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116B1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5116B1 KR102195116B1 KR1020200071512A KR20200071512A KR102195116B1 KR 102195116 B1 KR102195116 B1 KR 102195116B1 KR 1020200071512 A KR1020200071512 A KR 1020200071512A KR 20200071512 A KR20200071512 A KR 20200071512A KR 102195116 B1 KR102195116 B1 KR 102195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ion
- screw
- sewage
- section
- mov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806 kitchen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788 Cydonia ob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9 har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78 househol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5 sol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후 압착하고 건조시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crushing, compressing and drying food waste from a househol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전용 봉투에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한 양이 될 때까지 모으거나 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악취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household waste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ese food wastes are separated and disposed of in bags exclusively for food waste. The food waste discharged in this wa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ollected until it reaches a certain amount or that an odo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압착으로 탈수 시킨 후 건조하여 배출하는 방식의 주방용 오물 분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주방용 오물 분쇄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건조시간이 음식물 쓰레기의 전체를 처리하는 대부부의 시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전체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조시간의 단축이 필요하다. 주방용 오물 분쇄기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최대한 압착시켜 오수(wastewater)의 탈수율을 높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such disadvantages, kitchen waste grinde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food waste is crushed, dehydrated by compression, and then dried and discharged. In such a kitchen waste grinder, the drying time required to dry the food waste takes up most of the time for processing the entire food was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drying time in order to shorten the total processing time of food waste. As a method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the kitchen waste grinder,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by increasing the dehydration rate of wastewater by compressing food waste as much as possible and drying the dehydrated food waste.
한편, 분쇄회수방식의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한국물기술인증원에서 발행한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인증서를 획득해야 일반 가정에서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 소비자가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의 80% 이상을 반드시 회수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kitchen waste grinder of the pulverization and collection method can be used legally in general households only after obtaining the certificate of the kitchen waste grinder issued by the Korea Water Technology Certification Institute. In order to receive such a certificate, the consumer must be able to recover at least 80% of the food waste solids.
그리고, 환경보호에 따른 정책적 변화, 사회경제적 변화 및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파쇄용 커터를 사용하여 파쇄하고 압착 성능이 향상된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압착하여 80% 이상 회수하고, 2차로 자연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경인증규제를 만족하는 친환경적인 파쇄건조 회수형 음식물처리기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policy changes, socio-economic changes and techn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protection, household food waste is crushed first by using a crushing cutter, and solids of food waste are compressed using a compression device with improved compressio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co-friendly crushed-drying recovery type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that satisfies environmental certification regulations by establishing a system capable of recovering more than% and drying with natural wind.
또한,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통상적으로 씽크대의 배출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원활한 작동과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씽크대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므로 설치 공간의 제약이 있어 컴팩트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주방용 오물 분쇄기는 위에서 언급한 조건을 동시에 가지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과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itchen waste grinder is normally installed and used at the outlet of the sink, it must have smooth operation and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kitchen waste grinder is installed in a narrow space under the sink, there is a limitation in installation space, so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it compactly. Conventional kitchen waste grinders do not have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t the same tim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 quality and marketability are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여 파쇄된 고형물을 압착성능이 향상된 압착부에서 압착시켜 탈수효율을 높이고 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고형물 만을 회수하여 관련 법규를 만족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dehydration efficiency by crushing food waste and compressing the crushed solids in a compression unit with improved compression performance. It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satisfies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y smoothly discharging sewage and recovering only solids.
또한, 본 발명은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improves quality and marketability by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the pressed solid food waste.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컴팩트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o be easily installed under the sink.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원을 전달받아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키는 압착부, 그리고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된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며,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food waste by receiving a driving source of the driving unit, and compressing the food waste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Comprising a compression unit,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solids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unit,
상기 압착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파쇄된 고형물을 압착시키는 압착스크류, 상기 압착스크류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압착부 하우징을 포함하고,The crimping unit includes a crimping screw for compressing the crushed solid material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a crimping unit housing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crimping screw,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파쇄된 고형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간(A), 상기 유입구간(A)을 지나온 고형물을 1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1 압착구간(B), 그리고 상기 제1 압착구간(B)을 지나온 고형물을 2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2 압착구간(C)을 포함하며,The compression unit housing includes an inlet section (A) through which crushed solids are introduced, a first compression section (B) for separating waste water by first pressing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let section (A), and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 It includes a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for separating sewage by secondary compression of the solid material that has passed B),
상기 유입구간(A)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제1 오수이동홈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1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2 오수이동홈부, 그리고 상기 제2 압착구간(C)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2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3 오수이동홈부를 포함하며,A first sewage moving groove for guiding the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material in the inlet section (A), a secon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the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material in the first pressing section (B) and connected to the first sewage moving groove A moving groove, and a thir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in the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moving groove,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상기 압착부 하우징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져 제2 오수이동홈부가 형성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상기 압착스크류의 스크류 블레이드 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압착되는 고형물을 절단하는 분쇄날부, 그리고 상기 분쇄날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의 기울기에 비하여 더 큰 기울기를 가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crimping part housing is inclin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imping part housing in the first crimping section (B),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on which a second sewage moving groove is formed, and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ward the screw blade of the crimping screw.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crushing blade portion for cutting the solid material that is protruding and compressed,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crushing bla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having a larger slope than the slop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provide.
상기 제3 오수이동홈부는 상기 압착부 하우징의 저면에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sewage moving groove part is formed of a groove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ression part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moving groove part.
상기 분쇄날부와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제1 압착구간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통과하는 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crushing blade and the screw blade through which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material passes in the first pressing section.
상기 제2 압착구간(C)에는 상기 제3 오수이동홈부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형물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is formed in the second pressing section (C)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olid matt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between the third sewage moving grooves.
상기 압착부는 압착부 케이스, 상기 압착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키는 압착스크류, 상기 압착스크류를 관통하여 상기 압착부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는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압착스크류의 선단에 밀착되어 압착된 고형물을 배출하고 오수는 차단하는 실링, 그리고 상기 압착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실링을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실링을 고정하는 실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며,The crimping part is a crimping part case, a crimping screw disposed inside the crushed food waste to compress the crushed food waste, a screw tip fixing member penetrating the crimping screw and inserted into the crimping part case, and fixing the screw tip A seal that is fixed to the member and at the same ti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ompression screw to discharge the compressed solid and blocks sewage, and a seal that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unit case and presses the seal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to fix the seal Includes absence,
상기 실링은 상기 압착 스크류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압착스크류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에 비해 1.5 배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is supported by the screw tip fixing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rimping screw, and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tip fixing member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crimping screw is 1.5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crew tip fix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more than twice.
상기 압착스크류는 스크류 회전축과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제1 체적조절부와 제2 체적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imping screw includes a screw rotation shaft and a screw blad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rotation shaft,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blade and cut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volume control part having different areas of cross-sections.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cond volume control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압착부 하우징에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가 이동하는 오수이동홈부들을 형성하여 고형물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고형물과 오수가 분리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탈수율이 향상된 고형물의 회수량을 증대시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관련 법규를 만족시키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ecovery amount of solids with improved dehydration rate by forming sewage moving grooves in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to move the wastewater separated from the solids to separate and move the solids and the wastewater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soli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food waste while satisfying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the food waste disposal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압착스크류 선단부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와 분리된 고형물만을 통과시켜 탈수율이 향상된 고형물을 회수하여 건조 시간을 최소화시키고, 건조 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 전체의 처리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rying time by improving the sealing structure at the tip of the pressing screw to collect solids with improved dehydration rate by passing only the separated solids from wastewater, and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the entire food waste due to shortening the drying tim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압착스크류에서 파쇄물이 압착되는 제1 압착공간부와 제2 압착공간부를 구비하고, 제1 압착공간부와 제2 압착공간부의 체적을 다르게 구성하여 서로 다른 탈수율을 가지는 가지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건조부로 이동시키고, 건조부에서 잔존하는 수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고형물로 확산시켜 수분이 빠르게 증발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처리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mpression space portion and a second compression space portion in which the crushed material is compressed from the compression screw, and the first compression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compression space portion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volumes to have different dehydration rates. The food waste is compressed and moved to the drying unit, and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drying unit is diffused to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olids so that the moisture is rapidly evaporated, thereby shortening the drying time and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본 발명은 DC 모터와 유성기어 감속기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 성능 및 안정성 향상은 물론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싱크대의 하부 공간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C motor and a planetary gear reducer to increase the torque even in a small size to improve operation performance and stability, as well as to make it compact, so it is easy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such as a lower space of a sink.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부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스크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크류 블레이드 사이에 체적 변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부 하우징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부 하우징의 내부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스크류와 압착부 하우징의 선단부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실링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 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b 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c-c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압착부 구간에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압착부 구간에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rom a different angle in order to expla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 order to expla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a main part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s to illustrat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imping portion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s in order to expla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imping screw to expla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volume change structure between the screw blade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from a different angle to describ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crew tip fixing member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imping screw and a distal end portion of a crimping unit housing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s to illustrat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ealing to expla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showing a pressing portion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part aa of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portion of FIG. 13.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tion cc of FIG. 13 cut away.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in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se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in the second compression section se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1 to 4 are views showing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프레임(1), 구동부(3), 파쇄부(5), 압착부(7), 그리고 건조부(9)를 포함한다.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프레임(1)은 금속재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부(3), 파쇄부(5), 그리고 압착부(7)가 결합된다. 구동부(3)의 동력전달기어들이 프레임(1)에 결합되어 각각 파쇄부(5)와 압착부(7)로 구동부(3)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The
구동부(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 모터(301)와 유성기어 감속기(303)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3)는 동력전달기어들을 포함하며, 동력전달기어들은 모터드라이브 기어(305), 제1 커터구동 및 전달기어 (307), 제1 커터구동기어(309), 제2 커터구동기어(311) 그리고 압착스크류 구동기어(3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DC 모터(301)와 유성기어 감속기(30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1)의 일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DC 모터(301)는 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기(303)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작은 크기로도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기(303)를 적용하면, 기존의 일반적인 기어 형태의 감속기에 비해 토크를 증대시키면서도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유성기어 감속기(303)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높은 토크를 낼 수 있어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비해 파쇄 및 압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성기어 감속기(303)는 프레임(1)에 결합되는 동력전달기어들을 통해 파쇄부(5)와 압착부(7)에 높은 토크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파쇄부(5)와 압착부(7)에 높은 토크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딱딱한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파쇄할 수 있어 처리 효율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고장을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압착부(7)에 적용되는 압착스크류(701)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어 탈수 효율을 향상시켜 고형물을 빠르게 건조시키는데 유리하다.The
한편, 구동부(3)의 제1 커터구동기어(309)와 제2 커터구동기어(311)는 그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기어치를 다르게 배열하여 제1 파쇄커터 어셈블리(501)와 제2 파쇄커터 어셈블리(503)의 회전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커터구동기어(309)와 제2 커터구동기어(311)가 서로 다른 회전수를 가지도록 하여 파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파쇄부(5)는 호퍼(19)를 통해 전달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파쇄부(5)는 구동부(3)의 모터드라이브 기어(305), 제1 커터구동 및 전달기어 (307), 제1 커터구동기어(309), 제2 커터구동기어(311)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할 수 있다. The crushing
한편, 하우징(11)은 파쇄부(5)를 이루는 파쇄부 하우징(11a)과 압착부(7)를 이루는 압착부 하우징(11b)을 포함한다(도 4 참조). 파쇄부 하우징(11a)과 압착부 하우징(11b)은 일체형 성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압착부(7)는 압착부 하우징(11b)과 압착스크류(701)를 포함한다. 압착스크류(701)는 프레임(1)에 결합되어 구동부(3)의 모터드라이브 기어(305), 제1 커터구동 및 전달기어 (307), 그리고 압착스크류 구동기어(313)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The crimping
압착스크류(701)는 스크류 회전축(701a)과 스크류 블레이드(701b)를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스크류 회전축(701a)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 A와 구간 B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원기둥 구간 A와 구간 B에서 끝단을 향하는 일부 구간 C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크류 회전축(701a)은 구간 D가 구간 A와 B의 직경보다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구간 A는 파쇄부(5)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간이고, 구간 B는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1차로 압착되어 고형물과 오수가 분리되는 1차 압착구간이며, 구간 C는 1차로 압착된 고형물이 2차로 더욱 압착되어 고형물과 오수가 완전히 분리되는 2차 압착구간이며, 구간 D는 2차로 압착된 고형물이 스크류 회전축(701a)의 외주면과 실링(705)의 내주면 사이로 배출되는 배출구간이다.5 and 6, section A is an inflow section into which food waste crushed in the crushing
그리고 스크류 블레이드(701b)는 스크류 회전축(701a)의 외주면에서 간격(a1)을 이루면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크류 블레이드(701b)는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주면에서 회전하면서 파쇄부(5)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여 고형물과 오수로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크류 블레이드(701b)는 간격(a1)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크류 블레이드(701b)는 나선형을 이루면서 스크류 회전축(701a)에 형성된다.The spacing a1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착스크류(70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블레이드(701b)와 인접하는 또 다른 스크류 블레이드(701b) 사이에서 협소부(702a)와 확장부(702b)를 구비한다. 이러한 협소부(702a)와 확장부(702b)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와 인접하는 또 다른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사이를 이루는 부분에서 스크류 회전축(701a)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이 간격이 다르게 이루어진다(도 6에 도시함). 협소부(702a)와 확장부(702b)는 제1 압착구간(B)과 제2 압착구간(C)에서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협소부(702a)와 확장부(702b)는 제1 압착구간(B)에서 압착되는 고형물의 부피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면서 이동하여 압착 성능을 향상시켜 고형물의 탈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nd the crimping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서로 인접한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이 이루는 공간부(701c)와 이 공간부(701c)와 인접하는 또 다른 공간부(701d)의 체적을 다르게 형성한다. 이 공간부(701c, 701d)들은 압착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압착스크류(701)가 회전하면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착될 때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으로 인한 밀도가 달라지도록 확장 및 압축을 반복하여 압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mpression effect by repeating expansion and compression so that the density due to compression of the crushed food waste is changed when the crushed food waste is compressed whil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공간부(701c)와 이와 인접한 또 다른 공간부(701d)의 체적을 다르게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스크류의 일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rt of a crimping screw to explain an example in which the volume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류 회전축(701a)의 외주면의 일정 지점에서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공간부(701c)와 이 공간부(701c)와 인접한 또 다른 공간부(701d)의 체적을 다르게 구성하는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 사이의 공간부(701c)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7, when a virtual line is draw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at a certain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와 스크류 회전축(701a)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한다.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간부(701c)의 체적(Va1)과 이 공간부(701c)와 인접한 또 다른 공간부(701d)의 체적(Va1')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한 지점의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면적을 다르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는 축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는 압착스크류(701)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하거나 가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를 기준으로 인접하는 서로 부분의 공간부(701c, 701d)의 체적을 다르게 하여 압착되는 고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져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압착율을 다르게 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 블레이드(701b)를 기준으로 인접하는 공간부(701c, 701d)가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면, 고형물이 건조부(9)에서 건조될 때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ress the crushed food waste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 7을 기준으로 볼 때,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공간부(701d)에도 체적조절부가 위의 설명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 역시 체적조절부의 단면의 면적이 상술한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ion is omitted, but the volum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이 서로 인접하는 공간부(701c, 701d)를 지나면서 압착되면서 서로 다른 탈수율을 가지며 탈수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고형물은 압착 정도가 다른 고형물이 고형물 수용부(21, 도 1 참조)에 쌓이면서 통기공을 형성한다. 그러면 건조부(9)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고형물 사이에 형성된 통기공을 쉽게 통과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서로 다른 탈수율을 가지는 고형물이 서로 쌓이면 수분 함량이 높은 고형물에서 수분 함량이 낮은 고형물이 수분이 확산되면서 더욱 빠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ed food waste solids are compres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특히, 본 발명의 압착스크류(701)는 스크류 회전축(701a), 압착부 하우징(11b), 제1 체적조절부(701e), 그리고 제2 체적조절부(701f)가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계 단계에서 제1 체적조절부(701e)와 제2 체적조절부(701f)의 크기를 최적화시켜 설계하고 압착스크류(701)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도 탈수 및 건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계속해서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압착부 하우징(11b)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the structure of the
압착부 하우징(11b)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내주면에 제1 오수이동홈부(11c), 제2 오수이동홈부(11d), 그리고 제3 오수이동홈부(11e)의 일부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rimping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압착부(7)의 유입부(A) 구간에 위치하며, 압착부 하우징(11b)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압착부 하우징(11b)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며 오수배출구(23)와 연결된다.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파쇄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간(A)에서 고형물과 분리된 오수 및 제2 오수이동홈부(11d)와 제3 오수이동홈부(11e)에서 전달된 오수를 오수배출구(23)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압착스크류(701)에 의해 압착되는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를 오수배출간극(15) 측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The first sewage moving groove (11c) is located in the inlet (A) s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7),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housing (11b). The first
이러한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오수배출구(23)를 향해 수평을 기준으로 한 경사도인 구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오수이동홈부(11c)는 제2 오수이동홈부(11d)와 제3 오수이동홈부(11e)의 높이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오수이동홈부(11c)로 모인 오수는 원활하게 오수배출간극(15)을 통해 오수배출구(23)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제2 오수이동홈부(11d)는 압착부(7)의 제1 압착구간(B)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오수이동홈부(11d)는 제1 오수이동홈부(11c)와 연결되어 압착부(7)의 제1 압착구간(B)에서 고형물이 압착되면서 분리된 오수를 제2 오수이동홈부(11d)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오수이동홈부(11d)는 제1 압착구간(B)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가 다시 고형물과 섞이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한편, 압착부 하우징(11b)의 제1 압착구간(B)에는 분쇄날부(11f)가 형성된다(도 16 참조). 분쇄날부(11f)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며 간격을 이루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압착부 하우징(11b)의 분쇄날부(11f)는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잘라서 볼 때 뾰족하게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이 뾰족하게 돌출된 부분과 스크류 회전축(701a)의 외주면 사이에 갭(g1)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grinding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 압착부 하우징(11b)는 제1 압착구간(B)의 내주면에서 스크류 블레이드(701b)를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 형태의 완만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1 경사면(11g)과 급격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2 경사면(11h)을 구비한다. 여기서 압착부 하우징의 제2 경사면(11h)의 높이는 압착스크류의 압착율과 연관관계가 있으며, 2mm이하가 바람직하고 최적화가 필요하다. 즉, 제1 경사면(11g)과 제2 경사면(11h)이 만나는 부분이 분쇄날부(11f)가 된다. And referring to FIG. 16, the crimping
그리고 제1 경사면(11g)과 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형성되는 또 다른 제2 경사면(11h)이 이루는 공간 중 압착부 하우징(11b)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오수가 지나는 수로가 된다. In addition, the space formed under the
제1 경사면(11g)은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외주면과 공간을 이루어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그리고 제2 경사면(11h)은 스크류 블레이드(701b)가 회전하면서 고형물을 압착할 때 고형물의 이동을 제한시켜 압착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부분이다. 분쇄날부(11f)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가 회전하면서 고형물을 압착할 때 고형물을 컷팅하거나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제2 경사면(11h)은 압착스크류(701)에 의해 이동하는 고형물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압착스크류(701)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다시 한번 탈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이러한 제2 경사면(11h)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또는 적어도 90보다 큰 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2 경사면(11h)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형물이 끼여 이동이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1h)의 각도가 90도 보다 크면 고형물의 이동이 원활하여 작동의 안정성을 이룰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한편, 갭(g1)은 압착스크류(701)가 회전하면서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가 통과하여 압착부 하우징(11b)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2 오수이동홈부(11d)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ap g1 may pass through the wastewater separated from the solid material while the
또 한편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 하우징(11b)은 그의 선단부에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가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오수이동홈부(11e)의 일부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screw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내주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내주면에 테이퍼진 경사면을 따라 스토퍼(11k)를 구비한다. 스토퍼(11k)는 제2 압착구간(C)에서 고형물의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압착구간(C)에서는 제1 압착구간(B)에서 압착된 고형물을 더욱 압착하여 탈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압착구간(C)에서는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내경이 선단부로 갈수록 축소되는 구조를 이루어 압착률을 극대화시켜 고형물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곳이다. 이러한 제2 압착구간(C)에서는 고형물의 압착율이 유입구간(A)과 비교할 때 약 9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오수이동홈부(11e)는 스토퍼(k)들 사이의 공간부분이다(도 10 참조).The screw
한편, 제3 오수이동홈부(11e)는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하부측 및 압착부 하우징(11b)의 선단부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제2 압착구간(C)에서 압착부 하우징(11b)의 선단부 측의 일부의 형상은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8 참조).Meanwhile, the third
제3 오수이동홈부(11e)는 제2 오수이동홈부(11d)에 연결된다. 제3 오수이동홈부(11e)는 압착스크류(701)에 의해 압착되는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를 제2 오수이동홈부(11d) 측으로 리턴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third
계속해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간(D)의 구조에 대해 도5, 도 11,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구간(D)는 유입구간(A), 제1 압착구간(B) 그리고 제2 압착구간(C)을 통과하면서 압착된 고형물이 수분의 제거된 상태에서 고형물 만을 고형물 수용부로 배출하는 구간이다.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section D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solid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11, and 12 as follows. The discharge section (D) is a section in which only the solids are discharged to the solids receiving section while the solids compres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section (A),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and the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are removed from moistur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압착부(7)의 선단 부분을 압착스크류(701)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crimping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부에 압착스크류(701)가 배치된다. 압착부 하우징(11b)은 그의 선단에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가 결합된다.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압착스크류(701)를 관통하여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와 압착스크류(701)의 선단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실링(705)이 배치된다. 실링(705)은 실링 고정부재(707)에 의해 실링(705)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에 고정된다. 실링 고정부재(707)는 압착부 하우징(11b)의 선단에 체결되며 실링(705)을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A crimping
압착스크류(701)와 압착부(7)에서 발생된 오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부에 형성된 제3 오수이동홈부(11e), 제2 오수이동홈부(11d), 그리고 제1 오수이동홈부(11c)를 지나 오수 배출간극(15)를 통해 오수배출구(23)로 배출된다. 그리고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은 최종적으로 건조통과 같은 고형물 수용부(21)로 이동된다. 이때 압착스크류(701)는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고형물에 최소한의 함수만 포함되게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압착스크류(701)의 외곽에 설치되어 하우징(11b)의 내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는 압착부 하우징(11b)와 장착된 실링 고정부재(707)를 이용하여 실링(705)을 고정시키는 역할로서 외주면을 감싸면서 실링(705)이 배치된다. 실링(705)은 실링 고정부재(707)에 의해 실링(705)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에 고정된다. 실링 고정부재(707)는 압착부 하우징(11b)의 선단에 체결된다. 실링(705)은 실링 연장부(705c)와 스크류 밀착부(705d)에서 고형물의 함수를 최소화시키고 압착스크류(701)의 선단부 외주면과 유연성을 가지는 스크류 밀착부(705d)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고형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Sewage generated from the crimping
한편, 실링(705)은 실리콘과 같은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탈수된 고형물을 배출하고 오수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실링(705)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걸림부(705a), 실링지지부(705b), 실링연장부(705c), 그리고 스크류 밀착부(705d)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70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ome flexibility, such as silicone, and serves to discharge dehydrated solids and block sewage. That is, the sealing 705, as shown in FIGS. 11 and 12, includes a
실링걸림부(705a)와 실링지지부(705b)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실링(705)이 실링 고정부재(70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링지지부(705b)는 실링걸림부(705a)에서 축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링지지부(705b)는 실링 고정부재(707)에 의해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실링연장부(705c)는 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모양으로 연장된다. 실링연장부(705c)는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선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 밀착부(705d)는 실링연장부(705c)에서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착스크류(701)의 선단부 외주면에 밀착된다. 스크류 밀착부(705d)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된 고형물은 배출하고 고형물의 함수 배출을 차단한다.The
실링지지부(705b)의 두께(T1)는 실링연장부(705c)의 두께(T2)의 1.5 배 에서 3배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링지지부(705b)의 두께(T1)는 고형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리콘이 밀려날 때 실링지지부(705b)의 실리콘이 수축되어도 실링연장부(705c)에 이어지는 지지공간에 충분히 탄력을 줄 수 있어 실링이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T1 of the sealing
상술한 설명에서 두께(T1)는 실링연장부(705c)의 두께(T2)의 1.5 배 이하인 경우에는, 고형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리콘이 밀려날 때 실링지지부(705b)의 실리콘이 수축되면 실링연장부(705c)로 이어지는 부분의 탄력이 떨어져 고형물과 함께 오수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thickness (T1) is 1.5 times or less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ealing extension part (705c), when the silicon is pushed ou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solid material, when the silicone of the sealing support part (705b) shrinks, the sealing extension par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rt leading to (705c) loses its elasticity and is discharged with solid matter.
그리고 두께(T1)는 실링연장부(705c)의 두께(T2)의 3배의 범위를 넘어가면 불필요하게 실링의 크기가 커지면서 이와 관련된 부품의 크기도 커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T1 exceeds the range of three times the thickness T2 of the sealing
이러한 본 발명의 실링(705)은 모과와 같이 건조한 과일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할 때 배출되는 고형물에 의해 실링연장부(705c)와 스크류 밀착부(705d)가 늘어나게 되고 늘어난 부분의 부피를 보상하여 고형물은 배출하고 오수는 양호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링(705)는 고형물이 배출될 때 실링연장부(705c)와 스크류 밀착부(705d)가 늘어나게 되고 늘어난 부분의 부피를 충분하게 실링지지부(705b)의 체적으로 보상하여 최소한의 함수만 포함된 고형물만 배출하고 오수는 회수가능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aling 70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건조부(9)는 압착부(7)에서 압착된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건조부(9)는 제어가 용이한 BLDC모터가 적용된 송풍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9)는 각각 다른 탈수율을 가지는 공간부(701c, 701d)에서 각각 압착된 고형물이 고형물 수거부에 쌓인 상태에서 고형물들이 이루는 공간 사이로 건조용 공기를 통과시켜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BLDC모터가 적용된 송풍기는 제어가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는 특성상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rying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사용자는 호퍼(19)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그리고 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구동부(3)의 DC모터(301)가 구동된다. DC모터(301)의 구동력은 유성기어 감속기(303)를 통해 동력전달기어들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동력은 파쇄부(5)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압착부(7)의 압착스크류(701)를 회전시킨다.The user puts food waste into the
호퍼(19)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부(5)에서 파쇄되면서 오수와 분리된다. 오수는 오수배출간극(15)을 통해 직하 방향으로 배출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압착부(7)로 이동한다.The food waste put into the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압착부(7)의 유입구간(A)으로 유입되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되는 오수는 제1 오수이동홈부(11c)를 따라 이동하여 오수 배출간극(15)을 통해 오수배출구(23)로 배출된다. When the crushed food waste flows into the inlet section (A) of the pressing unit (7), the sewage separated from the crushed food waste moves along the first sewage transfer groove (11c) and passes through the wastewater discharge gap (15). It is discharged to (23).
그리고 압착부(7)의 압착스크류(701)가 회전하면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킨다.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제1 압착구간(B) 및 제2 압착구간(C)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배출구간(D)로 배출된다. And while the
계속해서 제1 압착구간(B)로 이동된 고형물은 압착스크류(701)의 공간부(701c, 701d)들에 배치되면서 압착부 하우징(11b)의 내면과 밀착되어 압착이 이루어지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solid material moved to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is placed in the spaces (701c, 701d) of the compression screw (70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11b), and is shredded food waste. Of dehydration takes place.
이때 고형물은 압착스크류(701)의 협소부(702a)와 확장부(701b)를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더욱 압착되고, 이 과정을 통해 고형물에서 오수가 분리된다. 계속해서 각각의 공간부(701c, 701d)에서는 각각의 체적(Va1, Va1')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압축력이 작용하면서 각각의 공간부(701c, 701d)를 통과하여 탈수율도 다르게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solid material is further compressed while repeatedly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탈수된 오수는 제2 오수이동홈부(11d)와 제1 오수이동홈부(11c)를 따라 이동하여 오수배출간극(15)으로 이동한다. 이때, 고형물은 압착부 하우징(11b)의 제2 경사면(11h)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압착부 하우징(11b)의 분쇄날부(11f)에 의해 고형물이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형물에서 분리된 오수는 갭(g1)을 통해 제2 오수이동홈부(11d)로 이동한다.And the dehydrated sewage moves along the second
계속해서 고형물은 제2 압착구간(C)으로 이동한다. 제2 압착구간(C)에서는 고형물이 스토퍼(11k)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한번 더 탈수가 이루어진다. 제2 압착구간(C)에서는 제1 압착구간(B)에서 고형물이 충분히 탈수되었으나, 제2 압착구간(C)의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내경 축소 구간을 지나면서 고형물의 압착률을 극대할 수 있다. 고형물이 제2 압착구간(C)을 통과하면서 함수율이 유입구간(A) 대비 93%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압착구간(C)에 분리된 오수는 제3 오수이동홈부(11e)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오수이동홈부(11e)로 이동된 오수는 제2 오수이동홈부(11d)와 제1 오수이동홈부(11c)를 거쳐 오수배출간극(15)를 통해 오수배출구(23)로 배출된다.Subsequently, the solid material moves to the second pressing section (C). In the second pressing section (C), while the movement of the solid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11k), dehydration is performed once more. In the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the solids are sufficiently dehydrated in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but the compression rate of the solids is maximized as it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section of the screw
제3 오수이동홈부(11e)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진 테이퍼 홈으로 이루어져 오수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third
즉, 압착스크류(701)의 선단부로 이동하는 고형물은 압착부 하우징(11b) 및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703)의 선단부가 좁아지므로 큰 압력을 받아 오수가 분리된다. That is, the solids moving to the front end of the
계속해서 고형물은 배출구간(D)에서 실링(705)과 압착스크류(701) 선단부의 외주면 사이로 배출된다. 이때 실링(705)에 의해 오수가 고형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은 차단된다. 그리고 고형물은 압착스크류(701)의 선단측으로 배출되고 고형물 수거부에 쌓인다. 그러면 고형물 수거부에서는 서로 다른 탈수율을 가진 고형물이 쌓이면서 서로 비교적 큰 공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조부(9)는 고형물 수거부에 쌓인 고형물이 공극 사이로 건조용 공기가 공급되면서 고형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solid material is discharged between the sealing 70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end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압착스크류(701)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면서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압착스크류(701)의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일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착스크류(701)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이 이루는 저면 부분의 간격 A1과 A2를 다르게 하여 공간부(701c, 701d)의 체적(Va2, Va2')을 다르게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의 사이의 공간부(701c, 701d)의 체적(Va2, Va2')을 다르게 구성하는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보여준다. In the crimping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압착스크류(701)의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일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착스크류(701)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사이의 간격(a3, a3')을 다르게 하여 공간부(701c, 701d)가 서로 다른 체적(Va3, Va3')을 가지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공간부(701c, 701d)는 압착스크류(701)의 전체 영역에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crimping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압착스크류(701)의 스크류 블레이드(701b)의 일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압착스크류(701)는 스크류 블레이드(701b)들의 높이(h1, h2)를 다르게 하여 공간부(701c, 701d)가 서로 다른 체적(Va4, Va4')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다른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the crimping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통해 공간부(701c, 701d)의 체적을 변화시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상술한 실시예들을 혼용하여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changing the volumes of th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프레임,
3. 구동부,
301. DC모터, 303. 유성기어 감속기,
305. 모터드라이브 기어, 307. 제1 커터구동 및 전달기어,
309. 제1 커터구동기어, 311. 제2 커터구동기어,
313. 압착스크류 구동기어,
5. 파쇄부,
7. 압착부,
701. 압착스크류,
701a. 스크류 회전축, 701b. 스크류 블레이드,
701c, 701d. 공간부,
701e. 제1 체적조절부, 701f. 제2 체적조절부,
702a. 협소부, 702b. 확장부
703.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
705. 실링,
705a. 실링걸림부, 705b. 실링가압부,
705c. 실링연장부, 705d. 스크류 밀착부,
707. 실링 고정부재
9. 건조용 송풍부,
11. 하우징,
11a. 파쇄부 하우징, 11b. 압착부 하우징,
11c. 제1 오수이동홈부, 11d. 제2 오수이동홈부,
11e. 제3 오수이동홈부, 11f. 분쇄날부,
11g. 제1 경사면, 11h. 제2 경사면,
11k. 스토퍼
15. 오수배출간극, 19. 호퍼
21. 고형물 수용부, 23. 오수배출구1. Frame,
3. Driving part,
301. DC motor, 303. Planetary gear reducer,
305. Motor drive gear, 307. First cutter drive and transmission gear,
309. 1st Cutter Driving Gear, 311. 2nd Cutter Driving Gear,
313. Crimping screw drive gear,
5. crushed part,
7. Crimping part,
701. Crimping screw,
701a. Screw shaft, 701b. Screw blade,
701c, 701d. Space Part,
701e. First volume control unit, 701f. Second volume control unit,
702a. Narrow part, 702b. Extension
703. Screw tip fixing member,
705. Shilling,
705a. Sealing catch, 705b. Sealing presser,
705c. Sealing extension, 705d. Screw contact area,
707. Sealing fixing member
9. Drying blower,
11. Housing,
11a. Shredding housing, 11b. Crimp housing,
11c. The first sewage moving groove, 11d. 2nd sewage moving groove,
11e. 3rd sewage moving groove, 11f. Crushing blade,
11g. First slope, 11h. The second slope,
11k. stopper
15. Sewage discharge gap, 19. Hopper
21. Solids receiving part, 23. Sewage outlet
Claims (6)
상기 압착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파쇄된 고형물을 압착시키는 압착스크류,
상기 압착스크류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압착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파쇄된 고형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간(A),
상기 유입구간(A)을 지나온 고형물을 1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1 압착구간(B), 그리고
상기 제1 압착구간(B)을 지나온 고형물을 2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2 압착구간(C)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간(A)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제1 오수이동홈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1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2 오수이동홈부, 그리고
상기 제2 압착구간(C)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2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3 오수이동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상기 압착부 하우징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져 제2 오수이동홈부가 형성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상기 압착스크류의 스크류 블레이드 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압착되는 고형물을 절단하는 분쇄날부, 그리고
상기 분쇄날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의 기울기에 비하여 더 큰 기울기를 가지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압착구간(C)에는
상기 제3 오수이동홈부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형물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rame,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food waste by receiving a driving source of the driving unit, a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the food waste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drying for drying the solids compressed by the pressing unit Includes wealth,
The crimping part
A compression screw for compressing the crushed soli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omprising a compression unit housing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compression screw,
The compression part housing
The inlet section (A) where the crushed solids flow in,
A first compression section (B) for separating sewage by first compressing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flow section (A), and
It includes a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for separating the waste water by secondary compression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A first sewage moving groove for guiding sewage separated from solids in the inlet section (A),
A secon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in the first pressing section (B)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ewage moving groove, and
A thir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in the second pressing section (C)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moving groove,
Including,
The compression part housing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n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in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to form a second wastewater moving groove,
A crushing bla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ward the screw blade side of the crimping screw to cut the compressed solid,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grinding bla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having a larger slope than the slop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cluding,
In the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a stopper is formed between the third sewage moving groove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olid matt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상기 제3 오수이동홈부는
상기 압착부 하우징의 저면에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sewage moving groov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groove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moving groove.
상기 분쇄날부와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제1 압착구간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통과하는 갭을 유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maintains a gap between the crushing blade and the screw blade through which sewage separated from solids passes through the first pressing section.
상기 압착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파쇄된 고형물을 압착시키는 압착스크류,
상기 압착스크류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압착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파쇄된 고형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간(A),
상기 유입구간(A)을 지나온 고형물을 1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1 압착구간(B), 그리고
상기 제1 압착구간(B)을 지나온 고형물을 2차로 압착시켜 오수를 분리시키는 제2 압착구간(C)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간(A)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는 제1 오수이동홈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1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2 오수이동홈부, 그리고
상기 제2 압착구간(C)에서 고형물과 분리되는 오수를 안내하며 상기 제2 오수이동홈부와 연결되는 제3 오수이동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압착구간(B)에서 상기 압착부 하우징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져 제2 오수이동홈부가 형성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에서 상기 압착스크류의 스크류 블레이드 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압착되는 고형물을 절단하는 분쇄날부, 그리고
상기 분쇄날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의 기울기에 비하여 더 큰 기울기를 가지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압착부 케이스,
상기 압착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키는 압착스크류,
상기 압착스크류를 관통하여 상기 압착부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지는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압착스크류의 선단에 밀착되어 압착된 고형물을 배출하고 오수는 차단하는 실링, 그리고
상기 압착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실링을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실링을 고정하는 실링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은
상기 압착 스크류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압착스크류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선단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에 비해 1.5 배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rame,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a crushing unit for crushing food waste by receiving a driving source of the driving unit, a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the food waste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drying for drying the solids compressed by the pressing unit Includes wealth,
The crimping part
A compression screw for compressing the crushed soli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omprising a compression unit housing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compression screw,
The compression part housing
The inlet section (A) where the crushed solids flow in,
A first compression section (B) for separating sewage by first compressing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flow section (A), and
It includes a second compression section (C) for separating the waste water by secondary compression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A first sewage moving groove for guiding sewage separated from solids in the inlet section (A),
A secon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in the first pressing section (B)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ewage moving groove, and
A third sewage moving groove that guides sewage separated from the solid in the second pressing section (C)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wage moving groove,
Including,
The compression part housing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n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unit housing in the first compression section (B) to form a second wastewater moving groove,
A crushing bla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ward the screw blade side of the crimping screw to cut the compressed solid,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from the crushing blade and having a larger slope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cluding,
The crimping part
Crimp part case,
A compression screw disposed inside the compression unit case to press the crushed food waste,
A screw tip fixing member penetrating the crimping screw and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crimping part case,
A sealing fixed to the screw tip fix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ressing screw to discharge the compressed solid and block sewage, and
A sealing fix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unit case and presses the seal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s to fix the sealing,
The sealing i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hat is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screw tip fixing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ompression screw i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1.5 times the thickness of a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tip fixing member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ressing screw.
상기 압착스크류는
스크류 회전축과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부의 체적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imping screw is
It includes a screw rotation shaft and a screw blad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rotation shaft,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the volume of each spac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blad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512A KR102195116B1 (en) | 2020-06-12 | 2020-06-12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512A KR102195116B1 (en) | 2020-06-12 | 2020-06-12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5116B1 true KR102195116B1 (en) | 2020-12-24 |
Family
ID=7408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512A KR102195116B1 (en) | 2020-06-12 | 2020-06-12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511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29276A (en) * | 2022-01-05 | 2022-03-25 | 胡灵芝 | Kitchen waste drying and recycling equipment and kitchen waste recycling method |
KR20220126353A (en) | 2021-03-09 | 2022-09-16 | 주식회사 재인지엔에스 |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6042Y1 (en) * | 2001-06-19 | 2001-10-17 | 금유섭 | 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
KR20070056716A (en) * | 2005-11-30 | 2007-06-04 | (주)크린키스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
KR100788470B1 (en) * | 2006-06-22 | 2007-12-24 | 이용원 | The garbage disposal equipment |
KR101564211B1 (en) * | 2014-09-26 | 2015-10-28 | (주)엔포스트 | Food waste disposer using dry screw and dry housing with triangle shaped moving cutter |
KR20160126833A (en) * | 2015-04-24 | 2016-11-02 |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 Food disposer having improved function of wastewater drainage |
KR20180085296A (en) * | 2017-01-18 | 2018-07-26 | 장정훈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
2020
- 2020-06-12 KR KR1020200071512A patent/KR1021951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6042Y1 (en) * | 2001-06-19 | 2001-10-17 | 금유섭 | 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
KR20070056716A (en) * | 2005-11-30 | 2007-06-04 | (주)크린키스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
KR100788470B1 (en) * | 2006-06-22 | 2007-12-24 | 이용원 | The garbage disposal equipment |
KR101564211B1 (en) * | 2014-09-26 | 2015-10-28 | (주)엔포스트 | Food waste disposer using dry screw and dry housing with triangle shaped moving cutter |
KR20160126833A (en) * | 2015-04-24 | 2016-11-02 |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 Food disposer having improved function of wastewater drainage |
KR20180085296A (en) * | 2017-01-18 | 2018-07-26 | 장정훈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6353A (en) | 2021-03-09 | 2022-09-16 | 주식회사 재인지엔에스 |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 |
CN114229276A (en) * | 2022-01-05 | 2022-03-25 | 胡灵芝 | Kitchen waste drying and recycling equipment and kitchen waste recycl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6154A (en) | Juice extractor | |
KR102195116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
KR200379869Y1 (en) |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oodstuffs garbage in a sink | |
KR20210154474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
KR102195115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
KR200189288Y1 (en) | The squeezing device for the juicer | |
KR102423438B1 (en) | Food Disposer | |
KR20210154473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 |
KR20180068617A (en) | Water Remover of Food Garbage | |
KR200414761Y1 (en) | the food rubbish humidity presser structure | |
KR200341886Y1 (en) | Food-waste treatment apparatus | |
KR20190112938A (en) | Compression Screw For Food Garbage Disposer | |
SE452331B (en) | SCREW PRESSURE FOR COMPRESSION AND DRAINAGE OF MORE OR LESS MOISTURE CELLULOSIC AND / OR OTHER FIBROSE MATERIALS IN PIECE FORM | |
KR100503650B1 (en) | A food garbage drier whice adheres to the sink | |
KR10176010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
KR200489359Y1 (en) | Juice squeezing drum and juicer | |
KR200357633Y1 (en) | The shredded wastepaper processing apparatus of a paper shredder with compression enlarging apparatus | |
KR102608264B1 (en) | Screw for Food Waste Pressing Dehydration And Pressing Dehydration Appratus Using the Same | |
KR101010912B1 (en) | Electronic juice extractor | |
KR200396787Y1 (en) | Compress screw structure for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 |
JP6917102B1 (en) | Dehydrator | |
KR100222655B1 (en) | Garbage settlement system | |
KR200366030Y1 (en) | A food garbage drier whice adheres to the sink | |
KR100366197B1 (en) | Apparatus for managing garbage | |
KR102633476B1 (en) | Compression dehyd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