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99B1 -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5999B1 KR101915999B1 KR1020170005564A KR20170005564A KR101915999B1 KR 101915999 B1 KR101915999 B1 KR 101915999B1 KR 1020170005564 A KR1020170005564 A KR 1020170005564A KR 20170005564 A KR20170005564 A KR 20170005564A KR 101915999 B1 KR101915999 B1 KR 101915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heat resistant
- housing
- binding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일단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핀, 상기 접속핀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선이 후방측에 연결되는 접지핀, 상기 접속핀 및 접지핀을 파지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한편, 외부를 감싸면서 일체로 몰딩 성형되되 상기 접속핀 및 접지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의 전방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핀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서 접속핀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의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내열성 보강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트래킹 현상에 대하여 내화성 혹은 내열성을 갖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시 콘센트 주변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유발되는 트래킹 현상에 대하여 내화성 혹은 내열성을 갖도록 플러그의 전면부상에 내열성 보강체가 마련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나 컴퓨터,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이나 사무자동화 기기 또는 생산 설비 등과 같은 전기장치들 각각은 전기접속을 위해서 전원 콘센트에 끼워 넣어지는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전원 플러그는, 전기회로 콘센트에 접속되어 기기에 전력을 도입하기 위한 플러그마개로서 전원코드의 끝에 붙여 콘센트 등에 끼우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는 통상적으로 전원 코드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핀과, 이 접속핀을 고정하는 내부 고정체 및 외부에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장기간 끼워넣은 채로 사용하는 일이 대부분이며, 그렇지 않더라도 전원 콘센트에는 일반적으로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쌓이게 되는 먼지 등에 공기 중의 습기가 포함됨으로서, 습기와 먼지로 인한 전로 형성 및 단락 현상의 발생시 전원 플러그의 접속핀 사이에서는 미소방전이 유발되고 이러한 방전이 반복 발생하여 먼지 등이 탄화된다(그라파이트 발생). 이렇게 탄화된 먼지 등에 전기가 흐름으로써, 전원 플러그에 접촉 불량을 일으킴과 동시에, 접속핀 사이에 형성된 먼지 등의 온도가 상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됨으로써 화재로 번지게 되는 우려가 있다. 즉, 스파크 불꽃에 의한 그라파이트의 형성(제품표면의 탄화)으로 도전로가 발생하고, 연속 반응적으로 진행되면서 발화하는 것을 트래킹(Tracking) 현상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에는 이 트래킹 현상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트래킹 현상에 의한 발화 문제에 더하여, 이로 인한 추가적인 화재가 더 문제될 수 있다. 즉, 내부 고정체 혹은 하우징은 주로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 계열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데, 이는 화재발생시 융점이 낮아서 빠른 발화가 진행되게 하고, 초기 화재로 인한 온도 상승시 접속핀을 고정하고 있는 내부 고정체 또는 하우징이 쉽게 녹으면서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접속핀의 파지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접속핀들이 유동하여 서로 접촉하게 되면서 더 큰 2차 누전 화재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의 심각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트래킹 현상으로부터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 사이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지닌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483933호에 발표된 "전원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과 전기장치"가 있다.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3)에서 돌출되는 접속단자부재(4A, 4B; 접속핀)의 근원부 내로 끼워넣어지는 블레이드 캡(12A, 12B)을 마련하고, 이 접속단자부재(4A, 4B)가 전원 콘센트(2)에 삽입되는 경우에 블레이드 캡(12A, 12B)이 전원 콘센트(2)의 접속공(9A, 9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채워서 막음으로써, 콘센트 내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접속력을 높여 외부 충격으로 부터 플러그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트래킹 현상의 측면에서 봤을 때, 단순히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 내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플러그와 콘센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존재하는 먼지의 유입을 막는 것은 어려우며, 또 플러그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의 침입을 용이하게 막는 것은 불가능하여서 플러그의 삽입 또는 탈거시 발생하는 트래킹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발화 이후 접속단자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본체가 녹아 접속단자부재가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2차 누전 화재를 막을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아, 여전히 화재에 대한 위험성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될 시 콘센트 주변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유발되는 트래킹 현상에 대하여 내화성 혹은 내열성을 갖도록 전원 플러그에 내열성 보강체가 마련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일단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핀, 상기 접속핀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선이 후방측에 연결되는 접지핀, 상기 접속핀 및 접지핀을 파지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한편, 외부를 감싸면서 일체로 몰딩 성형되되 상기 접속핀 및 접지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의 전방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핀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서 접속핀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의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내열성 보강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는 상기 접지핀이 삽입되는 접지홈이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방측이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열성 보강체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전면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전원 콘센트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열성 보강체의 둘레를 전방측에서 일부 덮도록 하우징의 내주연에서 내측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주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주돌부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를 파지하는 상태로 구속하여 내열성 보강체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열성 보강체는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내주돌부 측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내열성 보강체의 전면부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열성 보강체와 상기 하우징 각각에는 서로가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의 전면부 상에서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결속홈과, 상기 결속홈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결속홈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결속공;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측 둘레를 따라 위치되되, 상기 결속홈의 표면상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 형상의 결속 헤드와, 상기 결속 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결속공에 삽입되는 결속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가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유발되는 트래킹 현상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 보강체가 마련되며, 이 내열성 보강체의 소재는 기존의 하우징에 비해 내화성 또는 내열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어서, 트래킹 현상에 의한 화재 발생시 하우징이 녹아 내리더라도 녹지 않고 접속핀을 고정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접속핀이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누진에 의한 2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고정체가 접속핀을 고정한 상태에서, 내열성 보강체가 한번 더 접속핀을 파지하여 고정시키므로, 기본적인 고정 상태의 유지력을 높일 뿐 아니라, 화재 발생시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내열성 보강체가 전방측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기존에 하우징의 전면부가 전원 콘센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과 달리, 내열성 보강체가 전원 콘센트와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그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화재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트래킹 현상에 의한 초기 화재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하우징과 내열성 보강체에 각기 구비된 결속부와, 각각에 형성된 내주돌부 및 단차부에 의해서, 내열성 보강체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결속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일부 구성들의 조립된 상태를 전방 및 후방측에서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사시도에 대해 수평으로 잘라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일부 구성들의 조립된 상태를 전방 및 후방측에서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사시도에 대해 수평으로 잘라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의 일부 구성들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사시도에 대해 수평으로 잘라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핀(110), 접지핀(120), 고정체(130), 하우징(140) 및 내열성 보강체(15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는 전선(a) 및 접지선(b)으로 이루어진 전원 코드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전원 콘센트는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전원 코드만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을뿐 다른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 또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기술하고 있는 전원 플러그는, 특히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KS 규격에 적합하면서, 두 가닥의 전선과 한 가닥의 접지선을 지닌 전원 코드가 연결되는 전원 플러그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220v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에 대해 기술한다.
접속핀(110)은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일종의 핀의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111)가 전방측(도면상 좌측)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112)에는 전선(a)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접속핀(110)은 통상적으로 전원 콘센트에 꽂아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핀이 좌우에 위치하는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이들은 각각 후술하는 고정체(130)에 의해 파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접지핀(120)은 접지 역할을 할 수 있게 접지선(b)과 연결되고, 전원 콘센트의 접지단자(미도시)와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전원 콘센터의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위치, 즉 좌우로 놓여 있는 한 쌍의 접속단자의 상측 및 하측으로 이격되는 가장자리부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접속핀(1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돌출편(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지핀(120)은 돌출편(121)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후방측으로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연결단자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핀(120)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돌출편(121)이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연결단자부(120a)가 연장 형성되기 위하여 돌출편(121)들을 연결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단자부(120a)는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돌출편(121)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측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었다.
접지핀(120)의 돌출편(121)은 후술하는 고정체(1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되되 접속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방형의 부재로서, 이후에 기술되는 하우징(140) 및 내열성 보강체(150)의 상하측 모두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된다. 또한, 접지핀(120)의 연장편(122)은 고정체(130)의 전면부에 밀착 결합됨과 동시에, 접지핀(120)은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돌출편(121)의 길이방향 모서리 중 하나를 따라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편(123)을 갖는데, 이에 따라 접지핀(120)의 연장편(122)이 후술하는 고정체(130)의 핀홈(132)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고정체(130)는 접속핀(110)과 접지핀(120)을 고정하는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접속핀(110) 및 접지핀(120)이 각기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들을 파지하여 고정하는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된다. 고정체(130)는 접속핀(110)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핀구멍(131)이 좌우 양측에 위치되어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는 접지핀(1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때, 고정체(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구멍(131)의 둘레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 보스부(131a)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형 보스부(131a)는 고정체(130)와 접속핀(110)의 접촉 면적을 늘려서 봉 형상의 접속핀(110)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내열성 보강체(150)와의 끼움 결합이 더해지면서 지지력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핀홈(132)은 접지핀(120)이 고정체(130)에 결합될 시 연결단자부(120a)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 어디에 위치되더라도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측 및 하측에 한 쌍의 홈으로 형성되며, 연결단자부(120a)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공(132a)이 상측과 하측에 서로 엇갈리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체(130)는 접지핀(120)과 결합시 별도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접지핀(120)의 연장편(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30)의 전면부 상에 안착되고, 연장편(122) 중간에 결합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고정체(130)에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구멍(미도시)이 마련되어서 이들의 결속에 의해 서로 결합 상태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체(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하우징(140)의 내측에서 접속핀(110)과 접지핀(12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전반적인 조립 공정에서는 접속핀(110) 및 접지핀(120)에 전선 혹은 접지선을 연결하는 경우와, 또 후술하는 하우징(140)과의 조립 혹은 성형 결합시에 각각 이들의 지그 역할을 하게 된다.
하우징(140)은 전원 플러그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전술한 부재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바, 이들과 일체로 몰딩 성형될 수 있으며,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40)은 접속핀(110)과 접지핀(1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적인 전원 플러그의 본체 형태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하우징(140)은 접속핀(110)이 돌출될 수 있게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접지핀(120)이 드러날 수 있게 상측 및 하측에 홈 형태의 노출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0)은 통상적으로 전원 플러그의 제조시, 사출 성형 등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어느 정도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가지면서 한편으로는 성형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도록 그 재질이 선정되어야 하는바, 재질 선정에 있어서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통상적으로는 나일론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제작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재질 선정의 제한성으로 인해,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트래킹 현상에 의한 스파크 등의 발화로 인한 초기 화재 및 발화에 의한 접속핀(110)의 유동에 따른 접촉으로 인한 2차 누진 화재로부터 전원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해 내열성 보강체(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열성 보강체(150)는 고정체(13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데, 상기 접지핀(120)의 연장편(122)은 상기 보강체(150)와 고정체(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는 판재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열성 보강체(150)는 접속핀(11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5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151)은 접속핀(110)이 끼워질 수 있게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체(130)의 환형 보스부(13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환형 보스부(131a)의 외경 크기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151)은 접속핀(110)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체(130)와 더불어 접속핀(110)을 한번 더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접속핀(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열성 보강체(150)는 하우징(140)과 다르게 별도로 제작된 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출 성형 전 조립 단계에서, 하우징(140)의 고정체(130)와 결합되고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이후의 사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재질 선정에 있어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도 무방함에 따라, 하우징(140) 보다 내열성 또는 내화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내열성 보강체(150)는 접지핀(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접지홈(152)이 마련될 수 있다. 접지홈(1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 보강체(150)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고정체(130)와 결합된 상태로 접지핀(120)이 외측에서 끼워짐에 따라 고정체(130)와 내열성 보강체(150)의 결합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열성 보강체(150)의 후면에는 고정체(130)가 후방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체(130)와의 결속 상태를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결합 후크(15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후크(153)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 보강체(150)의 후면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안쪽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 후크(153)는 내열성 보강체(150)와 고정체(130)의 결합시 고정체(130)의 측면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후크(153)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내열성 보강체(150)가 고정체(130)의 정면측에 끼움 결합될 시 고정체(130)의 측면을 감싸도록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이동하여 내열성 보강체(150)와 고정체(130)가 맞닿게 되면 결합 후크(153)의 선단부가 고정체(130)의 후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탄성 결합됨에 따라 내열성 보강체(150)와 고정체(130)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140)은 내열성 보강체(1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측에 개구부(140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전방측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열성 보강체(150)는 이 개구부(140a)에 의해서 전면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에 삽입될 시, 내열성 보강체(150)는 전원 콘센트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 콘센트와 전원 플러그 간에 트래킹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하우징(140)의 전면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 아닌, 내열성이 높은 내열성 보강체(1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미소방전 또는 스파크 불꽃 등에 의해서 쉽게 발화되지 않게 하여 트래킹 현상이 초기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열성 보강체(150)는 고정체(130)와 더불어 한 쌍의 접속핀(110)이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들을 고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초 화재 발생으로 인한 발화에도 어느 정도는 녹지 않고서 접속핀(110)을 파지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접속핀(110)의 접촉에 의한 2차 누진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더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0)은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상에서 외주연 일부를 감싸도록 내주돌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주돌부(142)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전면부, 즉 개구부(140a)의 내주연을 따라 중심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내열성 보강체(150)의 외주연 둘레를 전방측에서 감싸도록 위치됨에 따라 내열성 보강체(15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도 하우징(140)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주돌부(142)는 내열성 보강체(150)를 파지하는 상태, 즉 전방측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형성되어서, 내열성 보강체(150)를 하우징(140) 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에서는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접속핀(110)과 접지핀(120)에 연결되는 전선(a) 및 접지선(b)은 도시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었다.
이때, 내열성 보강체(150)는, 전술한 내주돌부(142)와 대응하는 형상의 단차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단차부(154)는 내열성 보강체(1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형의 단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돌부(142)의 내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내열성 보강체(150)와 하우징(140) 사이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내열성 보강체(150)와 하우징(140)에는 결속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부는, 내열성 보강체(150)에 형성되는 결속홈(155) 및 결속공(156)과,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결속 헤드(143) 및 결속 바디(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결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와 달리 한 쌍, 또는 세 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 보강체(150)에 형성되는 결속홈(155)은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부 상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결속공(156)은 결속홈(15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관통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결속 헤드(143)는 하우징(140)의 개구부(140a) 측의 둘레를 따라서 위치되는데, 전술한 결속홈(155) 및 결속공(156)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랜지 형상의 원형 판상 부재로 마련되고, 결속 바디(144)는 결속 헤드(143)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결속부는, 결속홈(155)의 표면상에 결속 헤드(143)가 안착되고, 결속공(156)에는 결속 바디(144)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는 통상의 리벳이 끼워진 형태와 유사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40)이 사출 성형을 통해서 내열성 보강체(150)의 외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형상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결속부는 별도의 리벳이 끼워지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결속홈(155) 및 결속공(156)에 결속 헤드(143) 및 결속 바디(144)가 삽입되는 구조로서, 하우징(140)이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결속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140)은 조립되는 형태가 아닌, 몰딩 성형에 의해 전술한 부재들의 외측상에 형성되므로, 조립상의 어려움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내주돌부(142), 결속 헤드(143) 및 결속 바디(144)는, 하우징(140)이 조립에 의해서 이들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조립이 불가능한 구조이지만, 몰딩 성형에 의해서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의 형상 구현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결속 바디(14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결속 헤드(143)는, 하우징(140)의 성형시 성형 수지가 결속공(156)을 통해 차오르면서 결속홈(155)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서, 하우징(140)은 이들의 외측상에 일체형의 부재로 자리잡게 되고, 쉽게 벗겨지거나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는, 전원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 등이 습기로 인해서 유발되는 트래킹 현상에 대해 강성을 갖도록 내화성 또는 내열성을 갖는 내열성 보강체(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트래킹 현상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초기 발화가 일어나게 될 경우에, 하우징(140)이 녹아 내리더라도 내열성 보강체(150)가 접속핀(110)을 파지한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접속핀(110)이 서로 맞닿아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2차 누진 화재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내열성 보강체(150)가 하우징(140) 내측에 존재하더라도 그 지지 상태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하우징(140)에 개구부(140a)가 형성되어서 내열성 보강체(15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초기에 발생하는 스파크 등에 의해 쉽게 초기 발화가 이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140)이 사출 성형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140)을 성형하기 전에 미리 내열성 보강체(150)와, 접속핀(110)과, 접지핀(120)과 고정체(130)를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한 상태로 사출성형 몰드(금형) 내에 삽입하여 하우징(140)을 사출(인서트사출) 성형함으로써, 하우징(140)이 외측에 몰딩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내열성 보강체(150)의 소재 선택시 큰 제약이 없으므로, 하우징(140)의 소재보다 좀 더 내열성 또는 내화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트래킹 현상에 대해 좀 더 강성을 띄게 되며, 이로 인해 초기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트래킹 현상에 의한 초기 화재 뿐만 아니라, 접속핀(110) 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에 의해서 더 큰 2차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포함하고 있는 접지핀(120)과, 내열성 보강체(150)에 형성된 접지홈(152)은 국내 KS 규격으로 제안되고 있는 접지 단자와의 접촉이 가능하게끔 형성되는 것으로서, 접지홈(152)은 접지핀(120)이 끼워지는 것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접지핀(120)이 외측에서 내열성 보강체(150)를 잡아주는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내열성 보강체(150) 및 고정체(130)의 결합 상태가 좀 더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40)의 내주돌부(142)는 내열성 보강체(150)를 전방측에서 지지함에 따라, 내열성 보강체(150)의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뿐 아니라, 고정체(130)의 후방측으로 채워지는 하우징(140)의 수지로 인해서 내열성 보강체(150)를 전방 및 후방에서 파지하여 이를 구속하는 형태가 되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의 결속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내열성 보강체(150)에는 전술한 내주돌부(142)와 대응하도록 단차부(154)가 마련되는데, 플랜지 형상의 단차부(154)는 내주돌부(142) 내측에 개재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내열성 보강체(150) 및 하우징(140) 간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단차부(154)에 의해서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부는 하우징(140)의 전면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전원 플러그와 전원 콘센트의 결합시 내열성 보강체(150)의 표면이 전원 콘센트에 맞닿는 형태가 되며, 이로 인해 미소 방전등으로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내열성 보강체(150)가 닿아 있게 되어 하우징(140)이 위치했을 때보다 발화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40)과 내열성 보강체(150)에 마련된 결속부는, 별도의 볼트 결합 작업 없이 리벳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는 하우징(140)으로 인해, 이 리벳 형태의 결속부 구조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40)의 전방측에 내열성 보강체(150)가 위치한 상태에서도 내열성 보강체(150)가 이탈하는 것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이들 전체의 결속력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원 플러그 110 : 접속핀
120 : 접지핀 130 : 고정체
140 : 하우징 140a : 개구부
141 : 노출홈 150 : 내열성 보강체
151 : 삽입홀 152 : 접지홀
120 : 접지핀 130 : 고정체
140 : 하우징 140a : 개구부
141 : 노출홈 150 : 내열성 보강체
151 : 삽입홀 152 : 접지홀
Claims (8)
- 삭제
- 삭제
- 삭제
-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도록 일단부(111)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112)에는 전선(a)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핀(110);
상기 접속핀(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선(b)이 후방측에 연결되는 접지핀(120);
상기 접속핀(110) 및 접지핀(120)을 파지하는 고정체(130);
상기 접속핀(110) 및 접지핀(12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40)을 구비한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접지핀(120)은,
통상의 전원 콘센트에 구비된 접지단자에 상응하는 콘센트의 전방 상측 및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접속핀(110)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방형의 돌출편(121)과,
상기 두 돌출편(121)을 연결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체(130)의 전면부와 후술하는 내열성 보강체(150)의 후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편(122)과,
상기 두 돌출편(121) 중의 어느 하나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지선(b)이 연결되는 연결단자부(120a)와,
상기 돌출편(121)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편(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130)는,
상기 접속핀(110)이 끼워지는 한 쌍의 핀구멍(131)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지핀(120)의 수직편(123)이 삽입되는 핀홈(132)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핀구멍(131)에 끼워진 접속핀(110)과 상기 핀홈(132)에 끼워진 접지핀(120)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고정체(13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접속핀(11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151)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110)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의 열에 대해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내열성 보강체(15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상측 및 하측 외주연에는 상기 접지핀(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접지홈(15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편(121)과 접지홈(152)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체(130)와 내열성 보강체(150)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며,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후면에는 결합 후크(15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30)와 접지핀(120) 및 내열설 보강체(150)가 상기 결합 후크(153)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140)은,
서로 결합된 상기 고정체(130)와 접지핀(120)과 내열설 보강체(150) 및 접속핀(110)을 조립완료한 상태로 사출성형 몰드 내에 삽입하여 사출 성형함에 의해, 상기 고정체(130)와 접지핀(120)과 내열설 보강체(150) 및 접속핀(110)을 일체화시켜 그 내부에 고정하는 한편,
전방측이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a)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부가 상기 개구부(140a)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접속핀(110)이 전원 콘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접지핀(120)의 돌출편(121)이 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홈 형태의 노출홈(141)을 형성하면서 외부를 감싸도록 일체로 몰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둘레를 전방측에서 일부 덮도록 하우징의 내주연에서 내측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내주돌부(142)를 형성하도록 몰딩 성형되며,
몰딩 성형된 상기 내주돌부(142)가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를 파지하는 상태로 구속하여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를 상기 하우징(140) 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는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154)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154)는 상기 내주돌부(142) 측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140) 및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부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와 상기 하우징(140) 각각에는 서로가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의 전면부 상에서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결속홈(155)과, 상기 결속홈(155)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결속홈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결속공(156); 및
상기 하우징(140)의 개구부 측 둘레를 따라 위치되되, 상기 결속홈의 표면상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 형상의 결속 헤드(143)와, 상기 결속 헤드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결속공에 삽입되는 결속 바디(144)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내열성 보강체(150)가 상기 하우징(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564A KR101915999B1 (ko) | 2017-01-12 | 2017-01-12 |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564A KR101915999B1 (ko) | 2017-01-12 | 2017-01-12 |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477A KR20180083477A (ko) | 2018-07-23 |
KR101915999B1 true KR101915999B1 (ko) | 2018-11-08 |
Family
ID=6310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564A KR101915999B1 (ko) | 2017-01-12 | 2017-01-12 |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59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641Y1 (ko) * | 2019-02-15 | 2019-10-01 |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 접지기능을 갖는 전원플러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54676A (ja) * | 2012-06-08 | 2013-12-19 | Fuji Densen Kogyo Kk | 差込みプラグの製造方法 |
JP2016525272A (ja) * | 2013-07-22 | 2016-08-22 | ルグラン フランス | 改ざん防止読取手段を有する電気プラグを備える電気器具およびそのような電気器具を備える電気アセンブリ |
-
2017
- 2017-01-12 KR KR1020170005564A patent/KR101915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54676A (ja) * | 2012-06-08 | 2013-12-19 | Fuji Densen Kogyo Kk | 差込みプラグの製造方法 |
JP2016525272A (ja) * | 2013-07-22 | 2016-08-22 | ルグラン フランス | 改ざん防止読取手段を有する電気プラグを備える電気器具およびそのような電気器具を備える電気アセンブリ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477A (ko) | 201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53415B2 (ja) | 過熱破壊式位置規制部材を備える延長コードコンセント | |
JP5786096B2 (ja) | ヒューズアセンブリ | |
KR101255790B1 (ko) | 차폐커넥터 | |
KR102044020B1 (ko) | 전원 플러그 | |
JP6605037B2 (ja) | ヒューズ部品 | |
KR101915999B1 (ko) |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 |
US20100033292A1 (en) | Fuse seat having light-emitting module of hidden type | |
US8033864B1 (en) | Electrical plug with a sliding cover extending from a front of an internal contact holder | |
JP5999988B2 (ja) | 差込みプラグの製造方法 | |
KR102125248B1 (ko) | 트래킹 현상 방지를 위한 전원 플러그 | |
JP2014222612A (ja) | 差し込みプラグ | |
KR200482605Y1 (ko) |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 |
JP5921277B2 (ja) | 差込みプラグの絶縁構造 | |
KR102686729B1 (ko) | 구부림 시험 및 사용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 |
KR101473483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1482793B1 (ko) | 커넥터 | |
KR102358507B1 (ko) | 전원 플러그 | |
JP2005135615A6 (ja) | プラグ | |
KR101704512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1586431B1 (ko) |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 |
JP2005135615A (ja) | プラグ | |
KR102310742B1 (ko) | 파워 아웃렛 | |
CN220233576U (zh) | 插座和烹饪器具 | |
KR102150943B1 (ko) | 센서박스가 구비된 온도감지식 안전플러그 | |
KR101798826B1 (ko) | 전등용 커넥터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