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79B1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액체 흡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1779B1 KR102061779B1 KR1020190009055A KR20190009055A KR102061779B1 KR 102061779 B1 KR102061779 B1 KR 102061779B1 KR 1020190009055 A KR1020190009055 A KR 1020190009055A KR 20190009055 A KR20190009055 A KR 20190009055A KR 102061779 B1 KR102061779 B1 KR 102061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uction
- liquid
- protrusion
- suction sl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61C17/043—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액체 흡입 장치로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 베이스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가 포함된 돌출부와, 돌출부에 베이스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를 포함하고, 치과 진료 시에 치아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안에 고여 있는 타액, 물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 액체 흡입 장치로 치과 진료 시에 입이 벌려 치아가 상하로 위치되어 입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안에 고여 있는 타액, 물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와 그 주위 조직 및 구강을 포함한 악안면(顎顔面) 영역의 질병이나 비정상적 상태 등을 예방하고 진단, 치료하기 위한 진료 과정에서 환자는 입을 벌린 상태를 오래 시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 때, 환자의 턱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데 이로 인해 턱이 떨리거나,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빠지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고통을 일으킨다.
특히, 턱 근육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에서 많이 발생된다.
또한, 치료를 받는 동안에는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어 구강 내에 침과 물 등이 고이게 되어 치과 의사나 간호사가 의료용 흡입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나, 석션(suction) 팁을 구부려 환자의 입에 거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의료용 흡입기는 미숙련자가 일회용 플라스틱 석션 팁을 이용할 경우 팁에 연조직을 함께 빨아들이거나, 팁이 목구멍을 찌르는 등의 의료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숙련자가 의료용 흡입기를 이용할 경우 인력 및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위턱의 어금니와 아래턱의 어금니 사이에 끼워 위턱과 아래턱을 지지하는 마우스 프롭(mouth prop) 또는 바이트 블록(bite block)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환자는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국제공개공보 WO2018/068901호(이하,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054호(이하, 문헌 2), 미국 등록특허공보 US 9,044,293호(이하, 문헌 3)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084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문헌 1은 환자의 구강에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상부와 하부의 톱니 사이에 어금니를 위치시킨 후, 플레이트가 연조직에 외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갖는 것으로 구강의 침을 제거하는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바이트 블록은 도 1과 같이, 말단 구멍이 크게 형성되어 침 외에도 치아의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조직으로부터의 부스러기 또는 소재 등을 흡입하기 위해 강한 흡입력이 필요하며, 음압이 작아 침과 같은 액체를 흡입할 수 없다.
문헌 2는 치과치료용 개구기로 치아를 거치하는 2개의 치아거치지지부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치아거치지지부의 내측에 흡입 튜브를 거치하는 흡입튜브 거치부가 포함되어 환자의 구강 내의 침을 흡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개구기는 치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양 끝단에 측벽이 형성되어 치아거치지지부 중앙 부위가 오목한 구조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환자보다 어금니가 큰 경우 이를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거치지지부의 내측에 흡입튜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포함되어 있으나, 치료 중 거치부에서 흡입튜브가 개구기에서 이탈되어 환자의 구강으로 유입되는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문헌 3은 구강 흡입 장치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 달걀 형상으로 흡입구멍을 통해 침, 물과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장치는 도 3과 같이, 치아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없어 환자의 턱 근육이 피로감을 느껴 장시간 입을 벌리기 어렵고, 볼에 살이 많은 환자의 경우 리텐션(retention) 구멍이 볼 점막을 빨아들여 침과 물 흡입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추출 구멍이 일반적인 석션 팁보다 크게 형성되어 음압이 작아 침과 같은 액체 흡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문헌 4는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으로 본체에 흡입터널이 형성되어 있어 구강에 고여 있는 침과 물을 입을 벌린 상태에서 흡입하고, LED 램프가 장착되어 치아를 비추어 치과의사의 시야를 확보하는 바이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바이트 블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에 고정하기 위해 치아끼움홈 양쪽에 돌기부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치과 진료 중에 입 안으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 내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가 클 경우 잇몸이 흡입구를 막아 침과 물 흡입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국제공개공보 WO2018/068901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054호
(문헌 3) 미국 등록특허공보 US 9,044,293호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084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강 액체 흡입 장치를 치아로 물었을 때, 부드러운 연조직이 적고 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입 안쪽에 위치시켜 돌출부와 경사면 사이의 공간에 흡입슬릿부가 위치하기에 막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침, 물 등을 흡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입의 크기, 개구량을 갖는 환자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진료 중 입을 더 크게 벌려야 하는 경우에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하여 구강 액체 흡입 장치를 유지시켜 이탈을 방지하고, 다시 입을 다물었을 때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입 안으로 떨어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장시간 입을 벌려야하는 치과 진료 중 구강 액체 흡입 장치를 물고 있기에 사용자의 턱관절과 주변 저작근(咀嚼筋)이 편안함과 진료 중 발생되는 침과 세척수(洗滌水) 등을 자동으로 흡입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하도록 끼워주면 상, 하 치열 사이에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넣고 빼기 쉬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 베이스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가 포함된 돌출부와, 돌출부에 베이스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슬릿부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베이스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구강 최후방 치아 뒤의 연조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베이스 일 측에 형성된 흡입슬릿부와 베이스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가 포함되며, 지지부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입 안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 베이스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가 포함된 돌출부, 돌출부에 베이스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와 베이스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흡입 시에 음압이 형성되어 혀 또는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와 베이스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에 공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아에서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가 베이스 타 측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포함된 석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액체 흡입 장치는 흡입슬릿부에 연조직이 흡입되지 않기에 막히지 않아 침과 물 등을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보조자 없이 불소도포, 자가 중합 레진치료, 전신마취수술 중 또는 내시경 검사 중 침 제거 등의 장시간 치과 또는 의과 진료와 수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 구조와 크기, 개구량, 치아 크기와 형태 등을 갖는 각기 다른 유형의 환자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모든 사람에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진료 중 입을 더 크게 벌려야 하는 경우에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하여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입 안으로 떨어지지 않고, 입 밖으로 빠지지 않아 교정치료, 복합레진 충전, 보철 치료, 근관 치료 등 다양한 치과 진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구강 액체 흡입 장치를 물고 있기에 사용자는 턱관절과 주변 저작근이 편안함을 느끼고, 보조자는 진료 효율과 집중이 증가하여 추가 보조 인력 없이 빠른 진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구분 없이 사용자가 치아로 물게 되면 착용과 이탈이 쉬운 구조로 양쪽 동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4는 종래 기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6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9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11은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입 안에 사용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사용한 또 다른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15는 정면도, 도 16은 우측면도, 도 17은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입 안에 사용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사용한 또 다른 형태의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바이트 블록, 2: 흡입 호스,
10: 베이스,
20: 돌출부, 21: 제1경사부, 22: 곡선부, 23: 제2경사부,
30: 확장 돌출부, 31: 공간부,
40: 흡입슬릿부, 41: 경사흡입슬릿부, 42: 곡선흡입슬릿부,
50: 흡입부, 60: 흡입구, 70: 지지부, 80: 이탈방지부,
G: 잇몸, O: 점막, T: 치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6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9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11은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입 안에 사용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사용한 또 다른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 사시도, 도 15는 정면도, 도 16은 우측면도, 도 17은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입 안에 사용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블록을 사용한 또 다른 형태의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바이트 블록, 2: 흡입 호스,
10: 베이스,
20: 돌출부, 21: 제1경사부, 22: 곡선부, 23: 제2경사부,
30: 확장 돌출부, 31: 공간부,
40: 흡입슬릿부, 41: 경사흡입슬릿부, 42: 곡선흡입슬릿부,
50: 흡입부, 60: 흡입구, 70: 지지부, 80: 이탈방지부,
G: 잇몸, O: 점막, T: 치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액체 흡입 장치는 치과 또는 의과 진료 중에 발생되는 침과 세척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에 바이트 블록(1)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블록(1)은 사람에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포유류, 파충류 등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 블록(1)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투명-충격 저항 폴리프로필렌(TI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페닐설폰(PPSU), 아세탈(POM),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회용으로 사용할 경우, 아세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독하여 사용할 경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설폰 또는 폴리페닐설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돌출부(20)와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3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면을 형성하고, AA’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는 AA’선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된 베이스(10') 사이의 간격이 베이스(10) 일 측에 형성된 돌출부(20)로 갈수록 좁혀지는 형상으로 알파벳 A와 비슷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베이스(10) 한 쪽에는 사용자의 아래 치열이 닿게 되고, 다른 한 쪽에는 사용자의 위 치열이 닿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바이트 블록(1)의 베이스(10)에 의해 자연스럽게 입이 벌어지게 되어, 장시간 입을 벌리고 있어도 턱관절과 주변 저작근이 불편하지 않고 장시간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20)는 베이스(10) 일 측에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10)와 돌출부(20) 사이에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다.
또한, 다른 베이스(10) 면에 위치한 돌출부(20)와 대칭 형성된 돌출부(20') 사이 및/또는 동일한 베이스(10) 면에 위치한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 돌출부(20)와 대칭 형성된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 돌출부(20') 사이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다.
흡입슬릿부(40)는 도 6과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선형, 가늘고 긴 직사각형, 원형 또는 핀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흡입슬릿부(40)에 연조직이 달라붙어도 틈이 발생되어 막힘없이 지속적으로 침과 세척수 등의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바이트 블록(1)을 우측에서 보았을 때, 흡입슬릿부(40)는 하나의 선으로 형성된 일자형, 하나의 선에 다른 하나의 선이 관통되어 형성된 십자형, 하나의 선에 2개 이상의 선이 관통되어 형성된 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은 직선 또는 비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 돌출부(30)는 사용자가 치아로 바이트 블록(1)을 물었을 때, 연조직이 적고 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인 어금니 끝인 교합면(咬合面)에 걸쳐지며, 돌출부(20) 일 측이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 뒤의 연조직에 위치하게 된다.
즉, 교합면에 닿는 돌출부(20) 면에 위치한 확장 돌출부(30)에 의해 흡입 공간이 형성되어 음압이 발생함으로써 혀, 볼 점막 등과 같은 연조직에 의해 흡입 구멍이 막히지 않아 액체를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블록(1)은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가 포함된다.
또한, 흡입구(60)가 형성된 베이스(10) 반대되는 면에 흡입부(50)가 포함되어 석션 장치의 흡입 호스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바이트 블록(1)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베이스(10) 일 측에 형성된 흡입슬릿부(40)와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과 구성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의 바이트 블록(1)은 베이스(10)에 돌출부(20)가 형성되지 않고 흡입슬릿부(40)만을 포함하여 베이스(10)가 실시예 1보다 알파벳 A에 더 가까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흡입슬릿부(40)는 동일한 베이스(10) 면 또는 베이스(10)와 대칭 형성된 베이스(10') 사이의 면에 형성된다.
또한, 흡입슬릿부(4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70)는 베이스(10)와 대칭 형성된 베이스(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어 치열과 뺨 점막(O) 사이의 위치한 뉴트럴 존(neutral zone)에 끼워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70)가 베이스(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 크기와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70)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닿는 잇몸(G)과 점막(O)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지지부(70)가 직선으로 형성되면, 지지부(70)의 높이(H)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지지부(70)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지지부(70)의 가장 낮은 높이(h)와 가장 높은 높이(H)의 비율은 1 대 1.5~3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 대 2~3,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대 2.5~2.7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70)의 높이(h)와 높이(H)의 비율이 1 대 1.5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치아(T) 끝에 위치한 잇몸(G)에 닿게 되어 상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70)의 높이(h)와 높이(H)의 비율이 1 대 3 초과로 형성될 경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뉴트럴 존에 닿게 되어 상처가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블록(1)은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가 포함된다.
또한, 흡입구(60)가 형성된 베이스(10) 반대되는 면에 흡입부(50)가 포함되어 석션 장치의 흡입 호스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30)와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 돌출부(20), 확장 돌출부(30)와 흡입슬릿부(4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70)와 베이스(10)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20) 사이에 공간부(31)가 구성되어 액체 흡입 시에 음압이 형성되어 혀 또는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4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70)는 지지부(70)의 외측이 사용자 뺨의 점막(O)에 밀착되고, 지지부(70)의 내측이 사용자 바깥쪽의 치아(T)와 잇몸(G)에 밀착됨에 따라 진료 중 입을 더 크게 벌려도 바이트 블록(1)에 연결된 외부호스의 영향으로 위치가 이탈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70)가 사용자의 뺨에 걸리면서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반대로, 지지부(70)가 사용자의 치아(T)에 지지하여 입 안쪽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돌출부(20), 확장 돌출부(30)와 지지부(70)가 결합되어 바이트 블록(1)을 구성함에 따라 구강 내 액체 흡입 시에 공간부(31)에 의해 막히지 않고, 지지부(70)에 의해 바이트 블록(1)이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바이트 블록(1)을 사용자의 입 안에 끼우거나 제거할 때, 입 안의 치열과 뺨 사이에 위치한 뉴트럴 존에 지지부(70)를 끼우는 방식으로 치아(T) 교합면에 바이트 블록(1)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특히, 바이트 블록(1)은 상, 하, 좌, 우 구분이 없어 진료하고자 하는 부위의 반대쪽 치아에 물려 적용하면 된다.
더욱이, 바이트 블록(1)을 입 안에서 제거할 때에는 입을 조금 더 벌린 상태에서 뺨 쪽으로 당기면, 입에서 쉽게 뺄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블록(1)은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가 포함된다.
또한, 흡입구(60)가 형성된 베이스(10) 반대되는 면에 흡입부(50)가 포함되어 석션 장치의 흡입 호스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바이트 블록(1)에 이탈방지부(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80)를 제외한 구성은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가 형성된 베이스(10) 면에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바이트 블록(1)이 치아(T)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기 또는 요철은 치아(T)와 치아(T) 사이에 위치하거나, 치아(T)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결절에 위치함으로써 바이트 블록(1)이 미끄러지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치과 진료가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30), 석션 장치 호스와 연결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부(50), 형성된 음압에 의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구(60),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와 베이스(10) 타 측에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8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0)는 베이스(10) 일 측에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10)와 돌출부(20) 사이에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면에 위치한 돌출부(20)와 동일한 베이스(10) 측면에 지지부(70)가 형성된 돌출부(20') 사이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슬릿부(40)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70)가 결합되지 않는 베이스(10)에 위치한 돌출부(20)와 돌출부(20') 사이에 경사면인 제1경사부(21)가 형성되고, 제1경사부(21)와 제1경사부(21') 사이에 경사흡입슬릿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흡입슬릿부(41)는 도 11과 같이 우측에서 보았을 때, 제1경사부(21)에 의해 사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70)가 결합된 베이스(10)에 위치한 돌출부(20)와 돌출부(20') 사이에 곡선부(22)가 형성되고, 곡선부(22)와 곡선부(22') 사이에 곡선흡입슬릿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곡선흡입슬릿부(42)는 도 11과 같이 우측에서 보았을 때, 곡선부(22)에 의해 아치(arch)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돌출부(30)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지지부(70)와 베이스(10)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20) 사이에 공간부(31)가 구성되어 액체 흡입 시에 음압이 형성되어 혀 또는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4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0)는 흡입구(60)가 형성된 베이스(10) 반대되는 면에 포함되어 셕선 장치의 흡입 호스와 연결하여 음압을 형성하여 흡입구(60)로부터 침, 물 등의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흡입구(60)는 도 11과 같이 우측에서 보았을 때,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 베이스(10)에 타공 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70)는 베이스(10)와 대칭 형성된 베이스(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어 치열과 뺨 점막(O) 사이의 위치한 뉴트럴 존에 끼워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으로 말려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70)가 베이스(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 크기와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70)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닿는 잇몸(G)과 점막(O)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지지부(70)가 직선으로 형성되면, 지지부(70)의 높이(H)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지지부(70)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지지부(70)의 가장 낮은 높이(h)와 가장 높은 높이(H)의 비율은 1 대 1.5~3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 대 1.5~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대 1.5~2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70)의 높이(h)와 높이(H)의 비율이 1 대 1.5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치아(T) 끝에 위치한 잇몸(G)에 닿게 되어 상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70)의 높이(h)와 높이(H)의 비율이 1 대 3 초과로 형성될 경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뉴트럴 존에 닿게 되어 상처가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도 13과 같이, 바이트 블록(1)을 사용자의 입 안에 사용하여도 지지부(70)가 완만한 곡선을 형성되어 상처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이탈방지부(80)는 도 10과 같이, 돌출부(20)가 형성된 베이스(10) 면에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바이트 블록(1)이 치아(T)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기 또는 요철은 치아(T)와 치아(T) 사이에 위치하거나, 치아(T)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결절에 위치함으로써 바이트 블록(1)이 미끄러지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치과 지료가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을 사용자의 입에 착용하는 방법은 먼저 돌출부(20)를 사용자 입 안쪽 방향으로 위치하고, 지지부(70)가 사용자 입 밖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이 후, 이탈방지부(80)가 형성된 베이스(10) 면은 사용자의 치아(T)를 따라 입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 지지부(70)의 외측은 볼 점막(O)에 위치한다.
지지부(70)의 내측은 치아(T) 외측에 위치한다.
즉, 지지부(70)는 볼 점막(O)과 치아(T) 사이의 뉴트럴 존에 위치하여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진료 중 입을 더 벌리거나, 다시 다물었을 때 바이트 블록(1)이 입 안 또는 입 밖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확장 돌출부(30)가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T)인 어금니 끝인 교합면에 걸쳐지며, 돌출부(20) 일 측이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T) 뒤의 연조직에 위치하게 된다.
즉, 교합면에 닿는 돌출부(20) 면에 위치한 확장 돌출부(30)에 의해 흡입 공간인 공간부(31)가 형성되어 음압이 발생함으로써 혀, 볼 점막 등과 같은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40)가 막히더라도 공간부(31)에 의해 음압이 발생되어 흡입구(60)로 침, 물 등의 액체를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치열은 베이스(10)와 이탈방지부(80)에 위치하며, 입이 자연스럽게 벌어진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의 턱관절과 저작근에 피로가 발생되지 않아 오랜 시간 입을 벌리고 있어야하는 진료 시, 사용자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흡입구(60)로 침과 물 등의 액체를 자동으로 흡입함에 따라 보조자 없이 진료가 가능함으로 진료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진료가 끝나게 되면, 사용자가 입을 더 벌린 상태에서 뺨 쪽으로 바이트 블록(1)을 당기면, 지지부(70) 내측이 잇몸(O)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 후, 바이트 블록(1)을 입 밖으로 빼냄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제거하고, 착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은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확장 돌출부(30), 석션 장치 호스와 연결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부(50), 형성된 음압에 의해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구(60),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와 베이스(10) 타 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8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를 포함한다.
도 15에서와 같이, 제1베이스(11)는 지지부(70)와 이탈방지부(80)가 포함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4개의 선분과 4개의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베이스(11)는 내각이 모두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이스(12)는 돌출부(20)와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4개의 선분과 4개의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베이스(12)는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한 변을 중심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이스(12) 일 측의 높이가 Y1일 때, 제1베이스(11) 일 측에 맞닿는 제2베이스(12) 타 측의 높이가 Y2이면, Y2에서 Y1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베이스(12)의 높이 비율은 Y1 대 Y2가 1 대 1~2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대 1.2~1.8,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대 1.6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에서 회동하게 될 경우, 입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T) 어금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Y2보다 Y1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베이스(12)의 높이 비율이 Y1 대 Y2가 1 대 1로 형성된 도 5보다 Y1대 Y2가 1 대 1.2~1.8로 형성되면, 연조직이 흡입슬릿부(40)에 막히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베이스(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 1과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AA’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70)가 포함된 베이스(10)에서 돌출부(20)가 포함된 베이스(10) 방향으로 갈수록 좁혀지는 알파벳 A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에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있어 좁아지는 부분에 스페이드 모양(♠)과 같은 형상을 모자처럼 쓴 알파벳 A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0)는 베이스(10) 일 측에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10)와 돌출부(20) 사이에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다.
또한, 다른 베이스(10) 면에 위치한 돌출부(20)와 대칭 형성된 돌출부(20') 사이 및/또는 동일한 베이스(10) 면에 위치한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 돌출부(20)와 대칭 형성된 확장 돌출부(30)가 형성된 돌출부(20') 사이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슬릿부(40)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제1베이스(11) 일 측에 맞닿는 제2베이스(12) 타 측의 높이가 Y2이고, 동일한 면에 형성된 돌출부들(20) 사이에 형성된 흡입슬릿부(40)의 높이가 Y3이다.
흡입슬릿부(40)의 높이 비율은 Y2 대 Y3이 1 대 0.01~0.1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대 0.02~0.08,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대 0.06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슬릿부(40)의 높이 비율에서 Y2 대 Y3이 1 대 0.01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40)가 형성되기 어렵고, Y2 대 Y3이 1 대 0.1 초과로 형성될 경우 흡입슬릿부(40)가 크게 형성되어 연조직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 내측에 제2경사부(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제2경사부(23)가 포함되어 베이스(10) 내측의 흡입구(60)의 크기가 크게 형성됨에 따라 진료 시 발생되는 이물질로 인해 흡입슬릿부(40)가 막히는 문제가 해결된다.
상기 흡입부(50)와 흡입구(60)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70)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동시에 바이트 블록(1)을 위치와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지지부(70)는 도 7과 같이 베이스(10) 측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도 15와 같이 제1베이스(11) 측면 일부에만 형성하여,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에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70)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70)의 모서리가 닿는 잇몸(G)과 점막(O) 부위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기 위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지지부(70) 길이 X1과 베이스(10)의 길이 X2의 비율은 0.1~1 대 1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2~0.8 대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5 대 1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율이 X1 대 X2가 0.1 미만 대 1로 형성되면, 지지부(70)에 의해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비율이 X1 대 X2가 1 초과 대 1로 형성되면, 바이트 블록(1)이 입 안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흡입량이 약해질 수 있다.
이는 50% 이상의 일반인이 구강이 깊은 경우가 많아 저하된 흡입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부(70) 길이가 베이스(10)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도 18 및 도19와 같이 바이트 블록(1)을 회동하여 목구멍으로 모이는 액체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70)의 높이(h, H)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탈방지부(80)는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제1베이스(11)에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바이트 블록(1)이 치아(T)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부(80)는 밑면이 원이고, 옆면이 곡면인 뿔 모양의 입체도형 즉, 원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잇몸(G)이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뿔의 꼭짓점이 뾰족한 것이 아닌, 뭉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80)는 도 15에서와 같이, 옆면에 홈(8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홈(81)은 치아(T)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결절에 위치함으로써 바이트 블록(1)이 미끄러지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치과 진료가 가능하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바이트 블록(1)에 석션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석션 장치는 모터가 물을 고속 회전시켜 생기는 진공압을 이용해 공기를 흡입하는 습식 석션 장치나, 고속 모터로부터 형성된 공기의 진공압이 각종 이물질을 공기와 완전히 분리시키는 건식 석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석션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으로 바이트 블록(1)을 통해 사용자의 입 안에서 발생되는 침과 물 등의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석션 장치 일 측에 흡입 호스(2)가 연결된다.
상기 흡입 호스(2) 타 측은 바이트 블록(1)의 흡입부(50)에 끼워 사용한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바이트 블록(1)을 이용하여 성인 10명의 사용자의 구강에 적용하여 침과 물 등의 액체를 흡입하는 효율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실시예 1, 2, 3, 5, 6의 바이트 블록(1)을 이용하였다.
비교군으로는 실시예 1에서 돌출부(20)가 없는 바이트 블록(1)을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흡입슬릿부(40) 대신 다수 개의 타공으로 이루어진 바이트 블록(1)을 비교예 2, 실시예 3에서 돌출부(20)가 없는 바이트 블록(1)을 비교예 3, 실시예 5에서 돌출부(20)가 없는 바이트 블록(1)을 비교예 4로 이용하였다.
하기 [표 1]은 바이트 블록(1) 효율을 정리한 결과이다.
구분 | 흡입 효율 | 막힘 정도(%) |
실시예 1 | ◎ | - |
실시예 2 | ○ | 30 |
실시예 3 | ◎ | - |
실시예 5 | ◎ | - |
실시예 6 | ◎ | - |
비교예 1 | △ | 50 |
비교예 2 | × | 100 |
비교예 3 | ○ | 30 |
비교예 4 | ○ | 30 |
[표 1]과 같이, 실시예 1, 3, 5, 6의 바이트 블록(1)은 돌출부(20)에 의해 확장 돌출부(30)와 공간부(31)가 형성되어 흡입 효율이 가장 우수하고, 막힘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실시예 2와 비교예 3, 4는 돌출부(20)가 없어 흡입 효율이 좋은 편에 속하고, 10명 중 3명에게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비교예 1은 돌출부(20)가 없어 흡입 효율이 보통이고, 10명 중 5명에게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반면, 비교예 2는 흡입슬릿부(40) 대신 타공 되어 형성된 구멍이 사용자의 연조직의 점막이 흡입되어 막히는 현상으로 인해 침과 물 등의 액체가 전혀 흡입되지 않았다.
위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바이트 블록(1)은 돌출부(20)와 흡입슬릿부(40)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연조직에 의해 막힘없이 연속하여 침과 물 등의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는 실시예 2, 3, 5의 바이트 블록(1)이 실시예 1의 바이트 블록(1)보다 안전하고, 편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는 실시예 2, 3 ,5의 바이트 블록(1)에 지지부(70)가 포함되어 진료 시 입을 벌리고, 다물었을 때에 입 안과 밖으로 이탈되지 않아 좋다는 평이 있었다.
실시예 6의 바이트 블록(1)은 구강이 평균보다 깊은 사람에게 사용한 경우 지지부(70)에 의해 입 안과 밖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목구멍으로 침과 물 등이 고이지 않고 흡입되어 실시예 3~5의 바이트 블록(1)보다 편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강 액체 흡입 장치로 치과 진료 시에 치아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안에 고여 있는 타액, 물 등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되되, 구강 최후방 치아 뒤의 연조직에 위치되는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되, 어금니 끝인 교합면에 걸쳐지는 확장 돌출부(30)와,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를 포함하고,
흡입슬릿부(40)는 선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조직이 달라붙어도 틈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삭제
- 삭제
-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베이스(10) 일 측에 형성된 흡입슬릿부(40),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와,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가 포함되며,
지지부(70)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구강 안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끼워지며,
흡입슬릿부(40)는 선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조직이 달라붙어도 틈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삭제
- 치아를 지지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되되, 구강 최후방 치아 뒤의 연조직에 위치되는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되, 어금니 끝인 교합면에 걸쳐지는 확장 돌출부(30),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와,
베이스(10) 측면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가 포함되며,
흡입슬릿부(40)는 선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조직이 달라붙어도 틈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고,
지지부(70)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구강 안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부(70)와 베이스(10)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20) 사이에 공간부(31)가 포함되어, 액체 흡입 시에 음압이 형성되어 혀 또는 연조직에 의해 흡입슬릿부(4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치아를 지지하되, 제1베이스(11)와 제2베이스(12)가 포함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일 측에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되되, 구강 최후방 치아 뒤의 연조직에 위치되는 돌출부(20),
돌출부(20)에 베이스(10)가 경사면을 구성하여 형성되되, 어금니 끝인 교합면에 걸쳐지는 확장 돌출부(30),
흡입슬릿부(40)에 음압을 형성하고,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슬릿부(40)가 포함된 베이스(10)에 타공 된 흡입구(60)와,
베이스(10) 측면 일부에 일정 높이의 지지부(70)가 포함되며,
제1베이스(11) 일 측에 맞닿는 제2베이스(12) 타 측의 높이(Y2) 보다 제2베이스(12) 일 측이 높이(Y1)가 형성되어, 입 안에서 회동 시에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치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슬릿부(40)는 선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조직이 달라붙어도 틈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하며,
지지부(70)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구강 안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입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열과 뺨 점막 사이에 끼워지고,
돌출부(20) 내측에 제2경사부(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청구항 1, 4, 6 또는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치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80)가 베이스(10) 타 측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청구항 1, 4, 6 또는 7 중 어느 한 항의 구강 액체 흡입 장치가 포함된 석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055A KR102061779B1 (ko) | 2019-01-24 | 2019-01-24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PCT/KR2019/013473 WO2020153577A1 (ko) | 2019-01-24 | 2019-10-15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055A KR102061779B1 (ko) | 2019-01-24 | 2019-01-24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1779B1 true KR102061779B1 (ko) | 2020-01-02 |
Family
ID=6915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9055A KR102061779B1 (ko) | 2019-01-24 | 2019-01-24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1779B1 (ko) |
WO (1) | WO2020153577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658B1 (ko) * | 2019-02-28 | 2020-04-14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
KR102286241B1 (ko) * | 2021-05-18 | 2021-08-04 | 안상훈 |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WO2023277234A1 (ko) * | 2021-06-30 | 2023-01-05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마우스 프롭 |
WO2023146096A1 (ko) * | 2022-01-28 | 2023-08-03 | (주)디엑스엠 | 치과용 석션호스고정부재 |
WO2023219449A3 (ko) * | 2022-05-13 | 2023-12-28 | 박기현 |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42241A (zh) * | 2021-02-23 | 2021-05-28 | 徐州市第三人民医院 | 一种具有调节功能的口咽肿瘤辅助检测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02851A (en) | 1988-02-03 | 1989-02-07 | Rhoades Clark J | Dental appliance |
JP2006034305A (ja) | 2004-07-22 | 2006-02-09 | Osada Res Inst Ltd |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
KR101235084B1 (ko) | 2011-06-20 | 2013-02-20 | 신미정 |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
WO2018068901A1 (en) * | 2016-10-14 | 2018-04-19 | Wakefield Simon Joseph |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464909B (sv) * | 1988-02-19 | 1991-07-01 | Tandlaekare Dyfvermark Ab | Dental bitkloss foer anslutning till sugkaella |
US6022214A (en) * | 1998-11-17 | 2000-02-08 | Hirsch; James A. |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KR101363054B1 (ko) * | 2012-06-20 | 2014-02-14 | 김창원 | 치과치료용 개구기 |
-
2019
- 2019-01-24 KR KR1020190009055A patent/KR1020617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0-15 WO PCT/KR2019/013473 patent/WO20201535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02851A (en) | 1988-02-03 | 1989-02-07 | Rhoades Clark J | Dental appliance |
JP2006034305A (ja) | 2004-07-22 | 2006-02-09 | Osada Res Inst Ltd |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
KR101235084B1 (ko) | 2011-06-20 | 2013-02-20 | 신미정 |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
WO2018068901A1 (en) * | 2016-10-14 | 2018-04-19 | Wakefield Simon Joseph |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658B1 (ko) * | 2019-02-28 | 2020-04-14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
KR102286241B1 (ko) * | 2021-05-18 | 2021-08-04 | 안상훈 |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WO2022244958A1 (ko) * | 2021-05-18 | 2022-11-24 | 안상훈 |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WO2023277234A1 (ko) * | 2021-06-30 | 2023-01-05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마우스 프롭 |
KR20230003814A (ko) * | 2021-06-30 | 2023-01-06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마우스 프롭 |
KR102567877B1 (ko) * | 2021-06-30 | 2023-08-17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마우스 프롭 |
WO2023146096A1 (ko) * | 2022-01-28 | 2023-08-03 | (주)디엑스엠 | 치과용 석션호스고정부재 |
WO2023219449A3 (ko) * | 2022-05-13 | 2023-12-28 | 박기현 |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53577A1 (ko) | 2020-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1779B1 (ko) | 구강 액체 흡입 장치 | |
US10413690B2 (en) |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
US5931673A (en) | Intraoral dental dam | |
US20070204867A1 (en) | Mouth moisturizing appliance | |
JPH10512792A (ja) | 患者エアウェイ咬合ブロック | |
US20030082496A1 (en) | Customizable dental bite blocks and methods for forming customized dental bite blocks | |
WO2007061609A2 (en) | Endoscopic bite block | |
US11103334B2 (en) |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 |
TW202108088A (zh) | 牙科用口腔件 | |
US10028885B2 (en) |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
CN105792769A (zh) | 患者自控牙科设备和方法 | |
US8146601B2 (en) | Medical bite block and associated methods | |
US7140881B1 (en) | Protective throat screen for dentistry | |
EP2542193B1 (en) | Oral mouthpiece | |
CN106163447B (zh) | 牙科口腔防护装置和系统 | |
KR102286241B1 (ko) |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
KR20170011595A (ko) | 의료용 마우스피스 | |
JP2006246916A (ja) | 歯科治療用吸引チップ | |
CN205866873U (zh) | 一种开口吸唾一体器 | |
KR102611351B1 (ko) |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마우스피스형 보조장치 | |
CN221786742U (zh) | 一种角度撑开双侧防护口腔吸引导管 | |
US12004917B1 (en) | Mandibular quadridam | |
CN219440311U (zh) | 适用于无牙患者的气管插管固定装置 | |
CN213048809U (zh) | 防牙齿松脱的口腔通气牙垫 | |
KR101088300B1 (ko) | 호흡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