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567B1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9567B1 KR102159567B1 KR1020180054506A KR20180054506A KR102159567B1 KR 102159567 B1 KR102159567 B1 KR 102159567B1 KR 1020180054506 A KR1020180054506 A KR 1020180054506A KR 20180054506 A KR20180054506 A KR 20180054506A KR 102159567 B1 KR102159567 B1 KR 102159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knob
- switch
- contact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설치되어 라이트를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일 측에 설치되는 단자 블록, 단자 블록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조립체, 단자 블록에 결합되어 빛을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 바, 푸시 바가 결합되고,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노브, 및 회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노브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촉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는 라이트의 제1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택트 스위치는 제1 모드와 다른 라이트의 제2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비상등은 해저드 램프, 고장표시등 또는 비상점멸등이라 불리는 램프 장치로써, 차량 전후와 좌우에 각각 설치된 램프가 일정한 간격으로 동시에 점멸되어 위급 상태를 차량의 주위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등의 용도는 차량이 노상에 주차할 경우, 고장에 의해 비상 정지하는 경우 또는 주행 중 전방에 예상치 못한 사고 현장이나 장애물이 출현되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긴급하게 작동되어 후속 차량에게 주행 위험을 경고하는 것이다. 고속 도로에서는 급제동과 함께 비상등을 점등하여 후속 차량이 차간거리 유지에 신중할 수 있도록 경고하는 경고 램프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과 같이 차량이 급증되어 주행 차량이 밀접한 도로 상황에서는 차간 거리의 유지가 쉽지 않을 수 있고, 차량이 밀집되어 고속 주행하는 최근의 외곽 도로에서는 비상등을 통해 주행의 비상 상태를 후속 차량에 경고하여야 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고속 도로에서는 예기치 못하게 자주 정지하는 전방 차량에 의해 급하게 정지해야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본 개시는, 터치 및 푸시 각각의 입력으로 차량의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되어 라이트를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 측에 설치되는 단자 블록; 단자 블록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조립체; 단자 블록에 결합되어 빛을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 바; 푸시 바가 결합되고,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노브; 및 회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노브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촉 스위치를 포함하고, 접촉 스위치는 라이트의 제1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택트 스위치는 제1 모드와 다른 라이트의 제2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조립체는, 접촉 스위치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제1 모드의 작동에 대한 턴-온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용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회로 조립체가 결합되도록 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조립체는, 차량의 BCM과 연결되고,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회로 단자; 및 회로 단자가 설치되고,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는, 노브에 설치되는 접촉 스위치부; 및 일 단이 접촉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PCB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지지부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된 상부벽 및 상부벽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고, 접촉 스위치의 일부는 상부벽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는, 노브에 설치되는 접촉 스위치부; 및 일 단이 접촉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PCB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부는 연결 단자부에 연결되도록 접촉 스위치부로부터 길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단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조립체는 회로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 단자부가 삽입되는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라이트는 적어도 한 번 깜빡거린 후 소등하도록 작동하고, 제2 모드에서, 라이트는 지속적으로 깜박거리도록 작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하여 단자 블록, 케이스, 및 푸시 바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PCB에 광원 및 택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회로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접촉 스위치부와 노브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 단자 블록에 회로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 단자 블록에 케이스를 조립하는 단계; 노브에 푸시 바를 조립하는 단계; 및 노브와 케이스를 조립하면서 연결 단자부로 회로 조립체에 접촉 스위치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는, 접촉 스위치부를 금형 내 배치하는 단계; 및 접촉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브의 상부벽이 에워싸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노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체, 차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라이트, 라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BCM 및 BCM에 연결되는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는, 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블록; 단자 블록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제1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조립체; 단자 블록에 결합되어 빛을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 바; 푸시 바가 결합되고,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노브; 및 회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노브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접촉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BCM으로 전송되어 라이트의 제1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1 입력 신호는 상기 BCM으로 전송되어 상기 제1 모드와 다른 상기 라이트의 제2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트는 비상등, 전조등, 후미등, 안개등 및 실내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는, 스위치 장치의 노브만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터치 및 푸시 각각의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에서 차량의 라이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 장치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입력이 가능하므로, 라이트의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작을 하나의 스위치 장치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도 2a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회로 단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커넥터 핀의 기능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접촉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노브와 접촉 스위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접촉 스위치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접촉 스위치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도 2a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회로 단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커넥터 핀의 기능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접촉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노브와 접촉 스위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접촉 스위치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접촉 스위치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노브가 케이스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노브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가 설치된 차량(V)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를 도 2a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차량(V)의 일 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V)의 라이트는 비상등(hazard lamp, HZL), 전조등(head lamp, HL), 후미등(tail lamp, TL), 안개등(fog lamp, FL) 및 실내등(interior lamp, 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1)는, 예를 들어 차량(V)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위치 장치(1)는 차량(V)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설치되거나, 기어 노브(gear knob)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장치(1)는 차량(V)의 비상등(HZL)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장치(1)는 비상등 스위치 장치가 될 수 있다. 비상등(HZL)이 턴-온 된 상태에서는 차량(V)의 전조등(HL) 모두 및 후미등(TL) 모두에 포함된 방향 지시등과 보조 방향 지시등이 동시에 점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 장치(1)는 차량(V)의 안개등(FL) 또는 실내등(IL)을 턴-온 또는 턴-오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V)의 사용자(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스위치 장치(1)를 통해 비상등(HZL)을 턴-온 하여 차량(V)의 이상 상태에 따른 급정지를 알리거나, 앞선 차량의 흐름 이상 시 뒤따르는 운전자에게 이상을 알리는 등 여러 가지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해당 차량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잠시 주차가 필요한 경우, 도로변에 피치 못하게 정차해야 할 경우, 사고가 났을 경우 등의 위험 상황을 주변 차량에 알릴 수 있다.
스위치 장치(1)가 차량(V)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는 노브(50)만 노출될 수 있고, 케이스(20) 또는 단자 블록(10)은 센터페시아의 내부에 삽입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단자 블록(10)은 커넥터를 통해 차량(V)의 차체 제어 모듈, 즉 BCM(body control module)에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 장치(1)를 통해 적어도 2개의 신호를 차량(V)의 BCM에 송신할 수 있고, BCM을 통해 비상등(HZL)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I-I 선은 후술하는 도 8의 단면도를 위한 절단 선이고, II-II 선은 후술하는 도 9의 단면도를 위한 절단 선이며, III-III 선은 후술하는 도 10의 단면도를 위한 절단 선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는, 길이 방향 중심선(M1)을 따라 배열된, 단자 블록(10), 케이스(20), 회로 조립체(30), 푸시 바(40), 노브(50) 및 접촉 스위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블록(10), 케이스(20) 및 푸시 바(40)는 동일한 제1 재료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제조될 수 있다. 노브(50)는 제1 재료보다 광 투과성이 높은 제2 재료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단자 블록(10)은 차량의 일 측에 설치될 있고, 지지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길이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차량의 BCM과 연결되는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결합부(120)에 수직한 방향(도면의 X축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는 회로 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는 결합부(120)와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은 횡 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제1 측벽 및 종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1 측벽에는 케이스(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2 측벽에는 케이스(20)와의 위치 정렬을 위한 제2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11)는 단면 방향에서 직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돌기(112)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로 조립체(30)는 PCB(305), 광원(310), 회로 단자(320), 택트 스위치(330, tact switch), 소켓(340) 및 터치 감지용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PCB(305)는 XY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310)은 PCB(305)의 대체로 중앙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회로 단자(320)는 개구(113)를 통과하여 결합부(120)의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에워싸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4개의 측벽(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210)은 2개의 횡방향 측벽(210a) 및 2개의 종방향 측벽(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분리벽(205)을 기준으로 하측 케이스부(20a) 및 상측 케이스부(20b)로 구분될 수 있다.
하측 케이스부(20a)의 횡방향 측벽(210a)에는 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케이스부(20a)의 종방향 측벽(210b)에는 안착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와 단자 블록(10)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개구(220)에 제1 돌기(111)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112)는 안착 홈(2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20)와 단자 블록(10)은 서로 유격이 최소화 되어, 안정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부(20b)의 횡방향 측벽(210a)에는 제1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케이스부(20b)의 종방향 측벽(210b)에는 제3 돌기(240) 및 제 2 가이드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211)은 종방향(Y축 방향)으로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212)은 횡방향(X축 방향)으로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측 케이스부(20b)에는 노브(50)가 푸시 바(40)와 함께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푸시 바(40)는 에워싸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4개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은 2개의 횡방향 측벽(410a) 및 2개의 종방향 측벽(410b)을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측벽(410a)에는 삽입부(430) 및 제4 돌기(44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30)는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4 돌기(440)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횡방향 측벽(410a)의 내측에는, 내부벽(410c)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벽(410a)과 하나의 횡방향 측벽(410a)은 연결 단자부(62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단자 가이드부(415)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단자부(620)는 단자 가이드부(415) 내에서 이동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완전히 보호될 수 있다.
푸시 바(40)는 케이스(2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택트 스위치(33)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시 바(40)는 2개의 횡방향 측벽(410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레그부(421, 422) 및 하나의 종방향 측벽(410b)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 레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그부(421, 422)는 종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레그부(423)는 횡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레그부(421, 422)와 제3 레그부(423)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레그부(421, 422, 423)의 선단이 만나는 교점에는 원통형의 접촉부(444)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44)는 택트 스위치(33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444)는 길이 방향 중심선(M1)을 기준으로 하나의 종방향 측벽(410b)에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노브(50)는 푸시 바(40)가 결합되어, 노브(50)의 이동 시 푸시 바(4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노브(50)는 상부벽(510) 및 상부벽(5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510)은, 예를 들어 코너가 라운드 처리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520)이 둘러싸는 내측 공간에는, 상부벽(51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제1 결합벽(530) 및 제2 결합벽(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벽(530, 540)은 종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결합벽(530)은 길이 방향 중심선(M1)을 기준으로 제2 결합벽(540)에 대하여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벽(530)에는 케이스(20)의 제3 돌기(240)에 의하여 관통되도록 구성된 개구(5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벽(540)에는 푸시 바(40)의 제4 돌기(440)에 의하여 관통되도록 구성된 개구(5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벽(540)에는 삽입부(430)가 삽입되는 삽입 홈(54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542)은 삽입부(43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노브(50)에는 케이스(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내지 제4 지지벽(551, 552, 553, 5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벽(551)의 일부는 제1 가이드 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벽(552)의 일부는 제2 가이드 홈(2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 3 및 제4 지지벽(553, 554)의 선단은 종방향 측벽(210b)과 접촉하여 종방향 측벽(210b)을 지지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60)는 접촉 스위치부(610) 및 연결 단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부(610)는 터치 입력부(611) 및 터치 입력부(611)로부터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611)는 노브(50)의 상부벽(5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조립체(3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회로 단자(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커넥터 핀의 기능을 도시한 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10)은 PCB(305)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330)는, 예를 들어 PCB(305) 내에서 횡 방향(X축 방향) 일 측의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단자(320)는 PCB(305) 내에서 횡 방향(X축 방향) 타 측의 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단자(320)는,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8 커넥터 핀(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핀(321)은 차량 전원(ACC) 인가 시 터치 감지용 IC의 구동을 위한 (+) 전원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핀(322)은 택트 스위치(330)에 푸시 입력이 없다는 신호를 BCM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핀(323)은 택트 스위치(330)에 푸시 입력이 있다는 신호를 BCM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커넥터 핀(324)는 차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5 커넥터 핀(325)은 차량의 라이트의 점등 시, 광원(310)의 점등을 위한 (+)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6 커넥터 핀(326)은 차체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7 커넥터 핀(327)은 접촉 스위치(60)에 접촉 입력이 있다는 신호를 BCM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8 커넥터 핀(328)은 차량의 라이트의 점등 시, 광원(310)의 점등을 위한 (-)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PCB(305)를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제1 내지 제8 커넥터 핀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터치 감지용 IC(미도시)는 PCB(305)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용 IC는 접촉 스위치(60)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회로 단자(320)를 통해 차량의 BCM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 스위치(6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는 터치 감지용 IC로 송신되고, 터치 감지용 IC는 수신된 신호를 소켓(340)에 삽입된 연결 단자부(620)를 통해 터치 감지용 IC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접촉 스위치(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접촉 스위치부(61)는 접촉 스위치부(610)와 연결 단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부(610)의 터치 입력부(611)는 노브(50)의 상부벽(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미도시)에 접촉 스위치부(610)를 먼저 배치시킨 후, 인서트 사출을 진행하게 되면 상부벽(510) 내부에 터치 입력부(611)가 삽입된 상태로 노브(50)가 제조될 수 있다.
노브(50)가 인서트 사출되는 과정에서, 연장부(612)의 일부를 감싸는 보강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560)는 연장부(612)의 내측 단부, 즉 터치 입력부(611)과 이어지는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1)의 조립 과정에서, 외력에 의하여 연장부(612)가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부(610)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리(copper)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611)의 중앙에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613)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재료는 투과성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개구(613)를 형성하여 빛의 진행을 막지 않을 수 있다. 회로 조립체(30)의 광원(310)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은 개구(613)를 통해 노브(50)의 상부벽(510)에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원(310)이 턴-온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 단자부(620)는 본체부(621), 본체부(621)의 길이 방향 일 측으로 연장된 상측 연결부(622) 및 본체부(621)의 길이 방향 타 측으로 연장된 하측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연결부(622)는, 예를 들어 집게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측 연결부(622) 사이의 틈새는 연장부(612)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되어, 연장부(612)와 상측 연결부(622) 사이의 접촉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하측 연결부(633)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측 연결부(633)는 소켓(340)에 형성된 삽입구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노브(50)와 접촉 스위치(6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터치 입력부(611)에 형성된 개구(613)를 통해, 노브(50)의 상부벽(510)의 후면이 노출될 수 있다. 노브(50)는 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므로, 빛의 일부가 상부벽(510)을 통과하여 노브(50)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연장부(612)는 상측 연결부(62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연장부(612)와 상측 연결부(622)는 개구(613) 주변에 길이 방향(Z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개구(613)를 향하는 빛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제1 지지벽(551)은 횡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4 지지벽(552, 553, 554)은 종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벽(552)은 제4 지지벽(554)보다 케이스(20)의 제2 가이드 홈(212)의 깊이만큼 더 중심선(M-1)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벽(540)의 선단에는 횡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코너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 코너부(544)의 선단은 푸시 바(40)의 종방향 벽(410b)과 접촉하여 종방향 벽(410b)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벽(54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경사부(54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경사부(543)는, 푸시 바(40)와 노브(50)의 조립 시, 푸시 바(40)의 제4 돌기(440)가 걸리지 않고 개구(541)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돌기(44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를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는 횡 방향(Y축 방향)으로 바라본 스위치 장치(1)의 내부를 도시하고, 도 9는 종 방향(X축 방향)으로 바라본 스위치 장치(1)의 내부를 도시한다.
접촉부(444)는 택트 스위치(330)의 택트부(331)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444)는 제1 내지 제3 레그부(421, 422, 423)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레그부(421, 422, 423)는 대체로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푸시 바(40)는 노브(5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444)로 택트부(331)를 누를 수 있다. 택트부(331)가 눌리게 되면, 광원(310)이 작동되고, 차량의 비상등을 턴-온 하라는 신호를 회로 단자(320)를 통해 차량의 BCM로 전송할 수 있다.
푸시 바(40)의 종방향 측벽(410b)에 형성된 4 돌기(440)는 노브(50)의 제1 결합벽(530)에 형성된 개구(531)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종방향 측벽(210b)에 형성된 제3 돌기(240)는 제2 결합벽(540)에 형성된 개구(541)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길이 방향(Z축 방향)에 따른 개구(541)의 길이는, 제3 돌기(24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541)의 길이 내에서 제3 돌기(240)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브(50) 및 푸시 바(40)가 슬라이딩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푸시 바(40)의 횡방향 측벽(410a) 및 케이스(20)의 횡방향 측벽(210a)은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의 측벽에 형성된 돌기(111)는 케이스(20)의 횡방향 측벽(210a)에 형성된 개구(220)를 관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를 III-III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터치 입력부(611)는 노브(50)의 측벽(52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연장부(612)는 터치 입력부(6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단자부(620)의 상측 연결부(622)와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단자부(620)의 하측 연결부(623)는 소켓(3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단자부(620)는 푸시 바(40)의 횡방향 측벽(410a) 및 내부벽(410c)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횡방향 측벽(410a) 및 내부벽(410c)은 본체부(621)의 계단 형상의 단차(621a)에 대응하도록, 단차부(411a, 411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단자부(620)는 길이 방향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단자 가이드부(415)에 삽입될 수 있다.
노브(50)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시, 연결 단자부(620)는 푸시 바(40)와 함께 상측 또는 하측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연결부(623)는 소켓(340) 내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접촉 스위치(60)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접촉 스위치(60)를 통해 차량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스위치 장치(1)는 두 가지 모드(dual mode)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1)는 비상등을 사용자의 접촉 동작에 대응하는 제1 모드 또는 푸시 동작에 대응하는 제2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의 비상등의 작동과 제2 모드에서의 비상등의 작동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모드는 접촉 스위치(60)를 통해 차량의 비상등을 소정의 시간 또는 횟수만큼 작동시키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노브(51)의 상부벽(510)에 접촉하는 경우, 비상등이 턴-온 된 후, 소정의 시간 또는 소정의 횟수만큼 깜빡거린 후에, 턴-오프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노브(50)의 상부벽(510)의 음영 처리된 부분을 터치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부벽(510)의 내부에는 터치 입력부(611)가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입력부(611)의 중심에는 개구(6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613)에 대응하는 위치만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올바르게 터치 입력부(611)가 반응하지 않는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구(613)의 주변 영역을 터치하여 터치 입력부(611)에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모드가 턴-온 된 상태에서는 회로 조립체(30)의 광원(310)이 턴-온 되어 사용자가 비상등이 턴-온 됨을 인식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또는 소정의 횟수가 지나간 후, 제1 모드가 턴-오프 된 상태에서는 조립체(30)의 광원(310)이 턴-오프 되어 사용자가 비상등이 턴-오프됨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은 3 내지 7초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횟수는, 비상등의 깜빡거림의 횟수가 3 내지 7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 또는 횟수는 차량 제조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범위 이외의 값도 가능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택트 스위치(330)를 통해 차량의 비상등의 작동을 턴-온 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노브(50)의 상부벽(510)을 소정의 힘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 노브(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촉부(444)가 택트부(331)를 누르게 되면서, 비상등이 제2 모드에서 턴-온 될 수 있다.
제2 모드 상태에서는 다른 입력이 없는 한 비상등이 지속적으로 깜빡거릴 수 있다. 제2 모드가 턴-온 된 상태에서는 회로 조립체(30)의 광원(310)이 턴-온 되어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50)의 상부벽(510)을 소정의 힘으로 다시 한번 누르게 되는 경우, 비상등이 턴-오프될 수 있다.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의하여, 제2 모드가 턴-오프 된 상태에서는 조립체(30)의 광원(310)이 턴-오프 되어 사용자가 비상등이 턴-오프됨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노브(50)를 터치 또는 푸시하여,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가피하게 끼어들기를 하여 비상등을 일정 시간 동안(또는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해도 충분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는 노브(50)를 터치하여 제1 모드에서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로에 정차하거나 차량에 이상이 생겨 상시적으로(또는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다른 운전자가 이를 감지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노브(50)를 푸시하여 제2 모드에서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S1210)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S12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S1200)은, 인서트 사출하여 단자 블록(10), 케이스(20), 및 푸시 바(40)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1210), PCB(305)에 광원(310) 및 택트 스위치(330)를 설치하여 회로 조립체(30)를 제조하는 단계(S1220), 접촉 스위치부(61)와 노브(50)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S1230), 단자 블록(10)에 회로 조립체(30)를 조립하는 단계(S1230), 단자 블록(10)에 케이스(20)를 조립하는 단계(S1240), 노브(50)에 푸시 바(40)를 조립하는 단계(S1250), 및 노브(50)와 케이스(20)를 조립하면서 연결 단자부(62)로 회로 조립체(30)에 접촉 스위치부(61)를 연결하는 단계(S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부(61)와 노브(50)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S1230)는, 접촉 스위치부(61)를 금형 내 배치하는 단계(S1231), 및 접촉 스위치부(61)의 적어도 일부를 노브(50)의 상부벽(510)이 에워싸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노브(50)를 제조하는 단계(S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연장부(612)의 길이가 노브(50)의 측벽(520)의 길이를 넘지 않으므로,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에서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스위치 장치
10: 단자 블록
20: 케이스
30: 회로 조립체
40: 푸시 바
50: 노브
60: 접촉 스위치
10: 단자 블록
20: 케이스
30: 회로 조립체
40: 푸시 바
50: 노브
60: 접촉 스위치
Claims (15)
- 차량에 설치되어 라이트를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 측에 설치되는 단자 블록;
상기 단자 블록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상기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조립체;
상기 단자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빛을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 바;
상기 푸시 바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노브; 및
상기 회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라이트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조립체는, 상기 접촉 스위치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BCM(body control module)으로 상기 라이트에 대한 작동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용 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스위치는 상기 노브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라이트가 적어도 한번 깜빡거린 후 소등하도록 작동하는 제1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는 상기 푸시 바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라이트가 지속적으로 깜빡거리도록 작동하는 제2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회로 조립체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조립체는,
상기 차량의 BCM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회로 단자; 및
상기 회로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PCB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위치는,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접촉 스위치부; 및
일 단이 상기 접촉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PCB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부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빛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된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스위치의 일부는 상기 상부벽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스위치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위치부는 상기 연결 단자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접촉 스위치부로부터 길이 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단자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조립체는 상기 회로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부가 삽입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 삭제
-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를 제조하는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인서트 사출하여 단자 블록, 케이스 및 푸시 바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PCB에 광원 및 택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회로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접촉 스위치부와 노브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자 블록에 회로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단자 블록에 케이스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노브에 상기 푸시 바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노브와 상기 케이스를 조립하면서 연결 단자부로 상기 회로 조립체에 접촉 스위치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 스위치부를 금형 내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스위치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브의 상부벽이 에워싸도록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노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방법.
- 차체, 상기 차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라이트, 상기 라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BCM 및 상기 BCM에 연결되는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 블록;
상기 단자 블록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 및 제1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조립체;
상기 단자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빛을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택트 스위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푸시 바;
상기 푸시 바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노브; 및
상기 회로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상기 노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접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신호는 상기 노브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BCM으로 전송되어 상기 라이트가 적어도 한번 깜빡거린 후 소등하도록 작동하는 제1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는 상기 푸시 바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BCM으로 전송되어 상기 라이트가 지속적으로 깜빡거리도록 작동하는 제2 모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비상등, 전조등, 후미등, 안개등 및 실내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상기 노브만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는, 차량.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506A KR102159567B1 (ko) | 2018-05-11 | 2018-05-11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CN201910342081.6A CN110466418B (zh) | 2018-05-11 | 2019-04-26 | 开关装置 |
CN201920581627.9U CN210139806U (zh) | 2018-05-11 | 2019-04-26 | 开关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506A KR102159567B1 (ko) | 2018-05-11 | 2018-05-11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9609A KR20190129609A (ko) | 2019-11-20 |
KR102159567B1 true KR102159567B1 (ko) | 2020-09-25 |
Family
ID=6850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4506A KR102159567B1 (ko) | 2018-05-11 | 2018-05-11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9567B1 (ko) |
CN (2) | CN210139806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72447B1 (fr) * | 2017-10-13 | 2019-09-20 | Psa Automobiles Sa | Dispositif d’eclairage |
KR102159567B1 (ko) * | 2018-05-11 | 2020-09-25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6207A (ja) * | 2007-07-05 | 2009-01-22 | Kojima Press Co Ltd | 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両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936380A1 (de) * | 1989-11-02 | 1991-05-08 | Swf Auto Electric Gmbh | Elektrischer drucktastenschalter, insbesondere warnlichtschalter fuer kraftfahrzeuge |
DE4206335C2 (de) * | 1992-02-29 | 1995-02-09 | Priesemuth W | Blinkgeberschalteinrichtung |
KR100692701B1 (ko) * | 2005-07-05 | 2007-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시스템 |
KR100814318B1 (ko) * | 2006-05-04 | 2008-03-18 | 박재우 |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
JP2011003472A (ja) * | 2009-06-19 | 2011-01-06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スイッチ装置 |
CN204230117U (zh) * | 2014-12-15 | 2015-03-25 | 国威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警报灯开关 |
KR102159567B1 (ko) * | 2018-05-11 | 2020-09-25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
2018
- 2018-05-11 KR KR1020180054506A patent/KR1021595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26 CN CN201920581627.9U patent/CN210139806U/zh active Active
- 2019-04-26 CN CN201910342081.6A patent/CN11046641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6207A (ja) * | 2007-07-05 | 2009-01-22 | Kojima Press Co Ltd | 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0139806U (zh) | 2020-03-13 |
CN110466418B (zh) | 2023-03-03 |
CN110466418A (zh) | 2019-11-19 |
KR20190129609A (ko) | 2019-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9567B1 (ko) | 스위치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차량 | |
US20180056857A1 (en) | System to augment automotive factory lights with warning light function | |
CN108163043B (zh) | 驾驶辅助装置 | |
US20230028261A1 (en) | Control module assembly for controlling lights on a motorized vehicle | |
US9704681B2 (en) | Conduction breaking device | |
JP2008056135A (ja) |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 | |
CN108688553B (zh) | 用于车灯的固定元件 | |
JP4178535B2 (ja) | 車両用操作装置 | |
US10886083B2 (en) | Switch knob and operating module having the same | |
EP4461601A1 (en) | Variable spoiler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 |
EP3363685A1 (de) |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 |
JP6062774B2 (ja) | 操縦支援装置 | |
KR20170062103A (ko) | 차량용 램프 | |
KR200282037Y1 (ko) |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 |
CN211417093U (zh) | 一种交通工具的方向灯信号显示装置 | |
KR0117320Y1 (ko) |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 |
CN211442118U (zh) | 汽车 | |
KR200393153Y1 (ko) |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 |
KR20020043103A (ko) |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 |
KR200277833Y1 (ko) |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등시스템 | |
KR200210584Y1 (ko) | 차량용 비상등의 점멸장치 | |
KR101686124B1 (ko) | 타이어 발광시스템 제어방법 | |
KR200222232Y1 (ko) | 차량용 유턴표시장치 | |
KR200312942Y1 (ko) | 차량의 유턴 지시등 | |
KR20200049265A (ko) | 선택적으로 방향지시등 또는 후퇴등으로 작동하는 하이브리드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