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7880U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80U
KR20120007880U KR2020110003953U KR20110003953U KR20120007880U KR 20120007880 U KR20120007880 U KR 20120007880U KR 2020110003953 U KR2020110003953 U KR 2020110003953U KR 20110003953 U KR20110003953 U KR 20110003953U KR 20120007880 U KR20120007880 U KR 201200078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eyeglass
spectacle
eye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열
Original Assignee
조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열 filed Critical 조상열
Priority to KR2020110003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880U/ko
Publication of KR20120007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테 다리의 중간 부분을 절곡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안경 착용자의 취향 및 착용 조건에 따라 안경테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안경테 다리의 단부에 안경 렌즈와 동일한 중량을 추가하여 무게 중심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테 {GLASSES FRAME}
본 고안은 안경의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 착용자에 따라 안경테 다리의 끝부분을 적절히 절곡시킬 수 있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안경 착용자의 눈을 자외선과 적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 환경과 생활 패턴 등의 변화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안경이 패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와 상관없는 사람들도 안경을 자주 착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 렌즈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전방에 있으므로, 안경의 장시간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코 부분이 안경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테의 형상이 일정한 구조이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안경 판매점에서 자신에게 맞는 안경테를 골라서 착용하고 있다. 즉, 안경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안경테 다리의 길이가 안경 착용자에게 최적화되지 못하면, 안경이 얼굴의 적정 위치에 착용되지 않아서 안경의 착용시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으며, 안경이 안경 착용자의 얼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안경테를 매우 신중하게 선택해야만 하고, 안경테 다리의 길이가 적절하지 않으면 안경테를 교체해야만 한다. 하지만, 안경 착용자에게 알맞은 최적의 안경테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경테의 선택시 잦은 교체로 인하여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안경의 앞쪽에 위치된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안경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안경테 다리의 중간 부분을 절곡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적절히 착용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안경테 다리의 단부에 소정의 중량을 추가한 후 안경테 다리의 중간 부분을 절곡시켜 안경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착용자를 위한 안경 렌즈가 배치된 안경테 본체, 상기 안경테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안경 착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제2 안경테 다리,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가 상기 다리 연결부를 중심으로 절곡되므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를 상기 안경 착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의 절곡 각도에 따라 상기 안경테의 무게 중심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에는 안경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상기 안경 렌즈와 유사한 중량의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경 렌즈와 상기 무게추의 중량이 상기 안경테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균형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상기 안경의 무게 중심이 편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안경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의 내부 프레임에는 안경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상기 안경 렌즈와 유사한 중량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경 렌즈와 상기 돌기부의 중량이 상기 안경테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균형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상기 안경의 무게 중심이 편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안경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의 단부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일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리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의 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리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는 상기 안경 착용자의 취향 및 착용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무게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구비한 외부 접촉 패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만 절곡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 착용자는 설정 굽힘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다리 연결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절곡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구비한 외부 접촉 패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만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링크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들의 회동시 설정 크기 이상의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부재들의 연결부에 구비된 마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 착용자는 설정 굽힘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다리 연결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접촉 패드는 상기 안경 착용자와의 접촉 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접촉 패드는 상기 안경 착용자의 착용 조건 및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접촉 패드가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외부 접촉 패드와 상기 안경 착용자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기 때문에, 상기 안경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안경테의 눌림 자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다리 연결부를 절곡시켜 제1 안경테 다리와 제2 안경테 다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안경 착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제1 안경테 다리와 제2 안경테 다리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안경테 다리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연결부를 적절히 절곡시켜 안경의 착용감을 간편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 렌즈와 동일한 중량의 무게추 또는 돌기부를 제2 안경테 다리에 추가시킨 구조이므로, 안경의 무게 중심이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안경이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의 코 부위에 눌림 자국이 방지될 수 있으며, 안경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제1 안경테 다리와 다리 연결부가 제1 커넥터부로 연결되고 제2 안경테 다리와 다리 연결부가 제2 커넥터부로 연결되므로, 제1 커넥터부 또는 제2 커넥터부를 이용하여 제2 안경테 다리 또는 다리 연결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의 취향 및 착용 조건 등에 따라 다리 연결부 또는 제2 안경테 다리를 다양한 형상과 무게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다리 연결부의 외부에 제1 안경테 다리와 제2 안경테 다리보다 넓게 형성된 외부 접촉 패드를 배치하므로, 외부 접촉 패드의 신축성과 탄력성에 의해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외부 접촉 패드와 안경 착용자의 접촉 면적 확대에 의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다리 연결부에 의한 눌림 자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의 주요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위와 'B' 부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주요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100)의 주요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 부위와 'B' 부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는 안경테 본체(110), 제1 안경테 다리(120), 제2 안경테 다리(130), 및 다리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테(1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테(100)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조합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테(100)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고, 그 안경테(100)의 내부에 프레임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 및 다리 연결부(14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내부 프레임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의 내부 프레임(122, 132, 142)의 외부에는 플라스틱이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다리 연결부(140)의 내부 프레임(122, 132, 142)의 외부에는 후술하는 외부 접촉 패드가 성형될 수 있다.
안경테 본체(110)는 안경 착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써, 안경 렌즈(20)가 장착될 수 있다. 안경테 본체(110)에는 안경 착용자의 코 부분에 안착되는 코 받침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경 렌즈(2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안경 렌즈(20)는 안경테(100)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의 안경(10)은 안경 렌즈(20)의 중량에 의해서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안경테 다리(120)는 안경테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안경테 다리(120)는 안경테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안경테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안경테 다리(120)가 안경테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안경테 다리(120)의 내부에는 제1 내부 프레임(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2)은 제1 안경테 다리(12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강도와 내구성 및 탄력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안경테 다리(130)는 안경의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귀 부위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제2 안경테 다리(130)는 안경 착용자의 귀 부위에 보다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다리 연결부(140)를 중심으로 하측을 향해 선회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상이고 180도 이하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안경테 다리(130)의 내부에는 제2 내부 프레임(1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132)도 제2 안경테 다리(13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내부 프레임(12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안경테 다리(130)에는 안경 렌즈(20)와 동일 유사한 크기의 중량을 갖는 무게추(미도시) 또는 돌기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추 또는 돌기부(134)가 제2 안경테 다리(130)에 추가되면, 안경(10)의 후방에 위치된 무게추 또는 돌기부(134)의 중량이 안경(10)의 후방에 위치된 안경 렌즈(20)의 중량과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안경(10)의 무게 중심이 한 쪽으로 편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경(10)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림으로써 발생되는 착용감의 저하 현상 또는 코 받침부(112)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무게추는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안경테 다리(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다양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소재의 무게추가 제2 내부 프레임(132) 또는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외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돌기부(134)는 제2 내부 프레임(132)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134)는 제2 내부 프레임(1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경 렌즈(20)의 중량과 효과적으로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제2 내부 프레임(132)의 후방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안경테 다리(130)에 돌기부(134)만 구비된 구조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안경테 다리(130)에 무게추만 구비되거나 또는 제2 안경테 다리(130)에 무게추와 돌기부(134)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리 연결부(140)는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부재이다. 예를 들면, 다리 연결부(140)는 제3 내부 프레임(142) 및 외부 접촉 패드(1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내부 프레임(142)은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 절곡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내부 프레임(142)은, 다리 연결부(14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설정 굽힘력 이상의 힘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시키기 위하여 소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제3 내부 프레임(142)을 설정 굽힘력보다 큰 힘으로 절곡시켜 다리 연결부(140)를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 부위는 안경 착용자의 취향 및 착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절곡시킬 수 있다.
외부 접촉 패드(144)는 제3 내부 프레임(142)의 외측에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된 부재이다. 외부 접촉 패드(144)는, 절곡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경(10)의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므로 착용감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접촉 패드(144)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촉 패드(144)는 원활한 절곡을 위하여 외측면에 주름이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이나 홈 구조는,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시 외부 접촉 패드(144)의 인장 부분 또는 압축 부분을 기계적으로 원활하게 신장시키거나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촉 패드(144)는 안경 착용자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제1 안경테 다리(120) 또는 제2 안경테 다리(1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접촉 패드(144)와 안경 착용자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면, 안경테(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경테(100)가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안경테(100)에 의한 눌림 자국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접촉 패드(144)의 크기가 안경 착용자의 안경 착용 조건 및 취향에 따라 제1 안경테 다리(120) 또는 제2 안경테 다리(13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다리 연결부(140)는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제2 안경테 다리(130)에 양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다리 연결부(140)의 전방 단부는 제1 안경테 다리(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다리 연결부(140)의 후방 단부는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경테 다리(120)의 후방 단부 및 다리 연결부의 전방 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150, 152)가 형성될 수 있고, 다리 연결부(140)의 후방 단부 및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전방 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154, 15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부(150, 152)와 제2 커넥터부(154, 156)를 이용하면, 안경 착용자의 취향 및 착용 조건 등에 따라 다리 연결부(140)와 제2 안경테 다리(130)를 다양한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50, 152)와 제2 커넥터부(154, 156)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커넥터부(150, 152)와 제2 커넥터부(154, 156)는 나사 체결 구조, 후크 체결 구조, 핀 체결 구조, 또는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부(150, 152)와 제2 커넥터부(154, 156)가 제1 내부 프레임(122)과 제2 내부 프레임(132) 및 제3 내부 프레임(142)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부(150, 152)는, 제1 내부 프레임(12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150), 및 제3 내부 프레임(14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제1 암나사부(150)에 체결되는 제1 수나사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부(154, 156)는, 제3 내부 프레임(14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제2 암나사부(154), 및 제2 내부 프레임(1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제2 암나사부(154)에 체결되는 제2 수나사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1 수나사부(152)와 제1 암나사부(150) 또는 제2 수나사부(156)와 제2 암나사부(154)는, 도 3 또는 도 4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프레임(122, 132, 142)들 이외의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경 착용자는 안경테(100)의 다리 연결부(140)를 적절히 절곡시킨 다음에 안경(10)을 얼굴에 직접 착용한다.
이때, 안경(10)의 착용감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안경 착용자는 안경(10)을 벗은 후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 각도 및 절곡 위치를 변경하고, 그렇게 변경된 안경(10)를 다시 착용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안경 착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 각도 및 절곡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면,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안경(10)의 무게 중심이 조정될 수 있으며, 안경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제2 안경테 다리(130)의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안경테(100)의 착용감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리 연결부(140)의 절곡 위치를 조절하면,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안경(10)의 무게 중심이 조정될 수 있으며, 안경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제2 안경테 다리(130)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의 얼굴 크기나 취향 등에 따라 안경테(100)의 착용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안경테(100)를 반복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에서 안경 착용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제1 안경테 다리(120)로부터 다리 연결부(140)를 분리하거나 또는 다리 연결부(140)로부터 제2 안경테 다리(130)를 분리한 후, 다른 종류의 다리 연결부(140) 또는 제2 안경테 다리(130)를 연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술한 방법으로 안경테(100)를 반복적으로 조정하여 안경 착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구조로 안경테(100)를 변경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200)의 주요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안경테(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2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안경테(100)와 상이한 점은, 다리 연결부(240)의 제3 내부 프레임(242)이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만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다리 연결부(140)의 제3 내부 프레임(142)은 절곡 가능한 특성의 재질로 형성되지만,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다리 연결부(240)의 제3 내부 프레임(242)은 절곡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내부 프레임(242)은 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제3 내부 프레임(242)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내부 프레임(242)은 링크부재(244) 및 마찰부재(246)를 구비할 수 있다.
링크부재(244)는 다리 연결부(24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부재(244)들은 다리 연결부(240)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부재(244)들은 제1 링크부재(250), 제2 링크부재(260), 및 제3 링크부재(27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부재(250)는 제1 안경테 다리(120)와 연결되는 다리 연결부(24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250)의 일측에는 제1 수나사부(252)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링크부재(250)의 타측에는 제1 회전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나사부(252)는 제1 내부 프레임(122)의 제1 암나사부(150)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254)는 후술하는 제3 링크부재(270)의 제3 축부(272)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260)는 제2 안경테 다리(130)와 연결되는 다리 연결부(24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260)의 일측에는 제2 암나사부(264)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부재(260)의 타측에는 제2 축부(2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나사부(264)는 제2 내부 프레임(132)의 제2 수나사부(156)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축부(262)는 후술하는 제3 링크부재(270)의 제3 회전부(274)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링크부재(270)는 제1 링크부재(250)와 제2 링크부재(26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부재이다. 제3 링크부재(270)는 다리 연결부(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링크부재(250)와 제2 링크부재(260)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부재(250)와 제2 링크부재(260)의 사이에 3개의 제3 링크부재(270)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경테(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개수와 배열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3 링크부재(270)의 일측에는 제3 축부(272)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링크부재(270)의 타측에는 제3 회전부(27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축부(272)는 제1 링크부재(250)의 제1 회전부 또는 이웃하는 다른 제3 링크부재(270)의 제3 회전부(274)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회전부(274)는 제2 링크부재(260)의 제2 축부(262) 또는 이웃하는 다른 제3 링크부재(270)의 제3 축부(272)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246)는 링크부재(244)의 회동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정 크기 이상의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마찰부재(246)는 제1 링크부재(250)와 제3 링크부재(270)의 연결 부위, 제3 링크부재(270)들의 연결 부위, 및 제3 링크부재(270)와 제2 링크부재(260)의 연결 부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부재(246)는 마찰 디스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찰 디스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254)와 제3 축부(272) 사이의 공간, 제3 회전부(274)와 제3 축부(272) 사이의 공간, 및 제3 회전부(274)와 제2 축부(262)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부(254)와 제3 축부(272), 제3 회전부(274)와 제3 축부(272), 또는 제3 회전부(274)와 제2 축부(262)는, 마찰 디스크와의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프리(free) 상태에서 회동될 수 없으며, 마찰 디스크의 마찰 저항력 이상의 작용력이 작용된 경우에만 회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안경테
110: 안경테 본체
120: 제1 안경테 다리
130: 제2 안경테 다리
140, 240: 다리 연결부
142, 242: 제3 내부 프레임
144: 외부 접촉 패드
150: 제1 암나사부
152, 252: 제1 수나사부
154, 264: 제2 암나사부
156: 제2 수나사부
244: 링크부재
246: 마찰부재

Claims (9)

  1. 안경 착용자를 위한 안경 렌즈가 배치된 안경테 본체;
    상기 안경테 본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안경 착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제2 안경테 다리;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와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 연결부;
    를 포함하는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에는 안경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상기 안경 렌즈와 유사한 중량의 무게추가 구비된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의 내부 프레임에는 안경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상기 안경 렌즈와 유사한 중량의 돌기부가 형성된 안경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의 단부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일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의 단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가 형성된 안경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다리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내부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한 안경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구비한 외부 접촉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만 절곡되는 소재로 형성된 안경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상기 제2 안경테 다리 및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의 외측에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구비한 외부 접촉 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설정 크기 이상의 굽힘력에 의해서만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된 안경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연결부의 내부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링크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들의 회동시 설정 크기 이상의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부재들의 연결부에 구비된 마찰부재;
    를 구비한 안경테.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촉 패드는 상기 안경 착용자와의 접촉 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상기 제1 안경테 다리 또는 상기 제2 안경테 다리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안경테.
KR2020110003953U 2011-05-09 2011-05-09 안경테 KR201200078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53U KR20120007880U (ko) 2011-05-09 2011-05-09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53U KR20120007880U (ko) 2011-05-09 2011-05-09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80U true KR20120007880U (ko) 2012-11-19

Family

ID=4751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953U KR20120007880U (ko) 2011-05-09 2011-05-09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8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4276A (zh) * 2019-11-20 2020-02-07 温州市八达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镜腿的连接机构
KR20220115016A (ko) * 2021-02-09 2022-08-17 김정원 안경다리의 귀걸이 각도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4276A (zh) * 2019-11-20 2020-02-07 温州市八达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镜腿的连接机构
KR20220115016A (ko) * 2021-02-09 2022-08-17 김정원 안경다리의 귀걸이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541B2 (ja) 光学レンズ、光学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光学レンズの製造装置
KR20210002227U (ko) 무프레임 안경류를 위한 안경류 렌즈
US20120218510A1 (en) Progressive-Power Lens and Progressive-Power Lens Design Method
KR20110008448A (ko) 머리띠형 안경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JP5822484B2 (ja) 眼鏡用レンズ
KR20120007880U (ko) 안경테
TWI600942B (zh) According to the lens focus lens angle adjustment glasses
JP6007383B1 (ja) 眼精疲労の軽減方法及び眼精疲労軽減眼鏡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JP3174311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20100131090A (ko)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JP6126772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20160068622A (ko)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는 안경
CN217767080U (zh) 镜脚配重结构及眼镜
CN221125014U (zh) 眼镜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US20190155051A1 (en) Lens for glasses
CN211956037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塑钢材质的老花眼镜
CN221101183U (zh) 眼镜
JP3178090U (ja) ハイカーブ用トライアルフレーム
KR102629394B1 (ko) 수차저감구조를 포함하는 도수클립 안경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