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6900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00B1
KR101976900B1 KR1020160122473A KR20160122473A KR101976900B1 KR 101976900 B1 KR101976900 B1 KR 101976900B1 KR 1020160122473 A KR1020160122473 A KR 1020160122473A KR 20160122473 A KR20160122473 A KR 20160122473A KR 101976900 B1 KR101976900 B1 KR 10197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th
acrylate
adhesive pa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016A (ko
Inventor
조익환
강지원
곽병도
김일진
김지호
문성현
이진영
한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방열판, 방열점착패드, 보호필름, 점착필름 및 디스플레이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방열판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20℃에서 모듈러스가 50kPa 내지 500kPa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광학표시장치는 유리 기판 또는 고경도 기판을 필름으로 대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장치이므로,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오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는 방열판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어서 내충격패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방열판, 내충격패드가 모두 비 점착성이라서 이들을 적층시킬 경우 점착필름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이것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방열판, 내충격패드 모두에 대해 박리강도가 좋은 점착필름을 개발해야 하는 추가적인 개발 필요성이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에 역행하는 것이다.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치 내에 포함되는 각종 디바이스들이 플렉시블 물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2008-0371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점착층, 내충격패드, 점착층 등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일원화할 수 있는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딩성이 우수한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의한 OLED 패널의 손상이 없게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열판과, 보호필름 또는 디스플레이부 등의 디바이스에 대해 박리강도가 모두 우수한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형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판, 방열점착패드, 보호필름, 점착필름 및 디스플레이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방열판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20℃에서 모듈러스가 50kPa 내지 500kPa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점착층, 내충격패드, 점착층 등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일원화할 수 있는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폴딩성이 우수한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한 OLED 패널의 손상이 없게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방열판과, 보호필름 또는 디스플레이부 등의 디바이스에 대해 박리강도가 모두 우수한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박형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열점착패드의 T-peel 박리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의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시관점에 따라 "상부"는 "하부"로, "하부"는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러스"는 저장 모듈러스(G')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Malvern社의 Zetasizer nano ZS 장비로 수계 또는 유기계 용매에서 측정한 Z-average 값으로 표현되고 SEM/TEM으로 확인되는 입경이다.
본 명세서에서 "코어-쉘 구조"는 통상의 코어-쉘 구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또는 상기 쉘은 각각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으며, "최외층"은 여러 층 중 가장 바깥쪽의 층을 의미한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열판(110), 방열점착패드(120), 보호필름(130), 점착필름(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110), 방열점착패드(120), 보호필름(130), 점착필름(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는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양면 점착성이다. 따라서, 방열점착패드(120)는 방열판(110)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보호필름(130)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점착패드(120)가 종전의 점착필름, 내충격패드, 및 점착필름의 적층체를 역할을 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내충격 효과를 나타내어 두께 5mm로 적층시 2kg의 하중으로 경도(ASKER C 타입) 25 point 이하, 예를 들면 10 point 내지 25 point의 경도를 가질 수 있어 외부 충격에 대해서 OLED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폴딩성도 우수할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20℃에서 모듈러스가 50kPa 내지 500k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온에서도 폴딩이 잘 되고 디스플레이부가 필름 형태이더라도 이들 간의 유기적 연결이 우수하고 반복적인 폴딩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열점착패드(120)는 -20℃에서 모듈러스가 100kPa 내지 500kPa, 더 구체적으로 250kPa 내지 500kPa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호필름뿐만 아니라 방열판에 대한 박리강도도 좋을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는 하기 상술되는 소정 길이의 가로x세로를 갖는 폴딩 테스트용 시편에 대하여 25℃에서 시편의 세로의 1/2가 되는 지점이 접히도록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접히도록 고정시키고, 곡률 반경이 3mm가 되도록 분당 30 사이클(cycle)의 속도로 25℃에서 벤딩(점착필름을 반으로 1회 구부렸다 폈다 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함)을 반복하여 박리 및 기포가 발생하는 최초 벤딩 회수가 10만회 이상, 예를 들면 10만회 이상 20만회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25℃에서 모듈러스가 15kPa 내지 500kPa, 구체적으로 20kPa 내지 300kPa, 더 구체적으로 20kPa 내지 100k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의 불량을 막을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80℃에서 모듈러스가 15kPa 내지 500kPa, 구체적으로 20kPa 내지 300kPa, 더 구체적으로 20kPa 내지 100k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의 불량을 막을 수 있다. 이때 폴딩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방열판 쪽으로 폴딩하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부 쪽으로 폴딩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방열점착패드(120)는 코로나 처리된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상온(25℃)에서 500gf/in 이상, 예를 들면 700gf/in 이상 2,000gf/in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판, 보호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우수하여 폴딩에도 박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성이지만, 방열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방열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방열재료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방열재료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방열 효과를 낼 수 없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할 수 없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방열재료를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 효과를 내고,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 폴딩성이 좋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열재료를 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1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15중량% 이상 40중량% 이하, 2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경화에 의해 방열점착패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폴딩성을 좋게 하고 패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재료는 열 방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산화 아연, 탄화 규소(실리콘 카바이드), 마그네시아, 질화 붕소, 그래핀, 수산화알루미늄(Al2(OH)3), 산화알루미늄(Al2O3, 알루미나), 질화 규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방열재료는 상술한 방열재료에 더하여 카본블랙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카본블랙은 방열점착패드 중 1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경화에 의해 방열점착패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방열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층용 조성물을 광경화(예:UV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용 조성물은 방열재료 이외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및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단량체 상태로 포함될 수도 있고 부분 중합된 상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열점착패드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방열점착패드의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50℃ 내지 -13℃, 구체적으로 -10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는 폴딩성이 우수하면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점착력과 신뢰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르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5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열점착패드의 점착력 상승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5중량% 내지 40중량%, 예를 들면 10중량% 내지 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는 헤이즈가 낮고, 접착력이 우수하고, 수분투과도가 낮을 수 있다.
공단량체는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 및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4 내지 8의 특히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방열점착패드의 초기 점착력이 커질 수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에틸렌옥사이드기(-CH2CH2O-)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알킬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는 프로필렌옥사이드기(-CH2CH2CH2O- 또는 (-CH2CHCH3O-)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알킬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는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ter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옥시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민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는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N,N-메틸렌 비스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알콕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인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설폰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나트륨, 2-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나트륨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는 페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p-tert-부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o-바이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는 실란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스(β-메톡시에틸)실란, 비닐트라이아세틸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기를 지닌 비닐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공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60중량% 내지 95중량%, 구체적으로 65 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는 접착력과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공단량체 중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0℃인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각 대상 단량체의 호모폴리머에 대하여 TA Instrument사의 DSC Q2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단량체의 호모폴리머에 대하여 20℃/분의 온도 상승 속도로 16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서서히 식혀 -180℃에서 평형상태를 유지시키고, 10℃/분의 속도로 160℃까지 승온하였을 때의 흡열 전이곡선을 데이터를 얻은 후, 상기 흡열전이곡선의 변곡점을 유리전이온도로 결정한다.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0℃인 공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20℃, 더 구체적으로 -150℃ 내지 -40℃인 공단량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에서의 폴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공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iso-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메톡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알콕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등을 포함하는 실란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2-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카르복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카르복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무수 말레산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중 5중량% 이하, 구체예에서는 3중량% 이하, 구체적으로는 1중량%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는 접착력이 높고, 신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지환족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중 0.01중량% 내지 5중량%, 예를 들면 0.5중량%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열 내습 하에 기포나 들뜸이 생기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또는 이를 부분 중합하여 제조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경화시킬 수 있다. 개시제는 라디칼형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가 될 수 있고,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시 사용된 개시제와 같거나 다른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광조사 등에 의한 경화 과정에서 전술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논시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종류는,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아조계 화합물, 과산화물계 화합물 또는 레독스(redox)계 화합물과 같은 통상의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아조계 화합물의 예로는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트릴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트릴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니트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디메틸-2,2-메틸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2,2-피오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과산화물계 화합물의 예로는 과유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무기 과산화물; 또는 디아실 퍼옥시드,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퍼옥시 에스테르,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dicetyl)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peroxypivalate),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시드, 디메틸 히드록시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라우릴 퍼옥시드,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시드 등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고, 레독스계 화합물의 예로는 과산화물계 화합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반응이 완전히 진행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가 남아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교제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제는 수산기를 2-20개 갖는 다가알코올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가교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03중량부 내지 3중량부, 구체적으로 0.0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는 우수한 접착력과 신뢰성 증가의 효과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방열점착패드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틀 속에서 고온 및 고습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방치시키더라도 기포나 박리 등이 없어서 신뢰성이 좋게 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메트)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상술한 고온 고습에서의 벤딩 상태에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고, 저온, 상온, 고온 간의 박리력 차이가 낮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응집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유기 나노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 나노입자를 더 포함함으로써 방열점착패드의 내충격 기능과 폴딩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더 좋게 할 수 있다. 유기 나노입자는 저온 및/또는 상온 점탄성이 우수하고, 가교된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온, 고습 점탄성이 안정적으로 발현된다. 구체예에서, 유기 나노입자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방열점착패드는 유기 나노입자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하기의 특정 평균입자크기의 유기 나노입자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특정 굴절률 차이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유기 나노입자는 평균 입경이 10nm 내지 400nm, 구체적으로는 10nm 내지 300n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nm 내지 200nm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유기 나노입자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고, 방열점착패드의 투명도가 우수할 수 있다. 유기 나노입자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굴절률 차이가 0.05 이하, 구체적으로 0 이상 0.03 이하, 구체적으로는 0 이상 0.02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의 투명도가 우수하다.
유기 나노입자는 코어-쉘 형을 비롯하여 비드(bead) 형 등의 단순 나노입자 등도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어-쉘 형일 경우,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유리전이온도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Tg(c) < Tg(s)
(상기 식 1에서 Tg(c)는 코어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고, Tg(s)는 쉘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쉘"은 유기 나노입자 중 최외곽층을 의미한다. 코어는 하나의 구형 입자일 수 있다. 그러나, 코어는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면 구형 입자를 감싸는 추가적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의 유리전이온도는 -150℃ 내지 10℃, 구체적으로 -150℃ 내지 -5℃, 더욱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열점착패드의 저온 및/또는 상온 점탄성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코어는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실록산 중 1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가 될 수 있다.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는 가교가 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가교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내충격성, 착색성을 위해 가교상태의 오가노 실록산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가교된 형태의 오가노실록산으로써, 구체적으로 가교된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또는 그 2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상의 오가노실록산이 공중합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굴절률 1.41~1.50를 조절할 수 있다.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의 가교상태는 각종 유기용매에 의해 용해되는 정도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다. 가교상태가 심화될수록 용매에 의해 용해되는 정도가 작아진다. 가교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용매로는 아세톤이나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는 아세톤이나 톨루엔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의 톨루엔에 대한 불용성분이 30% 이상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오가노실록산 (공)중합체에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n-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쉘의 유리전이온도는 15℃ 내지 150℃,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150℃, 더욱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140℃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유기 나노입자의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쉘은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쉘은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기 나노입자의 최외층은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150℃인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1 종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는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0℃인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유리전이온도 제한 없이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1 종 이상 포함하면서, 코어 전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내지 10℃를 만족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쉘도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150℃인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유리전이온도 제한 없이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1 종 이상 포함하면서, 쉘 전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150℃를 만족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쉘은 유기 나노입자 중 1중량% 내지 70중량%, 구체적으로 5중량% 내지 6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10중량% 내지 5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코어는 유기 나노입자 중 30중량% 내지 99중량%, 구체적으로 40중량% 내지 95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50중량% 내지 9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쉘과 코어의 함량 범위에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점탄성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유기 나노입자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0.5중량부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폴딩성이 우수하고 패널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방열판과 보호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도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유기 나노입자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시, 단량체 혼합물과 함께 중합된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기 나노입자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내에 포함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이미 제조된 상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함께 유기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기 나노입자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별도의 상태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25℃ 점도가 300cPs 내지 50,000cP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코팅성과 두께 균일성을 얻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방열점착패드(120)는 두께가 10㎛ 이상 1,000㎛ 이하, 구체적으로 25㎛ 이상 40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내충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방열판(110)은 방열점착패드(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50)로부터 생성된 열을 방출시킨다. 방열판(110)은 열 방출 특성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해서 형성된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110)은 플렉시블 물성을 갖도록 상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방열판(110)이 하나의 판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방열판은 복수 개의 판으로 하나의 층을 형성하거나, 2층 이상의 방열판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필름(130)은 방열점착패드(120) 상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50)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보호필름(130)은 방열점착패드(120)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필름(13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될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필름(13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필름(130)은 내열성이 높아 표시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받지 않는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보호필름(130)은 두께가 25㎛ 이상 100㎛ 이하, 구체적으로 25㎛ 이상 7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140)은 보호필름(130) 상에 형성되어, 보호필름(130)과 디스플레이부(150)를 서로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필름(14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통상의 OCA(optical clear adhesive), 통상의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상술한 방열점착패드를 위한 점착층 조성물 중 방열재료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필름(140)은 두께가 10㎛ 이상 100㎛ 이하, 구체적으로 15㎛ 이상 7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하부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 평탄화층, 보호막,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기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기판에는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공급부 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기판은 플렉시블한 수지로 형성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기판은 실리콘(silicone) 기판, 폴리이미드 기판, 폴리카보네이트 기판, 폴리아크릴레이트 기판 등의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부기판의 표시영역에는 복수 개의 구동 배선(도시되지 않음)과 센서 배선(도시되지 않음)이 교차하여 복수 개의 화소 영역이 정의되고, 화소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는 구동 배선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인 패널 회로부는 표시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그와 수직인 전계를 가해서 제어하는 것으로,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으로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nO, TiO 등의 산화물을 사용하는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으로 유기물을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반도체층으로 비정질 실리콘을 이용하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층으로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하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평탄화층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회로부를 덮어 박막 트랜지스터와 회로부의 상부면을 평탄화시킴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평탄화층은 SOG(spin-on -glass)막,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아크릴계 고분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자체 발광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으로, 차례로 적층된 제1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절연막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이 하부 기판을 통해 방출되는 배면 발광구조 또는 유기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이 상부 기판을 통해 방출되는 전면 발광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덮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막은 SiOx, SiNx, SiC, SiON, SiONC 및 a-C(amorphous Carbon)과 같은 무기 물질과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등과 같은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막은 무기 물질로 형성된 층과 유기 물질로 형성된 층이 1회 이상 순차로 적층된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렉시블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부에 표시장치를 위한 각종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소자는 윈도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필름은 플렉시블한 윈도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윈도우 필름은 기재층과 윈도우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은 윈도우 필름을 지지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코팅층은 실록산 수지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윈도우 필름은 기재층,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윈도우 코팅층,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경도 향상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윈도우 필름은 연필경도 6H 이상, 구체적으로 6H 내지 9H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소자는 편광판, 터치스크린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 보호코팅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편광판에는 위상차 필름, 광학보상필름인 λ/2 필름 또는 λ/4 필름을 추가할 수도 있고, 위상차 액정코팅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플렉시블하고 도전성이 있는 도전체를 패턴화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제1센서 전극 및 제1센서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제1센서 전극과 교차하는 제2센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을 위한 도전체는 금속 나노와이어,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소자는 하나의 층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광학소자가 복수 개 적층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광학소자가 복수 개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학소자의 적층시 통상의 OCA, 통상의 PSA 또는 상술한 방열점착패드를 위한 점착층 조성물 중 방열재료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형성된 점착필름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판, 방열점착패드, 보호필름, PSA, 디스플레이부, PSA, 광학소자(편광판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 PSA, 윈도우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방열점착패드(120)와 보호필름(130) 사이에 내충격패드(160), 점착필름(140)이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내충격패드(16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충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내충격패드(160)는 비 점착성이라서 점착필름(140), 방열점착패드(120)에 각각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내충격패드(160)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스펀지 형태의 패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방열점착패드의 제조
방열점착패드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구체적인 성분은 하기와 같다.
(A)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a1)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a2)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B)유기 나노입자
코어는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 쉘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 쉘은 유기 나노입자 중 30중량%, 코어는 유기 나노입자 중 70중량%, 평균입경은 130nm, 굴절률은 1.48이고, 유화 중합으로 제조된 유기 나노입자
(C)개시제
(c1)광중합 개시제:이가큐어(Irgacure) 651(BASF사)
(c2)광중합 개시제:이가큐어 184(BASF사)
(D)가교제: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E)방열 재료: Al2O3(CA-5M, 제이켐상사)
제조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a1)82중량%,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a2)18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A) 100중량부, 유기 나노입자(B) 4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c1) 0.005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잘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유리 용기 내의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하고, 수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사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약 2000 CPS의 점도를 갖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프리 폴리머), 상기 단량체 및 유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혼합물에 부가적 광중합 개시제(c2)를 상기 단량체 혼합물(A) 100중량부 대비 0.3중량부, 방열 재료(E)를 40중량부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형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75㎛) 상에 코팅하여 두께 50㎛의 시트를 형성하였다. 상부에 75 ㎛ 두께의 이형필름을 커버한 후, 양 면에 약 6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사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조사하여 방열점착패드(두께:50㎛)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방열점착패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방열점착패드에 대해 하기의 물성평가 방법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모듈러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인 레오미터(Rheometer)(Anton Paar社 MCR-501)를 사용하여 shear rate 1rad/sec, strain 1%에서 auto strain 조건으로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에 두께 50㎛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방열점착패드를 500㎛의 두께로 적층하고 직경이 8mm인 천공기로 적층물을 천공해내어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편에 하중 300 gf를 가한 상태에서 -60 내지 100℃에서 5℃/min의 온도 상승 속도로 온도를 높이면서 모듈러스를 측정하였고, -20℃, 25℃, 80℃에서 모듈러스를 기록하였다.
(2) 경도: 제조예에서 제조된 방열점착패드를 두께 5mm로 적층시켜 2kg의 하중으로 경도(ASKER C 타입)를 측정하였다.
(3) T-peel 박리강도: 코로나 처리기를 사용하여 78 dose의 선량으로 방전시키면서 가로 x 세로 x 두께(150mm x 25mm x 75㎛)의 PET 필름에 코로나 2회 처리(총 선량: 156 dose)시켰다. 제조예의 방열점착패드로부터 100mm × 25mm × 100 ㎛(가로×세로×두께)의 크기로 방열점착패드 샘플을 얻었다. 상기 방열점착패드 샘플의 양면에 상기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된 면을 각각 합지하여, 도 3의 (a)에서 도시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편을 압력 3.5bar, 50℃에서 1000 초 동안 오토클레이브하고, TA.XT_Plus Texture Analyzer(Stable Micro System(제))에 시편을 고정시켰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TA.XT_Plus 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25 ℃에서 한쪽 PET 필름은 고정을 하고 다른 한쪽 PET 필름을 50 mm/min의 속도로 당겨서 25℃에서의 T-Peel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3(b) 참조).

제조예
1 2 3
EHA(중량%) 82 65 82
HBA(중량%) 18 35 18
개시제(c1)(중량부) 0.005 0.005 0.005
개시제(c2)(중량부) 0.3 0.3 0.3
유기 나노입자(중량부) 4 4 0
가교제(중량부) 0 0 0.01
방열 재료(중량부) 40 40 20
모듈러스(kPa); @-20℃ 350 500 200
모듈러스(kPa); @25℃ 35 40 33
모듈러스(kPa); @80℃ 27 33 25
경도(point) 20 25 16
T-peel 박리강도(gf/in) 950 1050 980
실시예 1
하기의 방열판, 방열점착패드, 보호필름, 점착필름, 디스플레이부, 점착필름, 광학필름, 점착필름, 윈도우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모사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 방열판: 알루미늄판
- 방열점착패드: 제조예 1의 방열점착패드(두께:50㎛)
- 보호필름: 폴리이미드 필름(두께:100㎛)
-디스플레이부: 제1PET 필름(두께:100㎛, Cosmoshine TA015, Toyobo사)으로 대체
- 광학필름(편광판, 터치스크린 패널): 제2PET 필름(두께:50㎛)으로 대체
- 윈도우 필름: 제3PET 필름(두께:125㎛)으로 대체
- 점착필름: 하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점착필름(두께:50㎛)
제조예 4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 중량%,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입자(코어는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PBA), 쉘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이고, 쉘은 유기입자 중 40 중량%이고, 평균 입경은 230 nm이고, 굴절률은 1.48인 유기 입자) 4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651) 0.005 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잘 혼합하였다. 유리 용기 내의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하고, 수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사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혼합물을 중합시켜 약 1000 CPS의 점도를 갖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부가적 광중합 개시제(c2)(이르가큐어 184)를 0.35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성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처리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50㎛) 상에 코팅하여 두께 100㎛의 점착필름을 형성하였다. 상부에 75 ㎛ 두께의 이형필름을 커버한 후, 양 면에 6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사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조사하여 점착 필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방열점착패드를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모사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의 방열판, 점착필름, 내충격패드, 점착필름, 보호필름, 점착필름, 디스플레이부, 점착필름, 광학필름, 점착필름, 윈도우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모사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방열판: 알루미늄판
-점착필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점착필름(두께:50㎛)
-내충격 패드: 스펀지(두께:100 ㎛)
-보호필름: 폴리이미드 필름(두께:100㎛)
-디스플레이부: 제1PET 필름(두께:100㎛, Cosmoshine TA015, Toyobo사)으로 대체
-광학필름(편광판, 터치스크린 패널): 제2PET 필름(두께:50㎛)으로 대체
-윈도우 필름: 제3PET 필름(두께:125㎛)으로 대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폴딩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편을 가로 x 세로(100cm x 160cm)의 크기로 절단하여, 폴딩 테스트용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을 오토클레이브에서 50℃ 및 3.6bar 압력하에서 1000sec 동안 처리하였다. 25℃에서 시편을 폴딩 테스트용 측정 기기(COVOTEC사, CFT 시리즈)에 시편의 세로의 1/2가 되는 지점이 접히도록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접히도록 고정시키고, 곡률 반경이 3 mm가 되도록 분당 30 사이클(cycle)의 속도로 25℃에서 벤딩(점착필름을 반으로 1회 구부렸다 폈다 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함)을 반복하여 10만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10만 사이클 후 박리 또는 기포가 발생하였을 경우 ×, 박리 및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로 표시하였다.
(2)충격에 대한 OLED 패널의 손상 여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편 중 디스플레이부에 해당되는 제1PET 필름을 제거하고, 대신에 OLED 패널을 부착하고, Ball Drop 방법으로 OLED 패널의 손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0g steel ball을 OLED 패널 대비 5cm 높이에서 떨어뜨린 후 OLED 패널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충격을 받은 패널 부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양호,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NG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방열점착패드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
폴딩 테스트
충격에 대한 OLED 패널의 손상 여부 양호 양호 양호 NG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성이 우수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OLED 패널의 손상이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입자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유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대비 폴딩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점착패드는 비교예 1의 내충격패드 대비 두께가 1/2임에도 불구하고 충격에 대한 OLED 패널 손상을 막을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방열점착패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충격에 대한 OLED 패널의 손상 여부 평가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동일 방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3cm에서 떨어뜨렸을 때 이미 OLED 패널이 손상되었다. 특히, 비교예 1은 유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사용하여 방열판과 내충격패드를 점착시키고 유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사용하여 내충격패드와 보호필름을 점착시켰으며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에 대한 OLED 패널 손상이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방열판, 방열점착패드, 보호필름, 점착필름 및 디스플레이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방열판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20℃에서 모듈러스가 50kPa 내지 500kPa이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방열재료를 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방열점착패드를 두께 5mm로 적층한 후, 2kg의 하중으로 측정된 경도(ASKER C 타입)가 25 point 이하인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보호필름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비접촉성인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80℃에서 모듈러스가 15kPa 내지 500kPa인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재료는 산화아연, 탄화 규소(실리콘 카바이드), 마그네시아, 질화 붕소, 그래핀, 수산화알루미늄(Al2(OH)3), 산화알루미늄(Al2O3, 알루미나), 질화 규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카본블랙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상기 방열재료,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기 나노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나노입자는 코어-쉘 입자이고,
    상기 코어와 상기 쉘의 유리전이온도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식 1>
    Tg(c) < Tg(s)
    (상기 식 1에서
    Tg(c)는 코어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고,
    Tg(s)는 쉘의 유리전이온도(단위:℃)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나노입자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0.5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는 두께가 10㎛ 이상 1000㎛ 이하인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점착패드와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내충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점착패드와 상기 내충격패드는 직접적으로 형성된 것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22473A 2016-09-23 2016-09-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3A KR101976900B1 (ko) 2016-09-23 2016-09-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3A KR101976900B1 (ko) 2016-09-23 2016-09-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016A KR20180033016A (ko) 2018-04-02
KR101976900B1 true KR101976900B1 (ko) 2019-05-09

Family

ID=6197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73A KR101976900B1 (ko) 2016-09-23 2016-09-2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2987A3 (en) * 2022-01-17 2023-1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989B1 (ko) * 2018-12-28 2024-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32543B1 (ko) 2019-02-19 2024-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16809B1 (ko) 2019-03-29 2022-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적화층
CN110098225B (zh) * 2019-04-18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262105B (zh) * 2019-06-13 2020-10-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711545B1 (ko) 2019-07-22 2024-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11956985B2 (en) 2020-02-14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bonding member
KR20230006256A (ko) 2021-07-02 2023-01-10 김일구 0.1 마이크로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의 필터링이 가능한 n-아세틸글루코사민 기반의 고성능 필터링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191A (ja) * 2005-09-29 2007-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の製造方法
JP2010231979A (ja) *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068B1 (ko) * 2004-04-21 2006-05-03 일동화학 주식회사 아크릴계 방열 패드
KR101712749B1 (ko) * 2014-12-23 2017-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191A (ja) * 2005-09-29 2007-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の製造方法
JP2010231979A (ja) *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12987A3 (en) * 2022-01-17 2023-1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016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0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7603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60387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81424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7155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170166786A1 (en) Adhesive sheet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02757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2749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US20170253769A1 (en)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80096448A (ko) 윈도우 필름용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5755B1 (ko)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97799B1 (ko)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170306194A1 (en)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02089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6299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6010318B (zh) 粘着膜和包括其的显示构件
KR102020888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6977A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908182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45137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63207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00545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7940B1 (ko)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KR102013022B1 (ko)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KR10190818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