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01B1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Google Patents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1501B1 KR101971501B1 KR1020180046057A KR20180046057A KR101971501B1 KR 101971501 B1 KR101971501 B1 KR 101971501B1 KR 1020180046057 A KR1020180046057 A KR 1020180046057A KR 20180046057 A KR20180046057 A KR 20180046057A KR 101971501 B1 KR101971501 B1 KR 101971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plate
- rail
- plate
- base plate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483—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풋의 측면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에 맞닿아 끼워지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직 절연판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장공의 일측단부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보조절연판과, 상기 수직절연판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절연판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절연판을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풋의 측면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에 맞닿아 끼워지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직 절연판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장공의 일측단부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보조절연판과, 상기 수직절연판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절연판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절연판을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 도상 위에 설치되는 철도용 레일 고정장치의 중요성은 열차 차축중량 및 최대속도가 증대함에 따라 점점 증대하여 오고 있다.
고정 도상 위에 설치되는 철도용 레일 고정장치에 있어서는, 노반과 철도용 레일과의 사이에 탄성 재료의 중간판 또는 중간층을 배치함으로써, 창출되는 도상 탄성이 필요로 하는 정도로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우기시 터널 내/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시험체를 이용한 레일체결장치 절연저항측정시험과 궤도회로 절연성능향상을 위한 궤도상면 표면수 저감 시험 시공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콘크리트 침목의 (a) 백태, (b) 균열, (c) 파손 및 (d) 베이스플레이트 고정공 내부의 균열홈(void)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기시 터널 내/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해 보면, 한국 봉명터널 시점부(외부)가 약 26℃, 약 90% 이상 상대습도가 측정된다(d).
한국 계룡터널 수직구 측 출구측은 장대터널의 특성상 수직구 주변의 평균온도가 외기 평균온도에 비해 약 2∼5℃ 내려간다.
즉 터널 출구부의 평균온도는 외기 평균온도에 비해 약 1∼2℃ 내려감을 알 수 있다.
또한 터널 내부 유입수 흐름을 관측해보면, 봉명 및 계룡터널 측구 내 유입수 흐름이 원활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계룡터널 일부 파쇄대 통과구간의 경우, 우기시 상대 습도가 높을 경우 그라우팅재 용탈 등으로 인한 지하수 침투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바닥 콘크리트와 측벽 배수구 콘크리트 경계면을 따라 침투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특히, 강우 시 시간차를 두고 유입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1 (d), (e)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장조사 결과, 우기시 계룡 터널 내 짙은 안개로 인해 시야확보가 어렵고, 도상 상면 및 선로 물고임 현상이 심하였으며, 수신전압 측정 결과 BU 수신측에서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져, 터널 내 결로현상은 신호설비의 절연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체를 이용한 레일체결장치 절연저항측정시험 결과를 보면, 표면수의 경우 콘크리트 도상의 표면수 일별 흡수량에 비례해 도상의 절연성능이 감소하나 큰 차이 없다. 당연히 습도 99%가 지속될수록 절연성능이 저하한다.
예를 들어 습도 99% 적용 시 시간경과(1일차→ 3일차)에 따라 절연성능 악화 되고, 터널 내 지속되는 고습도 환경이 콘크리트 궤도회로 장치의 절연성능이 악화된다.
만일 일반적인 부싱 설치 시 레일-레일체결장치 간 절연성능 2.2배 증가, 레일과 도상 간 절연성능이 1.6배 증가한다(a).
또한 그리스 미충전 시 레일-레일체결장치 간 절연성능 1.3배 감소, 레일과 도상 간 절연성능 1.4배 감소한다(b).
또한 철근 무배근 시 레일과 레일체결장치 간 절연성능 4.1배 증가하고, 레일과 도상 간 절연성능 1.9배 증가한다. 또한 궤도길이 3배 확장 결과, 레일과 레일체결장치 간 절연저항 2배 감소, 레일과 도상 간 절연성능 2.3배 감소한다(c).
즉 추가적인 부싱 설치, 그리스 충전, 철근 무배근, 궤도 길이에 따라 절연 성능이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지만 증가율이 높지 않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 2 (c), (d),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회로 절연성능향상을 위한 궤도상면 표면수 저감 시험 시공결과 및 기대효과를 보여준다.
종래의 빗물 유입 방지턱을 설치한 경우 우천 시 봉명터널 시점부 TC3923A 송신단 및 TC3923B 수신단 궤도 상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방지하고, 터널 시점부 신호설비(BU, DB 등) 부근의 물고임을 방지하여 절연 성능을 약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TCL(콘크리트층) 상면 더돋기를 설치하고, 신호설비(BU, DB, SVAC)를 궤도상면과 이격시켜 신호 설비 연결케이블로부터 궤도상면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지만 매우 미미한 효과를 보여준다.
또한 TCL 상면 면정리의 경우 궤도상면이 고르지 않아 물이 고이고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TCL 상면 면정리를 통해 원활한 배수 유도할 수 있고, 신호설비(BU, DB, SVAC) 부근 표면수 저감 및 신호설비 부근의 물고임 방지가 가능하나 시공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
또한 TCL 상면 또는 측면 또는 저면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어 콘크리트 자체의 수축과 온도차에 의한 응력에 의해 발생하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종래 기술이 이용한 경우 발생하는 콘크리트 침목의 백태, 균열, 파손과 고정공 내부의 균열홈을 보여준다.
자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콘크리트 침목에는 콘크리트 수축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슬래브가 수축할 경우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인장응력은 필연적으로 콘크리트 균열을 유발한다.
상기 콘크리트의 균열과 손상 유형 중에서 도상 슬래브의 균열과 콘크리트 기층의 균열은 그 구조적 특성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수축과 온도차에 의한 응력에 의해 발생하며, 콘크리트 침목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온도가 변화하는 침목 경계를 따라 균열이 발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장에서 발생한 콘크리트 침목 중 하나인 PC 침목의 균열은 볼트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체결장치를 제거한 후의 균열 발달 상태를 보면 볼트에서부터 균열이 시작된 것이 아니라 침목의 외측 모서리에서부터 발달하여 외기에 노출된 부분까지만 균열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발명은 우기 시 볼트를 따라 유입되는 물기로 인해 상술한 균열들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궤도의 절연성능 저하로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막대 형상이 레일풋과 베이스플레이트 등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연 막대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침목 측면 또는 저면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어 콘크리트 자체의 수축과 온도차에 의한 응력에 의해 발생하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침목;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판상체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서,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 까지 연장되어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풋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는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볼트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일풋의 상부를 가압하는 텐션클램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로 구성된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풋의 측면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에 맞닿아 끼워지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직 절연판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장공의 일측단부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보조절연판과, 상기 수직절연판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절연판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절연판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절연판과 한쌍의 수평절연판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수평절연판은 수직절연판 보다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거나, 상기 수평절연판은 보조절연판 보다 길이가 더 길다.
상기 수직절연판은 좌측과 우측이 중앙을 중심으로 테이퍼져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수직절연판, 보조절연판, 및 수평절연판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의 방수 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독자적이고 단순한 막대 형상을 채택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자적인 막대 형상이 레일풋과 베이스플레이트 등에 끼워져 직접적인 절연 성능이 우수하고, 콘크리트 침목의 저면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절연성능 저하로 궤도회로 수신전압 저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기시 터널 내/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시험체를 이용한 레일체결장치 절연저항측정시험과 궤도회로 절연성능향상을 위한 궤도상면 표면수 저감 시험 시공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콘크리트 침목의 (a) 백태, (b) 균열, (c) 파손 및 (d) 베이스플레이트 고정공 내부의 균열홈(void)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 위의 받침대 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위에 베이스플레이트와 레일풋 측면에 절연 막대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텐션클램프가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부품들이 세부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전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를 보여주는 (a) 평면도, (b) 배면도, (c)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라 실제 제조된 절연 막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시험체를 이용한 레일체결장치 절연저항측정시험과 궤도회로 절연성능향상을 위한 궤도상면 표면수 저감 시험 시공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콘크리트 침목의 (a) 백태, (b) 균열, (c) 파손 및 (d) 베이스플레이트 고정공 내부의 균열홈(void)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 위의 받침대 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위에 베이스플레이트와 레일풋 측면에 절연 막대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텐션클램프가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부품들이 세부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전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를 보여주는 (a) 평면도, (b) 배면도, (c)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라 실제 제조된 절연 막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 위의 받침대 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위에 베이스플레이트와 레일풋 측면에 절연 막대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준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텐션클램프가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부품들이 세부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침목(14) 위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30)와 받침대(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80)를 설치하고 W 모양의 텐션클램프(70)을 추가 설치하여 진동에 대한 콘크리트 침목(14)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다.
콘크리트 침목(14)은 지반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2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에 상기 고정볼트(80)가 결합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0)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공(12)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다.
받침대(40)는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판상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30)는 상면에 상기 레일(20)이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22)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20)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4)에 고정되는 고정볼트(80)가 삽입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 사이의 공간에 상기 레일풋(22)이 안착된다.
텐션클램프(70)은 상기 고정공(1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0)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풋(22)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볼트(80)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일풋(22)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일(20)이 상기 콘크리트 침목(14)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대략 "W"형상의 텐션클램프(7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텐션클램프(70)은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조임부(714), 상기 조임부(714)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712), 상기 고정볼트(80)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716)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부(714)와 상기 꺽임부(716)가 연장되는 부위에는 절곡부(7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712)는 상기 레일풋(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절곡부(718)는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측면 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전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막대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막대(100)는 강도가 높은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고, 받침대(40)의 장공(42)에 삽입된 후 상기 콘크리트 침목(20)과 베이스플레이트(30)의 측면과 받침대(40)의 상측면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막대(100)는 강도가 높은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분지가 적고 결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으로 경도, 기계적 강도, 내수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공업적 제법에는 알킬알루미늄-할로겐화 티탄을 촉매로 하는 저압법(치글러 법)과 실리카-알루미나-크로미아 촉매에 의한 중압법(필립스 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막대(100)는 폴리다이올과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성분비를 조절하여 경직된 구조가 아닌 소프트한 구조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막대(100)의 보조절연판(135)과 수직절연판(130)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절연판(151, 152)은 따로 따로 형상화되어 결합된 것이 아닌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 성형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막대(100)는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거나, 프레스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100)는 매끄러운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레일풋과 베이스플레이트(30)에 삽입되기 용이하지만 좀 더 기밀한 결합을 위해 외부로 연질의 신축성 소재를 코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100)는 세부적으로 수직절연판(130)과 보조절연판(135)과 수평절연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절연판(130)은 레일풋의 측면부와 베이스플레이트(30)의 측면부에 맞닿아 끼워지는 절연판이다.
상기 수직절연판(130)은 보조절연판(135)을 기준으로 좌측 수평절연판(151)과 우측 수평절연판(152)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직절연판(130)은 좌측과 우측이 중앙을 중심으로 테이퍼져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이유는 레일풋의 측면에 유입되는 빗물 등이 테이퍼져서 갈수록 낮아지는 수직절연판(130)의 상측 절단면을 타고 내려와 받침대(40)와 콘크리트 침목(20)과 베이스플레이트(30) 등을 보호하며 측면으로 빠져 나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 막대(100)는 물의 침투, 흡수, 투과를 막는 수밀성이 강해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침목(20)의 백태, 균열, 파손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절연판(135)은 수직 절연판(130)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장공의 일측단부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절연판이다.
따라서 보조절연판(135)은 틈새로 유입된 습기라도 장공(42)을 따라 밑면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침목에 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절연판(151, 152)은 수직절연판(130)에서 수평으로 한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의 저면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절연판(130)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판이다.
또한 수평절연판(151, 152)은 보조절연판(135)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장공(42) 등에 체결되는 볼트 등에 영향을 안 받고 수분 밀폐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절연판(151, 152)은 수직절연판(130) 보다 두께가 두껍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두께가 동일하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평절연판(151, 152)은 보조절연판(135) 보다 길이가 더 길어 절연 막대(100)의 수평을 맞추기 더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보조절연판(135)과 한쌍의 수평절연판(151, 152)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격 공간에 의해 나눠지는 한쌍의 수평절연판(151, 152)을 성형할 때나 프레스할 때 가공성을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막대(100)는 전체적으로 각 모서리(131)가 모따기 또는 모깍기된다. 즉 상기 절연 막대(100)의 모서리를 양쪽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어 따내는 비스듬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또는 상기 수직절연판(130), 보조절연판(135), 및 수평절연판(151, 152)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된다.
이러한 모따기에 의해 측면부를 따라 흐르는 물기를 최대한 일정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풋 측면과 베이스플레이트(30) 측면 사이 등에 조립할 시 수평절연판(151, 152)과 간섭되는 임의 형상의 패드가 끼워질 경우 수평절연판(151, 152)의 너비 때문에 패드와 결합성이 약화될 수 있어 수평절연판(151, 152)의 폭을 임의로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풋 측면과 베이스플레이트(30) 측면 사이 등에 조립할 시 수평절연판(151, 152)과 간섭되는 임의 형상의 패드가 끼워질 경우 수평절연판(151, 152)의 너비 때문에 패드와 결합성이 약화될 수 있어 수평절연판(151, 152)의 폭을 임의로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레일체결장치를 작업 공구 등을 이용하여 해체하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체결장치를 제거하거나 체결구를 해체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해체가 끝난 후, 그리고 콘크리트 침목(14)의 내부 공간부에 받침대(40)를 미리 형성시킨다.
상기 받침대(40)에 베이스플레이트(30)를 끼워 볼트(B)로 조립하기 전에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100)를 레일풋 측면과 베이스플레이트(30) 측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받침대(40)에 세워 놓는다.
이후의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절연 막대(100)의 재체결방법은 상기한 레일해체방법을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레일을 재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 텐션클램프(70)를 끼우고 고정볼트(80)를 체결한다.
14 : 콘크리트 침목
20 : 레일
22 : 레일풋
30 : 베이스플레이트
34 : 콘크리트 침목 홈
40 : 받침대
42 : 장공
70 : 텐션클램프
714 : 조임부
712 : 지지부
716 : 꺽임부
718 : 절곡부
80 : 고정볼트
100 : 절연 막대
130 : 수직절연판
135 : 보조절연판
151, 152 : 수평절연판
20 : 레일
22 : 레일풋
30 : 베이스플레이트
34 : 콘크리트 침목 홈
40 : 받침대
42 : 장공
70 : 텐션클램프
714 : 조임부
712 : 지지부
716 : 꺽임부
718 : 절곡부
80 : 고정볼트
100 : 절연 막대
130 : 수직절연판
135 : 보조절연판
151, 152 : 수평절연판
Claims (5)
- 콘크리트 침목;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판상체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서,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풋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레일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단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 까지 연장되어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풋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는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볼트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일풋의 상부를 가압하는 텐션클램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로 구성된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풋의 측면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에 맞닿아 끼워지는 수직절연판과, 상기 수직 절연판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장공의 일측단부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오는 보조절연판과, 상기 수직절연판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을 받쳐주고 상기 수직절연판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절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절연판과 한쌍의 수평절연판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연판은 수직절연판 보다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거나, 상기 수평절연판은 보조절연판 보다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연판은 좌측과 우측이 중앙을 중심으로 테이퍼져서 양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연판, 보조절연판, 및 수평절연판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057A KR101971501B1 (ko) | 2018-04-20 | 2018-04-20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057A KR101971501B1 (ko) | 2018-04-20 | 2018-04-20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1501B1 true KR101971501B1 (ko) | 2019-04-23 |
Family
ID=6628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057A KR101971501B1 (ko) | 2018-04-20 | 2018-04-20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150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0330A (en) * | 1991-12-18 | 1996-05-28 | Pandrol Limited | Railway rail-fastening clip and assembly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
KR100470249B1 (ko) | 1996-04-05 | 2005-05-2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배터리충전장치,배터리팩을충전시키는방법과배터리팩 |
KR100747764B1 (ko) | 2005-08-31 | 2007-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
KR100776249B1 (ko) | 2006-11-29 | 2007-11-1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신축 및 분기기 레일 축방향 이동방지 장치 및 방법 |
KR20110080824A (ko) | 2010-01-07 | 2011-07-1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
KR20130002150U (ko) * | 2011-09-28 | 2013-04-05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레일체결장치 |
-
2018
- 2018-04-20 KR KR1020180046057A patent/KR101971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0330A (en) * | 1991-12-18 | 1996-05-28 | Pandrol Limited | Railway rail-fastening clip and assembly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
KR100470249B1 (ko) | 1996-04-05 | 2005-05-2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배터리충전장치,배터리팩을충전시키는방법과배터리팩 |
KR100747764B1 (ko) | 2005-08-31 | 2007-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
KR100776249B1 (ko) | 2006-11-29 | 2007-11-1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신축 및 분기기 레일 축방향 이동방지 장치 및 방법 |
KR20110080824A (ko) | 2010-01-07 | 2011-07-13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
KR20130002150U (ko) * | 2011-09-28 | 2013-04-05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레일체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38361C2 (ru) |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или трамвайный рельс и система его закрепления | |
US5609294A (en) | Railroad track assembly and method | |
KR100916973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 |
KR20100134595A (ko) | 탄성 레일 지지 블럭 조립체 제조방법 | |
KR101971501B1 (ko)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
JP3936864B2 (ja) | ケーブル収納用ダクト装置 | |
CN101158144B (zh) | 植入式桥面连续装置 | |
KR100603906B1 (ko) | 유자형 하로 유도상 피씨 거더 | |
CN211395350U (zh) | 一种便于施工及维护的梁伸缩缝结构 | |
AU2009201825B2 (en) | Rail anchor isolator for railroad tie | |
US20050023366A1 (en) | Boot for streetcar rails | |
KR101971503B1 (ko) | 물유입 방지 커버를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 |
KR100964734B1 (ko) | 복합탄성체에 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US20110049255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il Track Fixing | |
KR101593998B1 (ko) |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 |
KR20160106014A (ko) | 지하주차장에 시공된 노후화된 트렌치의 보수용 받침 앵글 및 그 보수용 받침 앵글을 이용한 보수 시공방법 | |
KR101806908B1 (ko) | 교량용 m조인트 시스템 | |
KR101195307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교량 신축이음부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량 신축이음부 | |
KR101395281B1 (ko) | 단열배수판 | |
EP3612677B1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methods for producing a fastening and a support system for a rail and use of a rail fastening system | |
EP2811071A1 (en) | Elastic mat for a floating railway | |
KR102655797B1 (ko) | 건축물 기초 동결방지 시공방법 | |
CN115075066B (zh) | 无砟轨道纠偏方法 | |
KR100288411B1 (ko) | 토목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90041734A (ko) | 수지고정 철도교 궤도체결구 표면시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