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7061B1 -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 Google Patents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61B1
KR102057061B1 KR1020190054953A KR20190054953A KR102057061B1 KR 102057061 B1 KR102057061 B1 KR 102057061B1 KR 1020190054953 A KR1020190054953 A KR 1020190054953A KR 20190054953 A KR20190054953 A KR 20190054953A KR 102057061 B1 KR102057061 B1 KR 10205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rain
drainage
conn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61B1/ko
Priority to PCT/KR2020/006037 priority patent/WO20202310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형태의 외측배수부(13)를 갖는 커넥터하우징(11)과,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안쪽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터미널(T)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홀(23',26')이 있으며 외면에는 곡면형태의 내측배수부를 갖는 충전부(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터미널안착홀(23',26') 아래쪽에는 배수홀(24,27)이 중력방향으로 개방되어 다수의 터미널안착홀(23',26')들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부(20)의 하단에는 외부배출홀(28)이 개방되어 터미널안착홀(23',26')을 통해 낙하한 수분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은 외측배수부(13)와 내측배수부를 통해 배출하고, 내부의 수분은 배수홀(24,27)을 통해 중력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충전커넥터(10)의 내/외부의 수분을 모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한 감전사고나 합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Charging connector having a draining function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충전커넥터에 유체가 유입될 때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기능을 갖고 있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되고, 배터리는 충전커넥터를 통해서 충전된다.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커넥터는 인렛커넥터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렛커넥터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플러그커넥터와 결합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스테이션에서는 고전압이 제공되므로 안정성이 중요하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충전 중에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해야 하며,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렛커넥터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면 누전에 의해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고, 합선에 의해 자동차나 충전스테이션에 고장을 일으킬 위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수처리를 위해 인렛커넥터에 실링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외부에서 인렛커넥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어느 정도 차단해줄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에 설치된 인렛커넥터는 온도 및 습도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외부에서 사용되므로 결로(結露)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은 누전이나 합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인렛커넥터에 사용되는 많은 수의 터미널들은 각각 터미널설치공간에 설치되는데, 터미널설치공간들은 서로 구획되어 있어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다.
또한, 인렛커넥터가 중력방향으로 세워지지 않고 중력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자동차에 설치되면, 인렛커넥터의 상부에 유입된 수분이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고여 누전이나 합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19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인렛커넥터의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을 인렛커넥터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울어지게 설치된 인렛커넥터에서도 수분이 중력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형태의 외측배수부를 갖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안쪽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홀이 있으며 외면에는 곡면형태의 내측배수부를 갖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터미널안착홀 아래쪽에는 배수홀이 중력방향으로 개방되어 다수의 터미널안착홀들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부의 하단에는 외부배출홀이 개방되어 터미널안착홀을 통해 낙하한 수분이 배출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충전부에서 이격되어 충전부를 감싸도록 돌출되는 구획펜스가 있고, 상기 외측배수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획펜스의 외면에 있고, 상기 외측배수부는 서로 돌출된 정도가 달라 단차진 형태의 제1외측배수부 및 제2외측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2외측배수부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면에 제3외측배수부를 갖고, 상기 구획펜스와 외측배수부의 사이에는 구분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분홈에는 제2경사면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만들어지되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구획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3외측배수부를 따라 배수된다.
삭제
삭제
상기 외측배수부의 위쪽에 있는 부품조립홈에는 전방으로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있고, 상기 제1경사면의 끝부분은 상기 외측배수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고, 동시에 제1경사면은 양쪽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삭제
상기 충전부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충전부 및 제2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펜스의 안쪽에는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가 상기 구획펜스와 이격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의 외면은 각각 곡면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 사이에는 빈 공간인 사이공간이 만들어지며, 상기 제1충전부의 터미널안착홀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터미널안착홀의 배수홀은 상기 사이공간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2충전부의 터미널안착홀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터미널안착홀의 배수홀은 제2충전부의 저면과 구획펜스 사이에 위치한 합류공간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합류공간의 안쪽에는 외부배출홀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터미널안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터미널안착홀의 안쪽 일부에 만들어진다.
상기 합류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배출홀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은 외측배수부 및 내측배수부를 통해 배출하고, 내부의 수분은 배수홀을 통해 중력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충전커넥터의 내/외부의 수분을 모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한 감전사고나 합선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충전커넥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된 배수홀들이 연속된 배수경로를 만든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 뿐 아니라 결로현상에 의한 내부의 수분도 중력에 의해 배수경로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외부배출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에는 수분이 고일 수 있는 부분에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만들어지고, 이들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은 외측배수부와 연속되어서 수분이 이들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어느 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도 경사면을 통해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기존의 충전커넥터 보다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수분이 배출되는 경로를 표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배수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구역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구역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이하 '충전커넥터(10)'라 한다)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에 설치된다. 여기서 충전커넥터(10)는 인렛커넥터로, 배터리 충전시에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코드 단부에 마련된 플러그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충전커넥터(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충전커넥터(10)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1)이 만드는데, 커넥터하우징(11)은 대략 육면체이고 전방으로는 충전부(20)가 돌출되고, 후방으로는 터미널(T)에 연결된 와이어들이 연장된다. 정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T)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이 커넥터하우징(11)의 후방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브라켓(12)이 돌출되어서 충전커넥터(10)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커넥터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외면에는 외측배수부(13)가 있다. 상기 외측배수부(13)는 충전커넥터(10)의 외면에 있는 수분이 중력을 따라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부분으로, 수분이 고이는 부분이 없도록 연속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측배수부(13)는 충전커넥터(10)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측면을 따라 만들어진다.
상기 외측배수부(13)의 구조를 보면, 상기 외측배수부(13)는 다수개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측배수부(13)에는 제1외측배수부(14)와 제2외측배수부(15)가 포함된다. 상기 제1외측배수부(14)와 제2외측배수부(15)는 서로 돌출된 정도가 달라 단차진 형태인데, 본 실시례에서 제1외측배수부(14)는 제2외측배수부(15)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측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외측배수부(13)의 단차진 구조는 단차부분이 일종의 배수로가 되어 수분이 단차부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를 보면,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충전커넥터(1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는데, 외측배수부(13) 중에서 제1외측배수부(14)를 통해 수분이 흐르는 경로는 화살표①로 표시되어 있고, 제2외측배수부(15)를 통해 수분이 흐르는 경로는 화살표②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제1외측배수부(14)와 제2외측배수부(15)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서 그 사이로 수분이 유도될 수도 있다.
상기 외측배수부(13) 중에는 구획펜스(22)도 포함될 수 있다. 구획펜스(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부(20)를 감싸는 부분으로, 충전커넥터(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획펜스(22)는 충전부(20)와 이격된 형태로 충전부(20)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다. 상기 구획펜스(22)의 외면도 외측배수부(13)의 일부인데, 상기 구획펜스(22)는 상기 제2외측배수부(15)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면에 제3외측배수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만들어진다. 도면부호 S1은 구획펜스(22)가 충전부(2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만들어진 이격공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외측배수부(13)의 위쪽에는 부품조립홈(16)이 있다. 상기 부품조립홈(16)은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부품조립홈(16)에는 다양한 부품이 조립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무패킹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부품조립홈(16)은 그 형상이 움푹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수분이 고이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는 부품조립홈(16)에 제1경사면(17)이 있다. 제1경사면(17)을 따라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17)은 부품조립홈(16)의 아래쪽에서 전방으로 향해 경사진 구조이고, 상기 제1경사면(17)의 끝부분은 상기 외측배수부(13)와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면(17)은 외측배수부(13) 중에서 구획펜스(22)에 있는 제3외측배수부에 연결된다. 도 2에서 화살표③은 부품조립홈(16)에 유입되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부품조립홈(16)에 수분이 유입되어도 제1경사면(17)이 있기 때문에 고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면(17)은 상기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고, 동시에 제1경사면(17)은 양쪽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듯이, 부품조립홈(16)에 유입되었던 수분이 화살표③' 방향으로 배출되는데, 양쪽으로 모두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부(20)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를 포함하고,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의 사이에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의 구분을 위한 구분홈(A)이 있다. 상기 구분홈(A)은 충전커넥터(10)의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인데, 사용자가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를 구별하게 해준다. 상기 구분홈(A)은 움푹 들어간 형상이라서 여기에 수분이 고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있다.
상기 구분홈(A)에는 제2경사면(18)이 있다. 상기 제2경사면(18)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만들어지되 상기 제2경사면(18)은 상기 구획펜스(22)에 연결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2경사면(18)은 아래쪽으로 점점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구획펜스(22)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분홈(A)에 유입된 수분은 고이지 않고 제2경사면(18)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 후에, 구획펜스(22)에 있는 제3외측배수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전달된다. 도면부호 ③''는 이러한 수분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중심에는 충전부(2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충전부(20)는 상대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20)에는 별도의 커버(90, 도 6 참조)가 결합되어서 충전을 할 때만 충전부(20)가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부(20)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로 구성되는데,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충전부(21)는 교류전류로 충전되고, 제2충전부(25)는 직류전류로 충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각각 별개의 플러그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는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충전부(21)에는 제1충전블록(23)이 그 골격을 만드는데, 제1충전블록(23)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충전블록(23)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만들어져서 수분이 그 외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충전블록(23)에는 다수개의 제1터미널안착홀(23')이 있고, 여기에는 플러그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삽입된다. 제1터미널안착홀(23')의 내부에는 터미널(T)들이 있는데, 이들 터미널(T)이 플러그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터미널안착홀(23')은 제1충전부(21)에 총 7개가 있는데, 이들 중 일부에는 터미널(T)이 위치하고 일부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대물인 플러그커넥터가 결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장치(50)를 작동시켜 충전커넥터(10)와 플러그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제1충전부(21)의 아래에는 제2충전부(25)가 위치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충전부(25)의 골격은 제2충전블록(26)이 만들고, 제2충전블록(26)은 제1충전블록(23)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충전블록(26)에는 두개의 제2터미널안착홀(26')이 있고, 여기에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조립된다. 제1충전블록(23)과 제2충전블록(26)은 그 외곽구조가 서로 구별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도 1에서 보듯이 대략 2개의 원형구조가 적층된 모습이어서 작업자가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를 구별해서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충전블록(23) 및 제2충전블록(26)의 외면은 곡면형상으로, 내측배수부(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가 된다. 제1충전블록(23) 및 제2충전블록(26)의 외면을 따라서 만들어진 내측배수부를 통해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보면, 제1충전블록(23) 및 제2충전블록(26)의 상면은 평면구조로 되어 있지만, 상기 상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일 수도 있다. 즉, 내측배수부의 상면은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져서 수분이 보다 원활하게 바깥쪽으로 흐르게 유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각각의 상기 터미널안착홀(23',26') 아래쪽에는 배수홀(24,27)이 있다. 제1터미널안착홀(23')의 제1배수홀(24)을 보면, 제1터미널안착홀(23')들 각각의 아래쪽에 제1배수홀(24)이 개방되고, 제1배수홀(24)들로 인해 다수의 제1터미널안착홀(23')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제1터미널안착홀(23')은 제1배수홀(24)들로 인해 서로 연결되고, 이들은 중력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위쪽의 제1터미널안착홀(23')에 수분이 유입되거나 발생해도 중력에 의해 제1배수홀(24)을 따라 아래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 사이에는 빈 공간인 사이공간(S2)이 만들어지는데, 상기 제1충전부(21)의 제1터미널안착홀(23')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제1터미널안착홀(23')의 제1배수홀(24)은 상기 사이공간(S2)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화살표④방향을 따라서 수분이 배수될 수 있다. 사이공간(S2)으로 배출된 수분은 제2충전블록(26)의 외면, 즉 내측배수부를 타고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합류공간(S3)으로 이동한다.
제2충전부(25)의 제2터미널안착홀(26')에는 제2배수홀(27)이 있고, 이들 제2배수홀(27)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제2터미널안착홀(26')의 제2배수홀(27)은 제2충전부(25)의 저면과 구획펜스(22) 사이에 위치한 합류공간(S3) 방향으로 개방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충전부(25)에 2개의 제2터미널안착홀(26')이 같은 높이로 있기 때문에 2개의 배수홀(24,27)이 모두 합류공간(S3) 방향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합류공간(S3)은 외부배출홀(28)에 연결된다. 외부배출홀(28)은 합류공간(S3)과 충전커넥터(10)의 외부를 연결하는 일종의 통로인데, 도 3에서 보듯이 충전커넥터(10)의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충전부(20)의 하단에 개방된 외부배출홀(28)이 터미널안착홀(23',26')을 통해 낙하한 수분들을 외부로 배출해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류공간(S3)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배출홀(28)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수분이 자연스럽게 외부배출홀(28) 쪽으로 유도되게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제1배수홀(24)과 제2배수홀(27)들은 각각 상기 제1터미널안착홀(23') 및 제2터미널안착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제1터미널안착홀(23') 및 제2터미널안착홀(26')의 안쪽 일부에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터미널안착홀(23') 및 제2터미널안착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지만, 예를 들어 제1배수홀(24)은 제1터미널안착홀(23')의 가장 안쪽 일부 구간에만 있고, 제1터미널안착홀(23')의 바닥면은 제1배수홀(2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가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의 화살표①, ②, ③을 참조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배출되는 과정을 보면,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은 충전커넥터(10)의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그 중 일부는 외측배수부(13) 중에서 제1외측배수부(14)를 통해 수분이 흐르면, 화살표① 방향으로 유도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바깥쪽으로 낙하한다. 제1외측배수부(14)는 위쪽이 하향경사진 곡면형상이고, 아래쪽도 연속된 곡면구조를 가지므로 이러한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배수부(13) 중에서 제2외측배수부(15)를 통해 수분이 흐르는 경로는 화살표②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2외측배수부(15)는 제1외측배수부(14)와 단차를 가지고 있어 배수경로가 서로 구분된다. 제2외측배수부(15)도 제1외측배수부(14)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분의 배출을 유도한다. 이러한 단차구조로 인해 제1외측배수부(14)를 흐르는 수분이 제2외측배수부(15)로 쉽게 넘어가지 않게 되고, 따라서 수분이 충전부(2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외측배수부(14)와 제2외측배수부(15)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서 그 사이로 수분이 유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외측배수부를 통해서 수분이 배출되는 과정을 보면, 부품조립홈(16)에 유입된 수분은 제1경사면(17)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래쪽으로 낙하한다. 상기 제1경사면(17)은 부품조립홈(16)의 아래쪽에서 전방으로 향해 경사진 구조이고, 상기 제1경사면(17)의 끝부분은 상기 제3외측배수부에 연결되므로 수분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도 2에서 화살표③은 수분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의 사이에 있는 구분홈(A)에 유입된 수분도 제2경사면(18)을 따라 배출된다. 상기 제2경사면(18)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만들어지되 상기 제2경사면(18)은 상기 구획펜스(22)의 외면, 즉 제3외측배수부에 연결되므로 구분홈(A)에 유입된 수분은 고이지 않고 제2경사면(18)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경사면(17)을 따라 배출된 수분과 제2경사면(18)을 따라 배출된 수분은 합쳐져서 제3외측배수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한편, 충전부(20)에 유입되거나 결로현상으로 발생한 수분의 배출을 보면, 제1충전부(21)의 제1배수홀(24) 내부에 있는 수분은 제1터미널안착홀(23')들 각각의 아래쪽에 있는 제1배수홀(24)을 따라 아래쪽으로 전달된다. 제1터미널안착홀(23')들은 서로 연결되므로 연소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 사이에는 빈 공간인 사이공간(S2)이 만들어지는데, 상기 제1충전부(21)의 제1터미널안착홀(23')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제1터미널안착홀(23')의 제1배수홀(24)은 상기 사이공간(S2)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도 2의 화살표④방향을 따라서 수분이 배수될 수 있다. 사이공간(S2)으로 배출된 수분은 제2충전블록(26)의 외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유도되어, 합류공간(S3)으로 합류하게 된다.
그리고, 제2충전부(25)의 제2터미널안착홀(26')에 있는 수분의 배출을 보면, 수분은 제2배수홀(27)을 통해 배출되어 제2충전부(25)의 저면과 구획펜스(22) 사이에 위치한 합류공간(S3) 방향으로 낙하한다. 도 2의 화살표④'방향이 그 배출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합류공간(S3)에서 합류한 수분들은 충전커넥터(10)의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외부배출홀(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충전부(20)의 하단에 개방된 외부배출홀(28)이 터미널안착홀(23',26')을 통해 낙하한 수분들을 외부로 배출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10)는 외부와 내부에 유입 또는 발생한 수분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해줄 수 있고, 충전커넥터(10)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도 수분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전커넥터 11: 커넥터하우징
13: 외측배수부 17: 제1경사면
18: 제2경사면 20: 충전부
23',26': 터미널안착홀 24,27: 배수홀
28: 외부배출홀

Claims (11)

  1. 외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형태의 외측배수부를 갖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안쪽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홀이 있으며 외면에는 곡면형태의 내측배수부를 갖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터미널안착홀 아래쪽에는 배수홀이 중력방향으로 개방되어 다수의 터미널안착홀들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부의 하단에는 외부배출홀이 개방되어 터미널안착홀을 통해 낙하한 수분이 배출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충전부에서 이격되어 충전부를 감싸도록 돌출되는 구획펜스가 있고, 상기 외측배수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획펜스의 외면에 있고,
    상기 외측배수부는 서로 돌출된 정도가 달라 단차진 형태의 제1외측배수부 및 제2외측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펜스는 상기 제2외측배수부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면에 제3외측배수부를 갖고,
    상기 구획펜스와 외측배수부의 사이에는 구분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분홈에는 제2경사면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만들어지되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구획펜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3외측배수부를 따라 배수되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배수부의 위쪽에 있는 부품조립홈에는 전방으로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있고, 상기 제1경사면의 끝부분은 상기 외측배수부와 연결되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고, 동시에 제1경사면은 양쪽 길이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지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충전부 및 제2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펜스의 안쪽에는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가 상기 구획펜스와 이격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의 외면은 각각 곡면형태로 만들어지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부와 제2충전부 사이에는 빈 공간인 사이공간이 만들어지며, 상기 제1충전부의 터미널안착홀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터미널안착홀의 배수홀은 상기 사이공간을 향해 개방되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충전부의 터미널안착홀들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터미널안착홀의 배수홀은 제2충전부의 저면과 구획펜스 사이에 위치한 합류공간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합류공간의 안쪽에는 외부배출홀이 연결되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터미널안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터미널안착홀의 안쪽 일부에 만들어지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합류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배출홀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KR1020190054953A 2019-05-10 2019-05-10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KR10205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53A KR102057061B1 (ko) 2019-05-10 2019-05-10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PCT/KR2020/006037 WO2020231085A1 (ko) 2019-05-10 2020-05-07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53A KR102057061B1 (ko) 2019-05-10 2019-05-10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061B1 true KR102057061B1 (ko) 2019-12-18

Family

ID=6905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53A KR102057061B1 (ko) 2019-05-10 2019-05-10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7061B1 (ko)
WO (1) WO20202310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5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0757B (zh) * 2023-11-02 2024-05-24 北京司坎·拓普国际电气有限公司 一种充电桩保护门插座密封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5771A (ja) * 2014-05-28 201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複合型充電用イン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6247B2 (ja) * 2015-06-17 2017-03-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充電コネクタ
KR200492436Y1 (ko) * 2015-10-05 2020-10-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축 장착장치
KR20170123143A (ko) * 2016-04-28 2017-1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2343998B1 (ko) * 2017-05-18 2021-1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KR102057061B1 (ko) * 2019-05-10 2019-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5771A (ja) * 2014-05-28 201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複合型充電用インレ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85A1 (ko) * 2019-05-10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1085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690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61872B1 (ko) 이차전지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CN103563122B (zh) 蓄电装置
KR102085344B1 (ko)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7004804B (zh) 电池模块的歧管通风通道
US9601864B2 (en)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2057061B1 (ko)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
KR10196834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5741415B2 (ja) 組電池
US967356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part with a drain and an intermediate chamber
EP3796478A1 (en) Housing for a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N107534108A (zh) 电池配线模块
CN105164830A (zh) 车载用电器辅助蓄电装置和具有该电器辅助蓄电装置的车辆
CN106537641B (zh) 用于电池模块的过充电保护装置
US8846236B2 (en) Battery holding frame and assembled battery
CN112534632B (zh) 电池壳体、电池系统和用于电池系统的安装方法
KR20180085242A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CN103415956A (zh) 具有稳定测量单元的电池组
KR200470700Y1 (ko) 차량용 조인트 박스
KR101957403B1 (ko) 셀 리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15771796U (zh) 车用插座和车辆
KR102284774B1 (ko) 단락 방지를 위한 배터리팩 장치
KR101775686B1 (ko) 배터리 팩
JP7532817B2 (ja) バッテリパック
CN107039820A (zh) 插座装置,机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