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622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2622B1 KR101882622B1 KR1020170119610A KR20170119610A KR101882622B1 KR 101882622 B1 KR101882622 B1 KR 101882622B1 KR 1020170119610 A KR1020170119610 A KR 1020170119610A KR 20170119610 A KR20170119610 A KR 20170119610A KR 101882622 B1 KR101882622 B1 KR 101882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transmission
- transmission medium
- insertion opening
- housing
- rele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높이 감축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걸어맞춤 상태로 있는 잠금 부재(13)를 해제 상태로 이행시키는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를, 삽입 개구부(11a)를 따라 배치함과 아울러, 당해 해제 조작부(14d)와 해제 작용부(14c1)를 지지축부(14b)의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하고, 또한 해제 조작부(14d)를,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이간한 초기 위치와, 삽입 개구부(11a)에 근접한 작용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를 행함에 즈음하여, 작업자의 한 손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대한 잠금 부재(13)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높이 감축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걸어맞춤 상태로 있는 잠금 부재(13)를 해제 상태로 이행시키는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를, 삽입 개구부(11a)를 따라 배치함과 아울러, 당해 해제 조작부(14d)와 해제 작용부(14c1)를 지지축부(14b)의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하고, 또한 해제 조작부(14d)를,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이간한 초기 위치와, 삽입 개구부(11a)에 근접한 작용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를 행함에 즈음하여, 작업자의 한 손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대한 잠금 부재(13)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잠금 부재에 의해 보지(保持)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전기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의 평판상의 신호 전송 매체(이후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라고 칭한다)를, 회로 배선 기판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도전 콘택트 부재의 접속 단자부가 회로 배선 기판의 주면(主面) 상에, 예를 들면, 땜납 접속 등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되고, 당해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삽입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하우징에 부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에 접촉 상태로 보지된 상태로 됨으로써 회로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기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보지함에 즈음해서는, 당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의 속측의 단말 부분에, 예를 들면 절결상(切缺狀)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치 결정부에 대해, 전기 커넥터에 설치된 잠금 부재의 일부가 걸어맞춤 상태로 됨으로써,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지를 행하는 구성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잠금 부재에 의해 걸림 상태로 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해제 상태로 하는데는, 일방의 손으로 잠금 해제 조작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밀어넣는 등의 조작을 행하면서, 타방의 손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파지하여 전기 커넥터의 외방으로 뽑아내는 조작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의 내부에 걸림 상태로 보지되어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 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데는, 작업자의 양손을 사용함으로써 잠금 부재의 해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 잠금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전자기기 등의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전기 커넥터로부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발거하는 경우에, 그 좁은 공간 내에 있어서의 양손의 조작이 어려워진다. 또, 원래 좁은 공간의 내부에 양손이 들어가지 않아 발거 조작 자체를 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서는, 회로 배선 기판에 놓이는 절연성의 하우징에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설치된 삽입 개구부를 통하여,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 잠금 부재의 걸림부를 걸어맞춤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잠금 부재에 의해 보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를 상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를 따라 뻗어 있는 지지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回動)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해제 조작부의 회동에 연동하는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작용부를 상기 잠금 부재에 맞닿게 하여, 상기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잠금 부재의 걸림부를 해제 상태로 이행시키는 구성으로 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에 설치된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와 상기 해제 작용부가, 상기 지지축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는, 상기 초기 위치시, 상기 삽입 개구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한편, 상기 작용 위치시, 상기 삽입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삽입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 상태로 되어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행함에 즈음하여,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끝으로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로 회동시키면,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가 삽입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로 되므로, 삽입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그 결과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에 눌려 있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도 접촉 가능한 상태로 되어, 예를 들면, 작업자의 한 손의 손가락끝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잠금 부재의 걸림 상태를 해제 상태로 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 손만의 조작에 의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당해 삽입 개구부의 양측 부분에 한 쌍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잠금 해제 부재에는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벽부에 맞닿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해제 부재의 과도한 회동 조작이 하우징의 벽부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잠금 부재의 소성 변형이 회피됨과 아울러,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시켜졌을 때, 상기 해제 작용부는 상기 삽입 개구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잠금 부재를 해제 상태로 이행시키는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함과 아울러,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와 해제 작용부를 지지축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 배치하고, 또한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삽입 개구부에 대해 이간한 초기 위치와, 삽입 개구부에 근접한 작용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행함에 즈음하여,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끝으로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작업자의 한 손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잠금 부재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초기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VI-V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VII-V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 중의 VIII-VI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3 중의 IX-IX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외방측의 배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의 배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외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해제 조작부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5~도 17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 중의 XX-XX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 중의 XXI-XX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도 5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나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의 XXIV-XXI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2 중의 XXV-XX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6 중의 XXVII-XXV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나 있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 중의 VI-V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 중의 VII-V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 중의 VIII-VI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3 중의 IX-IX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외방측의 배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의 배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외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를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으로부터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나타나 있는 잠금 부재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해제 조작부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5~도 17에 나타나 있는 해제 조작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 중의 XX-XX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 중의 XXI-XX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도 5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나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의 XXIV-XXI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2 중의 XXV-XX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를 삽입한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해제 조작부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6 중의 XXVII-XXVII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도 1~도 9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전기 제품에 설치된 전자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예를 들면, 땜납 접속 등에 의해 실장되는 전기 커넥터이다. 당해 커넥터(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회로 배선 기판의 주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는 하우징(11)을 가지고 있다. 그 하우징(11)은 회로 배선 기판의 주면을 따라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주면이 수평 상태로 뻗어 있는 것으로 하고, 그 회로 배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하우징(11)이 일어서는 방향을 「상방향」, 하우징(11)의 일어서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한다. 또, 그 하우징(11)의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방향을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쌍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폭방향」이라고 한다.
상술한 하우징(11)의 상단면에는 후술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 하방을 향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을 받아들이는 중공상의 매체 삽입 공간이 뻗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개구부(11a)의 상방 위치에,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PB)의 단말 부분이, 상기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주면에 대략 직교하도록 세워진 대향 배치 상태로 하강하도록 이동됨으로써, 도 22~도 25에 나타나 있듯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이, 삽입 개구부(11a)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1)의 매체 삽입 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PB)의 삽입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11)의 삽입 개구부(11a)를 통하여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를 매체 삽입 공간의 내부로 삽입함에 즈음하여, 삽입 개구부(11a)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관계가 하우징(11)의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관찰되게 되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동작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후의 상태가 즉시 확인된다.
[하우징 및 도전 콘택트에 대하여]
상술한 것처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은 하우징(11)에 설치된 매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지만, 그 매체 삽입 공간에는 특히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12)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 간격으로 다극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들 각 도전 콘택트(12)는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된 탄성 빔부(12a)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탄성 빔부(12a)의 하단 부분에는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접속 단자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들 각 도전 콘택트(12)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12b)는 후방(도 6의 우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나가 하우징(11)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그 돌출한 선단 부분(후단 부분)이,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 땜납 접합되고, 그에 의해 신호 전송 회로의 일부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다극상으로 배열된 복수체의 접속 단자부(12b)에 대한 납땜 작업은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들 각 접속 단자부(12b)의 땜납 접합 부분(외단측 부분)과 반대의 내단측 부분에는 상술한 것처럼 탄성 빔부(12a)가 연설(連設)되어 있는데, 당해 탄성 빔부(12a)는 각 접속 단자부(12b)의 내단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캔틸레버상(cantilever shape)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당해 탄성 빔부(12a)가 상술한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에 있어서 일어선 상단 부분에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자부(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접점부(12c)가 돌출상을 이루어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하여]
전술한 것처럼 하여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PB)의 단말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12)에 대응한 소정의 피치 간격으로 단자부가 다극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다극상을 이루는 단자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단연(端緣) 부분에는 절결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부착된 후술의 잠금 부재(13)의 걸림부(13a)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잠금 부재(13)의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잠금 부재에 대하여]
즉, 상술한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박판상의 금속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한 쌍의 잠금 부재(13, 13)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를 향해 하방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잠금 부재(13, 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에 있어서 서로 대칭적으로 마주 보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13, 13)를 한 쌍 설치함으로써, 커넥터(1)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들 양 잠금 부재(13, 13)는 동일한 구성을 대칭으로 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일방의 잠금 부재(13)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하고, 타방의 잠금 부재(13)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들 각 잠금 부재(13)는 특히 도 10~도 14에 나타나 있듯이, 하우징(11)의 양단 부분의 외곽 형상를 따라 평면 대략 「コ」자 모양으로 뻗어 있는 기본틀판(13b)을 가지고 있다. 그 기본틀판(13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최외단 위치에 배치된 외단 벽부(도 14의 우단 벽부)에는 고정편(13c)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당해 고정편(13c)이 하우징(11)의 내부로 압입되어 걸림 상태로 됨으로써, 잠금 부재(13) 전체가 고정 상태로 된다.
또, 상술한 기본틀판(13b)은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정면 측벽부(도 13의 좌방 벽부)와 배면 측벽부(도 13의 우방 벽부)를 가지고 있고, 그중 배면 측벽부에는 당해 배면 측벽부의 일부를 잘라 일으키도록 하여 하방을 향해 캔틸레버 스프링상으로 뻗어 있는 스토퍼편(13d)이 설치되어 있다. 그 스토퍼편(13d)의 하단연은 특히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하우징(11)의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받이면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부딪친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당해 스토퍼편(13d)에 의한 하우징(11)에 대한 상하 방향의 대항력에 의해, 잠금 부재(13) 전체가 하방으로 탈락하거나, 혹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시에,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와 함께 하우징(11)이 잠금 부재(13)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것 같은 사태가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기본틀판(13b)을 구성하고 있는 정면 측벽부(도 13의 좌방 벽부) 및 배면 측벽부(도 13의 우방 벽부)의 하단연부에는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접속다리부(13e, 13e)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들 각 기판접속다리부(13e)는 예를 들면, 회로 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형성된 접지용의 도전로에 납땜되고, 그에 의해 쉴드(접지) 회로의 일부가 구성됨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1) 전체가 회로 배선 기판 상에 보지되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기본틀판(13b)을 구성하고 있는 정면 측벽부(도 13의 좌방 벽부)의 상방 부분에는, 탄성 변위 가능한 빔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잠금암 부재(13f, 13f)가 상방을 향해 양다리상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들 각 잠금암 부재(13f)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기본틀판(13b)의 정면 측벽부의 상단연부로부터, 전술한 삽입 개구부(11a)의 근방 위치까지 뻗어나간 후에, 「커넥터 내방(매체 삽입 공간의 속)」을 향해 꺾도록 하여 만곡상으로 절곡되어, 그 꺾음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지도록 뻗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잠금암 부재(13f)의 상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꺾음 부분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꺾음 부분으로부터 하방향을 향해 캔틸레버상으로 뻗어나가는 부분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요동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잠금암 부재(13f)에 있어서의 요동 부분의 하단 부분에는 전술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잠금암 부재(13f)를 도 11에 나타내듯이 양다리상의 구성으로 한 이유는 당해 잠금암 부재(13f)의 가요성(flexibility) 및 강성의 쌍방을 양호하게 확보하기 위해서이지만,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양다리상을 이루는 잠금암 부재(13f)는 상술한 꺾음 부분으로부터 소정량에 걸쳐 하방으로 뻗어 있고, 당해 하단연 부분에 있어서, 한 쌍의 잠금암 부재(13f, 13f)끼리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암연결부(13g)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암연결부(13g)에 의해 일체화된 한 쌍의 잠금암 부재(13f, 13f) 중, 커넥터(1)의 중앙에 가까운 쪽의 잠금암 부재(13f)의 측연부에는 상술한 걸림부(13a)가 매체 삽입 공간까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걸림부(13a)는 대략 삼각형상의 후크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것처럼 잠금암 부재(13f)의 측연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까지 돌출하고 있다. 이 걸림부(13a)의 외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삼각형상의 저변에 상당하는 하단연은 전술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에 대한 걸어맞춤변으로 되어 있고, 위치 결정부의 내주연부(內周緣部)에 대해 걸림부(13a)의 걸어맞춤변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그 걸림부(13a)의 걸어맞춤변으로부터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에 대한 안내 기능을 가지는 안내변이 상방을 향해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경사면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고,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단말 부분이, 상술한 걸림부(13a)의 안내변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면서 올라타도록 이동한 후에, 당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에 대해 걸림부(13a)의 걸어맞춤변이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도 14 중의 부호 13h로 나타낸 콘택트상 부재는 쉴드용의 단자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기본틀판(13b)의 정면 측벽부(도 13의 좌방 벽부)로부터 매체 삽입 공간을 향해 기울기 상방으로 캔틸레버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 쉴드용 콘택트상 부재(13h)의 상단 부분에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설치된 쉴드용의 전극부(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 해제 부재에 대하여]
상술한 것 같은 구성을 가진 잠금 부재(13)에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로부터 걸림부(13a)를 이탈시키기 위한 잠금 해제 부재(14)가 부설되어 있다(도 15 참조). 이 잠금 해제 부재(14)는 전술한 한 쌍의 잠금 부재(13, 13)를 동시에 조작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서, 특히 도 15~도 18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잠금 해제 부재(14)가 가지는 단면 대략 각기둥상의 본체 연결부(14a)가 상기 하우징(11)의 정면(도 5의 좌단면)에 있어서의 상연 부분을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본체 연결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동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지지축부(14b, 1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들 양 지지축부(14b, 14b)는 단면 대략 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특히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 측벽부에 형성된 축받이 오목부(11b, 11b)의 내부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양 지지축부(14b, 14b)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보지된 잠금 해제 부재(14) 전체는 지지축부(14b)를 중심으로 하여, 도 1~도 9에 도시된 「초기 위치」와 도 19~도 21에 도시된 「작용 위치」 사이에 있어서 왕복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본체 연결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지지축부(14b, 14b)에 대해 커넥터 내방측(커넥터 중심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하여 한 쌍의 해제 작용부(14c, 14c)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해제 작용부(14c, 14c)는 전술한 삽입 개구부(11a)를 포함하는 매체 삽입 공간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최외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그들 한 쌍의 해제 작용부(14c, 14c)끼리가 상술한 본체 연결부(14a)를 개재하여 일체로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각 해제 작용부(14c)는 특히 도 8 및 도 18에 나타나 있듯이, 본체 연결부(14a)로부터 하방을 향해 뻗어나가는 발톱상 맞닿음부(14c1)를 가지고 있다. 그 발톱상 맞닿음부(14c1)는 매체 삽입 공간에 하방으로 늘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동 매체 삽입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술의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에 대해 배면측(도 8의 우방측)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해제 조작부(14d)에 가해지는 해제 조작력에 의해, 해제 작용부(14c)가 지지축부(14b)를 중심으로 하여 도 8의 시계방향(우회전)으로 회동됨으로써, 당해 해제 작용부(14c)에 설치된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에 대해 배면측(도 8의 우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에 접촉한 후에, 후술의 해제 조작부(14d)에 의한 해제 조작이 더 계속됨으로써, 도 21에 나타나 있듯이,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를 정면(도 21의 좌방)을 향해 누른다. 그에 의해 잠금 부재(13)가 탄성적으로 변위시켜져 걸림부(13a)의 변위가 정면(도 21의 좌방)을 향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잠금 해제 부재(14)의 본체 연결부(14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블록상을 이루는 해제 조작부(14d)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해제 조작부(14d)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본체 연결부(14a)의 약 1/3 정도의 길이에 걸쳐 뻗어 있고, 본체 연결부(14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해제 조작부(14d)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본체 연결부(14a) 전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해제 조작부(14d)는 도 18에 나타내듯이, 지지축부(14b)를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전술한 해제 작용부(14c)의 반대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해제 조작부(14d)와 해제 작용부(14c)가 상기 지지축부(14b)를 사이에 끼워 대향한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제 조작부(14d)는 전술한 지지축부(14b)에 대해 상방의 영역에서, 또한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정면측(도 18의 좌방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삽입 개구부(11a)에 대해 이간한 「초기 위치」(도 5~도 7 참조)와 삽입 개구부(11a)에 근접한 「작용 위치」(도 19~도 21 참조) 사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부(14b)를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해제 조작부(14d)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끝이 접촉하는 외방측 벽면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외방측 벽면의 반대측에 전술한 삽입 개구부(11a)에 대면하는 내방측 벽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당해 해제 조작부(14d)의 내방측 벽면에는 해제 조작부(14d)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14e)는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해제 조작부(14d)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는 삽입 개구부(11a)를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11)의 내측 개구 벽부(11c)로부터 정면측으로 이간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지만, 특히 도 20에 나타나 있듯이, 해제 조작부(14d)가 「작용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상술한 하우징(11)의 내측 개구 벽부(11c)에 대해 해제 조작부(14d)의 위치 결정부(14e)가 정면측으로부터 맞닿아, 그 이후의 해제 조작부(14d)의 회동 조작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해제 조작부(14d)를 조작할 때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14e)를 설치해 두면, 잠금 해제 부재(14)의 과도한 회동 조작이 하우징(11)의 내측 개구 벽부(11c)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잠금 부재(13)의 소성 변형이 회피됨과 아울러, 커넥터(1)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의 파손이 방지되는 등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가 지지축부(14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하여 이동하면, 해제 조작부(14d)는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근접한다. 한편, 지지축부(14b)를 사이에 끼워 당해 해제 조작부(14d)와는 반대측의 영역(도 18에 나타내는 배면측 영역)에 배치된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는,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로부터 이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해제 조작부(14d)가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이간한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로부터 이간한 상태, 즉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암연결부(13g)를 누르지 않아 잠금암 부재(13f)가 탄성 변위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제 조작부(14d)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22~도 25와 같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PB)의 단말 부분이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면, 잠금 부재(13)의 걸림부(13a)에 의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는 잠금 상태로 된다.
또한, 상술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등)(PB)의 잠금 상태로부터, 도 26 및 도 27과 같이, 해제 조작부(14d)가 삽입 개구부(11a)에 근접하도록 하여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잠금 부재(13)의 암연결부(13g)에 맞닿아 누름 상태로 된다. 그에 의해 잠금암 부재(13f)가 도 27에 나타내듯이, 정면을 향해 탄성 변위하여, 그때까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위치 결정부에 대해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있던 걸림부(13a)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로부터 이간 상태로 이행하여 해제 상태로 되어, 당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잠금암 부재(13f)가 도 10에 나타내듯이 양다리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이유를 설명하면, 걸림부(13a)에 대해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가 잠금암 부재(13f)의 판폭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쉬운 것에 있다. 즉, 잠금암 부재(13f)의 상단측 기단 부분을 양다리상이 아니라 일체 연속상의 것으로 한 경우에는, 그 일체 연속상으로 한 부위의 강성이 너무 커져 잠금암 부재(13f)의 가요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 그 일체 연속상으로 한 상단측 기단 부분에 있어서의 판폭 치수를 축소하고, 그에 의해 잠금암 부재(13f)의 가요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비틂 강성의 점에 있어서 문제로 된다. 즉, 걸림부(13a)에 대해 해제 작용부(14c)의 발톱상 맞닿음부(14c1)의 위치가 판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삽입시나, 삽입 후의 보지 상태에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를 무리하게 뽑아 내려고 할 때에 걸림부(13a)에 부가되는 힘에 의해, 잠금암 부재(13f)에 비틂 방향의 소성 변형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잠금암 부재(13f)의 상단측 기단 부분(하방측 꺾음 부분)을 양다리 구조로 해 두면, 잠금암 부재(13f)의 가요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걸림부(13a)에의 부하에 대한 필요한 강성이 동시에 얻어지게 된다.
상술한 것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2~도 25와 같이 하우징(11)의 삽입 개구부(11a)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 상태로 되어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를 행함에 즈음해서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끝을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에 대고 누르면서, 도 26 및 도 27과 같이 해제 조작부(14d)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그에 의해 당해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는 삽입 개구부(11a)에 삽입되어 있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술한 것처럼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에 눌려 있는 작업자의 손가락끝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주면에도 동시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 당해 작업자는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에 대한 잠금 부재(1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한 손만의 조작으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PB)의 발거를 행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해제 부재(14)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1)에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삽입 개구부(11a)를 경계로 하여, 당해 삽입 개구부(11a)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개구 폭방향(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영역에, 잠금 해제 부재(14)의 해제 조작부(14d)와 잠금 부재(13)의 걸림부(13a)가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의 박형화 및 소형화도 도모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부재(13)가 하우징(11)에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잠금 부재(13)는 하우징(11)에 하나 설치되어 있어도, 셋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회로 배선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는 수직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로 배선 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부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는 수평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판과 기판, 혹은 케이블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커넥터
11 하우징
11a 삽입 개구부
11b 축받이 오목부
11c 내측 개구 벽부
12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
12a 탄성 빔부
12b 접속 단자부
12c 접점부
13 잠금 부재
13a 걸림부
13b 기본틀판
13c 고정편
13d 스토퍼편
13e 기판접속다리부
13f 잠금암 부재
13g 암연결부
13h 쉴드용 콘택트상 부재
14 잠금 해제 부재
14a 본체 연결부
14b 지지축부
14c 해제 작용부
14c1 발톱상 맞닿음부
14d 해제 조작부
14e 위치 결정부
PB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11 하우징
11a 삽입 개구부
11b 축받이 오목부
11c 내측 개구 벽부
12 도전 콘택트(도전 단자)
12a 탄성 빔부
12b 접속 단자부
12c 접점부
13 잠금 부재
13a 걸림부
13b 기본틀판
13c 고정편
13d 스토퍼편
13e 기판접속다리부
13f 잠금암 부재
13g 암연결부
13h 쉴드용 콘택트상 부재
14 잠금 해제 부재
14a 본체 연결부
14b 지지축부
14c 해제 작용부
14c1 발톱상 맞닿음부
14d 해제 조작부
14e 위치 결정부
PB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FFC, FPC)
Claims (4)
- 회로 배선 기판에 놓이는 절연성의 하우징에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설치된 삽입 개구부를 통하여,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 잠금 부재의 걸림부를 걸어맞춤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상기 잠금 부재에 의해 보지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도전 콘택트 부재를 상기 평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지지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조작부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해제 조작부의 회동에 연동하는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해제 작용부를 상기 잠금 부재에 맞닿게 하여, 상기 걸어맞춤 상태로 있는 상기 잠금 부재의 걸림부를 해제 상태로 이행시키는 구성으로 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에 설치된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와 상기 해제 작용부가, 상기 지지축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부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는, 상기 초기 위치시, 상기 삽입 개구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한편, 상기 작용 위치시, 상기 삽입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삽입 개구부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당해 삽입 개구부의 양측 부분에 한 쌍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에는,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에 맞닿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의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시켜졌을 때, 상기 해제 작용부는 상기 삽입 개구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239576A JP6540674B2 (ja) | 2016-12-09 | 2016-12-09 | 電気コネクタ |
JPJP-P-2016-239576 | 2016-12-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6817A KR20180066817A (ko) | 2018-06-19 |
KR101882622B1 true KR101882622B1 (ko) | 2018-07-26 |
Family
ID=6054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610A KR101882622B1 (ko) | 2016-12-09 | 2017-09-18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069229B2 (ko) |
EP (1) | EP3333984A1 (ko) |
JP (1) | JP6540674B2 (ko) |
KR (1) | KR101882622B1 (ko) |
CN (1) | CN108232848B (ko) |
TW (1) | TW20182241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0166U (ko) * | 2020-07-09 | 2022-01-18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자기 잠금식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26531B2 (ja) | 2018-05-22 | 2019-12-25 | マレリ株式会社 | 排熱回収装置 |
JP6841290B2 (ja) | 2019-02-20 | 2021-03-10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947195B2 (ja) | 2019-02-20 | 2021-10-13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996521B2 (ja) * | 2019-02-20 | 2022-01-17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7389399B2 (ja) * | 2019-03-06 | 2023-11-30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CN110048252B (zh) * | 2019-04-04 | 2020-11-20 | 联想(北京)有限公司 | 卡槽及连接方法、主板 |
CN115842255A (zh) * | 2021-09-22 | 2023-03-24 |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 具有按压解锁结构的易锁连接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17645A1 (en) | 2007-07-13 | 2009-01-15 | Ddk Ltd. | Connector |
KR101300008B1 (ko) | 2012-06-18 | 2013-08-26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7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17627B1 (fr) * | 1994-03-21 | 1996-04-26 | Cinch Connecteurs Sa | Dispositif d'accouplement de deux éléments de boîtier d'un connecteur électrique. |
JP3605586B2 (ja) * | 2001-09-25 | 2004-12-2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JP2005116495A (ja) * | 2003-09-19 | 2005-04-28 | Sony Corp |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
JP4006000B2 (ja) * | 2004-11-01 | 2007-11-14 |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4054013B2 (ja) * | 2004-11-02 | 2008-02-27 |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KR20080005215A (ko) * | 2005-04-14 | 2008-01-10 | 타이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플렉시블 기판의 잠금 구조 |
JP4429246B2 (ja) * | 2005-09-30 | 2010-03-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CN101283485B (zh) * | 2005-10-06 | 2010-12-08 |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 连接器 |
TWM298810U (en) * | 2006-02-27 | 2006-10-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2008177096A (ja) * | 2007-01-19 | 2008-07-31 | Yazaki Corp |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
JP4956339B2 (ja) * | 2007-09-07 | 2012-06-20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215700B2 (ja) | 2008-03-26 | 2013-06-19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198990B2 (ja) | 2008-09-16 | 2013-05-1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887351B2 (en) * | 2008-10-30 | 2011-02-15 |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
JP5327461B2 (ja) | 2009-05-13 | 2013-10-30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4410306B1 (ja) * | 2009-06-03 | 2010-02-03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15879B2 (ja) * | 2009-08-10 | 2012-04-11 |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 コネクタ装置 |
JP5333034B2 (ja) * | 2009-08-12 | 2013-11-0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4982770B2 (ja) * | 2009-12-04 | 2012-07-25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4568791B1 (ja) * | 2009-12-16 | 2010-10-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182384B2 (ja) * | 2010-02-05 | 2013-04-17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4704505B1 (ja) * | 2010-03-30 | 2011-06-1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用コネクタ |
JP5146701B2 (ja) | 2010-07-13 | 2013-02-20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112484B2 (ja) * | 2010-08-19 | 2013-01-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099387B2 (ja) * | 2010-09-09 | 2012-12-19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195863B2 (ja) * | 2010-10-12 | 2013-05-15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WO2012052845A2 (en) * | 2010-10-22 | 2012-04-26 | Fci |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
JP5093340B2 (ja) * | 2010-12-27 | 2012-12-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704319B2 (ja) * | 2011-02-14 | 2015-04-2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207004B2 (ja) * | 2011-02-22 | 2013-06-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CN102185198B (zh) * | 2011-02-28 | 2013-03-13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功率接触件及其接触片 |
JP5344059B2 (ja) * | 2011-03-18 | 2013-11-20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2012221752A (ja) * | 2011-04-08 | 2012-11-12 | Hosiden Corp | コネクタ |
JP5920568B2 (ja) * | 2011-06-22 | 2016-05-18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CN102842798B (zh) * | 2011-06-24 | 2014-11-12 |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 连接器 |
CN102842811B (zh) | 2011-06-24 | 2014-12-10 |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5510433B2 (ja) * | 2011-06-29 | 2014-06-04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US8636531B2 (en) * | 2011-07-22 | 2014-01-28 | Hosiden Corporation |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
US8672698B2 (en) * | 2011-07-22 | 2014-03-18 | Hosiden Corporation | Card connector |
CN202183523U (zh) * | 2011-08-01 | 2012-04-04 |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 连接器 |
WO2013018193A1 (ja) * | 2011-08-02 | 2013-02-07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2013045541A (ja) | 2011-08-23 | 2013-03-04 | Daiichi Seiko Co Ltd | コネクタ装置 |
US8337230B1 (en) * | 2011-08-30 | 2012-12-25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8651888B2 (en) * | 2011-09-13 | 2014-02-18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945006B1 (ja) * | 2011-09-26 | 2012-06-06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TWM429189U (en) * | 2011-10-14 | 2012-05-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5799769B2 (ja) | 2011-11-22 | 2015-10-28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KR101920623B1 (ko) * | 2012-01-30 | 2018-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
JP2013178892A (ja) | 2012-02-28 | 2013-09-09 |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5645312B2 (ja) * | 2012-03-01 | 2014-12-2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949081B2 (ja) * | 2012-04-17 | 2016-07-0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549821B2 (ja) * | 2012-04-17 | 2014-07-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CN102629723B (zh) * | 2012-04-24 | 2014-10-22 |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 |
KR101387650B1 (ko) * | 2012-05-15 | 2014-04-23 |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 컨넥터 및 케이블과 컨넥터의 조립체 |
JP5601347B2 (ja) * | 2012-05-16 | 2014-10-08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905776B2 (ja) * | 2012-05-18 | 2016-04-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SG196703A1 (en) * | 2012-08-03 | 2014-02-13 |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 Shield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
JP2014035795A (ja) * | 2012-08-07 | 2014-02-24 |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 コネクタ |
US8851918B2 (en) * | 2012-08-27 | 2014-10-07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
JP2014164883A (ja) * | 2013-02-22 | 2014-09-08 | Fujitsu Component Ltd | コネクタ |
JP6016244B2 (ja) * | 2013-06-11 | 2016-10-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199153B2 (ja) * | 2013-10-25 | 2017-09-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308799B2 (ja) * | 2014-02-21 | 2018-04-1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814411B2 (ja) * | 2014-03-20 | 2015-11-1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907207B2 (ja) * | 2014-04-28 | 2016-04-26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282565B2 (ja) * | 2014-09-22 | 2018-02-21 | 京セラ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5809343B1 (ja) * | 2014-10-30 | 2015-11-10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723478B1 (ja) * | 2014-11-12 | 2015-05-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52393B2 (ja) * | 2014-11-13 | 2019-01-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901733B1 (ja) * | 2014-12-09 | 2016-04-13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6407070B2 (ja) * | 2015-03-13 | 2018-10-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JP6308197B2 (ja) * | 2015-11-10 | 2018-04-11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576798B2 (ja) * | 2015-11-13 | 2019-09-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10305209B2 (en) * | 2016-02-26 | 2019-05-28 | Amphenol Fci Asia Pte Ltd |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2016
- 2016-12-09 JP JP2016239576A patent/JP6540674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9-18 KR KR1020170119610A patent/KR1018826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19 TW TW106132110A patent/TW201822410A/zh unknown
- 2017-11-03 US US15/802,745 patent/US10069229B2/en active Active
- 2017-11-30 EP EP17204779.7A patent/EP333398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7-12-05 CN CN201711270715.9A patent/CN10823284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17645A1 (en) | 2007-07-13 | 2009-01-15 | Ddk Ltd. | Connector |
KR101300008B1 (ko) | 2012-06-18 | 2013-08-26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0166U (ko) * | 2020-07-09 | 2022-01-18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자기 잠금식 커넥터 |
KR200496183Y1 (ko) | 2020-07-09 | 2022-11-17 |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자기 잠금식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33984A1 (en) | 2018-06-13 |
US10069229B2 (en) | 2018-09-04 |
JP2018097975A (ja) | 2018-06-21 |
JP6540674B2 (ja) | 2019-07-10 |
CN108232848A (zh) | 2018-06-29 |
US20180166813A1 (en) | 2018-06-14 |
KR20180066817A (ko) | 2018-06-19 |
TW201822410A (zh) | 2018-06-16 |
CN108232848B (zh) | 201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2622B1 (ko) | 전기 커넥터 | |
US867884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 |
KR101451500B1 (ko) | 전기 커넥터 | |
TWI438976B (zh) | 電連接器 | |
TWI496357B (zh) | 電連接器 | |
US20120231637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KR20150110333A (ko) | 커넥터 | |
TWI489705B (zh) | 電連接器 | |
TWI555277B (zh) | 電連接器 | |
WO2010003100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JP2011014397A (ja) | 電気コネクタ | |
US9490559B2 (en) | Connector having easily unfastened lock lever from a flat conductor | |
US20080026619A1 (en) | Card connector | |
JP6267857B2 (ja)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6342300B2 (ja) | コネクタ | |
KR101359745B1 (ko) | 전기 커넥터 | |
JP2004178823A (ja) |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 |
JP6613129B2 (ja) | 金属端子 | |
US10122104B2 (en) |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 |
JP5979418B2 (ja) | 電気コネクタ | |
TWI479745B (zh) | 電連接器 | |
JP2015215953A (ja) | 電気コネクタ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 |
JP2020145068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5259614A (ja) | ラッチアーム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プラグコネクタ | |
JP2014099380A (ja) | カード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