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0300B1 - 잔량 저감 부재 - Google Patents

잔량 저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00B1
KR101930300B1 KR1020167036522A KR20167036522A KR101930300B1 KR 101930300 B1 KR101930300 B1 KR 101930300B1 KR 1020167036522 A KR1020167036522 A KR 1020167036522A KR 20167036522 A KR20167036522 A KR 20167036522A KR 101930300 B1 KR101930300 B1 KR 10193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remaining amount
longitudinal direction
reducing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438A (ko
Inventor
켄 오가타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된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잔량 저감 부재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백(102)의 내부에, 토출되는 내용물(F)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110)가 장착된다. 상기 잔량 저감 부재(110)는 내장 백(102)의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120)와, 길이 방향의 유도 홈(131)을 갖는 홈이 있는 블록(132)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는 유도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잔량 저감 부재{RESIDUAL QUANTITY-REDUCING MEMBER}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백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에 관한 것이다.
외부 캔의 내부에 가요성의 내장 백을 배치해서 일체화시키고, 내장 백에 토출해야 할 내용물을 수납함과 아울러 내장 백과 외부 캔의 사이에 가압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가요성의 내장 백을 압박하여, 내장 백에 수용된 내용물을 유입구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한 에어로졸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내용물이 가압 유체와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임의의 가압 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가압 유체가 내용물과 함께 토출될 일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들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가요성의 내장 백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잔량이 줄어들어 왔을 경우, 내장 백에 생긴 주름이나 구부러짐에 의해 주위를 폐색하는 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에 최후까지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잔량 저감 부재로서 딥 튜브를 부착하고, 내용물을 유입구 근방과 딥 튜브의 선단의 양쪽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
딥 튜브를 구비한 것으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예에서는, 에어로졸 용기(500)의 외부 캔(501)의 내부에 내용물(F)을 수용하는 내장 백(502)을 설치하고, 내장 백(502)에는 스템(505)을 상부에 갖고 내부에 유입구(503)가 개구된 스파우트(504)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캔(501)과 내장 백(502)의 사이의 공간에는 질소 가스 등의 가압 유체(G)가 충전되어 있고, 스템(505)을 압박하면 내장 백(502)의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구(503)로부터 유입해서 스템(5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잔량 저감 부재로서의 딥 튜브(511)가 유입구(503)에 삽입되고, 그 때, 유입구(503)의 내주는 딥 튜브(511)와의 사이에 내용물(F)의 유로가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구(503) 근방과, 딥 튜브(511)의 선단 근방의 양쪽으로부터 내용물(F)이 스템(505) 방향으로 유도되어서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개의 외부 캔에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백을 배치하고,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되지 않게 수용해서 동시에 토출시키도록 구성한 에어로졸 용기도 공지이다.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복수의 외부 캔을 연결하거나, 내부에 특수한 구조를 실시하거나 할 필요가 없고, 토출될 때까지의 내용물의 혼합이 완전히 방지되고, 또한 가압 유체도 하나의 외부 캔에 한번 충전하면 되어 제조도 용이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등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4-75099호 공보(전체 페이지, 전체 도면) 일본 특허공개 2005-231644호 공보(전체 페이지, 전체 도면) 일본 특허공개 평 11-105893호 공보(전체 페이지, 전체 도면) 일본 특허 제5279970호 공보(전체 페이지, 전체 도면)
상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 같은 공지의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의 불가피한 내용물의 잔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인 딥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저감되어 최종 잔존량을 감소할 수는 있지만, 유입구 근방으로부터도 딥 튜브의 선단으로부터도 떨어진 중간 위치에 주위를 폐색하는 공간이 생겼을 경우에는, 여전히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또한 딥 튜브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별도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에어로졸 용기의 내장 백은 아니지만, 가요성의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인출하기 위한 잔량 저감 부재로서, 복수의 파냄부를 갖는 강성 막대 형상체를 유입구로부터 내부로 연장시킨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등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는, 사람의 손에 의해서 가요성의 용기의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유체에 의해 전체가 균등하게 압박되는 에어로졸 용기의 내장 백에 있어서는, 이들 잔량 저감 부재에 의해 주위를 폐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유입구에 유도할 수는 없고, 오히려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나 파냄부에 의해 폐색되는 공간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어, 잔존량이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압 유체의 압력을 높여도 주위를 폐색하는 공간의 폐색력도 높아지게 되어 내용물의 잔존량의 감소에는 기여하지 않았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내장 백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620)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6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630)를 구비하고, 유도 홈(631)이 형성된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같은 단면 형상을 갖고, 유도부(6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유도 홈(631)이 형성된 부분과는 단면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된 중첩 방지부(640)가 설치되어 있는 잔량 저감 부재(610)를 제안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4에서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610)에 의하면, 내용물의 잔량이 감소한 경우에도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6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630)가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해서 유동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잔량 저감 부재(6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색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의 최종 단계에서 내장 백 자체가 압력에 의해서 유도 홈(631) 내까지 변형하기 때문에, 유도 홈(631)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도 매우 적고, 잔량 저감 부재(610) 그 자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첩 방지부(640)에 의해 2개의 잔량 저감 부재(610)가 겹쳐서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잔량 저감 부재(610)를 한꺼번에 공급해도 1개씩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4에서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610)에서 내용물이 통과하는 유로(R)는,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백이 딱 붙었을 때에 복수의 유도 홈(63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작은 4개의 삼각형 형상의 공간, 중첩 방지부(640)에서는 더욱 작은 4개의 삼각형 형상의 공간(검은 칠로 나타낸 영역)으로 형성된다.
이들 유로(R)는 내장 백이 딱 붙었을 때에도 최저한의 공간이 확보되어 최후까지 유로(R)가 폐색될 일은 없지만, 유로저항은 큰 것으로 되고, 또한 토출 중의 내장 백의 상태의 변화에 의해 유로저항도 크게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써 내용물은 최후까지 원활하게 토출되어서 잔량은 충분히 저감할 수 있지만, 가요성의 내장 백의 수용 상태, 재질, 내용물의 점도 등의 여러가지 조건에 의해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외부 캔에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백을 배치하고,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되지 않게 수용해서 동시에 토출시키도록 구성한 에어로졸 용기에 적용한 때에는, 각각의 내장 백으로부터의 단위시간당의 토출량을 안정화할 수 없어 원하는 혼합비가 안정되게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색되는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잔량 저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잔량 저감 부재는,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백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로서, 상기 내장 백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내용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부가 홈이 있는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이 있는 블록에는 각각 1개의 길이 방향의 유도 홈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홈이 있는 블록은 각각 상기 유도 홈의 개구가 18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접되며, 상기 유도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용기는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백을 수용한 에어로졸 용기이며, 복수의 상기 내장 백의 내부에 상술의 잔량 저감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에 의하면, 유도부가 홈이 있는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고, 홈이 있는 블록에는 각각 1개의 길이 방향의 유도 홈을 갖고, 유도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이 감소한 경우에도 외주의 길이 방향의 모든 부분에 유도 홈이 외주측으로 개구되고, 또한 길이 방향에 연속하는 유도 공간이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해서 유동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잔량 저감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주위에 폐색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을 원하는 단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가요성의 내장 백의 상태나 재질에 의존하지 않고 최후까지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하나의 외부 캔에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백을 배치했을 경우, 원하는 혼합비를 안정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은 각각 유도 홈의 개구가 18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접되어 있음으로써, 사출성형 등의 금형으로 제조할 때에도 2분할의 금형으로 작성 가능하고 형상도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홈이 있는 블록이 180°를 초과하는 원호면과 홈 형성면을 갖는 외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도 홈이 홈 형성면으로부터 원호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원호 중심을 초과하는 깊이를 가짐으로써,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과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면서 유도 홈의 큰 개구와 단면적이 넓은 유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유로저항을 낮추어서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원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 홈이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의 원호면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면 홈에 의해 중심의 유도 공간에 추가해서 외면측에도 길이 방향으로 내용물의 유도 경로가 형성되며, 또한 내용물이 유입구에 원활하게 흘러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장착부와 홈이 있는 블록의 사이에는 접속 네크부가 형성되고, 접속 네크부는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의 유도 홈측, 및 그 180° 반대측으로 각각 개구된 개방부를 갖고, 개방부가 유도 공간과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유도 공간으로부터 내장 백의 유입구에 흐르는 내용물을, 장착부의 양측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해지고, 내용물이 유입구에 원활하게 흐르고, 또한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홈이 있는 블록이 홀수개 연접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에 길이 방향의 중앙에 위치한 홈이 있는 블록 부분으로부터 수지를 주입할 수 있기 대문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향해서 균등하게 수지를 금형 내에 유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정밀도가 높은 균질한 잔량 저감 부재로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유입구에 대한 장착부의 장착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장착부의 끝면의 코너부에 의해서 내장 백을 상처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잔량 저감 부재의 어느 단부에서나 유입구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시에 길이 방향의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어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청구항 8에 의한 에어로졸 용기에 의하면, 복수의 내장 백의 내부에 상술의 잔량 저감 부재가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각각의 내장 백으로부터의 단위시간당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원하는 혼합비를 안정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를 장착한 에어로졸 용기의 단면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잔량 저감 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단면도, (b)단면 일부 확대도, (c)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잔량 저감 부재를 장착한 2액 동시 토출 에어로졸 용기의 분사실험의 결과 그래프.
도 6은 종래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를 장착한 2액 동시 토출 에어로졸 용기의 분사실험의 결과 그래프.
도 7은 딥 튜브를 장착한 2액 동시 토출 에어로졸 용기의 분사실험의 결과 그래프.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분사실험의 조건, 결과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잔량 저감 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a)단면도, (b)B-B'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잔량 저감 부재(딥 튜브)를 장착한 에어로졸 용기의 단면 설명도.
도 14는 2액 동시 토출 에어로졸 용기에 (a)종래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 및 (b)종래의 딥 튜브를 장착한 단면 설명도.
도 15는 종래의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a)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 (b)종래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는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백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이며, 내장 백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내용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유도부가 홈이 있는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고, 홈이 있는 블록에는 각각 1개의 길이 방향의 유도 홈을 갖고,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은 각각 유도 홈의 개구가 18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접되며, 유도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을 형성하고,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색되는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잔량 저감 부재(110)는, 상술한 공지의 에어로졸 용기(500)와 같은 에어로졸 용기(100)의 유입구(103)에, 공지의 딥 튜브(511) 대신에 삽입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00)의 외부 캔(101)의 내부에 내용물(F)을 수용하는 내장 백(102)을 설치하고, 내장 백(102)에는 스템(105)을 상부에 갖고 내부에 유입구(103)가 개구된 스파우트(104)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용기(100)의 외부 캔(101)과 내장 백(102)의 사이의 공간에는, 질소 가스 등의 가압 유체(G)가 충전되어 있고, 스템(105)을 압박하면 내장 백(102)의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구(103)로부터 유입해서 스템(1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 백(102)의 유입구(103)에, 장착부(120)와 유도부(13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잔량 저감 부재(110)가 삽입된다.
그 때, 유입구(103)의 내주는 잔량 저감 부재(110)의 장착부(120)와의 사이에 내용물(F)의 유로가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잔량 저감 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4,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내장 백(102)의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120)와, 길이 방향으로 내용물(F)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도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장착부(120)와 유도부(130)의 사이에는 접속 네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130)는 홈이 있는 블록(132)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이 있는 블록(132)에는 각각 1개의 길이 방향의 유도 홈(131)을 갖고 있다.
각각의 홈이 있는 블록(132)은 중심각이 180°를 초과하는 원호면(133)과, 원호면(133)과 이어지는 홈 형성면(134)을 갖는 외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도 홈(131)은 홈 형성면(134)으로부터 원호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원호 중심을 초과하는 깊이를 갖고 있다.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132)은 각각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유도 홈(131)의 개구가 둘레 방향에서 서로 18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접되고, 유도 홈(131)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135)을 형성하고 있다.
접속 네크부(121)는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132)의 유도 홈(131)측, 및 그 180° 반대측으로 각각 개구한 개방부(122)를 갖고, 개방부(122)가 유도 공간(135)과 연통하고 있다.
장착부(120)는 유도부(130)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120)의 끝면(123)이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17개의 홈이 있는 블록(132)이 연접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확히 한가운데의 홈이 있는 블록(132c)의 유도 홈(131)의 저부에 닿는 위치에, 금형으로 성형할 때에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137)가 설치되어 있다.
각 홈이 있는 블록(132)의 중심선 상의 길이 방향의 길이(Lb)는 4.2㎜이며,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132)과의 연접면(136)은 금형에 의한 성형을 고려하여 개방각 θ1=1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도 홈(131)의 폭(Lm)은 1.78㎜이며, 금형에 의한 성형을 고려하여 개방각 θ2=6°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 네크부(121)의 길이 방향의 길이(Lk)는 1.3㎜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잔량 저감 부재(110)의 내용물(F)의 토출에 관한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템(105)을 압박하면, 내장 백(102)에 수용된 내용물(F)은 유입구(103)와 잔량 저감 부재(110)의 장착부(120)의 사이에 확보된 유로를 통과해서 스템(1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내장 백(102)의 수용된 내용물(F)의 잔량이 감소되어 오면, 내장 백(102)이 잔량 저감 부재(110)의 유도부(130)에 접촉하게 되지만, 모든 홈이 있는 블록(132)에는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유도 홈(131)이 존재하고, 유도 홈(131)이 길이 방향으로 연통하는 유도 공간(135)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내용물(F)의 길이 방향의 유로가 최후까지 확보되어 장착부(120)와 유도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접속 네크부(121)를 통과하여 확실하게 유입구(103)에 안내된다.
따라서, 잔량 저감 부재(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어느 쪽으로부터나 내용물(F)을 유입구(103)를 향해서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색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F)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장 백(102)이 압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홈이 있는 블록(132)에 붙었다고 해도,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인 유도 홈(131)의 단면 R은 크고, 또한, 유도 홈(131)의 안쪽에는 길이 방향의 유로가 되는 유도 공간(135)이 반드시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유로저항이 증대하지 않고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홈이 있는 블록의 수, 각 부의 치수, 각도 등은, 내장 백(102)의 형상이나 재질, 내용물(F)의 점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또한, 유도 홈(131)의 폭, 깊이, 형상 등도 내장 백(102)의 형상이나 재질, 내용물(F)의 점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잔량 저감 부재(110)(이하 「본 발명」이라고 함), 상술한 종래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610)(이하 「종래 발명」이라고 함) 및 딥 튜브(511)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개의 외부 캔에 2개의 내장 백을 배치한 2액 동시 토출 에어로졸 용기에 사용했을 때의 분사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제, 2제 모두 동일 점도로 동량 충전하고, 에어로졸 캔 내의 내압을 0.7㎫(at25℃)로 했다.
초기의 분사량은 본 발명, 종래 발명, 딥 튜브 모두, 도 8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제, 2제 모두 거의 균등하게 분사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의 분사 후도 거의 균등하게 2제/1제 비율을 1 부근으로 유지한 상태로 분사를 계속해서 잔량을 줄이고, 최종적인 잔량은 1제, 2제 모두 0.6g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 발명에서는 최종적인 잔량은 1제가 1.6g, 2제가 0.3g으로 매우 적어지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제, 2제의 분사량에 크게 언밸런스가 생기고, 1제의 분사가 거의 종료하는 시점까지 2제/1제 비율은 저하가 계속되어 최대로 0.7로 되고, 그 후에 거의 2제만의 분사가 된다.
또한, 딥 튜브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균등하게 2제/1제 비율을 1 부근에 유지한 상태로 분사를 계속해서 잔량을 줄이지만, 최종적인 잔량이 1제가 4.6g, 2제가 1.0g으로 매우 잔량이 많아진다.
이 실험결과로부터도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에서는 최종 잔존량은 종래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와 같은 정도로 적고, 또한 분사의 2제/1제 비율도 딥 튜브와 같은 정도로 균등하게 되어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단위시간당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잔량 저감 부재(210)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잔량 저감 부재(110)의 구성에 추가해서, 원호면(233)에 2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 홈(238)을,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232)의 원호면(233)과 길이 방향에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는 200번대의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고,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면 홈(238)은,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홈이 있는 블록(232)의 원호면(233)에 2개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232d)의 원호면(233d)과 겹치지 않는, 한계의 위치 및 단면 형상, 즉, 홈 형성면(234d)과 연속하는 면을 형성하는 위치 및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홈이 있는 블록(232)의 홈 형성면(234)의 외측의 공간과 외면 홈(238)이 길이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서 직선적으로 연속하고, 중심의 유도 홈(231)이 연속해서 형성되는 유도 공간(235)에 추가해서, 상술의 실험예에서 나타낸 종래 발명과 같은 외면측의 유도 경로가 형성되며, 또한 내용물이 유입구에 원활하게 흘러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도 홈(231)이 제 1 실시형태의 유도 홈(131)과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내용액의 점도나 내장 백의 재질 등에 따라, 또한 제조의 용이성 등을 고려해서 적당한 형상으로 하면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는 일반적인 1개의 내장 백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나, 다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2개의 내장 백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각각의 내장 백에 사용되는 것 이외에, 또한 다수의 내장 백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사용되어도 좋고, 다양한 사용 형태에 맞추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여 구체적 형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로졸 용기의 외형이나 형태에 맞추어 적당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 뿐만 아니라, 사람의 손에 의해 가요성의 용기의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된 용기나, 다른 압박 수단을 갖는 용기에 사용되어도 좋다.
100, 500 : 에어로졸 용기 101, 501 : 외부 캔
102, 502 : 내장 백 103, 503 : 유입구
104, 504 : 스파우트 105, 505 : 스템
110, 210, 610 : 잔량 저감 부재 511 : 딥 튜브(잔량 저감 부재)
120, 220, 620 : 장착부 121, 221 : 접속 네크부
122, 222 : 개방부 123, 223 : 끝면
130, 230, 630 : 유도부 131, 231, 631 : 유도 홈
132, 232 : 홈이 있는 블록 133, 233 : 원호면
134, 234 : 홈 형성면 135, 235 : 유도 공간
136, 236 : 연접면 137, 237 : 게이트
238 : 외면 홈 640 : 중첩 방지부
F : 내용물 G : 가압 유체
R : 유로

Claims (8)

  1.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백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로서,
    상기 내장 백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내용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부는 홈이 있는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이 있는 블록에는 각각 1개의 길이 방향의 유도 홈을 갖고,
    인접하는 상기 홈이 있는 블록은 각각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유도 홈의 개구가 둘레 방향에서 서로 18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연접되고,
    상기 유도 홈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유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있는 블록은, 중심각이 180°를 초과하는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과 이어지는 홈 형성면을 갖는 외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 홈은 홈 형성면으로부터 원호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원호 중심을 초과하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외면 홈이,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의 원호면과 길이 방향에서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홈이 있는 블록의 사이에는 접속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네크부는 인접하는 홈이 있는 블록의 유도 홈측, 및 그 180° 반대측으로 각각 개구된 개방부를 갖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유도 공간과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있는 블록은 홀수개 연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끝면은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유도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8.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백을 수용한 에어로졸 용기로서,
    복수의 상기 내장 백의 내부에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
KR1020167036522A 2015-04-24 2015-04-24 잔량 저감 부재 KR101930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2557 WO2016170684A1 (ja) 2015-04-24 2015-04-24 残量低減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438A KR20170012438A (ko) 2017-02-02
KR101930300B1 true KR101930300B1 (ko) 2018-12-18

Family

ID=5562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522A KR101930300B1 (ko) 2015-04-24 2015-04-24 잔량 저감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32167B2 (ko)
EP (1) EP3192749B1 (ko)
JP (1) JP5897779B1 (ko)
KR (1) KR101930300B1 (ko)
CN (1) CN106660692B (ko)
BR (1) BR112017006187B1 (ko)
WO (1) WO2016170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6782B2 (en) 2013-11-29 2019-03-12 Daizo Corporation Content-accommodating container, content-accommodating product using same, discharge product, and discharge device
WO2015093533A1 (ja) * 2013-12-20 2015-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薬液収納容器、薬液用ノズル、液体の充てん方法および液体の排出方法
US20180297771A1 (en) * 2017-04-13 2018-10-18 Clayton Corporation Hold-open for container-in-container dispenser
JP6959348B2 (ja) * 2017-09-19 2021-11-02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製品
JP6954086B2 (ja) * 2017-12-19 2021-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US10357790B1 (en) * 2018-10-11 2019-07-23 Promens Sa Device for withdrawing and dispensing a viscous product, without taking in air
CN109720099B (zh) * 2019-02-28 2020-06-02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墨袋
JP7312353B2 (ja) * 2019-03-27 2023-07-2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二重容器
CN111532591A (zh) * 2020-04-29 2020-08-14 丁亚宁 一种呼吸内科用的消毒喷雾瓶及其使用方法
JP7577277B2 (ja) 2021-03-16 2024-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駆動アクチュエ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1546A1 (ja) 2011-08-30 2013-03-0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残量低減部材
JP2015058980A (ja)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ダイゾー 流路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5618A (en) * 1960-09-21 1963-10-01 Beckman Instruments Inc Micro pipette fluid distributor
FR2067476A5 (ko) * 1969-11-04 1971-08-20 Guilbon Maurice
US3896970A (en) * 1972-07-10 1975-07-29 Robert H Laauwe Aerosol package of product containing liquified gas
US3981415A (en) * 1975-10-29 1976-09-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spenser with expansible member and contracting fabric
US4809884A (en) * 1987-10-13 1989-03-07 Stackhouse Wells F Wine steward
JP3225083B2 (ja) 1992-03-27 2001-11-05 帝人株式会社 杢効果を有する梳毛調織編物の製造法
CA2097866A1 (en) * 1992-06-11 1993-12-12 Howard Norman Reiboldt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US5277015A (en) * 1992-06-11 1994-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bag into a bottle
US5261565A (en) * 1992-06-11 1993-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ilm beam spring vent valve
EP0585908A3 (de) * 1992-09-01 1995-02-15 Praezisions Werkzeuge Ag Sperrbeutel-Behälter.
JP3048888B2 (ja) * 1995-06-28 2000-06-05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充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05893A (ja) * 1997-09-30 1999-04-20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付パウチ
JP2004075099A (ja) 2002-08-13 2004-03-11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容器
EP1400464A1 (en) * 2002-09-17 2004-03-24 Grant Anthony Thomas Huck Dispenser for anaerobic curing compositions
AU2003293989A1 (en) * 2003-12-23 2005-08-12 Sps Verpackungs-System Gmbh Dispensing device for a flexible packaging
JP4332444B2 (ja) 2004-02-17 2009-09-16 東洋製罐株式会社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JP5265051B2 (ja) * 2010-12-02 2013-08-14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分配用のエアゾール装置
EP2657151B1 (en) * 2010-12-22 2020-10-21 Daizo Corporation Valve assembly and aerosol container equipped with same, and aerosol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FR2987609B1 (fr) * 2012-03-05 2015-07-24 Lindal France Sas Moyens antiaffaissement
JP5986786B2 (ja) * 2012-04-12 2016-09-06 東洋製罐株式会社 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EP2865610B1 (en) * 2012-06-22 2020-12-30 Hoyu Co., Ltd. Double-aerosol device
EP2921427B1 (en) * 2012-11-16 2020-08-26 Daizo Corporation Dischar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1546A1 (ja) 2011-08-30 2013-03-0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残量低減部材
JP2015058980A (ja)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ダイゾー 流路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吐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70684A1 (ja) 2017-04-27
EP3192749A4 (en) 2018-02-14
US9932167B2 (en) 2018-04-03
US20170137208A1 (en) 2017-05-18
EP3192749A1 (en) 2017-07-19
BR112017006187B1 (pt) 2022-02-08
CN106660692A (zh) 2017-05-10
WO2016170684A1 (ja) 2016-10-27
JP5897779B1 (ja) 2016-03-30
EP3192749B1 (en) 2019-12-11
KR20170012438A (ko) 2017-02-02
CN106660692B (zh) 2018-09-11
BR112017006187A2 (pt)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300B1 (ko) 잔량 저감 부재
JP5314318B2 (ja) 液体用容器
EP3395717B1 (en) Discharge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onto discharge surface
EP1844804B1 (en) Syringe
KR20040078886A (ko) 의료 유체 전달 장치
KR101614340B1 (ko) 잔량 저감 부재
US6626328B2 (en) Media dispenser
KR102583812B1 (ko) 리필 또는 모듈을 포함하는 제품 분사 장치
US8567620B2 (en) Container having a shock-absorbing element
KR20120041663A (ko) 이중 분배 장치
BR112018003101B1 (pt) Dispensador para massas líquidas a pastosas
US20090105660A1 (en) Syringe Cylinder
US9718089B2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dispensing element to a storage container
WO2017026050A1 (ja) エアゾール用のノズル
KR101346796B1 (ko)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KR102703244B1 (ko) 주출 스파우트
KR20210068575A (ko) 2실식 용기 겸용 주사기
US6732955B1 (en) Dispenser for media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penser
KR20220062491A (ko) 내용물 분출 유닛 및 분출 용기
CN110944916B (zh) 带末端区段的管嘴
JP6441169B2 (ja) 吐出デバイス
JP2004351030A (ja) 2液混合分注容器
KR20240007740A (ko)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체
KR20110046251A (ko) 충격 흡수 요소를 구비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