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19229B1 -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29B1
KR102019229B1 KR1020170092667A KR20170092667A KR102019229B1 KR 102019229 B1 KR102019229 B1 KR 102019229B1 KR 1020170092667 A KR1020170092667 A KR 1020170092667A KR 20170092667 A KR20170092667 A KR 20170092667A KR 102019229 B1 KR102019229 B1 KR 10201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ndoscope
power
antenna
magne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798A (ko
Inventor
이종희
정재승
임영철
박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09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29B1/ko
Priority to PCT/KR2018/008268 priority patent/WO2019017744A1/ko
Publication of KR2019001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36Switches making use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캡슐 내시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자석을 구비하고, 캡슐 내시경 내부의 무선 통신 안테나를 전력원으로 사용하고,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전원부를 온(ON)시키는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시경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캡슐 내시경을 흔들어서 내부 또는 외부의 자석에 의해 무선 통신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류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하고, 전원이 온된 이후에는 무선 통신으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함으로써,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간편하게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 CAPSULE ENDOSCOPE}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내시경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무선 통신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류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하고, 전원이 온 상태가 된 이후에는 무선 통신으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술을 하지 않고 사람 또는 동물의 체내 장기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조직을 채취하거나 약물을 투입하는 등의 의료 행위를 하기 위해 내시경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내시경은 튜브를 통해 체내에 투입되기 때문에 고통과 불편함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튜브가 없는 무선의 캡슐 내시경이 개발되어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캡슐 내시경은 환자가 삼킴으로써 체내에 도입되는데, 외부에서 캡슐 내시경의 이동을 제어하지 않고 캡슐 내시경이 자연적인 장기의 연동 운동으로 배출되는 방식이 있고, 외부에서 자기장으로 캡슐 내시경의 이동을 제어하여 필요한 체내 부위만 집중적으로 의료 행위를 하는 방식이 있다.
캡슐 내시경은 체내 촬영을 위한 LED나 카메라, 촬영된 영상의 압축, 압축된 영상의 체외 무선 전송 등에 많은 전력이 사용된다. 그런데, 캡슐 내시경은 환자가 삼킬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크기가 작으므로 저전력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해야 한다. 또한, 체내의 수분, 체액,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폐형으로 만들어져야 되므로, 캡슐 내시경의 하우징 표면으로 소정의 전원 스위치를 만들 수가 없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은 제조 과정에서 배터리가 접합되는 순간부터 전원이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지고, 결국은 실제로 캡슐 내시경을 사용하기 전까지 계속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원 구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제3753730호에서는 외부 자석을 캡슐 내시경에 근접 시켜 놓아 전원 구동을 억제하다가, 사용시에 외부 자석으로부터 떨어지게 함으로써 전원이 온 되도록 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는데, 캡슐 내시경의 제조 단계에서부터 항상 자석을 근접시켜 놓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50340호에서는 캡슐 내시경의 외부의 자계 발생부로 캡슐 내시경을 자계에 의해 온-오프 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신체 외부에 자계 발생부 및 이의 제어부 등 복잡한 장치들을 구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JP 3753730 B2. KR 10-105034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캡슐 내시경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무선 통신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류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하고, 전원이 연결된 이후에는 무선 통신으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한 캡슐 내시경으로서, 상기 캡슐 내시경을 흔들면 상기 자석이 움직이고,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전원구동부는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이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한 캡슐 내시경으로서, 상기 캡슐 내시경을 외부의 자석에 인접하게 흔들어서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전원구동부는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이 제공된다.
상기 캡슐 내시경은 상기 안테나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구동부는 상기 발생한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캡슐 내시경은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전원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코일로 상기 자석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캡슐 내시경에서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전원구동부는 MEMS 스위치, MOSFET 스위치, J-FET 스위치, TR(transistor) 스위치 또는 자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으로서, 캡슐 내시경을 흔들어 상기 자석이 움직이는 단계;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전원 온-오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으로서, 상기 캡슐 내시경을 외부의 자석에 인접하게 흔들어서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전원 온-오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 전원 온-오프 방법은, 상기 안테나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시경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 안테나를 전력원으로 사용하고, 캡슐 내시경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캡슐 내시경을 흔들어서 내부 또는 외부의 자석에 의해 무선 통신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류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하고, 전원이 연결된 이후에는 무선 통신으로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간편하게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 캡슐 내시경을 흔드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 캡슐 내시경을 흔드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도시되고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도시와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를 들어 순서도 또는 플로우 차트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방법이 일련의 단계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단계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것과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단계들과 동시에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예시된 모든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구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10)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10)은 안테나(12), 자석(20) 및 전원구동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18) 및 전원부(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캡슐 내시경은 체강의 촬영을 위해 LED 같은 조명부와 카메라 등의 촬영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데, 본 발명에 필요한 동작만을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블록들을 모아서 기능 블록(22)으로 간략히 도시하였다.
안테나(12)는 다양한 형상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캡슐 내시경(10)은 체내에서 촬영한 영상들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 안테나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지 않고, 언급한 무선 통신 안테나를 전력 공급원으로서의 안테나(12)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용 안테나를 자석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 통신 안테나(12)는 외부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는 LED의 밝기를 조절한다거나 영상 촬영시의 촬영 속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또는 압축률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 명령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안테나(12)는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안테나(12)를 원통형으로 안테나선을 감은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원통형 안테나 내부에 자석(20)을 위치시켜 움직이도록 하면 유도 전류가 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석(20)은 일반적인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 내시경(10) 안에서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캡슐 내시경(10)을 흔들 때, 자석(20)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하면 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안테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 내시경(10)은 외부에서 자기장으로 유도되는 방식의 경우에는 내부에 영구 자석이 내장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도 5의 실시예처럼 자석(20)이 없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 자기장의 구동 제어를 받지 않고 자연적인 장기의 연동 운동으로 배출되는 방식의 캡슐 내시경(10)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구동부(14)는 안테나(12)로부터 유도 전류를 공급 받아서, 전원을 온(ON)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원부(16)와 기능 블록(22) 사이의 전원 스위치(28)를 온시켜서 기능 블록(2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스위치(28)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스위치, MOSFET 스위치, J-FET 스위치, 자기 스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종류나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16)는 캡슐 내시경(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능 블록(2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6)는 캡슐 내시경(10)에 내장될 수 있는 통상의 소형 배터리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의 무선 충전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8)는, 안테나(12)로부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전원구동부(14)가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을 온(ON)시키면, 전원부(16)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전원구동부(14)가 전원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캡슐 내시경(10)은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신체의 배설물과 함께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일단 온(ON) 상태가 되어 체내에 삽입되면 굳이 오프 상태로 전환할 필요성은 많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온 기능만 구현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정상품인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나 기타 특별한 상황에 따라서 오프 상태가 필요하면 제어부(18)가 오프기능을 더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어부(18)는,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 이후에, 안테나(12)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전원구동부(14)가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 캡슐 내시경(10)을 흔드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석(20)이 원통형의 안테나(12)의 내부에 구비되고, 캡슐 내시경(10)을 화살표 방향으로 흔드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캡슐 내시경(10)을 흔들면 자석(20)이 움직이고, 자석(20)의 움직임에 의해 자석을 감싸고 있는 원통형의 안테나(12)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캡슐 내시경(10)을 사용하기 전에, 예를 들어 환자가 삼키기 직전에 캡슐 내시경(10)을 빠르게 흔들어 온시킴으로써, 캡슐 내시경(10)의 제조 단계부터 보관 단계까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캡슐 내시경(10)이 소형이므로, 자석의 크기는 충분히 작아야 되는데, 작은 자석이라도 빠르게 흔들면(움직이면) 전원구동부(14)의 전원 스위치(28)를 충분히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 내시경(10)이 온 상태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10) 내부에 LED(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LED가 발광하는 것으로 온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안테나의 형상이 원통형에서 스파이럴형으로 변경된 것이다. 스파이럴형의 안테나(12)라고 하더라도, 유도 전류의 생성이 가능하다. 유도 전류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해 자석의 움직임 방향이나 스파이럴형 안테나(12)의 방향과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구비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구동부(14)를 회로로 구성한 일 실시예로서, 전원구동부(14)는 일종의 정류회로와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안테나(12)에서 유도된 교류 전류가 다이오드(24)에 입력되면, 캐패시터(26)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게 되고, 전원 스위치(28)를 온 시켜 기능 블록(22) 및 제어부(18)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부(18)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는 전원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노드 G를 high 상태로 유지하면 된다. 그러면, 캡슐 내시경(10)의 흔들기를 중단하여 노드 D의 교류 전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더라도 전원 스위치(28)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8)는,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 이후에, 안테나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전원구동부(14)의 노드 G를 low로 전환하여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 내시경(10)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 캡슐 내시경을 흔드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캡슐 내시경(10)에 자석(20)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나머지 블록들의 기능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캡슐 내시경(10)이 외부에서 자기장으로 유도되는 방식의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는 안테나(12)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6처럼 외부 자석(30)을 사용하는 것이다.
캡슐 내시경(10)을 사용하기 전에, 예를 들어 환자가 삼키기 직전에 캡슐 내시경(10)을 외부 자석(30)에 인접하여 빠르게 흔들어서 안테나(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안테나(12)가 외부 자석(30)에 인접하여 빠르게 움직이게 되면, 안테나(12)에는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흔드는 방향에 따라 유도 전류의 크기가 다를 수 있는데, 외부 자석(30)의 길이 방향과 안테나(12)의 감김 방향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유도되는 전류의 양이 크다.
또한, 캡슐 내시경(10)이 온 상태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10) 내부에 LED(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LED가 발광하는 것으로 온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S50)이다.
S51 단계에서, 캡슐 내시경(10)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캡슐 내시경(10)을 빠르게 수 초 정도 흔들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인 경우에는 캡슐 내시경(10)을 캡슐 내시경의 길이 방향으로 흔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실시예인 경우에는 외부 자석(30)에 인접하여 캡슐 내시경(10)을 흔들면 되는데, 외부 자석(30)의 길이 방향과 안테나(12)의 감김 방향이 수직에 가까운 방향이 되도록 흔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S53 단계에서는, 캡슐 내시경(10)을 흔들어서 자석(20, 30)과 안테나(12)의 거리 변동에 의해 안테나(12)에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S55 단계에서는, 발생된 유도 전류를 전원구동부(14)가 정류하여 전원 스위치(28)를 온시켜 기능 블록(2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전원을 공급받은 제어부(18)가, 캡슐 내시경(10)의 흔들기가 끝나서 유도 전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더라도 전원 스위치(28)를 항상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캡슐 내시경(10)을 온 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온 상태의 캡슐 내시경(10)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S57 단계에서는, 외부 기기에서 무선 통신 안테나(12)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전원 오프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59 단계에서는, 제어부(18)가 전원 오프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전원구동부가 전원 스위치(28)를 오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10)은 내부 또는 외부에 자석(20, 30)을 구비하고, 내부의 무선 통신 안테나(12)를 전력원으로 사용하고,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전원을 온(ON)시키는 전원구동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시경(10)을 체내에 도입하기 전에 캡슐 내시경(10)을 흔들어서 내부 또는 외부의 자석(20, 30)에 의해 무선 통신 안테나(12)에 유도되는 전류로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을 온하고, 전원이 온된 이후에는 무선 통신으로 캡슐 내시경(10)의 전원을 오프(OFF)함으로써,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간편하게 온-오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캡슐 내시경
12: 안테나
14: 전원구동부
16: 전원부
18: 제어부
20, 30: 자석
22: 기능 블록
24: 다이오드
26: 캐패시터
28: 전원 스위치

Claims (11)

  1. 자석,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한 캡슐 내시경으로서,
    상기 캡슐 내시경을 흔들면 상기 자석이 움직이고,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전원구동부는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구동부는 상기 발생한 유도 전류를 정류하여 상기 전원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전원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코일로 상기 자석을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캡슐 내시경에서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구동부는 MEMS 스위치, MOSFET 스위치, J-FET 스위치, TR(transistor) 스위치 또는 자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9. 자석, 안테나 및 전원구동부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으로서,
    캡슐 내시경을 흔들어 상기 자석이 움직이는 단계;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안테나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전원 온-오프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구동부가 상기 캡슐 내시경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의 전원 전원 온-오프 방법.

KR1020170092667A 2017-07-21 2017-07-21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01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67A KR102019229B1 (ko) 2017-07-21 2017-07-21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PCT/KR2018/008268 WO2019017744A1 (ko) 2017-07-21 2018-07-23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667A KR102019229B1 (ko) 2017-07-21 2017-07-21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98A KR20190010798A (ko) 2019-01-31
KR102019229B1 true KR102019229B1 (ko) 2019-09-09

Family

ID=6501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67A Active KR102019229B1 (ko) 2017-07-21 2017-07-21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9229B1 (ko)
WO (1) WO20190177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37B1 (ko) 2021-03-29 2022-04-2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캡슐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8936B (zh) * 2022-12-28 2025-03-11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装置及其启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501A (ja) 2005-12-14 2007-07-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JP2009268591A (ja) * 2008-05-01 2009-11-19 Olympus Corp 生体観察システム及び生体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09285465A (ja) * 2009-07-21 2009-12-1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生体内情報取得装置
US20150057496A1 (en) 2013-08-26 2015-02-2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ly Powered Capsule Endoscope
JP5687810B2 (ja) 2013-02-14 2015-03-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起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2944A (en) 1999-11-15 2009-05-04 Arkady Glukhovsky Method for running a photo collection process
EP2441378A1 (en) 2006-01-19 2012-04-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Intra-subject medical system, method of operating body-insertable apparatus, and operative treatment
KR20100060964A (ko) * 2008-11-28 2010-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원 공급 기능이 구비된 캡슐 내시경 장치
JP5277321B2 (ja) * 2009-11-19 2013-08-2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用電源スターター
JP2013078440A (ja) * 2011-10-03 2013-05-02 Panasonic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JP6701590B2 (ja) * 2016-01-14 2020-05-27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カプセル型内視鏡及びカプセル型内視鏡の駆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501A (ja) 2005-12-14 2007-07-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JP2009268591A (ja) * 2008-05-01 2009-11-19 Olympus Corp 生体観察システム及び生体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09285465A (ja) * 2009-07-21 2009-12-1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生体内情報取得装置
JP5687810B2 (ja) 2013-02-14 2015-03-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起動装置
US20150057496A1 (en) 2013-08-26 2015-02-2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ly Powered Capsule Endosco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37B1 (ko) 2021-03-29 2022-04-2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캡슐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98A (ko) 2019-01-31
WO2019017744A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248B2 (en) Indwelling apparatus for body cavity introducing device and body cavity introducing device placing system
CN101589944B (zh) 胶囊型医疗装置以及胶囊型医疗装置的充电方法
CN100592891C (zh) 体腔内导入装置用留置装置及体腔内导入装置留置系统
JP4373415B2 (ja) 生体内情報取得装置
JP5489513B2 (ja) 体内観察システムおよび体内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EP2910178B1 (en) Gastrointestinal tract diagnosi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7330404A (ja) 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これを適用した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TWI547256B (zh) 具有可拋棄式內視鏡的消化道檢視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019229B1 (ko) 캡슐 내시경의 전원 온-오프 방법 및 장치
EP2033568A1 (en) Intra-specimen introducing device
JP4139296B2 (ja)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EP1857036B1 (en) Device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and system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US8398542B2 (en) Living body observation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living body observation system
US8764637B2 (en) Living-body observ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the living-body observation system
WO2009130962A1 (ja) 生体観察システム及び生体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11156268A (ja) 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情報取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7089893A (ja) 体腔内導入装置用留置装置および体腔内導入装置留置システム
EP2612586A1 (en) Intern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intern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US20100261959A1 (en) In-vivo observat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in-vivo observation system
JP2008125646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10240144A (ja) 体内観察システム
US8663094B2 (en)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KR101836382B1 (ko) 내시경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획득 방법
JP2012055630A (ja) 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094442A (ja) 生体観察システム及び生体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