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9667B1 -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 Google Patents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667B1
KR102069667B1 KR1020190096659A KR20190096659A KR102069667B1 KR 102069667 B1 KR102069667 B1 KR 102069667B1 KR 1020190096659 A KR1020190096659 A KR 1020190096659A KR 20190096659 A KR20190096659 A KR 20190096659A KR 102069667 B1 KR102069667 B1 KR 10206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elastic
coupler
piec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화
Priority to KR102019009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철근이나 강연선을 이음 또는 정착시킬 때 사용되는 커플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을 감싸도록 다수 개의 쐐기편으로 이루어진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쐐기압이 발생하도록 가압체를 수용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수용하면서 커플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체의 하부에는 각 쐐기편을 개별적으로 수직 상방향(커플러의 길이방향 중 철근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방향을 말한다)으로 밀어줄 수 있는 밀착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PRESSURE TYPE COUPLER WITH MEANS FOR INDIVIDUALLY PRESSING THE WEDGE}
본 발명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철근이나 강연선을 이음 또는 정착시킬 때 사용되는 커플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쐐기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이음 또는 정착시키고자 하는 철근이나 강연선을 가압식으로 고정시키는 커플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핵심 부재인 철근은 제작, 운반 및 작업의 여건상 그 길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바,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철근이음이나 강연선의 정착 작업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철근이음을 예로 하여 그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철근을 겹친 후 결속선으로 묶어주는 겹침이음, 용접에 의한 이음, 슬리브 내지 커플러를 이용한 기계식 이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높은 인건비을 절감하고 작업성 향상에 따른 공기 단축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커플러를 이용한 기계식 이음방식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기계식 이음방식은 이음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커플러와 나사체결하여 철근을 커플러에 고정시키는 나사체결방식과 이음하고자 하는 철근을 쐐기 등으로 가압하여 쐐기압에 원리에 의해 철근이 커플러에 고정되게 하는 쐐기 가압방식이 있다.
후자의 쐐기 가압방식 중 특히 원터치 방식의 구조를 가진 커플러는 적어도 2사람이 함께 작업해야 하는 나사 방식의 구조를 가진 것과는 달리 철근을 커플러에 끼우기만 하면 철근이 커플러에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 한 명만으로도 철근의 이음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그 이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원터치 방식의 철근이음 커플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과 양측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베이스몸체(111)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57)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 단부에 놓여지면서 다수 개의 쐐기형 결합편(155)을 지지하는 접합브라켓(153) 및, 내면에 상기 결합편(155)에 대응하는 쐐기면(151b)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몸체(111)에 결합되는 하우징(151)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1의 오른쪽 부분에서와 같이 철근을 하우징(151)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철근이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에 맞물린 다수 개의 결합편(155)도 함께 이동하다가, 철근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1의 왼쪽 부분에서와 같이 결합편(155)들은 탄성부재(157)와 접합부재(153)에 의해 다시 밀려나 하우징(151) 내면의 쐐기면(151b)에 밀착되면서 철근이 결합편(155)들에 의해 물려져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원터치 방식의 철근이음 커플러의 상기한 작동은 하우징(151)의 내부로 철근을 삽입할 때 함께 이동하는 다수 개의 결합편(155)들이 서로 어긋남 없이 일체성을 유지한 채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결합편(155)들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커플러에 대한 철근의 체결이 완료되더라도 일부 결합편(155)과 접합부재(153) 또는 쐐기면(151b)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어 결합편(155)이 유동할 수 있는 상태로 남게 되어 체결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커플러 전체를 해체하여 다시 조립한 후 재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KR 10-1845850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이나 강연선(이하에서는 '철근'으로 총칭한다)을 커풀러 내부에 삽입할 때 이와 함께 삽입되는 다수 개의 쐐기편이 상호 어긋나게 진입되더라도 철근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 쐐기편의 상하단 어디에도 유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커플러에 대한 철근의 체결의 작업을 다시 해야 하더라도 작업자가 커플러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쉽게 재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가압식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철근을 감싸도록 다수 개의 쐐기편으로 이루어진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에 쐐기압이 발생하도록 가압체를 수용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수용하면서 커플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체의 하부에는 각 쐐기편을 개별적으로 수직 상방향(커플러의 길이방향 중 철근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방향을 말한다)으로 밀어줄 수 있는 밀착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에는 가압체를 구성하는 쐐기편의 개수만큼의 탄성편이 밀착본체에 균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 쐐기편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탄성작용하는 상기 탄성편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쐐기편의 하면에 접하여 탄성력으로 쐐기편을 밀어주는 상부탄성부과, 상부탄성부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밀착본체와 연결된 하부탄성부로 이루어지고, 밀착본체와 하부탄성부의 양 측면 사이에는 하부탄성부의 탄성작용을 유도하는 탄성슬릿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 내부에는 가압체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는 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밀착판이 놓여지되, 상기 지지판에는 탄성편의 하부이동을 수용하는 탄성편수용홈과 각 쐐기편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대가 지지본체에 균등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밀착본체에는 상기 간격대를 수용하는 간격대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체의 내부에는 각 쐐기편을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링이 설치되고, 상기 쐐기편의 내면에는 탄성링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고정체의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에는 해체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밀착판의 각 탄성편들이 쐐기편들의 진입정도에 대응하여 이들 각 쐐기편들을 개별적이고 독립적이고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철근이 커플러의 가압체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가압체의 쐐기편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게 진입되더라도 각 쐐기편들이 상하에 유격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체 내면과 철근의 외면 사이에 단단히 끼워져 철근의 고정상태가 유지되게 하므로, 철근이 커플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체 내면에 구비된 유동면에 탄성링이 설치됨에 따라 상술한 밀착편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철근의 고정작업이 잘못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탄성링이 정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커플러를 해체하지 않고서 재작업을 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해체표시부에 의해 철근의 제거 및 재작업 가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커플러에 대한 철근 고정의 수정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러에 철근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플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체에 관한 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밀착판에 관한 각 사시도다.
도 6은 상기 밀착판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판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지지판과 밀착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프링 내부에 가이드관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탄성링이 설치된 가압편과 고정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동면에 의한 작용의 설명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커플러 형상의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70)을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플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커플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쐐기편(31)으로 이루어진 가압체(30)와, 상기 가압체(30)를 수용하는 고정체(20) 및, 상기 고정체(20)를 수용하는 몸체(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쐐기편(31)은 철근(70)을 일정한 간격으로 감싸아 고정체(20)의 내부에 삽입 밀착될 때 발생되는 쐐기압으로 상기 철근(7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쐐기압 발생을 위한 테이퍼진 경사외면(32)과 함께 철근(70)에 대하여 높은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면에 마찰돌기(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34)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양측으로 경사진 내각 60도의 단면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철근에 큰 가압이 작용하더라도 철근을 쉽게 파고 들지 않아 커플러에 고정된 철근에 단면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찰돌기(34)는 연속된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쐐기편(31)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쐐기편(31)의 외면에는 링홈(33)이 구비되고, 상기 링홈(33)에 고무링(36)을 끼워넣어 각 쐐기편(31)들이 일체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체(20)의 내면에는 상기 쐐기편(31)의 경사외면(32)에 대응하는 경사각의 경사내면(23)을 구비시킴으로써 쐐기편(31)의 삽입정도에 대응하여 쐐기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20)는 커플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의 내부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20)의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로 고정체(20)를 회전시켜 몸체(10)에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 외면의 단부에 파지부(24)를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의 내면에 쐐기편(31)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회전돌기(25)들 구비시켜 가압체(30)에 고정된 철근(70)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체(20)가 몸체(10)에 나사체결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쐐기편(31)에 의한 쐐기압을 이용하여 철근(70)을 커플러에 고정시키는 구조에서는 철근(70)을 커플러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 중 철근(70)과 함께 쐐기편(31)들도 함께 이동되는데, 이때 철근(70)을 각 쐐기편(31)들 사이의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그에 따라 철근(70)과 각 쐐기편(31)들 사이의 마찰력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편차는 각 쐐기들 사이가 수평방향으로 일치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면서 일부는 더 많이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덜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게 하면서 유격공간(△)이 형성되어 일부의 쐐기편(31)이 고정체(20)에 고정되지 못하고 상하로 흔들리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커플러에 철근(70)을 삽입하는 과정 중에 쐐기편(31)들이 어긋나게 되어 발생되는 유격공간(△)을 제거시킴으로써 쐐기편(31)들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체(20)의 내면과 철근(70)의 외면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밀착판(40)을 가압체(30)의 하부에 설치한다.
도 5는 상기 밀착판(40)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 바라본 것이고, 도 6은 상기 밀착판(40)의 작동관계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밀착판(40)은 각 쐐기편(31)을 개별적으로 수직 상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쐐기편(31)들의 진입정도가 다르더라도 어느 쐐기편(31)에도 유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밀착판(40)에는 판상의 밀착본체(41)에 다수 개의 탄성편(42)이 균등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42)은 가압체(30)를 구성하는 쐐기편(3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고, 탄성편(42)이 각 쐐기편(31)의 하부에 하나씩 위치하여 쐐기편(31)들의 진입정도에 따라 각 탄성편(42)들이 독립적으로 탄성 작용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쐐기편(31)들의 진입상태가 달라지더라도 어느 하나에도 쐐기편(31)의 상하부에 유격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지 않고, 고정체(20)의 내면과 철근(70)의 외면 사이에서 흔들림 없는 확실한 고정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편(42)은 쇄기편의 하면에 접하여 탄성력으로 쐐기편(31)을 밀어주는 상부탄성부(42a)과, 상부탄성부(42a)의 하단에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밀착본체(41)와 연결된 하부탄성부(42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부탄성부(42a)과 하부탄성부(42b)로 구성된 상기 탄성편(42)은 이중적 탄성작용으로 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탄성 작용을 유연하게 하면서 그 작용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이때 밀착본체(41)와 하부탄성부(42b)의 양 측면 사이에 탄성슬릿(43)을 형성시켜 하부탄성부(42b)의 탄성을 유도하게 할 수 있는 바, 이는 밀착본체(41)의 좁은 공간에서 탄성체가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게 하면서도 상부탄성부(42a)의 위치를 쐐기편(3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밀착판(40)을 이용한 쐐기편(31)의 유동 방지는 쐐기압을 이용하여 철근(70)을 고정시키는 구조의 커플러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스프링(61)을 이용한 원터치형의 커플러에는 더욱 더 유용하게 적용된다.
원터치형 커플러는 몸체(10)의 내부에 스프링(61)이 내장된다. 상기 스프링(61)은 가압체(30)를 상방향으로 밀어준다.
스프링(61)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판상의 지지판(5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50)은 스프링(61)의 탄성력이 가압체(30)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밀착판(40)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상기 밀착판(40)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밀착판(40)은 지지판(50)의 상면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지지판(50)의 지지본체(51)에 탄성편수용홈(52)을 구비시키고, 탄성편(42)의 하부이동을 탄성편수용홈(52)이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밀착편의 탄성 작용 범위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지지판(50)에는 각 쐐기편(3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대(53)가 지지본체(51)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본체(51)에 각 구비되는 탄성편수용홈(52)과 간격대(53)는 균등한 간격을 가지면서 교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간격대(53)는 가압체(30)의 작동과정 중에 변형됨 없이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50)은 탄성재질의 밀착판(40)과는 달리 비탄성재질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지지판(50)에 간격대(5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밀착판(40)에도 상기 간격대(53)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대수용홈(44)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밀착본체(41)에 각 구비되는 탄성편(42)과 간격대수용홈(44) 역시 균등한 간격을 가지면서 교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 8은 이러한 지지판(50)과 밀착판(40)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편(42)과 간격대(53)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교대로 위치하면서 상향 돌출된다. 따라서 각 쐐기편(31) 사이의 간격에 간격대(53)가 삽입되면 탄성편(42)은 자연스럽게 쐐기편(31) 하면의 정위치에 놓여지게 되어 탄성편(42)의 작용이 오류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커플러의 내부공간으로 철근(70)을 진입시키면, 가압체(30)는 일정 구간 철근(70)과 함께 진입하면서 밀착판(40)과 지지판(50)을 매개로 하여 스프링(61)을 압축시키고, 철근(70)의 진입이 완료되면 스프링(61)이 복원되면서 밀착판(40)과 지지판(50)을 상부로 밀어주어 각 쐐기편(31)들이 쐐기압 작용으로 철근(70)을 물어주게 된다. 그런데 철근(70) 진입시 스프링(61)에 지나친 압력 내지 편심이 가해지면 스프링(61)의 일부 부분이 소성변형되어 충분한 복원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61) 내부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61)의 압축방향이 수직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를 안내하면서 압축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가이드관(62)을 설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체(30) 내부에는 각 쐐기편(31)을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링(37)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탄성링(37)이 설치된 가압편이 고정체(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쐐기편(31)들을 일체로 조립시키기 위해 고무링(36)이 가압체(30) 하단의 외면에 설치되어 이들 쐐기편(31)들을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가압하는 반면, 상기 탄성링(37)은 가압체(30)의 중앙 내면에 설치되어 이들 쐐기편(31)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가압한다.
이에 의해 가압체(30)의 내부공간은 상광하협의 구조를 가지게 되어 철근(7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진다.
상기 탄성링(37)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링의 일부가 제거되어 양 단부가 벌어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은 탄성링(37)의 내경에 대한 탄성적 변형이 용이하므로 가압체(30)와 철근(70) 사이의 밀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탄성링(37)의 단부가 쐐기편(31)들 사이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면 쐐기편(31)은 탄성링(37)의 단부에 걸려 작동이 쉽지 않게 되는 바, 상기 양 단부는 쐐기편(31)의 내면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링(37)은 마찰돌기(34)보다 돌출될 수는 있으나, 철근(70)이 가압체(3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철근(70)과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철근(7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탄성링(37)은 각 쐐기편(31)에 구비된 마찰돌기(34)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데, 일부 쐐기편(31)이 어긋나게 되면 상기 탄성링(37)의 설치상태 역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면서 자칫 가압체(30) 내부로부터 이탈될 여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쐐기편(31) 내면에 탄성링(37)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면(35)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1은 상기한 유동면(35)의 작용에 의해 탄성링(37)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유동면(35)을 가짐으로써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링(3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플러를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서도 철근(70)고정의 재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커플러에 대한 철근(70)의 고정작업이 잘못 이루어진 경우 이들을 해체하여 재조립한 후 재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나, 원터치형 커플러의 경우 해체된 각 부품들을 재조립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아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예컨대, 안내링(미도시)이 쐐기편(31)들 사이에 위치하여 철근(70)의 삽입을 안내하며 철근(70)과 함께 진입되는 통상적인 원터치형 커플러는, 상기 철근(70)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안내링이 몸체(10)에 형성된 격벽(11)의 바닥면으로 이탈된다. 또한 설령 쐐기편(31)들 사이에 철근(70)을 통과시키는 탄성링(37)이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쐐기편(31)들이 서로 어긋나면서 탄성링(37) 역시 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이러한 커플러들은 재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체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쐐기편(31) 내면에 유동면(35)이 구비된 경우에는 쐐기편(31)들이 서로 어긋나게 된 경우라도 정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재작업을 위해 커플러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단지 처음의 작업 과정중에 삽입시켰던 철근(70)을 가압체(30)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쐐기편(31)들을 벌려 주기만 하면 커플러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철근(70) 고정작업이 잘못된 경우 몸체(10)로부터 고정편의 일부를 풀어주기만 하면 상기한 고정작업을 다시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재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고정체(20)의 풀림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해체표시부(22)를 더 구비시킨다. 즉 몸체(10)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고정체(20)의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2)에 채결되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는바, 상기 수나사부(21)에 해체표시부(22)를 구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고정체(20)를 해체표시부(22)까지만 풀어주면 철근(70)을 커플러에서 제거한 후, 그 상태에서 곧 바로 철근(70)의 고정을 위한 작업을 다시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철근(70)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삽입된느 일방향 커플러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커플러 및 십자형 커플러 등 다양한 방향성의 커플러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철근(70)의 이음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내부에는 철근(70)의 단부를 지지하기 격벽(11)에 설치되어야 하는 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격벽(11)의 구조형식이 다르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몸체 11; 격벽
12; 암나사부 20; 고정체
21; 수나사부 22; 해체표시부
23; 경사내면 24; 파지부
25; 회전돌기 30; 가압체
31; 쐐기편 32; 경사외면
33; 링홈 34; 마찰돌기
35; 유동면 36; 고무링
37; 탄성링 40; 밀착판
41; 밀착본체 42; 탄성편
42a; 상부탄성부 42b; 하부탄성부
43; 탄성슬릿 44; 간격대수용홈
50; 지지판 51; 지지본체
52; 탄성편수용홈 53; 간격대
61; 스프링 62; 가이드관
70; 철근 △; 유격공간

Claims (8)

  1. 철근(70)을 감싸도록 다수 개의 쐐기편(31)으로 이루어진 가압체(30)와. 상기 가압체(30)에 쐐기압이 발생하도록 가압체(30)를 수용하는 고정체(20)와, 상기 고정체(20)를 수용하면서 커플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체(30)의 하부에는 각 쐐기편(31)을 개별적으로 수직 상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밀착판(40)이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40)에는 가압체(30)를 구성하는 쐐기편(31)의 개수만큼의 탄성편(42)이 밀착본체(41)에 균등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 쐐기편(31)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탄성작용하는 상기 탄성편(42)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42)은 쐐기편(31)의 하면에 접하여 탄성력으로 쐐기편(31)을 밀어주는 상부탄성부(42a)와, 상부탄성부(42a)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밀착본체(41)와 연결된 하부탄성부(42b)로 이루어지고, 밀착본체(41)와 하부탄성부(42b)의 양 측면 사이에는 하부탄성부(42b)의 탄성작용을 유도하는 탄성슬릿(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내부에는 가압체(30)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61)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61)의 상부에는 지지판(5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50)의 상면에 밀착판(40)이 놓여지되,
    상기 지지판(50)에는 탄성편(42)의 하부이동을 수용하는 탄성편수용홈(52)과 각 쐐기편(3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대(53)가 지지본체(51)에 균등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밀착본체(41)에는 상기 간격대(53)를 수용하는 간격대수용홈(4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30)의 내부에는 각 쐐기편(31)을 수평방향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링(37)이 설치되고, 상기 쐐기편(31)의 내면에는 탄성링(37)이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면(3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31)의 내면에는 마찰돌기(34)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돌기(34)는 양측으로 경사진 내각 60도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34)는 연속된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20)의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2)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부(21)에는 해체표시부(2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0190096659A 2019-08-08 2019-08-08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06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59A KR102069667B1 (ko) 2019-08-08 2019-08-08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59A KR102069667B1 (ko) 2019-08-08 2019-08-08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667B1 true KR102069667B1 (ko) 2020-01-23

Family

ID=6936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59A KR102069667B1 (ko) 2019-08-08 2019-08-08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23B1 (ko) * 2020-06-04 2021-06-07 김정호 원터치 타입 철근 커플러
KR102341669B1 (ko) * 2021-05-12 2021-12-20 김성태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WO2022054967A1 (ko) * 2020-09-08 2022-03-17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KR20230068559A (ko) * 2021-11-11 2023-05-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923A (ko) * 2015-01-01 2016-07-11 (주)웨지엔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1845850B1 (ko)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51882B1 (ko) * 2018-06-08 2019-02-25 주식회사 알오씨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942993B1 (ko) *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923A (ko) * 2015-01-01 2016-07-11 (주)웨지엔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1845850B1 (ko)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철근 삽입 깊이 검사 가능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51882B1 (ko) * 2018-06-08 2019-02-25 주식회사 알오씨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942993B1 (ko) *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23B1 (ko) * 2020-06-04 2021-06-07 김정호 원터치 타입 철근 커플러
WO2022054967A1 (ko) * 2020-09-08 2022-03-17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KR102341669B1 (ko) * 2021-05-12 2021-12-20 김성태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KR20230068559A (ko) * 2021-11-11 2023-05-18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583172B1 (ko) * 2021-11-11 2023-09-25 손영학 철근 이음용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KR102010810B1 (ko)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101942993B1 (ko) 재가압식 철근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커플러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2068303B1 (ko) 철근 커플러
KR102324815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용 키유닛
KR102027640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JP492625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固定構造
KR20180107675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JPWO2008038410A1 (ja) 鉄筋の定着具
KR101371216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20180074729A (ko)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KR101123849B1 (ko) 철근 결속장치
JP2010164190A (ja) 管台および曲がり管並設保持構造
KR20170006848A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2341669B1 (ko)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KR102019441B1 (ko) 철근용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JP2017210774A (ja) 壁体、壁体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兼用壁部材
KR102001399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철근 커플러
KR102019442B1 (ko) 철근용 커플러
KR102167075B1 (ko)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20200093937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040037652A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