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089B1 - 범용 보조안경 - Google Patents
범용 보조안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2089B1 KR101942089B1 KR1020160121232A KR20160121232A KR101942089B1 KR 101942089 B1 KR101942089 B1 KR 101942089B1 KR 1020160121232 A KR1020160121232 A KR 1020160121232A KR 20160121232 A KR20160121232 A KR 20160121232A KR 101942089 B1 KR101942089 B1 KR 101942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yeglass
- cross bar
- frame
- bending means
- spectac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04 optical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보조안경에 관한 것으로, 도수를 갖는 안경렌즈(3); 상기 안경렌즈(3)를 둘러싸 지지하는 안경테(5); 상기 안경테(5)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5)를 대상 안경(11)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붙임수단(7); 및 상기 안경테(5)의 가로대(31)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5)의 굴절각도(α)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굽힘수단을 통해 안경테를 원하는 굴절각도로 굽힐 수 있으므로, 굴절각도가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대상 안경에 보조안경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범용 보조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썬글라스나 스포츠 고글 등과 같이 굴곡이 심한 안경을 낄 때, 도수 렌즈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대상 안경의 크기나 굴절정도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적용범위를 확대시킨 범용 보조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떨어져 시력교정용 안경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선글라스 렌즈를 제거하고 눈에 맞는 렌즈에 추가적인 착색을 하여 사용한다 . 그러나 스키 고글과 같이 렌즈의 크기가 통상의 안경 렌즈에 비해 크고 대개는 좌우 렌즈가 통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경우, 렌즈에 직접 도수를 넣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도수 렌즈를 끼워 렌즈 안쪽에 착용하는 보조안경이 제안된 바, 그 한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9491호에 개시된 클립 안경을 들 수 있다. 이 클립 안경은 대상 안경 즉, 스키 고글의 렌즈와 무관하게 렌즈 안쪽에 착용이 가능하므로, 스키 고글의 시력 교정용으로는 무난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스포츠 고글과 같이 전방 시야면 굴절각도가 심한 경우에, 클립 안경 거리나 높이는 조절할 수 있으나 클립안경이 굴절면 각도에 따라 구부러지 않아사용자의 시선에 대해 심하게 경사짐으로, 시야 왜곡을 발생시켜,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등 고글의 착용감을 해치게 된다. 이에 따라, 위 도 1 에 있는 클립 안경과 비슷한 보조안경을 스포츠 썬글라스에 적용했는데 이 경우 보조안경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안경(111)의 굴절각도에 맞추어 굴절되게 제작한 안경테 이상 더 구부릴 수 없어서 마찬가지로 렌즈(103)가 경사지게 되어 도수상승과 시각 왜곡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조안경(101)은 안경테(105)가 대상 안경(111)의 안경테(115) 모양에 맞추어 부분적으로 굴절되거나 안경테(115)의 전면부 길이에 ??추어져 있으므로, 굴절면각도나 디자인이 다른 여타 대상 안경(111)에 착용할 수 없어,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도수용 보조안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상 안경에 대한 고정 방식을 변경하고, 안경테의 굴절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안경을 안경테의 굴절각도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안경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굴절각도가 심한 대상 안경에 적용함에 있어서도, 굴절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부러지고 초점거리는 물론, 사용자의 동공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보조안경의 착용감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수를 갖는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를 둘러싸 지지하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를 대상 안경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붙임수단; 및 상기 안경테의 가로대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의 굴절각도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범용 보조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붙임수단은 상기 안경테의 양측단에 결합된 흡착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수단은 상기 가로대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을 연결하는 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수단은 상기 가로대가 상기 대상 안경의 코걸이에 걸린 때, 상기 대상 안경의 가로대와 이격되도록, 선단이 상기 가로대에 지지되는 신축봉을 구비하되, 상기 신축봉은 상기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수단은 상기 가로대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을 연결하는 탄성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수단은 상기 가로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대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수단은 상기 좌우측 가로대편 중 어느 한 쪽의 말단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대신축부는, 상기 굽힘수단의 말단에 형성된 스냅고리; 및 상기 스냅고리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좌우측 가로대편 중 다른 한 쪽의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대상 안경의 가로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가로대에 결합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용 보조안경에 따르면, 안경테 좌우양측단의 붙임수단을 통해 대상 안경에 고정되므로, 안경테를 굽힘수단에 의해 원하는 굴절각도로 굽힐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굴절각도가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대상 안경에 보조안경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경테를 위와 같이 굴절시켜 대상 안경에 착용함에 있어, 신축봉에 의해 가로대와 대상 안경의 가로대 사이의 간격을 대상 안경의 코걸이 유격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벌림으로써, 안경테를 굴절각도를 되도록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보조안경 착용감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대신축부에 의해 굽힘수단 즉, 가로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굴절각도의 증대로 인해 줄어드는 렌즈 간 초점거리를 되도록 원래의 초점거리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보조안경 착용감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스포츠고글에 적용된 종래의 보조안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이 적용된 스포츠고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범용 보조안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신축봉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탄성띠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정면도.
도 8은 가로대신축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부분 발췌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횡단선(B)에 따른 횡단 측면도.
도 10은 클립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부분 발췌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횡단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이 적용된 스포츠고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범용 보조안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신축봉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탄성띠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정면도.
도 8은 가로대신축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부분 발췌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횡단선(B)에 따른 횡단 측면도.
도 10은 클립이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의 부분 발췌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횡단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조안경은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이나 스포츠 고글 또는 수경 등과 같은 대상 안경(11)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높여 주도록 되어 있는 바, 도시된 것처럼 크게 안경렌즈(3), 안경테(5), 붙임수단(7), 및 굽힘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안경렌즈(3)는 대상 안경(11)의 렌즈(13)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도수를 갖는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며, 특히 스포츠 고글과 같이 렌즈(13)의 곡률이 심하게 변화되는 안경의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안경테(5)는 위 안경렌즈(3)를 둘러싸 지지하는 부분으로, 보조안경(1)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안경테(5)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플라스틱이나 금속재 등으로 제작되며, 착용 시 외관을 훼손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대상 안경(11)의 안경테(15)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상기 붙임수단(7)은 보조안경(1)을 대상 안경(11)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5)의 전면 좌우 측단에 하나씩 2 개가 쌍을 이루며 결합되는 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도시된 것처럼 흡착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붙임수단(7) 즉, 흡착패드는 도 5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글라스터 패드로서, 흡착판(71)의 흡착력에 의해 대상 안경(11)의 렌즈(13)에 흡착되며, 흡착판(71) 배면 중심에 돌출된 끼움돌기(73)가 안경테(5)의 패드공(75)에 끼워짐으로써, 안경테(5)에 결합된다. 또, 붙임수단(7)은 전체가 하나의 고탄력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므로, 흡착판(71)의 흡착각도가 끼움돌기(73)에 대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굽힘수단(9)은 안경테(5)의 절곡각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경테(5)의 절곡각도는 평면 상에서 안경테(5)의 양측단이 중심에 대해 휜 또는 꺽인 정도를 나타내는 바, 사용자의 안면각(facial angle)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때 안면각이란 안면의 돌출도를 나타내는 각도로서, 도 5에서 각도(α)로 표시된다. 따라서, 굽힘수단(9) 즉, 힌지는 안경테(5)를 굽힐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1) 중간에 형성되는데, 전체 가로대(31)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32,34)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33)으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좌우 힌지면(35)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마찰에 의해 굽은 각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레이션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굽은 각도를 유지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굴절각도(α)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굽힘수단(9)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심에 신축봉(37)을 구비하는데, 이 신축봉(37)은 예컨대, 도 6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즉, 고정단은 힌지축(33)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 즉, 선단은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신축봉(37)은 가로대(31)가 대상 안경(11)의 코걸이(17)에 걸린 때, 선단이 대상 안경(11)의 가로대(31)의 배면 또는 렌즈(13)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굽힘수단(9)을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하여 가로대(31)와 최대한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안경테(5)는 붙임수단(7)이 렌즈(13)의 좌우측단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코걸이(17)의 유격(g)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굴절각도(α)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렌즈(13)는 경사를 최대한 줄여 경사로 인한 도수 상승이나 난시 발생을 없애고, 결과적으로 보조안경(1)의 착용감 향상을 가져온다. 이때, 신축봉(3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3) 말단에 연결된 수나사부(41)와 암나사부(43)로 이루어져 암나사부(43)의 회전 이동에 따라 전체 길이를 신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로대(31)와 가로대(21) 사이의 간격 즉, 안경테(5)의 경사도 더 나아가, 굴절각도(α)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굽힘수단(9)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바, 또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1)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32,34)을 연결하는 탄성띠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띠로 된 굽힘수단(9)은 자체의 탄력에 의해 쉽게 굽을 수 있으므로, 안경테(5)가 다양한 굴절각도(α)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안경테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굽힘수단(9)은 탄성부재로서 복원력을 가지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걸이(17)에 끼워진 때, 복원력에 의해 안경테(5)의 굴절각도(α)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신축봉(37)과 마찬가지로 보조안경(1)의 착용감 향상을 가져온다.
한편, 굽힘수단(9) 즉, 탄성띠는 안경테(5)를 굽힌 때 발생하는 안경렌즈(3)의 동공간 거리 감소를 회복할 수 있도록, 가로대(31)의 길이를 신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측 가로대편(32,34) 중 어느 한 쪽 즉, 예컨대 좌측 가로대편(32)의 말단에 위치하면서, 그 말단에 가로대신축부(45)를 구비한다. 이 가로대신축부(45)는 가로대(31)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스냅고리(47)와 톱니봉(49)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냅고리(47)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가로대편(32,34) 중 어느 한 쪽 즉, 좌측 가로대편(32)의 말단에 돌출된 링체로서, 톱니봉(49)을 끼우도록 되어 있으며, 톱니봉(49)의 톱니(51)와 스냅식으로 맞물리는 걸림돌기(52)가 내주면 상단에 돌출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톱니봉(49)을 걸림돌기(52)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판(53)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톱니봉(49)은 위와 같이 스냅고리(47)에 끼워지도록 좌우측 가로대편(32,34) 중 다른 한 쪽 즉, 우측 가로대편(34)의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톱니(51)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조안경(1)은 대상 안경(11)의 가로대(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1) 상의 굽힘수단(9)과 인접한 위치에 클립(55)이 하나 이상 부착될 수 있는데, 이들 클립(55)은 통상의 클립과 유사한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57)가 눌리면서 힌지(59)로 결합된 집게(58)가 벌어질 때의 탄력에 의해 가로대(21)에 물려 고정되며, 그에 따라 보조안경(1)을 대상 안경(11)에 고정시킨다. 이때 각각의 클립(55)은 가로대(31)와 볼소켓 조인트의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집게(58)가 다양한 각도에서 가로대(21)에 물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용 보조안경(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조안경(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수단(9)을 통해 대상 안경(11)의 굴절각도(α)에 알맞게 안경테(5)를 굽힌다.
그리고 나서, 가로대(31)를 대상 안경(11)의 코걸이(17)에 거는 동시에, 안경테(5) 양측단의 붙임수단(7)을 대상 안경(11)의 렌즈(13) 안쪽 면에 각각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보조안경(1)을 대상 안경(11) 안쪽에 고정한 상태로 대상 안경(11)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굽힘수단(9)에 신축봉(37)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가로대(31)를 대상 안경(11)의 코걸이(17)에 건 때 신축봉(37)의 선단이 대상 안경(11)의 가로대(21)에 밀착되도록 신축봉(3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굽힘수단(9)은 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코걸이(17)의 유격(g)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안경테(5)를 일직선에 가깝게 펴지며, 따라서 안경테(5)는 굴절각도(α)가 최소로 되어 그로 인한 왜곡을 줄임으로써 보조안경(1)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굽힘수단(9)은 탄성띠로서 자체적으로 복원력을 가지므로, 가로대(31)가 코걸이(17)에 끼워진 때 대상 안경(11)의 굴절각도(α)에 따라 안경테(5)를 굽힐 수 있도록 하면서도, 코걸이(17)의 유격(g)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안경테(5)를 세워 마찬가지로 보조안경(1)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굽힘수단(9)은 가로대신축부(45)를 통해 가로대(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 대상 안경의 굴절각도(α)가 심한 경우, 이 각도에 따라 굽힘수단(9)을 굽히게 되면, 렌즈(13)의 경사가 심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그에 따라 동공간 거리도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신축부(45)의 거리를 늘림으로써, 동공간 거리 감소를 만회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보조안경(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끝으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31)의 좌우측 가로대편(32,34) 각각의 외측에 클립(55)이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안경테(5)의 굴절각도(α)와 무관하게 또 집게(58)의 파지각도와 무관하게 클립(55)을 대상 안경(11)의 가로대(21)에 물려 보조안경(1)을 더욱 견고하게 가로대(3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각각의 클립(55)은 볼소켓 조인트에 의해 가로대(31) 외측면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자유롭게 가로대(21)에 파지된다.
1 : 보조안경 3 : 안경렌즈
5, 15 : 안경테 7 : 붙임수단
9 : 굽힘수단 11 : 대상 안경
13 : 렌즈 15 : 안경테
17 : 코걸이 21, 31 : 가로대
32 : 좌측 가로대편 34 : 우측 가로대편
37 : 신축봉 45 : 가로대신축부
55 : 클립
5, 15 : 안경테 7 : 붙임수단
9 : 굽힘수단 11 : 대상 안경
13 : 렌즈 15 : 안경테
17 : 코걸이 21, 31 : 가로대
32 : 좌측 가로대편 34 : 우측 가로대편
37 : 신축봉 45 : 가로대신축부
55 : 클립
Claims (8)
- 도수를 갖는 안경렌즈(3);
상기 안경렌즈(3)를 둘러싸 지지하는 안경테(5);
상기 안경테(5)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5)를 대상 안경(11)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붙임수단(7); 및
상기 안경테(5)의 가로대(31)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5)의 굴절각도(α)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굽힘수단(9)은 상기 가로대(31)가 상기 대상 안경(11)의 코걸이(17)에 걸린 때, 상기 대상 안경(11)의 가로대(21)와 이격되도록, 선단이 상기 가로대(21)에 지지되는 신축봉(37)을 구비하되,
상기 신축봉(37)은,
선단이 상기 대상 안경(11)의 상기 가로대(21) 또는 렌즈(13)의 배면에 밀착되며, 고정단이 상기 안경테(5)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31)와 상기 가로대(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굽힘수단(9)을 가압하여 상기 가로대(21)와 최대한 이격시킨 때, 상기 코걸이(17)의 유격(g)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상기 안경테(5)의 굴절각도(α)를 줄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붙임수단(7)은 상기 안경테(5)의 양측단에 결합된 흡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수단(9)은 상기 가로대(31)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32,34)을 연결하는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수단(9)은 상기 가로대(31)를 이분한 좌우측 가로대편(32,34)을 연결하는 탄성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굽힘수단(9)은 상기 가로대(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대신축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굽힘수단(9)은 상기 좌우측 가로대편(32,34) 중 어느 한 쪽의 말단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대신축부(45)는,
상기 굽힘수단(9)의 말단에 형성된 스냅고리(47); 및
상기 스냅고리(47)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좌우측 가로대편(32,34) 중 다른 한 쪽의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봉(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보조안경.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232A KR101942089B1 (ko) | 2016-09-22 | 2016-09-22 | 범용 보조안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232A KR101942089B1 (ko) | 2016-09-22 | 2016-09-22 | 범용 보조안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276A KR20180032276A (ko) | 2018-03-30 |
KR101942089B1 true KR101942089B1 (ko) | 2019-04-11 |
Family
ID=6189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232A KR101942089B1 (ko) | 2016-09-22 | 2016-09-22 | 범용 보조안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208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432A (ko) * | 2020-05-18 | 2021-11-25 | 김권배 |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
KR20230018935A (ko)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이삭 |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0469B1 (ko) * | 2022-04-18 | 2022-12-21 | 장원녕 |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5424U (ja) * | 1991-09-06 | 1993-04-02 | エル特許眼鏡株式会社 | 眼鏡枠・カラーレンズ選択用補助具 |
KR19990008288U (ko) * | 1998-11-27 | 1999-02-25 | 함주홍 | 일반 안경테에 결합 사용하는 보조안경의 구조 |
KR19990035268U (ko) * | 1999-06-05 | 1999-09-06 | 박찬영 | 안경테용브릿지 |
KR200459491Y1 (ko) | 2010-06-18 | 2012-03-27 |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 고글렌즈(내면)에 부착 및 조절 할수있는 돗수용 클립 안경 |
KR101893521B1 (ko) * | 2015-02-16 | 2018-08-30 | 강두현 | 초점 조절형 루페안경 |
-
2016
- 2016-09-22 KR KR1020160121232A patent/KR10194208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432A (ko) * | 2020-05-18 | 2021-11-25 | 김권배 |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
KR102369218B1 (ko) * | 2020-05-18 | 2022-03-03 | 김권배 |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
KR20230018935A (ko) | 2021-07-30 | 2023-02-07 | 주식회사 이삭 |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276A (ko) | 201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9245B2 (en) |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 |
CN104871072B (zh) | 具有柔性侧部的眼镜 | |
US7645039B2 (en) | Eyewear having interchangeable lenses/temples | |
KR101942089B1 (ko) | 범용 보조안경 | |
KR101841717B1 (ko) | 시력교정장치 | |
US11281021B2 (en) | Eyeglasses | |
KR20110008448A (ko) | 머리띠형 안경 | |
US8876282B2 (en) | Eyewear system | |
US20190265516A1 (en) | Eyeglasses structure | |
TW201333577A (zh) | 眼鏡 | |
JPH07209616A (ja) | 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のクッション・モダン調節機構、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ジャスト式クッション・モダン | |
CN112041731A (zh) | 具有眼镜框架和附加框架的眼镜及其用途 | |
CN213457569U (zh) | 一种眼镜腿 | |
KR102357980B1 (ko) |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 |
KR20160003557U (ko) | 안경테 | |
KR200433694Y1 (ko) |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 |
KR20100131090A (ko) |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 |
KR200310430Y1 (ko) | 높이 조절 안경 | |
KR20120007880U (ko) | 안경테 | |
CN112415770A (zh) | 一种眼镜腿 | |
CN212540930U (zh) | 一种眼镜 | |
KR102562601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 |
CN212694188U (zh) | 一种防摔防滑的眼镜镜架和眼镜 | |
CN217767079U (zh) | 一种庄头有弹性结构自适应头型大小眼镜 | |
JPH05273502A (ja) | 脱着自在眼鏡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