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1077B1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077B1
KR102061077B1 KR1020130053705A KR20130053705A KR102061077B1 KR 102061077 B1 KR102061077 B1 KR 102061077B1 KR 1020130053705 A KR1020130053705 A KR 1020130053705A KR 20130053705 A KR20130053705 A KR 20130053705A KR 102061077 B1 KR102061077 B1 KR 10206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onductor
magnet
reel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116A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12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9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elements which are subject to variation, e.g. adjustable bearings, reconfigurable windings, variable pitch ventil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제동력 조정 수단(64)에 의해서는, 자석(51)과 도전체(50)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 가능한 상태로 도전체(50)가 회전한 경우에, 도전체(50)에 작용하는 자석(51)의 자력에 의해, 자석(51)이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와 자석(51)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범위가 변화되고,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속수가 변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풀(12)의 회전이 제동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A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AND A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제동 장치,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의 회전을 제동(制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루어 피싱(lure fishing)에 사용되는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 시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싯줄 송출 속도보다 빨라지는 백래시(backlash)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백래시가 생기면,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이른바 실 늘어짐(sag)이 생겨, 실이 얽히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자 브레이크가 제공되어 있다. 이 전자 브레이크에서는, 스풀에 제동력을 작용하게 하는 동시에, 그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의 전자 브레이크는, 원통형의 자석 지지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자석 지지 프레임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복수 자석의 자극면(磁極面)이, 스풀의 측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석 지지 프레임을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석의 자극면과 스풀 측벽과의 간격이 변경된다. 이로써, 스풀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자석 지지 프레임의 축 방향 위치는, 자석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홈과, 이 캠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안내 돌기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자석 지지 프레임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스풀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이 자석 지지 프레임의 회전은, 캠홈 및 안내 돌기의 걸어맞춤에 의해, 자석 지지 프레임의 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자석 지지 프레임의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자석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자석의 자극면과 스풀 측벽과의 간격이 조정된다. 즉, 스풀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일본특허공개 제1992―68892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스풀 제동 장치는, 대향하여 배치된 자석의 자극면과 스풀 측벽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을 조정하는 것이므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좁다. 이 조정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자석 지지 프레임의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에서는, 스풀의 고속 회전에 추종하여, 자석 지지 프레임이 용이하게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의 제동력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캐스팅 시에 비거리(飛距離)가 신장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장치이다. 이 스풀 제동 장치는, 도전체(導電體)와, 자석과, 제동력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전체는, 스풀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자석은,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도전체와 대향 가능하다. 제동력 조정 수단은, 자석과 도전체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 가능한 상태로 도전체가 회전한 경우에,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석을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전체와 자석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범위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이 대향 범위의 변화에 따라,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속수(磁束數)를 변화시켜, 스풀의 회전이 제동된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자석과 도전체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상태에 있어서 도전체가 회전한 경우에,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자석을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로써, 도전체와 자석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범위(대향 면적), 즉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속수가 변화되어, 스풀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종래 기술, 예를 들면, 대향하는 자석과 도전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원활하면서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에 고정되는 제1 통부와, 제1 통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통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자석은, 제2 통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부는, 피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다. 제2 통부는,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다. 제동력 조정 수단은, 제2 통부의 걸어맞춤부를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자석을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향 범위를 변화시킨다.
여기서는, 제2 통부의 걸어맞춤부를,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2 통부(자석)를 제1 통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향 범위를 변화시킨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2 통부의 걸어맞춤부를,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에 따라 이동시키고 있으므로, 대향 범위의 조정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의 조정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본 발명 2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가, 제1 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곡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곡선은, 제1 통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준축과, 제1 통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준축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가, 곡선, 예를 들면, 주위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변화하는 곡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의 제동력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곡선을, 주위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급변하는 곡선 형상으로 한 경우, 스풀의 고속 회전 시에 있어서, 제2 통부가 축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풀의 제동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곡선을 2차 곡선으로 형성한 경우, 회전 속도의 2승에 비례하는 원심 브레이크에 가까운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본 발명 2 또는 3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피(被)걸어맞춤부가, 제1 통부의 외주부에 오목형으로 형성된 홈부이다. 걸어맞춤부는, 제2 통부의 내주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이다.
본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걸어맞춤부인 돌출부를, 상기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홈부에 따라 안내함으로써, 제2 통부를, 제1 통부에 대하여,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회전시키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풀의 제동력을,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본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도전체가 스풀이며, 스풀이 금속제이다. 이 경우, 스풀 자체를 도전체로 함으로써, 전체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본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도전체가, 스풀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이 경우, 스풀을 비(非)도전체가 아닌 재질로 형성했다고 해도,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본 발명 6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도전체가, 스풀의 스풀축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이 경우, 도전체 즉 통형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시대에 장착되고, 낚싯줄의 송출 및 권취를 행하는 릴이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시대에 장착된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낚싯줄을 외주에 권취하는 스풀과, 본 발명 1 내지 7에 기재된 스풀 제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 1 내지 7에 나타낸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어,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통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스풀 제동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통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통부의 피걸어맞춤부의 각각의 형상에서의 스풀의 회전수와 스풀 제동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그리고, 본 발명을 그래프 A, 제2 실시예를 그래프 B, 제3 실시예를 그래프 C로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을 나타낸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은, 주로 루어 피싱에 사용되는 베이트 릴이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더블 핸들형이다. 핸들(2)은, 판형의 암부(arm portion)(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손잡이(2b)를 가지고 있다. 핸들(2)의 암부(2a)의 외측면은, 이음매가 없는 부드러운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낚싯줄이 쉽게 얽히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릴 본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와, 프레임(5)의 상부에 장착된 썸 레스트(thumb rest)(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개방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이들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핸들(2) 측의 제2 측커버(7)는, 나사에 의해 제2 측판(9)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2)과는 반대측의 제1 측판(8)에는,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2)과는 반대측의 제1 측커버(6)에는, 브레이크 케이스(55)가, 비스(vis)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레벨 와인드 기구(機構)(15)와, 클러치 조작 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스풀(12)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조작 레버(17)는,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와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cluth engaging/disengaging mechanism)(19)와, 드래그 기구(21)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18)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한다.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19)는, 클러치 조작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의 걸거나 분리하는 것을 행한다. 드래그 기구(21)는, 낚싯줄 송출 시에 스풀(12)을 제동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축(16)을 양단에서 협지(sandwich)하여 제동한다. 또한, 개구(8a)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스풀 제동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양 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다. 스풀(12)은,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를 들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1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비자성의 전기적 도전체이다. 여기서는, 스풀(12) 자체가, 후술하는 도전체(50)에 대응하고 있다.
스풀축(16)은,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일단은, 베어링(35b)에 의해, 제2 측커버(7)에 형성된 보스부(2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내통부(55a) 내에서, 베어링(3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 통(25)과, 가이드 통(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나사축(26)과, 라인 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나사축(26)의 단부에는, 기어 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a)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26)에는, 나선형 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형 홈(26a)에는, 라인 가이드(27)가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기어 기구(18)를 통하여 나사축(26)이 회전함으로써, 라인 가이드(27)는, 가이드 통(25)에 의해 왕복 이동한다. 이 라인 가이드(27) 내에 낚싯줄이 삽통(揷通)되고, 이 낚싯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권취된다.
기어 기구(18)는, 핸들축(30)에 고정된 드라이브 기어(31)와, 드라이브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와, 전술한 나사축(26) 단부에 고정된 기어(28a)와,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기어(28a)에 맞물림 기어(28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통형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의 중심에는, 스풀축(16)이 삽통된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 우단부 외주에 형성되고 드라이브 기어(31)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부(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를 가지고 있다.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는, 협착부(narrowed portion)(32c)가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端面)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에는, 스풀축(16)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클러치 핀(16a)가 연결된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스풀축(16)의 클러치 핀(16a)이 이탈하여 연결이 해제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클러치 핀(16a)에 의해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클러치 조작 레버(17)는,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는, 도시하지 않은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17)를 고정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캠이, 이 긴 구멍을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17)는, 긴 구멍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19)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19)는, 클러치 조작 레버(17)의 회동(回動)에 의해, 클러치 요크(40)를 스풀축의 축심(軸芯)과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또한,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19)는, 핸들축(30)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기구(13)가 자동적으로 온하도록, 클러치 요크(4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에 있어서,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32)의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클러치 핀(16a)이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클러치 핀(16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보스부(29)의 외주측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캡(45)과, 캡(45)의 바닥부에 장착된 마찰 플레이트(46)와, 브레이크 케이스(55)에 장착된 마찰 플레이트(47)를 구비하고 있다. 마찰 플레이트(46) 및 마찰 플레이트(47)는, 스풀축(16)의 양단에 접촉되어, 스풀축(16)을 협지한다. 예를 들면, 캡(45)이 회전된 경우, 마찰 플레이트(46) 및 마찰 플레이트(47)에 의해 발생하는 협지력이 조정된다. 이로써, 스풀(12)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스풀 제동 기구(23)는, 스풀(12)에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힘을 부가하여, 스풀(12)을 제동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기구(23)에서는, 브레이크 케이스(55)에 설치된 자석(51)이, 도전체(50)인 스풀(12)의 내주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자석(51)의 자계에, 도전체(50)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전체(50)인 스풀(12)이 회전하면, 스풀(12)의 회전수에 따른 와전류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의 발생에 의해, 스풀(12)[도전체(50)]에는,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힘이 부여된다. 이로써, 스풀(12)은,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제동된다.
스풀 제동 기구(23)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체(50)와, 자석(51)과, 통형의 제1 통부(60)와, 통형의 제2 통부(61)와, 스프링 부재(62)와, 이탈 방지 부재(63)와, 제동력 조정 수단(64)을 가지고 있다.
도전체(50)는, 스풀(12)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51)은, 도전체(50)와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전체(50)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스풀(12)에 대응하고 있다. 도전체(50)는, 비자성의 전기적 도전체이다. 상세하게는, 도전체(50)는, 스풀(12)의 제1 측판(8) 측(도 3의 좌측)의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부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60)는,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내통부(55a)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 통부(60)의 내주부가, 브레이크 케이스(55)의 내통부(55a)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제1 통부(60)는, 피걸어맞춤부(60a)를 가진다. 피걸어맞춤부(60a)는, 주위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급변하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피걸어맞춤부(60a)는, 상기한 곡선형으로 형성된 홈부이다. 피걸어맞춤부(60a) 예를 들면, 홈부는, 2차 곡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2차 곡선은, 제1 통부(60)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준축 X와, 제1 통부(60)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준축 Y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도 6 참조).
제1 통부(60)에서는, 스풀(12) 측(도 3의 우측)의 선단 내주부에, 암나사부(6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60b)에는, 이탈 방지 부재(63)의 브레이크 케이스(55) 측(도 3의 좌측)의 선단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63a)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제1 통부(60)에 이탈 방지 부재(63)가 장착된다. 제1 통부(60)의 브레이크 케이스(55) 측(도 3의 좌측) 단부에는, 대경(大徑)의 플랜지부(60c)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조작 손잡이(65)의 압압부(押壓部)(65b)가 접촉되어 있다.
자석(51)은, 도전체(50)에 자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풀(12)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61)의 외주부에는, 자석(51)이 고정되어 있다. 자석(51)은, 예를 들면, 8개의 원기둥형의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51)은, 제2 통부(61)의 외주부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8개소(箇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부(61)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자석(51)은, 스풀(12)[도전체(50)]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부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비대향 위치(도 3의 위치)와, 스풀(12)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부에 대향하고 있는 대향 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대향 위치에서는, 자석(51)의 축 방향 길이의 1/3 정도가, 스풀(12)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부에 대향하고 있다. 이 자석(51)의 축 방향 길이의 1/3 정도의 범위가, 자석(51)과 스풀(12)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와의 대향 범위(대향 면적)로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대향 위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비대향 위치와 비교하여, 스풀(12)[도전체(50)]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증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이 커진다.
제2 통부(61)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60)의 외주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통부(61)는, 자석(51)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61b)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61b)는, 제2 통부(61)의 외주부의 8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유지부(61b)에는, 자석(51)이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부(61)의 외주면과 자석(51)의 외주면이 면일치하도록, 각각의 유지부(61b)는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51)을 제2 통부(61)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제2 통부(61)의 외주면이 부드러운 주위면으로 되도록, 각각의 유지부(61b)는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61)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61a)를 가진다. 걸어맞춤부(61a)는, 피걸어맞춤부(60a)에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이다. 제2 통부(61)가 제1 통부(6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거나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걸어맞춤부(61a)는, 피걸어맞춤부(60a)에 걸어맞추어져 안내된다. 걸어맞춤부(61a)는, 제2 통부(61)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61a)는, 제2 통부(61)의 스풀(12) 측(도 3의 우측)의 내주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이 제2 통부(61)의 걸어맞춤부(61a)(돌출부)는, 제2 통부(61)의 회전에 따라, 제1 통부(60)에 2차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피걸어맞춤부(60a)에 걸어맞추어지면서 이동한다. 이로써,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링 부재(62)는, 제2 통부(61)를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부재(62)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61)를 브레이크 케이스(55) 측(도 3의 좌측)으로 가압한다. 스프링 부재(62)는, 제2 통부(61)의 스풀(12) 측(도 3의 우측)의 선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62)는, 이탈 방지 부재(63)와 제2 통부(6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부재(62)는, 원뿔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 부재(62)는, 자석(51)에 의해 흡착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SUS303 등의 비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63)는, 스프링 부재(62)를 이탈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탈 방지 부재(63)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60)의 스풀(12) 측(도 3의 우측)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여기서는, 제1 통부(60)의 암나사부(60b)에, 이탈 방지 부재(63)의 브레이크 케이스(55) 측(도 3의 좌측) 선단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부(63a)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이탈 방지 부재(63)가 제1 통부(60)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력 조정 수단(64)은, 스풀(12)의 회전에 따라, 스풀(12)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제동력 조정 수단(64)은, 자석(51)과 스풀(12)[도전체(50)]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상태에 있어서, 스풀(12)이 회전한 경우에, 스풀(12)의 회전수(회전 속도)에 따라, 스풀(12)의 제동력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동력 조정 수단(64)에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자석(51)과 대향한 스풀(12)이 회전하면, 도전체(50)에 작용하는 자석(51)의 자력에 의해, 제2 통부(61)가, 제1 통부(6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와 자석(51)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대향 범위)이 변화되어, 스풀(12)의 제동력도 변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51)의 자력이 도전체(50)에 작용하고, 스풀(12)에 제동력이 발생하면, 이 제동력에 대응하는 반력이, 제2 통부(61)에 작용한다. 이 반력에 의해, 제2 통부(61)가 제1 통부(60)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제2 통부(61)의 회전에 의해, 걸어맞춤부(61a)가 피걸어맞춤부(60a)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스풀(12)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스풀(12) 측(도 4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인 스풀(12)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증가한다. 이로써, 스풀(12)의 제동력이 증가한다. 한편, 스풀(12)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감소하면,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스프링 부재(62)에 의해, 스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인 스풀(12)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감소한다. 이로써, 스풀(12)의 제동력도 감소한다.
이와 같이, 제동력 조정 수단(64)은, 스풀(12)의 회전에 따라, 스풀(12)의 제동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동력 조정 수단(64)에서는, 도 7의 그래프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동력이 회전수에 따라 스풀(12)에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부(60a)를 2차 곡선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회전수에 대한 제동력(도 7의 그래프 A)이, 2차 곡선에 의해 근사(近似)된다. 즉, 본 제동력 조정 수단(64)에서는, 스풀(12)의 회전 속도의 2승에 비례하는 원심 브레이크에 가까운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제동력을 스풀(12)에 대하여 양호한 밸런스로 부가하기 위해서는, 피걸어맞춤부(60a)의 형상은, 2차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통부(60)의 피걸어맞춤부(60a)를, 1차 방정식에 의해 정의되는 형상(직선형)으로 형성한 경우, 회전수와 제동력과의 관계는, 도 7의 그래프 B와 같이 나타낸다. 이 그래프 B에서는, 회전수의 변화에 대하여, 제동력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피걸어맞춤부(60a)를 직선형으로 형성한 경우, 초심자에게는 조절이 곤란하다. 그러나,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면, 회전 초기 및 회전 후반의 제동력을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비거리를 늘릴 수가 있다.
또한, 피걸어맞춤부(60a)를, 3차 곡선으로 정의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회전수와 제동력과의 관계는, 도 7의 그래프 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그래프 C에서는, 회전수의 변화에 대하여 제동력이 완만하게 변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풀(12)에는, 저속 시에도 비교적 큰 제동력이 작용하여, 비거리가 신장되기 어렵다. 그러나, 제동 장치로서는, 초심자라도 취급하기 쉬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이다. 브레이크 케이스(55)는, 외주부가 제1 측판(8)의 개구(8a)에, 꽂는 구조(bayonet structure)(14)에 의해 장착된다. 브레이크 케이스(55)의 스풀(12) 측(도 4의 우측) 중앙부에는, 통형으로 돌출하는 내통부(55a)를 가지고 있다. 내통부(55a)의 외주부에는, 제1 통부(60)가 장착된다. 내통부(55a)의 내주부는, 베어링(35a)의 외륜을 지지하고 있다. 내통부(55a)의 기단부(基端部) 외주부에는, 복수의 관통공(55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5b)에는, 조작 손잡이(65)의 압압부(65b)(후술하는)가 삽통된다.
조작 손잡이(6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손잡이부(65a)와 복수의 압압부(65b)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65a)는, 제1 측커버(6)에 형성된 개구(6a)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압압부(65b)는, 손잡이부(65a)의 스풀(12) 측(도 4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65b)는 관통공(55b)에 삽통되고, 제1 통부(60)를 압압 가능하게 제1 통부(60)의 플랜지부(60c)와 맞닿아 있다.
손잡이부(65a)는, 개구(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65)는, 손잡이부(65a)의 회전을 압압부(65b)의 축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캠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6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캠 작용에 의해,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제1 통부(60)를 통하여, 스풀(12)[도전체(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3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즉, 자석(51)이 도전체(50)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도전체(50)를 통과하는 자속의 수가 감소하여, 전체의 제동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조작 손잡이(65)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풀(12)의 초기 제동력이 설정된다.
다음에, 릴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40)는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클러치 온의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드라이브 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에 전달된다. 즉, 핸들(2)을 회전하면, 스풀(1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해, 조작 손잡이(65)를 회동(回動)시켜, 초기 제동력을 조정한다. 전체의 제동력을 억제하려는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6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자석(51)을 도전체(50)로부터 멀리하면 된다. 조작 손잡이(6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작용에 의해, 자석(51)이 도전체(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스풀(12)]를 통과하는 자속의 수가 감소하여, 전체의 제동력이 약해진다.
한편, 전체의 제동력을 크게 하려는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6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자석(51)을 도전체(50)에 근접시키면 된다. 조작 손잡이(6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작용에 의해, 도전체(5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자석(51)이 이동한다. 이로써, 도전체(50)를 통과하는 자속의 수가 증가하여, 전체의 제동력이 강해진다.
이어서, 클러치 조작 레버(1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클러치 조작 레버(17)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요크(40)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3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레버(17)에 둔 엄지로 스풀을 써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鉛直面)을 따르도록 릴을 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낚시대를 진동시키면, 루어(인조 미끼)가 투척되어, 스풀(12)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힘차게 회전한다.
자석(51)이 대향 위치(도 4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12)이 회전하면, 도전체(50)인 스풀(12)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스풀(12)이 제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통부(61)에는, 제동력에 따른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에 의해, 제2 통부(61)가 회전하고, 걸어맞춤부(61a)가 피걸어맞춤부(60a)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스풀(12) 측(도 4의 우측)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스풀(12)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동력에 따른 반력도 커지고, 제2 통부(61)가, 도전체(50)의 내주부로 끌여들여진다. 이로써, 도전체(50)[스풀(12)]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증가하여, 제동력이 강해진다. 한편, 스풀(12)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제동력에 따른 반력도 작아진다. 이 경우, 제2 통부(61)가, 스프링 부재(62)에 의해, 스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전체(50)[스풀(12)]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감소하여, 제동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스풀(12)의 회전에 따라 스풀(12)의 제동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스풀 제동 기구(23)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12)의 제동력에 대응하는 반력에 의해 제2 통부(61)가 회전한다. 그러면 제2 통부(61)의 걸어맞춤부(61a)의 돌출부가, 제1 통부(60)의 피걸어맞춤부(60a)의 홈부(2차 곡선 형상의 홈부)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통부 및 자석(51)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전체(50)인 스풀(12)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변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풀(12)의 회전에 따라 스풀(12)의 제동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스풀 제동 기구(23)에서는, 스풀(12)[도전체(50)]의 회전에 따라 도전체(50)에 대향하는 자석(51)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풀(12)의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풀 제동 기구(23)에서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스풀(12)의 제동력을 원활하면서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스풀(12)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12)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스풀 제동 기구(23)에서는, 제1 통부(60)의 피걸어맞춤부(60a)가, 제1 통부(60)의 주위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급변하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12)의 고속 회전에 추종하여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급격하게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풀(12)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곡선을 2차 곡선으로 형성한 경우, 회전 속도의 2승에 비례하는 원심 브레이크에 가까운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스풀의 회전에 따른 제동력을 스풀에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걸어맞춤부(60a)가, 제1 통부(60)의 외주부에 오목형으로 형성된 홈부이며, 걸어맞춤부(61a)가, 제2 통부(61)의 내주부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부(60a)를, 제1 통부(6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돌출부으로 하고, 걸어맞춤부(61a)를, 제2 통부(61)의 내주부에 오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홈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걸어맞춤부(60a)인 돌출부가, 제1 통부(60)의 주위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급변하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했다고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체(50)가 스풀(12)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대신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이나 스풀축(16)에 고정된 금속제의 통형 부재를 도전체(50)로 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석(51)은 제2 통부(61)의 외주부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8개소에 배치하였으나, 자석(51)의 수나 간격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부(60)를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초기 제동력을 설정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대신에, 예를 들면, 제1 통부(60)의 암나사부(60b)를 제1 통부(60)의 내주로 신장시켜, 내통부(55a)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초기 제동력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65)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통부(60),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스풀(12)[도전체(5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조작 손잡이(6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통부(60), 제2 통부(61), 및 자석(51)이, 스풀(12)[도전체(5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통부(61)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62)가 원뿔 코일 스프링인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스프링 부재(62)는, 외형이 일정한 코일 스프링이라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스풀 제동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핸들
2a: 암부
2b: 손잡이
3: 스타 드래그
5: 프레임
6: 제1 측커버
6a: 개구
7: 제2 측커버
8: 제1 측판
8a: 개구
9: 제2 측판
10: 썸 레스트
12: 스풀
12a: 플랜지부
12b: 와이어 권취 보디부
12c: 보스부
13: 클러치 기구
14: 꽂는 구조
15: 레벨 와인드 기구
16: 스풀축
16a: 클러치 핀
17: 클러치 조작 레버
18: 기어 기구
19: 클러치 걸림/해제 기구
21: 드래그 기구
22: 캐스팅 컨트롤 기구
23: 스풀 제동 기구
25: 가이드 통
26: 나사축
26a: 나선형 홈
27: 라인 가이드
28a: 기어
28b: 기어
29: 보스부
30: 핸들축
31: 드라이브 기어
32: 피니언 기어
32a: 톱니부
32b: 맞물림부
32c: 협착부
35a: 베어링
35b: 베어링
40: 클러치 요크
45: 캡
46: 마찰 플레이트
47: 마찰 플레이트
50: 도전체
51: 자석
55: 브레이크 케이스
55a: 내통부
55b: 관통공
60: 제1 통부
60a: 피걸어맞춤부
60b: 암나사부
60c: 플랜지부
61: 제2 통부
61a: 걸어맞춤부
61b: 유지부
62: 스프링 부재
63: 이탈 방지 부재
63a: 수나사부
64: 제동력 조정 수단
65: 조작 손잡이
65a: 손잡이부
65b: 압압부

Claims (8)

  1.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회전을 제동(制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스풀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도전체(導電體);
    상기 릴 본체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와 대향 가능한 자석; 및
    상기 자석과 상기 도전체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 가능한 상태로 상기 도전체가 회전한 경우에, 상기 도전체에 작용하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석이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전체와 상기 자석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범위를 변화시키고, 상기 대향 범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도전체에 작용하는 상기 자석의 자속수를 변화시켜,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 조정 수단;
    을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되는 제1 통부; 및
    상기 제1 통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2 통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부는 피(被)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통부는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제동력 조정 수단에 의해서는, 상기 제2 통부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제1 통부의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석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향 범위를 변화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준축과, 상기 제1 통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준축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을 따르도록, 상기 제1 통부의 상기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 통부의 외주부에 오목형으로 형성된 홈부이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 통부의 내주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스풀이며,
    상기 스풀은 금속제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스풀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스풀의 스풀축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8. 낚시대에 장착되고, 낚싯줄의 송출 및 권취를 행하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상기 낚시대에 장착된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낚싯줄을 외주에 권취하는 스풀;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풀 제동 장치;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30053705A 2012-05-17 2013-05-13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206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3160A JP5944742B2 (ja) 2012-05-17 2012-05-17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JP-P-2012-113160 2012-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116A KR20130129116A (ko) 2013-11-27
KR102061077B1 true KR102061077B1 (ko) 2019-12-31

Family

ID=4958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705A KR102061077B1 (ko) 2012-05-17 2013-05-13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7517B2 (ko)
JP (1) JP5944742B2 (ko)
KR (1) KR102061077B1 (ko)
CN (1) CN103416375B (ko)
MY (1) MY164761A (ko)
TW (1) TWI589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0671B2 (en) * 2013-06-03 2015-04-21 Shih-Yuan Yeh Fishing reel
JP6290602B2 (ja) 2013-11-15 2018-03-07 オークマ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6389669B2 (ja) * 2014-07-16 2018-09-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の制動部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351433B2 (ja) * 2014-08-08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6543041B2 (ja) 2015-02-12 2019-07-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US9999210B1 (en) * 2015-03-10 2018-06-1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icro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653582B2 (ja) * 2016-01-19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88679B2 (ja) * 2016-05-2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790778B1 (ko) * 2016-06-08 2017-10-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브레이킹 마그넷의 영점 조절이 가능한 베이트 캐스팅 릴
JP6829018B2 (ja) * 2016-07-01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7086827B2 (ja) 2018-12-14 2022-06-2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用キャップ
JP7164450B2 (ja) * 2019-01-29 2022-11-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2022022175A (ja) * 2020-07-23 2022-02-03 ピュア・フィッシ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マグネットキャスティングブレーキ
CN117015303A (zh) * 2020-09-21 2023-11-07 费乐 有限公司 具有带磁性制动系统的旋转线轴的钓鱼卷线器
US11363806B1 (en) 2020-11-30 2022-06-21 Allen Fly Fishing, LLC Fishing reel with braking assembly
JP7558908B2 (ja) * 2021-08-20 2024-10-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動力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476U (ja) * 1981-11-11 1983-05-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4561605A (en) * 1981-12-25 1985-12-3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Brake for a fishing reel
US4544111A (en) * 1982-03-09 1985-10-0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Brake for a fishing reel
JPS58165727A (ja) * 1982-03-26 1983-09-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SE442809B (sv) * 1984-06-05 1986-02-03 Abu Ab Magnetbroms med automatisk reglering avsedd for spinnsporulle
JP2557325Y2 (ja) * 1991-09-18 1997-12-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H0717064U (ja) * 1993-09-14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2929517B2 (ja) * 1994-04-01 1999-08-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3325773B2 (ja) * 1996-05-16 2002-09-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6065700A (en) * 1996-07-15 2000-05-23 Brunswick Corporation Actuator assembly for magnetic brake on a fishing reel
US6086005A (en) * 1997-03-11 2000-07-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agnetic force spool rotational-speed control during spool free rotational state
JP3509535B2 (ja) * 1998-03-10 2004-03-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H11332436A (ja) *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3955725B2 (ja) * 2000-11-10 2007-08-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100702066B1 (ko) * 2005-04-28 2007-03-30 연 석 노 베이트 캐스트 릴
JP2008178310A (ja) * 2007-01-23 2008-08-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9027975A (ja) * 2007-07-26 2009-02-1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019408A (ja) * 2009-07-13 2011-02-0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6375A (zh) 2013-12-04
TW201406285A (zh) 2014-02-16
JP5944742B2 (ja) 2016-07-05
US20130306777A1 (en) 2013-11-21
CN103416375B (zh) 2017-04-12
TWI589226B (zh) 2017-07-01
US8967517B2 (en) 2015-03-03
KR20130129116A (ko) 2013-11-27
MY164761A (en) 2018-01-30
JP2013236606A (ja)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7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2395200B1 (ko)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US9955678B2 (en) Spool braking device and fishing reel
KR101889843B1 (ko) 듀얼 베어링 릴
JP6543041B2 (ja)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KR102278089B1 (ko) 양 베어링 릴
JP2015065961A5 (ko)
US9510576B2 (en) Spinning reel
JP6829020B2 (ja) 両軸受リール
JP6240398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2001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2001017044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5985779B1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2125544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7098218B2 (ja) 魚釣用リール
JP6739593B2 (ja) 魚釣用リール
JP6739594B2 (ja) 魚釣用リール
JP6321479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