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15B1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7215B1 KR102017215B1 KR1020180024636A KR20180024636A KR102017215B1 KR 102017215 B1 KR102017215 B1 KR 102017215B1 KR 1020180024636 A KR1020180024636 A KR 1020180024636A KR 20180024636 A KR20180024636 A KR 20180024636A KR 102017215 B1 KR102017215 B1 KR 102017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fish
- extract
- fermentation
- fermented
- mix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이 우수한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이 우수한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복치(학명: Mola mola)는 복어목 개복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개복치는 온대 및 열대 해역의 대양에 분포하는데 한국의 전 해안에 나타나며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 지역에서 발견된다. 몸은 크기가 매우 크고 납작하고 넓으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눈과 아가미가 작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매우 크고 특이하게 생겼다. 입은 새의 부리 모양으로 매우 단단하다.
18세기에 린네는 개복치의 학명을 ‘Mola mola’라고 지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맷돌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안진복, 골복짱, 깨복짱이라고도 한다. 복어목의 한 종으로서, 이들과 많은 점을 공유한다. 한때 복어속에 속했으나, 이제는 두 가지 종이 속하는 개복치속으로 분류된다. 유사한 이름의 어류 중에 붉평치(학명: Lampris guttatus)가 있는데 실제 개복치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어종이다.
개복치는 한국과 일본, 대만에서는 식용으로 먹기도 하는데 몸체의 대부분을 먹을 수 있다. 맛과 모양은 기름기가 많아 하얗고 뽀얀 편이라 참치 흰살과 비슷하다. 회로 먹기도 하는데 비린내가 안 나는 편이나 기름이 소화가 잘 안 돼, 많이 먹으면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등 쪽에서 나오는 흰색의 창자는 중국에선 용창이라는 이름으로 별미로 여겨지기도 하며 지느러미를 몸통의 살보다 별미로 취급한다. 껍질은 삶으면 흐물흐물해지는데, 이것을 우뭇가사리와 비슷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어떤 지역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포항 지역에서 개복치를 대소사에 쓰이는 별미 재료로 사용해 왔다. 구체적으로 껍질은 수육, 뱃살은 회무침용, 머리뼈와 머릿살은 찜 요리 재료로 사용한다. 근육 부분은 갈아서 부산 어묵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한편, 유럽 연합에서는 개복치를 식용으로 파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개복치는 지방이 없어서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개복치는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에서 콜라겐의 주요 효과는 세포와 세포를 단단히 해주며 혈관을 탄력 있고 부드럽게 하여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관절을 유연하게 움직이는 쿠션역할을 하는 등 우리 몸에서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개복치에 포함된 콜라겐은 피쉬 콜라겐이다. 육류 콜라겐의 경우 분자량이 커서 섭취를 하더라도 실제 체내 흡수율이나 이용률이 떨어지지지만, 피쉬 콜라겐의 경우에는 저분자 콜라겐이어서 체내 흡수율과 이용률이 월등히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쉬 콜라겐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화장제재 및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명태와 오징어로부터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화장제재 및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개복치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화장제재 및 화장품 개발은 미미한 상태이며, 특히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개복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제재 및 화장품 개발은 더더욱 미미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최적 발효공정 조건을 가지는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이 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은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복치 혼합물을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개복치 건조물을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개복치 분쇄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개복치 발효물을 숙성시키는 제4단계 및 숙성된 개복치 발효물을 여과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개복치 분쇄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1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2단계, 상기 균 발효물에 열을 가한 후, 원심분리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된 균 발효물의 상등액을 획득하여,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단계의 건조는 48 ~ 72℃에서 57 ~ 87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3단계의 발효는 10 ~ 30℃에서 576 ~ 86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4단계의 숙성은 68 ~ 102℃에서 57 ~ 87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3단계의 혼합물은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800 ~ 1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은 pH 6.5 ~ 7.5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유산균 또는 고초균은 5 ~ 30 CFU/ml의 농도로 접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tis) 및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은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은 앞서 언급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건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0.001 ~ 8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피부 탄력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화장품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크림,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개복치에 다량으로 포함된 피쉬 콜라겐 성분이 개복치의 유산균 및/또는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공정을 통해 제조된 추출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5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준비단계로서 개복치 혼합물을 준비한다. 개복치 혼합물은 개복치(Conger myriaster)를 활복하여 제조되는 부위로서, 개복치육(살, 근육부위)과 머리, 뼈 및 내장, 껍질부위를 각각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복치 혼합물은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복치껍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개복치의 활복을 통해 개복치육(살, 근육부위)과 머리, 뼈 및 내장, 껍질부위를 각각 제조되며, 제조된 부위 중 본 발명의 개복치 혼합물로서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만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복치껍질만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개복치 혼합물로서 개복치 머리, 뼈 및 내장이 사용되게 된다면 유효성분인 콜라겐의 함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개복치 혼합물은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되는 것이 좋다.
준비된 개복치 혼합물은 세척과정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1단계로서,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복치 혼합물을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48 ~ 72℃, 바람직하게는 54 ~ 66℃에서 57 ~ 87시간, 바람직하게는 64 ~ 80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48℃ 미만에서 건조가 수행된다면 개복치 혼합물이 부패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72℃를 초과하여 건조가 수행된다면 건조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개복치 혼합물에 포함된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2단계로서, 상기 개복치 건조물을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개복치 분쇄물은 0.05 ~ 1cm, 바람직하게는 0.1 ~ 0.9c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개복치 분쇄물의 크기가 1cm를 초과하게 된다면 추후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들이 현저히 감소하여, 피부 재생, 피부 탄력 및 보습력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3단계로서, 개복치 분쇄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10 ~ 30℃, 바람직하게는 15 ~ 25℃에서 576 ~ 864시간, 바람직하게는 648 ~ 79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684 ~ 756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발효온도가 30℃를 초과하게 된다면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또한, 발효 시간이 576시간 미만이면 최고의 효율을 발휘하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64시간을 초과한다면 오히려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단계의 사용된 용매는 물 및 C1 ~ C4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의 혼합물은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800 ~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0 ~ 1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을 통해 혼합물의 pH는 6.5 ~ 7.5로 조정될 수 있다. 만약, pH의 범위가 6.5 미만이거나, 7.5를 초과하게 된다면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때, 다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과의 배합하였을 때의 pH도 고려해야되기 때문에, pH 6.5 ~ 7.5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유산균 또는 고초균은 5 ~ 30 CFU/ml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7 ~ 20 CFU/ml의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5 CFU/ml의 농도로 접종될 수 있으며, 만약, 유산균 또는 고초균의 농도가 5 CFU/ml 미만이거나, 30 CFU/ml를 초과하면 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tis) 및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산균 또는 고초균은 배양액에서 배양된 유산균 또는 고초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tis) 및/또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는 pH 4.0 ~ 5.0으로 조정된 배양액에 25 ~ 42℃, 바람직하게는 30 ~ 37℃에서 2 ~ 8일, 바람직하게는 3 ~ 7일간 배양된 것일 수 있다. 만일,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tis) 및/또는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를 배양하는 배양액의 pH 가 4.0 미만이거나 5.0를 초과하면 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양온도 범위 및 배양기간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배양에 실패하여 원하는 유산균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초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는 pH 6.5 ~ 7.5으로 조정된 배양액에 45 ~ 65℃, 바람직하게는 50 ~ 60℃에서 18 ~ 78시간, 바람직하게는 25 ~ 72시간 배양된 것일 수 있다. 만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를 배양하는 배양액의 pH 가 6.5 미만이거나 7.5를 초과하면 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양온도 범위 및 배양기간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배양에 실패하여 원하는 고초균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구체적으로, 제3-1단계 내지 제3-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3-1단계로서, 제2단계에서 제조된 개복치 분쇄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2단계로서,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균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3단계로서, 균 발효물에 열을 가한 후, 원심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3단계는 64 ~ 96℃, 바람직하게는 72 ~ 88℃의 열을 8 ~ 12분, 바람직하게는 9 ~ 11분 동안 가하여, 유산균 또는 고초균의 기능상실을 유도하여 발효를 종료시킨 후, 원심분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4단계로서, 원심분리된 균 발효물의 상등액을 획득하여,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 발효물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이 제거될 수 있으며, 침전물이 제거된 상등액만을 획득하여, 개복치 발효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4단계로서, 개복치 발효물을 숙성시킬 수 있다.
숙성은 개복치 발효물의 교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68 ~ 102℃, 바람직하게는 76 ~ 94℃에서 57 ~ 87시간, 바람직하게는 64 ~ 8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숙성 수행 온도가 68℃ 미만이면 숙성이 완전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2℃를 초과하면 개복치 발효물에 포함되는 콜라겐 성분 등의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5단계로서, 숙성된 개복치 발효물을 여과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5단계의 여과는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는 0.1 ~ 0.2 ㎛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과가 수행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에는 보존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존액이 더 투입될 수 있으며, 보존액으로 1,2-헥산디올(1,2-hexanediol)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존액으로 1,2-헥산디올(1,2-hexanediol)이 사용될 때, 개복치 발효 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1,2-헥산디올(1,2-hexanediol) 1 ~ 3 중량%가 투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은 제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제6단계로서,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40 ~ 70℃, 바람직하게는 50 ~ 60℃에서 감압농축을 수행하고, -100 ~ -60℃, 바람직하게는 -90 ~ -70℃에서 급속 냉동하여 고체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고체상태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은 추후 사용시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파우더 상태의 방중아 발효 추출물은 개복치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보관 시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건조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0.001 ~ 80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개복치 발효 추출물 외에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화장품은 피부외용제로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크림,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 준비과정
구입한 개복치를 활복하여 개복치육(살, 근육부위), 머리, 뼈, 내장 및 껍질을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개복치육(살, 근육부위), 머리, 뼈, 내장 및 껍질은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1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1)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을 60℃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2) 개복치 건조물을 0.5cm의 크기로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3)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pH 7로 조정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 10 CFU/ml을 접종하여 720시간동안 발효시켰다.
이 때,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은 pH 4.5로 조정된 배양액에 33.5℃의 온도에서 5일간 배양된 것을 사용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80℃에서 10분간 열을 가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의 기능상실을 유도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여 상등액만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상등액은 개복치 발효물이다.
(4) 개복치 발효물은 85℃에서 3일동안 교반하여 숙성시켰다.
(5) 숙성된 개복치 발효물을 0.22㎛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1)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을 60℃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2) 개복치 건조물을 0.5cm의 크기로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3)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pH 7로 조정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10 CFU/ml을 접종하여 720시간동안 발효시켰다.
이 때,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pH 7.0으로 조정된 배양액에 55℃의 온도에서 2일간 배양된 것을 사용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80℃에서 10분간 열을 가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의 기능상실을 유도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여 상등액만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상등액은 개복치 발효물이다.
(4) 개복치 발효물은 85℃에서 3일동안 교반하여, 숙성시켰다.
(5) 숙성된 개복치 발효물을 0.22㎛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 대신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육을 사용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 대신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육을 사용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발효시간을 720시간이 아닌 500시간동안 발효시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발효시간을 720시간이 아닌 940시간동안 발효시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 대신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 뼈를 사용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 대신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 뼈를 사용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개복치 열수 추출물 제조
(1) 준비예 1에서 준비된 개복치껍질을 60℃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2) 개복치 건조물을 0.5cm의 크기로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3)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pH 7로 조정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가온 환류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은 냉침한 후, 0.22㎛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개복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 측정
피부 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엘라스틴 분해 활성 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틴은 피부 진피 내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엘라스틴이 분해되고 진피 내 매트릭스 층이 무너지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테이즈 기질인 N-석시닐-(Ala)3 p-니트로아닐린(N-succinyl-(Ala)3 p-nitroaniline, Sigma)을 이용하여 p-니트로아닐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테이즈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으며, 시료는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과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엘라스테이즈의 특이 저해제인 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 Sigma)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였다.
IC50은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50% 저해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완충액은 pH 8.0, 0.267M Trizma-HCl(Sigma), 기질액은 8.8mM N-Succinyl-(Ala)3 p-nitroaniline,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테이즈를 10㎍/㎖(Sigma)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기질액 20㎕와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 각각을 농도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액 100㎕를 섞은 후, 효소액 20㎕를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p-니트로아닐린의 생성량을 microplatereader(UVT-06685, Thermo max, 미국)를 사용하여 파장 405㎚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 100-((시료의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특이 저해제인 PMSF 0.09㎎/㎖ 보다는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이 낮지만, 현재 피부 개선 기능성 원료로 널리 알려진 레티놀과 비교하면 실시예 3 ~ 4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레티놀하고 효과가 유사하고, 실시예 1 ~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레티놀보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측정
보습효과의 측정은 유수분측정기(WSK-P500U, Inforward. Inc, 일본)를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추출물 1 중량% 수용액과 여러 연구결과에서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sodium salt, Sigma) 1 중량% 수용액과 비교하였다.
20 ~ 30대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에 전박 굴측면을 항온항습실(22℃, 상대습도 40-60%)에서 20분 동안 적응하게 하여 피부의 수분 자체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이후, 유수분측정기(WSK-P500U, Inforward.Inc, 일본)를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후, 시료를 2.0㎎/㎝2를 전박 굴측면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검자마다 도포하는 시료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도포하였다. 도포 10분, 30분, 50분, 90분, 120분에서 시간별로 피부 수분량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에 다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피부 수분량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8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히아루론산 1중량% 수용액과 비교하여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실시예 1 ~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 1: 화장수(스킨)의 제조(50ml 기준)
개복치 발효 추출물 14g
알로에베라겔 13g
나이아신아마이드 3g
콜라겐 1g
모이스틴 2g
로즈플로럴워터 25g
할미꽃추출물 0.5g
초피나무열매추출물 0.5g
어스니어추출물 0.5g
로즈아로마오일 2drop
상기 성분을 약 15분간 교반하였다.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교반이 되었을 때 소독된 용기에 담았다.
제조예 2 : 에센스의 제조(50ml 기준)
개복치 발효 추출물 14g,
알로에베라겔 30g
나이아신아마이드 5g
콜라겐 2g
모이스틴 2g
호호바오일 4g
할미꽃추출물 0.5g
초피나무열매추출물 0.5g
어스니어추출물 0.5g
비타민E 1g
로즈아로마오일 2drop
상기 성분을 약 15분간 교반하였다.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교반이 되었을 때 소독된 용기에 담았다.
제조예 3 : 아이크림의 제조(50ml 기준)
개복치 발효 추출물 13g
호호바오일 9g
시어버터 2.5g
올리브유화왁스 3.5g
비타민 E 1g
모이스틴 2g
콜라겐 2g
나이아신아마이드 2g
로즈플로럴워터 20g
히하루론산 2g
할미꽃추출물 0.5g
초피나무열매추출물 0.5g
어스니어추출물 0.5g
호호바오일 9g, 시어버터 2.5g, 올리브유화왁스 3.5g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고 55℃까지 가열하였다. 로즈플로럴워터 20g를 55℃까지 가열하였다. 55℃까지 가열된 혼합물에, 55℃까지 가열된 로즈플로럴워터를 혼합하고 15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유화가 이루어지면 개복치 발효 추출물 13g, 비타민 E 1g, 모이스틴 2g, 콜라겐 2g, 나이아신아마이드 2g, 히하루론산 2g, 할미꽃추출물 0.5g, 초피나무열매추출물 0.5g, 어스니어추출물 0.5g을 혼합하고 5분간 교반하고, 교반이 완료되면 소독된 용기에 담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 개복치육 및 개복치껍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개복치 혼합물을 48 ~ 72℃에서 57 ~ 87시간 동안 건조하여 개복치 건조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개복치 건조물을 분쇄하여 개복치 분쇄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개복치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800 ~ 1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pH 6.5 ~ 7.5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5 ~ 30 CFU/ml의 농도로 접종 및 10 ~ 30℃에서 576 ~ 864시간 동안 발효시켜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개복치 발효물을 68 ~ 102℃에서 57 ~ 87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4단계; 및
숙성된 개복치 발효물을 여과하여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개복치 분쇄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1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2단계;
상기 균 발효물에 열을 가한 후, 원심분리하는 제3-3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된 균 발효물의 상등액을 획득하여, 개복치 발효물을 제조하는 제3-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tis) 및 바실러스 코아귤런스 (Bacillus coagulanc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복치 발효 추출물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636A KR102017215B1 (ko) | 2018-02-28 | 2018-02-28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CT/KR2018/016613 WO2019168262A1 (ko) | 2018-02-28 | 2018-12-26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4636A KR102017215B1 (ko) | 2018-02-28 | 2018-02-28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7215B1 true KR102017215B1 (ko) | 2019-09-02 |
Family
ID=6780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4636A KR102017215B1 (ko) | 2018-02-28 | 2018-02-28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7215B1 (ko) |
WO (1) | WO201916826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8779A (ko) * | 2020-11-19 | 2022-05-26 |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 금화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590408A (zh) * | 2003-08-28 | 2005-03-09 | 南京宝生药业有限公司 | 河豚肽的制备工艺及其医药保健用途 |
JP2009102311A (ja) * | 2007-10-04 | 2009-05-14 | Kyoei Kagaku Kogyo Kk | 化粧料 |
KR20120020305A (ko) * | 2010-08-30 | 2012-03-08 | 곽한무 | 장어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의 제조방법 |
KR101181920B1 (ko) | 2012-04-20 | 2012-09-11 | (재)남해마늘연구소 | 흑마늘, 흑삼, 흑대추를 첨가한 건강 증진용 붕장어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100819A (ko) * | 2012-12-21 | 2015-09-02 | 아쿠아 바이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에이 | 어류 부화액으로부터의 화장료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피부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그의 용도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636A patent/KR1020172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26 WO PCT/KR2018/016613 patent/WO201916826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590408A (zh) * | 2003-08-28 | 2005-03-09 | 南京宝生药业有限公司 | 河豚肽的制备工艺及其医药保健用途 |
JP2009102311A (ja) * | 2007-10-04 | 2009-05-14 | Kyoei Kagaku Kogyo Kk | 化粧料 |
JP5274964B2 (ja) * | 2007-10-04 | 2013-08-28 |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 化粧料 |
KR20120020305A (ko) * | 2010-08-30 | 2012-03-08 | 곽한무 | 장어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의 제조방법 |
KR101181920B1 (ko) | 2012-04-20 | 2012-09-11 | (재)남해마늘연구소 | 흑마늘, 흑삼, 흑대추를 첨가한 건강 증진용 붕장어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100819A (ko) * | 2012-12-21 | 2015-09-02 | 아쿠아 바이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에이 | 어류 부화액으로부터의 화장료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피부의 미용적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그의 용도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경상매일신문 "‘포상 특산품 개복치’ 화장품에 쏘옥~"(2017.01.31.)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8779A (ko) * | 2020-11-19 | 2022-05-26 |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 금화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102505942B1 (ko) * | 2020-11-19 | 2023-03-03 |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 금화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68262A1 (ko) | 2019-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505508B (en) | Uses of oil bodies | |
JP3810836B2 (ja) | 美容向け化粧料組成物 | |
CN102883733A (zh) | Age生成抑制剂 | |
ES2973307T3 (es) | Lactobacillus curvatus WIKIM55 que tiene actividad de promover el crecimiento del cabello y composición que lo contiene | |
KR101976385B1 (ko) | 돼지갈비용 양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 |
CN108434033A (zh) | 一种莲花美白保湿抗衰老精华液及其制备方法 | |
JP2001200250A (ja) | 抗酸化剤 | |
KR20180086676A (ko) |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017215B1 (ko) |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618658B2 (ja) | 皮膚化粧料 | |
KR101540410B1 (ko) |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0477397B (zh) | 一种制备石斛花提取液的方法及其应用 | |
KR102509802B1 (ko) | 철갑상어 분말을 함유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용 기능성 조성물 | |
US20080193597A1 (en) | Food supplement comprising spirulina and a plant-based product of the aloe genus, and the cosmetic use thereof | |
KR102697223B1 (ko) |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
KR102017216B1 (ko) | 붕장어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52855B1 (ko) | 나노화된 락토바실러스 속 사균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RU2351376C1 (ru) | Косметическая маска | |
KR101713115B1 (ko) |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688691B1 (ko)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37255B1 (ko) | 흑마늘을 이용한 저분자량의 분획된 생리활성 농축분획액의제조방법 | |
JP2008106029A (ja) | 生体内脂質過酸化抑制剤 | |
KR102519730B1 (ko) | 철갑상어 엑기스를 함유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용 기능성 조성물 | |
KR102509801B1 (ko) |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용 기능성 조성물 | |
KR102583992B1 (ko) |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제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