 변경한다. 또한, 탐색이 진행되는 중 신호측정기가 추가되거나, 신호측정기 주변에 새로운 간섭이 가능한 단말기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상기 간섭원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는 탐색자가 탐색 도중에 신호측정기에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하고, 신호측정기는 상기 정보를 위치측정서버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는 신호측정기로부터 받은 간섭원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네크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측정서버에 대한 일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위치측정서버(1600)은 위치측정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61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장치(1620), 위치측정서버에서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630),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장치(1640) 및 신호측정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장치(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위치측정서버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위치측정서버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입력장치(1620)는 관리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와 함께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 등의 출력장치(미도시)가 위치측정서버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640) 및 제2 통신장치(165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신호측정기들과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장치(1640)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방식 및 제2 통신장치(1650)에서 신호측정기와 통신하는 통신방식은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같은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는 제1 통신장치(1640) 및 제2 통신장치(165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용되는 통신방식 등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장치(1630)는 등록된 신호수집기와 이와 연결된 간섭원의 가능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장치(1630)는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단말기 또는 신호측정기의 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1630)는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의 단말기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장치(1610)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610)는 관리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한 정보와 신호측정기가 보내온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가 전송하는 간섭원의 정보는 신호측정기별 간섭원의 정보이다. 제어장치(1610)는 상기 신호측정기별 간섭원의 정보를 타겟단말기별 간섭원의 정보로 변환하여 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들에 대한 모든 간섭원 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단말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같이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장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신호측정기에서 하향링크 수신기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기를 구비하고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어떠한 신호측정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장치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신호를 분석하여 어떠한 신호가 상향링크를 통해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데이터가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관련 분야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들의 위치정보 획득 기술이다.
본 실시예들의 적용가능제품 및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교통 정보 및 공공 서비스뿐 아니라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정보 서비스이다.
본 실시예들의 향후 적용이 예상되는 분야로서, 다양한 단말기의 위치 서비스, 도로제어, 교통제어, 위치정보 서비스 보안관련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들과 가장 관련도가 높은 종래기술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은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이하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10),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20), 안테나(14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신호측정기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10)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20)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지국과는 달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처리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신호측정기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를 처리하여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에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있는지 판정하고,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20)를 통해 상향링크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단말기가 신호측정기 근처에 존재하는지를 포함하여, 신호의 수신세기, 시간지연, 수신방향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도 1의 신호측정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통신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사 사전에 약속한 상향링크 자원 및 전송 파라미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구조에서는 한 개의 안테나를 통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측정기는 제어부(130)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20)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10)를 연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구조에서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10)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20)가 한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110)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20)는 상향링크의 안테나와 하향링크의 안테나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 개의 상향링크 안테나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 기지국, 타겟단말기의 전체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에 인접하여 한 개 이상의 신호측정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측정기들은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신호세기, 도착시간지연, 신호의 수신 방향 등의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위치계산을 하는 방법은 다수개의 신호측정기가 측정한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보내고, 상기 위치측정서버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계산된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는 각 신호측정기에게 보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 신호측정기들간에 정보를 측정 정보로 공유하고, 각 신호측정기에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와 링크를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신호측정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사이에 미리 약속한 자원 및 시간을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또는 해지되었는지의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알릴 수 있다.
상기한 신호측정기는 도 1의 신호측정기와 유사한 장치로 본 명세서에서는 신호측정기로 기술하는 것들이 도 2의 신호측정기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2의 발명은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신호 또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존재 유무, 위치정보, 본 개시의 장치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개시의 장치는 타겟단말기의 신호의 크기 및 시간지연 등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신호측정기(300)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310)와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300)는 수신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신호측정기(300)는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 또는 타 신호측정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340), 신호측정기 자체의 위치정보 획득을 하거나 절대 시간과의 동기를 수행하는 GPS 수신부(370),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350), 제어부(33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320) 및 입력부(350)는 정보획득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310)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320)는 LTE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및 LTE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일 수 있다. 본 개시는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LTE 하향링크 수신부는 초기의 LTE의 하향링크 수신부를 포착하여 시스템 시간동기를 획득하고, 기지국 ID와 시스템 정보등을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310)는 기지국인 타겟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LTE 상향링크 수신부는 타겟단말기에게 할당되는 상향링크 전송자원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전송신호를 검출하고 그 신호의 도달 시점과 신호 전력등을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의 신호측정기(300)는 절대적인 시간기준을 확보하여 각 신호측정기에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GPS 수신부(370)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들이 시간적인 동기를 확보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른 형태의 신호측정기들간의 상호간의 시간동기를 확보하거나, 도달하는 시점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밀도의 시계를 사용하고 이를 신호측정기 간의 동기를 사전에 맞추어 사용하거나 상대적인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의 측정을 LTE 하향링크 수신부의 특정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타사용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시점과의 시간차를 바탕으로 위치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측정기의 수신정보를 위치측정서버로 전송한다. GPS 수신부(370)은 또한 신호측정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신호측정기의 위치정보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되어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위치측정서버 또는 기지국과의 직접적인 통신을 하거나 타 신호측정기와의 직접적인 통신이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통신부(34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신호측정기(300)의 구현예는 사용자에게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350)를 구비하는 데, 상기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신호측정기의 위치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등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의 제어부(330)는 전술한 신호측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30)는 각 장치들과 연결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수신, 측정, 통신, 입출력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도 3의 장치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향링크를 수신하여 상향링크의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기지국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사이에 타겟단말기에게 할당할 자원을 약속하고, 상기 약속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신호 검출하여 타겟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 주변에 다른 통신장치가 동작한다면, 이는 큰 간섭원으로 타겟단말기의 검출을 방해하거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측정기가 하향링크 수신기와 상향링크 수신기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따른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들은 신호측정기가 하향링크 수신기 없이 상향링크 수신기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특히, 도 2와 같은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의 경우 다수의 장치를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장치를 소지한 사람이 같은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말기로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단말기가 LTE 방식으로 통신을 하고, 도 2의 장치를 소지하고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소지한 사람 또한 LTE 방식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장치를 소지한 사람이 사용하는 LTE 단말기의 신호로 인해 본 개시의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겟단말기 이외의 단말기의 신호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알려, 기지국이 간섭을 일으키는 타 단말기의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측정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의 제어부(33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기지국이 상기 타겟단말기 또는 상기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부(340)를 이용하여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기지국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신호측정기는 순방향의 신호, 즉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어떠한 제어 정보가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측정기(300)는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된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대하여 지정한 제어 정보를 판독, 즉,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는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부여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일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로, 신호측정기(300)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연결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신호 전송 여부, 즉 이후에 타겟단말기가 전술한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RNTI라 함은 한 기지국내에서의 단말기의 임시 ID로 사용되며, 한 단말기에게 어떤 RNTI가 할당될 지 알 수 없으므로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RNTI를 단말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한 기지국 또는 셀 내에서 단말기에게 임시로 할당하는 ID라면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통신 장치는 임의의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대신에, 특정 RNTI로 식별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만을 측정하기 위해 특정 RNTI와 연결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의 식별 정보로 RNTI를 사용하게 되면,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e.g. 전화번호/성명/주민등록번호)를 유출시키지 않으면서도 특정 시점에서 위치 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특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서는 타겟단말기의 RNTI 정보에 기반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존재 여부, 본 개시의 장치부터의 거리, 위치를 포함한 단말기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 예에 따라, 이를 위해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에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포함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수신 및 복호를 수행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수신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예에서는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의 RNTI 정보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사전에 기지국과 신호측정기 사이에 타겟단말기가 사용할 RNTI를 약속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내용은 신호측정기(300)가 타겟단말기의 RNTI를 알지 못하는 상태 또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위치정보 획득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기지국과 타겟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설정은 신호측정기가 직접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요청할 수도 있지만, 위치측정서버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위치측정서버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타겟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검출하고 측정한다. 측정된 상향링크 신호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존재유무, 시간지연, 신호크기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300)는 획득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상기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가 RNTI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채널을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과 사전에 약속한 상향링크 자원 및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300) 부근에 다른 단말기, 예컨대, 신호측정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여 같은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그 신호가 본 개시의 장치에 큰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타 통신장비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에 가깝게 존재하는 경우 간섭으로 인해 신호측정기(300)가 정상적으로 타겟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기 어려워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측정기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타 단말기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조정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장비는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 장비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테블릿,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상향링크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일련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입력받으면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린다. 상기 단말기들의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간섭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주파수대역을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역과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조정하여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직접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지만, 상기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달하고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일 예에 따라, 운영자가 상기 간섭원 단말기의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입력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의 위치측정서버는 입력장치와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운영자가 상기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측정서버가 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간섭원의 정보는 간섭원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사업자 정보와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IMSI, TMSI 또는 제조시의 일련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간섭원의 정보를 전달받은 이동통신 기지국은 간섭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역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간섭원은 탐색자 및 보조원들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되어 통신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위치측정서버는 위치측정서버에 입력되어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뿐 아니라 신호측정기가 보낸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모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 타겟단말기의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를 위치측정서버를 통해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호측정기를 통해서도 입력할 수 있다.
도 16에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위치측정서버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관리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 등의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신호측정기들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장치에서 신호측정기와 통신하는 통신방식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식방식을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는 등록된 신호수집기와 이와 연결된 간섭원의 가능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장치에는 신호측정기에 연결된 단말기 또는 신호측정기의 식별번호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의 단말기 정보를 사전에 저장장치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및 통신부를 제어한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관리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한 정보와 신호측정기가 보내온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한다. 신호측정기가 전송하는 간섭원의 정보는 신호측정기별 간섭원의 정보이다. 위치측정서버는 상기 신호측정기별 간섭원의 정보를 타겟단말기별 간섭원의 정보로 변환하여 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들의 모든 간섭원 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전달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에게 할당하지 않도록 함으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f1이라고 한다면, 간섭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f2로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f1과 f2는 서로 다른 주파수이다. 또는, f1와 f2를 다른 주파수 밴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주파수를 할당하는 실시예의 하나로 타겟단말기와 간섭원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단말기는 LTE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은 W-CDMA 방식으로 통신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각 신호측정기 별로 또는 위치측정서버별로 가능한 간섭원의 정보를 사전에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등록하고,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하여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간섭원(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에 할당하는 자원을 타겟단말기에 할당하는 자원과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이 간섭원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 설정을 타겟단말기와 다르게 한 이후에, 상기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위치측정서버에 타겟단말기에게 할당한 주파수의 정보와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의 주파수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서버는 상기 주파수 설정정보를 화면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할당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검출, 측정한다. 또한, 신호측정기(30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의 신호를 검출, 측정할 뿐 아니라, 상기 정보를 서버 또는 타 장비와 공유하기 위해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때,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신호와 통신을 위한 장비가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대역에서 통신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통신장치는 타겟단말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검출, 측정하지 못할 정도로 높은 양의 간섭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를 들고 다니거나, 근처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통신장비가 엄청난 양의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신호측정기(30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거나 간섭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면, 통신부(340)를 이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한다. 이로써,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발생하는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 또는 예측하고,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또는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300)의 제어부(330)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타겟단말기에 의한 상향링크 신호와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 신호로 분리하고,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300)의 제어부(33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주파수대역을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4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 또는 그 인근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의 주파수 대역을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대역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호측정기(300)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안정적으로 검출 및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와 간섭원이 서로 다른 상향링크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300)의 제어부(33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을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전송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4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이동통신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와 간섭원이 서로 다른 시간에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ID 또는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사전에 알리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또는 그 인근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을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대역과 다르게 설정한다. 이를 통해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가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안정적으로 검출 및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입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30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에게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는 전화번호 또는 사업자의 정보 등 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측정기(300)를 소지하거나 근처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사업자의 정보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320)의 입장에서 통신부(340)가 전송하는 신호는 간섭원이 될 수 있다. 탐색자는 상기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 도 3의 신호측정기에서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스스로 확인하여 이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제어부(330)가 USIM 또는 단말기의 저장장치를 통해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 정보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구현의 예로 상기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위치측정서버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서 위치측정서버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각 신호측정기 별 통신부의 식별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측정기의 식별번호가 통신부의 식별번호로 대응되므로 매번 사용자가 상기 통신부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자원과 상기 통신부(340)가 사용하는 자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기 통신부(340)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기 통신부(340)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여러 신호측정기들이 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면 각 신호측정기의 통신부(340)는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300)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여부를 판정하고,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기지국이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자원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RNTI가 될 수 있다. 또는, 타 단말기가 사용한 자원의 정보 및 시각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상기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기지국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발생 가능성을 판정하고,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자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제1 주파수대역과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타 단말기들과의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주파수 대역도 피하여 추가적인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의 인접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 사용하여 간섭을 추가적으로 감소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와 완전히 다른 밴드에 간섭 가능한 단말기의 링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측정기(300)는 상기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는 창구로 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입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에게 상향링크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는 RNTI 또는 전화번호 등 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타 단말기의 사업자 정보 및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300)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비교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상향링크 신호가 간섭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기지국이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부(340)를 이용하여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300)에 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 장치 내부에 상기 전화번호의 정보 및 사업자의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타겟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시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하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또는 서버에 각 신호측정기 별로 가능한 간섭원의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신호측정기 별 가능한 간섭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특정 타겟단말기를 탐색할 때 한 신호측정기가 사용된다면 연결된 간섭 단말기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각 신호측정기 별 가능한 간섭 단말기는 해당 신호측정기를 소지한 탐색자가 소지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신호측정기의 통신채널의 역할을 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은 도 3의 신호측정기의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한 통신부(340)의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자원과 상기 통신부(340)가 사용하는 자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기 통신부(340)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기 통신부(340)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여러 신호측정기들이 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면 각 신호측정기의 통신부(340)가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타겟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기지국과 타겟단말기 간의 호를 설정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호 설정은 신호측정기가 직접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요청할 수도 있지만, 위치측정서버에 상기 요청을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위치측정을 위치측정서버를 시스템에 포함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각 정보수집기에서 측정한 수신전력, 시간지연, 정보수집기의 위치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다시 정보수집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위치측정서버는 각 정보수집기가 전송하는 간섭가능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통신의 창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설정한 타겟단말기의 RNTI 및 자원할당에 대한 주요정보를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을 사용하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측정기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수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4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 또는 이를 연결한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측정기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해당 기능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외부 다른 장치(위치측정서버 및 타 신호측정기), 예컨대, 외부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연결하여 그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신호측정기의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점선의 박스안에 있는 구성이 신호측정기(400)의 구현예이고, 이는 상용 테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450)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4의 신호측정기(400)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신호측정기(300)의 구성에 각각 대응하므로, 도 3의 신호측정기(3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장비는 입력부를 구비하거나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 장비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테블릿,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상향링크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기의 식별번호는 전화번호 등 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기지국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 발생 가능성을 판정하고,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자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제1 주파수대역과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타 단말기들과의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420)의 입장에서 단말기(450)가 전송하는 신호는 간섭원이 될 수 있다. 탐색자는 상기 단말기(450)의 식별정보를 입력장치(46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 도 4의 신호측정기에서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스스로 확인하여 이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단말기(450)가 USIM 또는 단말기의 저장장치를 통해 단말기(45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 정보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구현의 예로 상기 단말기(450)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위치측정서버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단말기(450)의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자원과 상기 단말기(450)가 사용하는 자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기 단말기(450)가 사용하는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일 예로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기 단말기(450)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여러 신호측정기들이 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다면 각 신호측정기의 단말기(450)가 타겟단말기가 위치측정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장비는 입력부를 구비하거나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와 연결된 다른 통신 장비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테블릿,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상향링크 간섭을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RNTI 또는 전화번호, IMSI, TMSI, 일련번호 등 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사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입력받은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비교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상향링크 신호가 간섭을 일으키거나 일으킬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기지국이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타겟단말기의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서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타겟단말기 및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한다(S510). 이 경우, 신호측정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사전 저장된 타겟단말기 또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RNTI일 수 있다. 또는 신호측정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과 신호측정기 사이에 사전에 약속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처리장치는 획득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지 판정한다(S520).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처리장치는 획득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분석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간섭 가능성이 있는지 판정한다(S520). 구체적으로, 정보처리장치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와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비교하여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간섭 가능성이 있는지 판정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는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간섭의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그러나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상향링크 간섭의 가능성이 있거나 간섭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정보처리장치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한다(S530). 여기서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와 타 단말기 간의 간섭 가능성 또는 간섭 발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와 간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다른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가 인접주파수 대역도 피하여 추가적인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의 인접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 사용하여 간섭을 추가적으로 감소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와 완전히 다른 밴드에 간섭 가능한 단말기의 링크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있다.
본 개시에서 위치측정서버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위치측정서버는 각 정보수집기에서 측정한 수신전력, 시간지연, 신호의 수신방향, 정보수집기의 위치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다시 정보수집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위치측정서버는 각 정보수집기가 전송하는 간섭가능한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통신의 창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설정한 타겟단말기의 RNTI 및 자원할당에 대한 주요정보를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신호측정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을 사용하면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측정기의 복잡도를 감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수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상기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는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는 상기 타 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가 동작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동통신 시스템 중 일 예로 LTE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LTE 시스템은 1ms의 TTI를 바탕으로 동작하며, 순방향의 제어 정보는 매 TTI마다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LTE 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도 이하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통신 장치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단말은 매 TTI마다 하향링크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신호는 제어채널(PDCCH)일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채널(PDSCH)일 수도 있다. 즉, LTE에서 일반적으로 제어 정보는 PDCCH를 통해 전달되지만, PDSCH를 통해 제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PDSCH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장치는 하향링크의 PDCCH를 수신을 먼저 수행하고, 그 후 상기 제어 정보가 수신되는 PDSCH를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신호측정기는 햐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 즉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이후에 언제 어떠한 자원을 통해서 상향링크가 전송되는지, 그리고 그 때의 단말의 RNTI는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RNTI 등 단말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상향링크 자원에 대해서 각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별로 상향 링크 신호 전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620). 이 과정은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통해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말이 있는지, 그 단말기의 RNTI가 무었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가 상향링크의 신호 전송이 있다는 것을 판단하면 해당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상향링크 신호를 바탕으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Y), 통신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신호 수신부는 각 상향 링크 신호 수신부 별로 상향 링크 신호를 수집하여, 상향 링크 신호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S630).
그리고, 통신 장치는 각 상향 링크 신호 수신부 별로 상향 링크 신호 전송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640).
반면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N), 별도의 상향 링크 신호 수집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전술한 동작은 매 TTI마다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에서 수집된 신호를 통하여 판단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여부를 바탕으로 하여 통신 장치는 단말의 존재 여부, 위치 및 이동성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은 단말의 RNTI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는 특정 RNTI를 가지는 단말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여부만을 판단하여, 특정 RNTI를 가지는 단말의 존재 여부, 위치 및 이동성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상향링크의 신호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통신 장치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획득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부터 상향링크의 전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는 획득한 상향링크의 전송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향링크에 할당된 자원을 통해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의 평균 수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S710).
통신 장치는 계산된 평균 수신전력값을 미리 계산된 또는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S720). 비교 결과 만약 평균 수신 전력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S720-Y),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었으므로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단말이 근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고(S740), 반면 평균 수신 전력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S720-N),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단말이 근처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730).
상기 과정에서 상향링크의 수신전력값을 계산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PUCCH 또는 PUSCH에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인 레퍼런스 신호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향링크 PUCCH 또는 PUSCH에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전력값들을 결합하여 단말기의 존재유무 및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한 개 이상의 신호측정기를 타겟단말기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검출 및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미리 알고 있는 간섭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또는 시간과 다른 시간에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위치측정장치가 실제 동작하는 동안에 한 개 이상의 예기지 않은 간섭원이 본 개시의 위치측정장치 주위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간섭원이 간섭으로 인해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대로 검출,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수신기가 주변에 존재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원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과정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직접 알리 수 있다. 또한, 신호측정기가 위치측정서버에 알려서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알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은 신호측정기가 보고하는 간섭원의 존재를 확인하고, 위치측정장치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의 신호를 검출하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간섭원이 사용하는 자원 (주파수, 부호, 시간 등을 포함)을 다시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간섭원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사용하는 시간을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점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시간 등의 자원과 간섭원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시간 등의 자원을 다르게 설정하게 함으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보다 쉽게 검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섭원의 자원할당을 변경한 경우,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알려 간섭이 줄어들도록 자원할당을 실시하였음을 통보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신호측정기에게 바로 알릴 수 있다. 또는, 동일한 효과를 주는 방법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이 위치측정서버에게 알리고 위치측정서버가 이를 신호측정기들에게 알릴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개싱의 신호측정기가 간섭원을 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보고하면, 이동통신 기지국은 자원할당을 변경하여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자원할당의 변경을 진행하면, 간섭이 감소하므로 기지국은 자원할당 변경을 완료하였음을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알릴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변경 정보를 받은 신호측정기는 간섭량이 감소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자원에 대한 간섭측정을 중단하거나 측정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측정방법을 변경하는 일 예로 측정하는 주기를 길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신호측정기는 상향링크로 강한 간섭신호를 전송하는 간섭원을 감지하여 이를 검출한다.
도 8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의 구조의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는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 제어부(820)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간섭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간섭원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간섭원의 수신전력이 미리 정해놓은 임계치 이상으로 크게 수신되는 경우,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알린다.
도 8의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는 동작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GSM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슬롯으로 수신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프레임의 미드앰블 전력을 바탕으로 간섭량 및 간섭원을 측정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가 간섭을 검출하면 검출한 간섭원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자원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신호측정기에서 기지국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지만, 이를 위치측정서버와 같은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가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W-CDMA 의 경우에는 상향링크에 대한 역확산기 및 역확산된 신호에 대한 에너지 측정기 및 측정된 에너지에 대한 시간축에서의 저역필터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신호측정기가 검출한 간섭량이 어느 일정 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간섭이 검출된 확산부호의 정보와 검출된 시간의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신호측정기에서 기지국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지만, 이를 위치측정서버와 같은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서버가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W-CDMA 시스템의 경우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확산부호의 수가 너무 많아 상기 과정에 의해 간섭원의 존재 및 그 간섭원이 사용하는 확산부호를 검출하는 것이 매우 복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네트워크는 가능성이 높은 확산부호들의 정보를 신호측정기에 사전에 알려주어 신호측정기의 복잡도를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신호측정기가 간섭으로 인해 정상적인 동작이 어려운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에 요청하고 이 요청을 받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는 LTE와 같은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에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USCH가 존재한다. 간섭원이 PUCCH를 전송할 수도 있고, PUSCH를 전송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LTE 시스템에서의 간섭원의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알릴 수 있다.
우선 가능한 것이 특정 시간, 주파수에 강한 수신전력이 수신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해당하는 주파수 시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여 이 측정된 신호의 전력이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주파수와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 검출된 상향링크 자원의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알린다. LTE의 경우 같은 시간, 같은 주파수의 자원을 CDM의 형태로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강하게 검출된 신호가 사용한 부호의 정보 및 SRS, PUCCH 또는 PUSCH인지의 검출된 채널의 정보도 같이 기지국에 알린다.
또 다른 측정 가능한 채널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이다. SRS는 PUCCH와 마찬가지로 CDM 방식으로 전송되므로 간섭이 검출된 SRS의 시간 정보, 사용된 부호의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신호측정기는 간섭원을 발견한 시간 정보, 주파수 정보, 사용된 부호 정보 및 채널의 정보를 전송하여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이는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여 위치측정서버가 기지국에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별로 할당된 자원과 RNTI 또는 TMSI와 같은 단말 식별번호의 표를 가지고 있다가 신호측정기가 간섭원으로 보고하는 자원을 사용한 단말기를 판별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 또는 시간에 대한 자원할당을 변경한다. 또는, 간섭원 단말에 할당된 확산부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간섭원의 자원할당을 변경한 후에 이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이를 위치측정서버에 알리고 위치측정서버가 신호측정기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 8의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는 타겟단말기의 대한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간섭원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향링크 신호 측정부(810)가 간섭원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타겟단말기의 신호의 수신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타겟단말기의 신호의 SINR이 높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LTE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수신기는 GSM, W-CDMA 방식에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일부 변경하여 구현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9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측정기에서의 간섭원 측정 및 측정된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리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의 순서도는 LTE에 대한 타겟단말기 신호검출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GSM 및 W-CDMA 시스템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9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 검출을 시도한다(S910).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한다(S920). 그리고 신호측정기는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S930). 이 과정은 신호측정기에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정보를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여 위치측정서버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타겟단말기의 신호 검출이 되지 않는다면 간섭원에 대한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S960). 이를 위해 신호측정기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다(S940).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S950) 이를 간섭원 검출에 활용할 수 있다. 이 과정이 점선의 박스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간섭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시스템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한 간섭원의 정보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이 사용하는 RNTI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간섭원 가능성이 있는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의 채널의 종료, 주파수, 시간, 부호 등의 자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는 간섭원에 대한 신호 검출을 시도한다(S960). 간섭원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검출된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송신하여(S970)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간섭원에 대한 자원할당을 변경하도록 한다. 간섭원의 자원할당이 변경된 후, 타겟단말기에 대한 신호검출 및 측정을 시도한다(S980). 만일, 간섭원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 뿐 아니라 간섭원에 대한 검출을 계속해서 진행한다(S990).
도 17은 본 개시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기지국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10),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송신기(1720),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기(1730), 기지국의 동작에 이용되는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1740) 및 수신부와 송신부를 구비한 통신장치(17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기지국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기지국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의 통신장치(1750)의 수신부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이 발생한 것을 지시하는 간섭 발생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의 제어부(1710)는 간섭 발생 정보를 기초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다. 통신장치(1750)의 송신부 및 수신부는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한 송신부와 수신부이며, 일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송신부(1720) 및 상향링크 수신부(1730)는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통신장치(1750)의 수신부와 상향링크 수신부가 같은 장치로 동작 또는 구현되고, 통신장치(1750)의 송신부와 햐항링크 수신부가 같은 장치로 동작 또는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통신장치(1750)의 송신부와 수신부는 위치측정서버와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장치의 송신부 및 수신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10)는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주파수대역을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710)는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을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전송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통신장치(1750)의 수신부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1750)의 수신부가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통신장치(1750)의 송신부를 통해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장치(1750)의 수신부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10)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을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의 실시예를 순서도에 도시한다. 도 10의 실시예는 LTE 시스템에 대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기술하였으나, 이는 GSM, W-CDMA 등 타 시스템에서도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은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설정을 결정한다(S1010). 기지국은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의 요청에 따라 타겟단말기와의 링크를 형성하여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기지국은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가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지 판단한다(S1020). 기지국이 간섭원에 대한 사전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간섭원에 대한 사전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에게 전송한다(S1030). 전송하는 정보는 간섭원이 될 수 있는 단말기가 사용하는 RNTI, 상향링크 확산부호, 자원할당 정보, 링크의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전송하는 파라미터는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에 따라서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정을 점선의 박스로 표시하였다.
이 후, 기지국은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신호측정기가 검출한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40). 신호측정기가 검출한 간섭원을 보고 받은 경우, 기지국은 간섭원과 타겟단말기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또는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자원할당을 변경한다(S1050). 이 과정에서 간섭원이 사용하는 주파수 또는 시간의 자원을 변경할 수 있다. 자원할당의 변경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알리고(S1060), 새로운 환경에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신호측정기가 검출한 간섭원의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려 간섭원을 제거하는 방법을 진행하더라도 모든 간섭원을 제거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타겟단말기가 광대역의 PUSCH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시점에 다른 사용자가 같은 시간에 PUSCH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하면 타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경우 PUSCH를 타겟단말기 하나만 전송하도록 설정하여도 같은 셀 내의 다른 단말기가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UCCH가 PUSCH에 대하여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타겟단말기가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에는 PUCCH가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일부 PUCCH의 전송시간을 비워놓고 상기 시간에 타겟단말기 혼자서 PUSCH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PUCCH로 사용되는 대역의 정보를 알려주고 타겟단말기 한 대만 PUSCH를 전송하도록 자원할당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에 시스템의 대역폭보다 좁은 대역의 수신필터를 사용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여 PUCCH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에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향링크 수신 대역폭을 감소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LTE 시스템의 상향링크는 PUCCH가 전송되는 양쪽 끝 영역과 PUSCH가 전송되는 가운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USCH가 전송되는 TTI는 임의접근으로 할당된 자원이 있는 TTI를 피하여 할당할 수 있다. 상반부의 세로축은 시간이고 가로축은 주파수 축을 나타낸다. 전체 시스템 대역폭인 PUCCH 영역과 PUSCH 영역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수신기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그것이 도 11의 신호측정기의 제1 수신대역폭이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신호측정기에게 PUCCH에 사용되는 영역의 정보를 전달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향링크 수신대역폭을 좁게 하여 수신하는 것이다. 도 11의 신호측정기의 제2 수신대역폭이 바로 좁혀진 수신 대역폭이다. 그리고, 신호측정기는 상기 시점이 지난 후 다시 넓은 대역의 수신대역폭으로 변경하여 수신한다. 즉,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에 수신대역폭을 좁게 하여 (신호측정기의 제2 수신대역폭으로) 이를 수신하고 나머지 구간에는 넓은 대역폭의 수신대역폭으로(신호측정기의 제1 수신대역폭)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한 상향링크의 PUSCH 전송에 있어 한 순간에 하나의 PUSCH만을 전송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다른 채널을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해 전송하는 채널인 PUSCH 신호에 주파수축으로 일정량의 보호대역을 두어 상기 보호대역에는 다른 단말기들이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자원할당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호대역을 사용하는 PUSCH 채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의 세로축은 시간을, 가로축은 주파수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해 전송하는 상향링크 채널인 PUSCH 양쪽으로 보호대역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보호대역은 같은양의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PUSCH 신호를 설정하면, 주변의 보호대역에는 다른 단말기에게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하지 않는다. 단 상기 보호대역은 타겟단말기에게는 자원할당이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대역 양쪽으로 다른 단말기들에게 할당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존재한다. 상기 대역에는 타 단말기들에게 자원할당을 수행한다. 상기 타사용자에게 할당 가능한 대역에는 PUCCH로 할당된 대역도 포함된다.
신호측정기는 도 11에서와 같이 두 개의 각기 다른 대역폭으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측정한다. 상기한 12에서 시스템의 상향링크 대역폭이 도 11의 상향링크 제1 수신대역폭에 해당한다. 이보다 더 좋은 상향링크 제2 수신대역폭으로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인 PUSCH를 수신한다. 신호측정기는 상향링크 제2 수신대역폭으로 도 12의 대역폭3보다 작은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필터를 포함한 상향링크 수신기를 제2 수신대역폭으로 설정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하여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기의 대역폭을 대역폭3보다 작게 대역폭4보다는 크게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신호측정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대역의 폭의 정보를 신호측정기가 알아야 한다. 상기 정보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서 신호측정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이 위치측정서버에 알리고, 위치측정서버가 신호측정기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기지국과 신호측정기 사이에 사전에 약속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몇 가지의 보호대역의 대역폭정보를 사전에 약속하고 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 대역이 10MHz 인경우,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 경우 5MHz의 대역으로 수신대역폭을 변경하여 수신할 수 있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10MHz의 대역폭으로 수신하는 것이다. 이렇게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 동안 신호측정기는 LTE 규격에서 사용하는 대역폭 중 사용하는 상향링크 대역폭보다 한 단계 좁은 대역폭의 수신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MHz 대역폭의 시스템에서는 5MHZ의 대역폭을, 20MHz 대역폭의 시스템에서는 15MHz의 대역폭을 제2 수신대역폭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PUCCH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바로 인접한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간섭 또한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제2 수신대역폭을 너무 많은 가능성을 둔다면 신호측정기의 구현이 복잡해질 수 있다. LTE 및 5G 시스템에서는 몇 가지 가능한 대역폭이 상향링크에 정의되어 있고, 시스템은 이 중 하나로 동작한다. 상기 정의된 상향링크 대역폭에 해당하는 값을 제2 수신대역폭으로 하면 큰 복잡도의 증가없이 신호측정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신호측정기가 항상 좁은 대역폭인 제2 수신대역폭으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PUCCH 또는 SRS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수신대역폭을 가변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대역폭을 좁게 변경하는 경우,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PUSCH 신호의 일부를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수신대역폭의 변경을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리고, 타겟단말기에게 할당하는 PUSCH의 대역폭을 이것을 고려하여 설정하게 할 수 있다. 즉, 광대역의 제1 수신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작은 대역폭의 신호를 타겟단말기가 PUSCH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호측정기가 사용하는 수신대역폭의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알려서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이를 고려하여 PUSCH 대역폭을 조절하게 할 수도 있지만,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PUSCH의 대역폭을 직접 요청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를 반영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신호측정기 여러 대가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같은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모든 신호측정기가 수신대역폭을 동시에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신호측정기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치측정서버에서 수신대역폭의 변경을 판단하고 이를 신호측정기들에게 알려서 신호측정기들이 동시에 변경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으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간섭을 판단하여 개별적으로 수신대역폭을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치측정서버에 알려서, 위치측정서버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대역폭 조정을 알리거나, 또는 타겟단말기의 PUSCH 신호대역폭을 조정하도록 요청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서 신호측정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대역폭의 변경의 실시예를 순서도로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호측정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PUCCH가 사용되는 정보를 수신한다(S1310). 이 과정은 생략이 가능하나, 이를 바탕으로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수신필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 가능하다. 보통 때에는 신호측정기는 제1 수신대역폭으로 동작한다(S1320). 여기서 제1 수신대역폭은 타겟단말기가 실제로 사용하는 LTE 상향링크 대역폭을 뜻한다. 상기 대역폭은 기지국의 수신기가 한 대역의 LTE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하는 대역폭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한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30).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신호측정기는 기존에 동작하던 제1 수신대역폭으로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타겟단말기가 광대역 PUSCH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신호측정기는 제1 수신대역폭보다 좁은 대역인 제2 수신대역폭으로 동작한다(S1340). 그리고,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한 PUSCH 전송을 끝낸 후에는 다시 제1 수신대역폭으로 수신대역폭을 조정한다. 상기한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해 전송하는 PUSCH를 광대역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협대역의 PUSCH를 사용하더라도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려두는 바이다.
LTE 시스템의 경우 상향링크로 단말기가 PUCCH 또는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측정기는 상기 채널들을 사용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PUCCH와 SRS는 같은 주파수, 시간 자원에 대해 여러 개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타단말기들이 서로 다른 부호로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자원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간섭으로 인해 위치측정기가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제대로 검출 및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겟단말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SRS 또는 PUCCH의 자원에 다른 단말기들에게 같은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제안한다. 즉, 타겟단말기가 SRS 또는 PUCCH를 전송하는 시간, 주파수에는 타단말기들이 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 위치측정기의 타겟단말기 신호 검출 및 측정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한 타겟단말기가 SRS 또는 PUCCH를 전송하는 자원에 타단말기의 자원을 할당하되 간섭이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타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는 타단말기가 위치측정기 또는 타겟단말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타겟단말기 또는 위치측정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로부터 타단말기가 멀리 떨어져서 간섭이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지국은 타단말기의 상향링크 간섭의 영향이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타단말기에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SRS 또는 PUCCH 자원을 할당한다.
상기한 판단의 근거로 기지국은 타단말기의 위치 추정값과 타겟단말기의 위치측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단말기와 위치측정기의 위치의 값을 위치측정서버로부터 받아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정보를 추정하는데 단말기가 측정한 하향링크 채널상태 (RSRP, RSRQ), 단말기의 인접기지국 측정결과, 단말기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정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간섭원을 해당 상향링크 주파수에서 제거하거나, 자원할당을 달리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검출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간섭을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상향링크 주파수의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같은 셀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이는 활성상태에 있는 모든 또는 일부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활성상태라 함은 음성 및 데이터를 기지국과 주고 받는 상태를 뜻한다. 또는, 상황에 따라,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기도 잠재적인 간섭원으로 판단하여 타 주파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타겟단말기 주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들을 선별적으로 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첫 번째 가능한 방법이 해당 주파수에 있는 활성화되어 있는 단말들 일부 전부를 다른 주파수로 옮겨서 서비스 하는 것이다. 이는 본 개시의 장치가 간섭원으로 리포트하지 않은 단말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셀의 모든 단말을 이동하는 방법이 있지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들만 다른 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활성화된 단말기의 서비스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한 특성조건은 하향링크 채널상태, RSRP, RSRQ 등의 측정값이 일정범위에 있는 경우의 단말기에 주파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타겟단말기 주변에 있거나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를 다른 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은 단말기들에게 하향링크 채널상태, 위치정보 등을 보고하도록 하고 수신된 보고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 주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송신 출력값에 근거하여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주파수 이동을 기지국이 명령할 수 있다. 또 다른 조건으로 특정 빈도 또는 데이터율 이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다른 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많은 해당 주파수의 사용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성화된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기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해당 주파수의 전송을 멈추도록 하고 이 시간 동안에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활성화된 일부 또는 전부의 단말기들을 주기적으로 미리 정한 짧은 시간 동안 현재 서비스 받는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 이동하도록 명령하고 이 시간 동안에 타겟단말기들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미리 정한 짧은 시간이 지나면 다른 주파수로 이동했던 단말기들은 원래 주파수로 돌아와서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수행하게 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Inter Frequency Search이다. Inter Frequency search를 기지국이 명령하면 이 명령을 받은 단말들은 지시 받은 시간에 다른 주파수를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따라서 상향링크의 전송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같은 셀에서 활성화 되어 있는 단말기 일부 또는 전부가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상기한 일부 단말기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일부의 단말기를 선택하여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특성조건은 하향링크 채널상태, RSRP, RSRQ 등의 측정값이 일정범위에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타겟단말기 주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를 inter frequency search를 명령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은 단말기들에게 하향링크 채널상태, 위치정보 등을 보고하도록 하고 수신된 보고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 주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기를 선택하고, 이 단말기를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송신 출력값에 근거하여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조건으로 특정 빈도 또는 데이터율 이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들이 모두 같은 시간에 타 주파수 탐색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탐색 주기도 동일하게 설정하여 여러 단말기들이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여 탐색하는 시간이 중복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에 타겟단말기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는 광대역 신호가 되어 정확한 시간지연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광대역의 PUSCH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nter-frequency search를 사용하여 활성화된 단말 일부 또는 전무를 일정 시간동안 상향링크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설정하고, 타겟단말기가 상기 시간구간에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신호측정기가 측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향링크를 전송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에도 확대할 수 있다. 즉,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도 임의접근등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도 일정시간동안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시간을 활성화된 단말들이 inter-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시간과 중첩되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본 개시에서 활성화된 타 단말기들이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시간과 타겟단말기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활성화된 간섭원 또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들이 동시에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고, 상기 시간 동안에 타겟단말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과정에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활성화된 단말기를 모두 같은 시간에 inter frequency search를 하도록 설정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N개의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를 inter frequency search를 하도록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과정에서 타겟단말기가 속해 있는 셀, 주파수 대역에 있는 활성화된 단말기 일부 또는 전부를 inter frequency search를 하도록 설정한다. 이 때 모든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들이 같은 시각에 같은 시간동안 inter frequency search를 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inter frequency search는 단말기가 이 시간동안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의 실시예 중 하나이다. 활성화된 단말기들에게 하나 이상에게 미리 정한 일부 시간동안 상향링크 전송을 하지 못하게 하는 다른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멈추게 하고 상기 시간에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멈추게 되며, 상기 멈추는 시간구간을 같은 시간구간이 되도록 설정하면 더욱 측위가 효율적이 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타겟단말기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 상향링크 전송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타겟단말기가 한 번의 inter frequency search 구간 동안 시분할 방식으로 광대역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전송을 멈추는 시간 동안 타겟단말기가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다수의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 타겟단말기들이 전송하는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5에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타겟단말기의 신호전송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의 실시예는 도 14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활성화된 단말기들이 상향링크 신호전송을 멈추는 구간 (즉,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경우 타겟단말기들이 FDM의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는 각 타겟단말기들이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을 증가하여 먼 거리에서도 검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5에서 각기 다른 타겟단말기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타겟단말기들이 CDM의 방식으로 광대역의 신호를 전송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이러한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여 타겟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4, 도 15의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구간 동안에 타겟단말기들의 신호를 측정한다. 여러 개의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에 여러 단말기들의 신호를 각각 측정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본 개시의 위치측정서버는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활성화된 단말기들이 신호전송을 멈추는 구간 (즉, inter frequency search를 수행하는 구간)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한다. 이는 이동통신 기지국이 직접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기지국이 위치측정서버에게 알리고 위치측정서버가 이를 신호측정기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주위의 활성화된 단말기들이 신호 전송을 멈추는 것을 고려하여 AGC 동작을 포함한 수신기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가 미리 약속된 시간, 주기로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식과 파라미터를 기지국과 신호측정기 사이에 미리 약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겟단말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자원할당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기지국이 타겟단말기에게 자원할당을 하는 하향링크 채널인 PDCCH의 정보를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가 수신하여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신호측정기가 햐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PDSCH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정보를 수신한 신호측정기는 PDCCH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들의 상향링크 신호 검출을 수행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가 상기 정보를 사전에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에게 사전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를 기지국이 신호측정기에게 직접 전송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이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고 위치측정서버가 신호측정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개시의 신호측정기는 PDCCH를 수신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검출이 가능하다. 또 다른 가능한 방법으로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 및 inter-frequency search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과 본 발명의 신호측정기 사이에 미리 약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와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에서 기지국의 시간 동기를 확보하는 과정과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의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타겟단말기의 존재여부 및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장치에서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상향링크의 수신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타겟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상향링크 수신기만을 포함한 신호측정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개시에서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에 간섭원으로 동작하거나 동작 가능한 단말기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알리는 과정과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단말기에게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과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가 서로 상이한 상향링크 자원으로 통신하도록 설정하여 타겟단말기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기지국은 타겟단말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간섭원으로 동작 가능한 단말기가 서로 상이한 상향링크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설정하여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간섭을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신호측정기의 상향링크 수신대역폭을 상향링크 신호의 대역폭과 다르게 설정하여 타겟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보다 잘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작은 타겟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측정용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는 경우에만 수신대역폭을 변경하여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거나 활성화된 단말기 일부 또는 전부를 특정시간에 inter frequency search를 하게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일정구간동안 전송하지 못하게 함으로 타겟단말기 상향링크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시간에 타겟단말기가 측위를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고, 신호측정기는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는 한 시스템에 위치하거나 두 대 이상의 시스템에 배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개시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신호측정기
310: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320: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330: 제어부
340: 통신부
350: 입력부
360: 디스플레이부
370: GPS 수신부
310: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320: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330: 제어부
340: 통신부
350: 입력부
360: 디스플레이부
370: GPS 수신부
Claims (19)
- 위치 측정의 대상이 되는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상기 기지국이 상기 타겟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 또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하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간섭 발생 정보 또는 상기 간섭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 전송하는 신호측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서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간섭원 정보를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기. -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신호 측정기에서 위치 측정의 대상으로 판단된 타겟단말기에 대해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연계하고, 상기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타겟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간섭원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위치측정서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측정서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신호측정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측정서버. - 신호 측정기에서 위치 측정의 대상으로 판단된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 또는 상기 간섭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간섭 발생 정보 또는 상기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을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전송 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호측정기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측정기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신호측정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위치 측정의 대상이 되는 타겟단말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상기 기지국이 상기 타겟단말기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 또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간섭원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간섭 발생 정보 또는 상기 간섭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 또는 위치측정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측정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단계는,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에서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신호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 타 단말기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간섭원의 가능성이 있는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측정방법. -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신호 측정기에서 위치 측정의 대상으로 판단된 타겟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에 대한 간섭 발생 정보 또는 상기 간섭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원에 대한 정보를 신호측정기 또는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간섭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주파수대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서 간섭을 일으킨 타 단말기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을 상기 타겟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전송 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신호측정기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단말기의 상향링크 자원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상기 신호측정기 또는 상기 위치측정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10591 WO2020040531A1 (ko) | 2018-08-20 | 2019-08-20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CN202410548510.6A CN118337316A (zh) | 2018-08-20 | 2019-08-20 | 无线通信系统中终端信息收集设备的上行链路干扰的控制方法和设备 |
CN201980054819.7A CN112602364A (zh) | 2018-08-20 | 2019-08-20 | 无线通信系统中终端信息收集设备的上行链路干扰的控制方法和设备 |
EP19852418.3A EP3843485A4 (en) | 2018-08-20 | 2019-08-20 |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INTERFERENCE CONTROL OF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7/269,297 US20210185636A1 (en) | 2018-08-20 | 2019-08-20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interference of terminal information-collect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20210086043A KR102639312B1 (ko) | 2018-08-20 | 2021-06-30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679 | 2018-08-20 | ||
KR20180096679 | 2018-08-20 | ||
KR20180114866 | 2018-09-27 | ||
KR1020180114866 | 2018-09-2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043A Division KR102639312B1 (ko) | 2018-08-20 | 2021-06-30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1421A KR20200021421A (ko) | 2020-02-28 |
KR102273913B1 true KR102273913B1 (ko) | 2021-07-07 |
Family
ID=69638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1424A KR102273913B1 (ko) | 2018-08-20 | 2019-08-19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KR1020210086043A KR102639312B1 (ko) | 2018-08-20 | 2021-06-30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043A KR102639312B1 (ko) | 2018-08-20 | 2021-06-30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185636A1 (ko) |
EP (1) | EP3843485A4 (ko) |
KR (2) | KR102273913B1 (ko) |
CN (2) | CN11833731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2873B1 (ko) | 2018-07-03 | 2021-02-0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시지 전송 요청 장치 및 그 방법, 메시지 전송 관리 서버, 그리고 기지국 |
WO2020009472A1 (ko) * | 2018-07-03 | 2020-01-0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시지 전송 요청 장치 및 그 방법, 메시지 전송 관리 서버, 그리고 기지국 |
WO2022050787A1 (ko) * | 2020-09-04 | 2022-03-1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통신 방식 및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15664A1 (en) | 2010-07-15 | 2012-0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60285602A1 (en) | 2013-12-13 | 2016-09-2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005015721D1 (de) * | 2005-06-15 | 2009-09-10 | Alcatel Lucent | Verfahren zur Aufwärtsinterferenzkoordinierung in Monofrequenznetzen, Basisstation und Mobilnetz dafür |
CN101534507B (zh) * | 2008-03-12 | 2014-04-16 | 株式会社Ntt都科摩 | 物理资源的分配方法及装置 |
US8958371B2 (en) * | 2008-09-12 | 2015-02-17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ference management for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
KR101010841B1 (ko) * | 2008-12-17 | 2011-01-2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일반모드와 긴급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ism 대역 내에서의 지그비 채널 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
CN102474731B (zh) * | 2009-08-19 | 2015-01-07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移动通信系统、网络管理装置、宏小区基站装置及干扰控制方法 |
KR101051752B1 (ko) * | 2009-09-11 | 2011-07-2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협력통신 기반의 측위 방법 |
EP2578035B1 (en) * | 2010-05-26 | 2016-11-0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equipment positioning us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
JP5388955B2 (ja) * | 2010-06-21 | 2014-01-15 | 株式会社Nttドコモ |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
EP2664198B1 (en) * | 2011-01-11 | 2015-06-17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Uplink interference reduction at base station with restricted wireless access |
CN102118758B (zh) * | 2011-01-28 | 2015-06-0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gsm系统和lte系统共享频谱的方法及其系统 |
US8611823B2 (en) * | 2011-06-16 | 2013-12-17 | Blackberry Limited | Mobile guided uplink interference management |
JP5793252B2 (ja) * | 2011-12-20 | 2015-10-14 | 京セラ株式会社 | 小セル上りリンク干渉軽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US9642148B2 (en) * | 2012-05-01 | 2017-05-02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adaptiv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configurations |
KR101370056B1 (ko) * | 2012-06-29 | 2014-03-06 |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 매크로셀 및 펨토셀 간의 간섭 완화/제거 장치 및 방법 |
EP2897308B1 (en) * | 2012-09-16 | 2019-08-2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ooperative transmission |
KR102052420B1 (ko) * | 2012-11-02 | 2019-12-05 | 코란씨, 엘엘씨 |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JP5833793B2 (ja) * | 2013-02-27 | 2015-12-16 |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
CN103354482B (zh) * | 2013-06-17 | 2017-09-29 |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及基站和用户设备 |
KR102122814B1 (ko) * | 2013-07-10 | 2020-06-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
EP3163932B1 (en) * | 2014-07-29 | 2018-12-0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device |
KR102316996B1 (ko) * | 2015-04-10 | 2021-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간섭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KR102305628B1 (ko) * | 2015-05-11 | 2021-09-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이중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간섭 신호를 제거하고 하향링크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는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2497723B1 (ko) * | 2016-01-21 | 2023-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위치 기반 무선간섭 탐지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단말장치 |
KR101779767B1 (ko) * | 2016-07-04 | 2017-09-21 | 비트레스 주식회사 | 신호 분석을 통한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DE112017003825T5 (de) * | 2016-10-03 | 2019-04-18 | Intel IP Corporation | Uplink-positionierung für schmalband-internet der dinge |
CN106793069A (zh) * | 2016-11-28 | 2017-05-31 |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 一种定位方法及装置 |
EP3783973A4 (en) * | 2018-04-20 | 2022-03-16 |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A MOBILE DEVICE |
KR20200040676A (ko) * | 2018-10-08 | 2020-04-2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위치측정기 및 그 위치측정방법 |
US12041578B2 (en) * | 2018-10-31 | 2024-07-16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uplink and downlink positioning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
-
2019
- 2019-08-19 KR KR1020190101424A patent/KR1022739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20 EP EP19852418.3A patent/EP3843485A4/en active Pending
- 2019-08-20 US US17/269,297 patent/US20210185636A1/en active Pending
- 2019-08-20 CN CN202410548510.6A patent/CN118337316A/zh active Pending
- 2019-08-20 CN CN201980054819.7A patent/CN112602364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06-30 KR KR1020210086043A patent/KR1026393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15664A1 (en) | 2010-07-15 | 2012-0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60285602A1 (en) | 2013-12-13 | 2016-09-2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43485A1 (en) | 2021-06-30 |
CN112602364A (zh) | 2021-04-02 |
EP3843485A4 (en) | 2022-05-25 |
KR20210084406A (ko) | 2021-07-07 |
CN118337316A (zh) | 2024-07-12 |
KR102639312B1 (ko) | 2024-02-22 |
KR20200021421A (ko) | 2020-02-28 |
US20210185636A1 (en)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96481B1 (en) |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2439942B1 (ko) | 이동 단말기의 위치측정시스템 | |
KR102639312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수집장치의 상향링크 간섭제어 방법 및 장치 | |
JP2016506180A (ja) | 無線接続時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品質指示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 |
KR102463766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위치측정기 및 그 위치측정방법 | |
KR102055722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단말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0091805B2 (en) | Method in a network and network node for co-scheduling in a network | |
JP7480946B2 (ja) | 位置測定器、位置測定サーバ、及び位置測定方法 | |
KR102411353B1 (ko) | 기지국 및 신호 전송 설정 방법, 그리고 신호측정기 및 그 방법 | |
KR102439939B1 (ko) | 제어정보 수신 장치 및 방법, 신호 측정 장치 그리고 위치 측정 서버 및 방법 | |
KR102347447B1 (ko) | 단말기의 위치측정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344260B1 (ko) | 메시지 전송 요청 장치 및 그 방법, 메시지 전송 관리 서버, 그리고 기지국 | |
KR102608045B1 (ko) |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
KR102212873B1 (ko) | 메시지 전송 요청 장치 및 그 방법, 메시지 전송 관리 서버, 그리고 기지국 | |
KR102695435B1 (ko) | 위치 측정을 위한 측위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
KR102539275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을 활용한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20031531A (ko) |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통신 방식 및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EP4451589A2 (en) | Base station and signal transmission configuration method, and sig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 |
KR20220132462A (ko) |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