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9012B1 -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12B1
KR101779012B1 KR1020140106358A KR20140106358A KR101779012B1 KR 101779012 B1 KR101779012 B1 KR 101779012B1 KR 1020140106358 A KR1020140106358 A KR 1020140106358A KR 20140106358 A KR20140106358 A KR 20140106358A KR 101779012 B1 KR101779012 B1 KR 10177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hinge
fixed
perturb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949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14010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12B1/ko
Priority to JP2017600025U priority patent/JP3211702U/ja
Priority to PCT/KR2015/008558 priority patent/WO2016024852A2/ko
Priority to CN201590000859.0U priority patent/CN207264687U/zh
Publication of KR2016002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949A/ko
Priority to US15/430,447 priority patent/US99347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12B1/ko
Priority to US15/899,294 priority patent/US1040317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끝단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상기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 위치하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갖는 마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을 감싸며 상기 덮개판에 관통 섭동되는 섭동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ability of sliding during a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본 발명은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가 적용된 접이식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되는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가 힌지의 펼침 또는 접힘시 힌지 바깥 외주면의 둘레길이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힌지 펼침시 중앙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힌지 접힘시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도록 힌지의 접힘 및 펼침에 따라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의 탄성력을 이용해 자체적인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영상기기 및 모바일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전의 판상 형태를 유지하는 LCD패널 이외에 휘어짐 및 접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패널 및 전자종이와 같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영상기기 및 통신기기에 적용함에 있어 롤러를 사용해 감아서 보관하는 감김 방식 및 접히는 부분에서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며 접어서 보관하는 접이식 방식에 대하여 각각 다수의 특허들이 제시되고 있다.
접이식 방식이 적용된 특허들의 경우는 감김 방식과 달리 롤러 및 롤러관련 구성품들이 필요치 않은 관계로 인해 수첩과 같이 영상표시면이 서로를 마주보며 내부로 접혀지고 수첩 케이스 안쪽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 지지되는 방식의 특허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영상표시면 단차 발생의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못함과 더불어 곡률을 유지하며 접히는 부분이 외력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접이식 방식의 다른 방안으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영상표시면이 바깥면을 향하며 서로를 등지는 상태로 중앙부분이 직접 접혀지는 방식의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8-0012667)가 제시되었으나 중앙부분의 펼침 및 접힘시 접힌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신축성이 부족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흡수할 수 없어 밀봉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해 이의 해결방안으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을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힌지 반대편에 위치한 모서리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안쪽면으로 방향전환 시킨 후 방향 전환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을 적용해 길이변화를 흡수하는 힌지가 반영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힌지가 반영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에 의한 상시적인 장력을 국부적으로 작용시키고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급격히 방향 전환시켜 끌어당겨 주어야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파괴될 수 있다.
또한 힌지의 펼침 및 접힘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가 주변부와 마찰되어 장기간 사용시 밀봉상태가 훼손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그리고 모서리 일측에만 단일 힌지가 적용되어 있으나 적용개념을 확장하여 모서리 양측에 힌지가 적용된다고 가정하여도 적용방법이 불분명하며 양측의 힌지가 동시에 접힐 시 상호간섭 회피 방안이 추가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힌지를 구성하는 몸체가 얇은 판상형의 형태를 갖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주거나 편평한 바닥에 뉘여서 사용하는 단조로운 사용방식만을 강요하는 불편함도 갖는다.
상기의 힌지가 반영된 특허와 달리 힌지의 기능을 대신하는 링크부재를 적용해 펼침 및 접힘시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링크부재가 흡수하는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2-0068710)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링크부재의 접힘 또는 펼침 완료 상태인 경우에만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 변화를 정확히 흡수할 수 있고 접힘 또는 펼침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는 링크부재의 양쪽이 항시 동일하게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무작위로 먼저 작동되는 특징으로 인해 완벽한 길이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그 결과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접힘이 발생하는 부분의 밀봉상태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에 해당하는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에 서로 다른 외력이 작용할 경우 힌지와 달리 링크부재가 뒤틀려 관련부분이 손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완전 펼침 상태시 링크부재가 존재하는 중앙 부분의 뒷면에서 입사되는 주변광을 적절히 차단해주는 부분이 전무해 양측 끝단 부분과 중앙 부분의 색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첫째, 외력이 작용하여도 접힘 관련부분의 파손 우려가 적고 접힘 정도에 따른 접힘 외주면의 길이변화에 정확히 대응되는 힌지방식이 적용되며 방향전환 롤러 및 끝단에 상시 장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의 적용 없이도 힌지의 작동시 힌지가 위치한 중앙 부분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가 힌지의 작동시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부분 밀봉상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해 양측의 모서리에 각각의 힌지를 적용함에 있어 양측의 힌지를 동시에 접어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있다.
넷째,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주거나 편평한 바닥에 뉘여서 사용하는 단조로운 사용방식 이외에도 힌지의 펼침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지지력 적용 없이도 다양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첫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 따르면 일측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A,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1,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첫째 및 둘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섭동판,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B,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1,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에 고정되는 고정판2,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첫째, 셋째 및 넷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3에 따르면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A, 직선 형태를 갖으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밀착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첫째, 둘째, 셋째 및 넷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4에 따르면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한쌍의 섭동판,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B, 직선 형태를 갖으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밀착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2,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및 실시예4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전체가 고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 또는 중간 부분만이 고정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덮개판A에 직접 섭동되거나 또는 상기 섭동판에 밀착된 상태로 섭동판과 함께 상기 덮개판B에 섭동되는 관계로 인해 힌지의 작동시 힌지가 위치한 중앙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4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섭동판에 의해 감싸지며 고정되고 밀착 고정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부분을 고정판2가 압박하며 섭동판에 고정되는 관계로 인해 직접적인 섭동을 수행하는 둘레 부분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밀폐상태로 보호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3은 상기 섭동판 및 고정판2가 적용되지 않아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를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4와 같이 보호할 수는 없지만 상기 섭동판의 섭동걸림턱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제한적인 범위에서 최소한도로 보호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3 및 실시예4와 같이 힌지가 접힘상태로 지지되도록 해주는 형상인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이 평행하지 않고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서 힌지에 조립되어 회동 하는 덮개판A 또는 덮개판B들의 끝단들이 힌지 접힘 지지면 연장선의 교차점을 넘지 않도록 길이를 제한함으로 인해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덮개판A 또는 덮개판B들이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져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3 및 실시예4와 같이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이 평행하지 않은 듀얼 힌지 고정몸체를 적용함으로 인해 힌지가 접혀있는 면을 바닥면삼아 경사진 형태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으며 실시예4와 같이 실시예3에 섭동판을 추가로 적용함으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상기 섭동판의 끝단 모서리와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접힘 지지면 연장선의 교차점 부근에 위치하는 인근의 곳에 각각 접촉면이 형성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면의 확장성 증대 및 보관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사용 편리성을 추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힌지 펼침 및 접힘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덮개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덮개판 및 섭동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힌지 펼침 및 접힘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의 도 1에서 힌지의 접힘 각도 변화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와 접촉되는 힌지 원주면의 길이(L1)는 완전 접힘 상태에서 최대를 이루고 완전 필침 상태에서는 최소값을 갖으며 접힘 각도 변화에 따라 아래의 계산식을 따른다.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와 접촉되는 힌지 원주면의 길이(L1)=힌지 반지름 x 접힘 각도(라디안)
길이 방향의 신축성이 미미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양측 끝단 부분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 힌지가 접힘되면 접힘 각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L1값이 증가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어느 일측에서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한 접힘이 불가능 하거나 또는 강제로 접을 경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찢어짐을 피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측에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을 해제하면 전기적 접속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반대로 완전 접혀있는 상태에서 완전 펼침 상태로 전환되어 접힘 각도가 감소하면 상기 L1값이 감소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어느 일측에서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힌지 부위에서 솟아오르거나 또는 완전한 펼침에 도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일측의 모서리에 힌지를 반영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가 출원되었으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은 밀착 고정 상태를 유지하지만 반대측 끝단은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모서리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안쪽면으로 방향 전환된 후 일측 끝단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을 적용해 내측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에 의한 상시적인 장력 작용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을 롤러를 이용해 안쪽으로 급격히 방향 전환시켜 끌어당겨 주어야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파괴되거나 또는 전기적 접속부위가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 부분이 힌지 작동시 주변 지지물체와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훼손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도 안고 있다.
상기의 도 1 및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힌지를 적용치 않고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2-0068710)가 출원되었다.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힌지의 기능을 대신하는 링크부재를 적용해 펼침 및 접힘시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링크부재가 흡수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각각의 링크부재 하나에 3개소의 회전부분이 존재하고 이러한 링크부재가 2개 이상이 작동되어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접힘 또는 펼침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는 링크부재의 양쪽이 항시 동일하게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링크부재의 어느 한쪽 회전부위가 무작위로 먼저 작동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접힘부분의 정확한 길이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그 결과 접힘이 발생하는 부분의 밀봉상태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부재인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에 서로 다른 외력이 작용할 경우 힌지와 달리 링크부재가 뒤틀려 관련부분이 손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접힘 동작시 가위처럼 접어지는 링크부재에 이물질이 끼어 접힘과정이 중단되거나 또는 손가락 끝단이 끼여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잠재적 안전 위험성도 상존한다.
상기의 도 1,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 및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제시되며 본 발명은 여러 사례별로 구현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및 실시예4가 각각 제시된다.
실시예1은 단일 힌지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은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힌지 작동 과정시 힌지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섭동지지 대상을 관통 섭동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특징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덮개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상기의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은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A(30A),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고정되는 고정판1(50),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의 접힘 각도 변화에 따른 상기 L1 값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 덮개판A(30A)에 관통 섭동되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2단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A(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의 반대면에는 힌지가 접힘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인 힌지 접힘 지지면(12)이 반영되어있다.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에 일측 끝단이 감싸지며 밀착 고정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반대측 끝단 부분을 상기 덮개판A(30A)에 지지 방안 없이 위치시키면 힌지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A(30A)에 섭동 상태로 보관되지 못하고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판A(30A)을 벗어나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휴대성 저하 및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손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판A(30A)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지지된 상태로 관통 섭동될 수 있는 형상이 반영되어야 하며 상기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섭동관통부(31)는 상기 덮개판A(30A)에 위치되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단면 형상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제거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고정되지 않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평면을 유지하며 제한 없이 관통 섭동될 수 있다.
상기 섭동걸림턱(32)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자유롭게 노출되게 된다.
상기의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은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에도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나 그 기능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들과는 상이하다.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에서 상기 섭동관통부(31)와 유사한 형상은 섭동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지 않고 힌지 측에 위치한 일측만 개방 형성되어있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이 관통되지 않은 일측 끝단면을 벗어나 관통 섭동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화면표시면의 확장성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들보다 낮다.
그리고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에서 상기 섭동걸림턱(32)과 유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상기 섭동걸림턱(32)과 달리 해당 형상이 제거되어 있다하여도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이탈되거나 섭동지지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치 않는 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를 단순 숨기는 기능만 하는 점이 다르다.
상기 실시예1은 상기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0)에 의해 일측 끝단이 밀착 고정되어있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 부분은 섭동이 불가능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덮개판A(30A)측에 위치하는 반대측 끝단 부분은 관통 섭동 상태로 유지되어 힌지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시 접힘 각도 증가에 따른 상기 L1값의 증가를 상기 덮개판A(30A) 측에 위치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힌지 측으로 딸려가며 상쇄시키는 효과를 얻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전기적 접속 상태 유지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힌지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완전 펼침 상태로의 전환시 접힘 각도 감소에 따른 상기 L1값의 감소를 상기 덮개판A(30A) 측에 위치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힌지 측으로부터 밀려 나가며 섭동되어 상쇄시키는 결과를 얻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힌지 부위에서 솟아오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1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상기 덮개판A(30A)에 지지되어 관통 섭동되는 방식을 갖음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가 힌지 작동시 마찰 발생 문제가 존재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구성품의 단순화 및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공간 확보가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2는 상기 실시예1이 갖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갖는 마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1에 섭동판(40) 및 고정판2(51)가 추가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덮개판 및 섭동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상기의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는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둘레를 감싸며 함께 섭동되는 섭동판(40),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40)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B(30B),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고정되는 고정판1(50),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40)에 고정되는 고정판2(51),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의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일면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A(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의 덮개판B(30B)는 상기 실시예1과 유사하게 상기 섭동판(40)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40)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섭동판(40)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1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2는 상기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섭동판(40)이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은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 지지부(41) 측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판2(51)에 의해 상기 섭동판(40)과 일체화되어 관통 섭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2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가 상기 덮개판B(30B)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관통 섭동되는 관계를 유지함으로 인해 상기의 실시예1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2는 상기 섭동판(40) 및 상기 고정판2(51)가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덮개판B(30B)의 상기 섭동관통부(31) 높이가 상기 실시예1의 상기 덮개판A(30A)의 상기 섭동관통부(31) 높이보다 증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상기 힌지 접힘 지지면(12)이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실시예1 보다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공간 확보가 불리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에서 힌지 펼침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또는 섭동판(40)이 상기 섭동걸림턱(32)에 섭동 지지되며 힌지 회전축으로부터 자체적으로 밀려나가며 펼쳐지는 동력원은 힌지 부위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갖는 탄성력이다.
그러나 힌지의 펼침 진행에 따라 힌지 부위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갖는 탄성력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 또는 상기 섭동판(40)을 이동시키는 섭동 구동력으로 항상 전환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힌지 인접부위가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로부터 박리되어 들고일어나면 탄성력이 섭동 구동력으로 변환되지 않고 힌지 부위 위로 솟구쳐 올라가는 상방 돌출력으로 변환되게 된다.
따라서 힌지 펼침 진행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 또는 상기 섭동판(40)이 탄성력을 이용해 원만하게 섭동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0)의 힌지 인접부위가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로부터 박리되어 들고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도 4,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일면에 형성된 2단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11)의 하단에 감싸지며 밀착 고정되고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위치하는 상부면 둘레를 상기 고정판1(50)이 압박하며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의 상단 둘레에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는 상기 도 2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일측의 모서리에 단일 힌지가 구비된 고정몸체가 적용된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는 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 이외의 사용방법은 어려우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을 위하여 나머지 반대측 모서리에 힌지를 추가 적용한다 하여도 힌지의 접힘 및 펼침시 덮개판들의 교차지점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달리 다양한 사용 상태를 제공하며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성이 증대되고 힌지들의 접힘 및 펼침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3 및 실시예4가 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상기의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3은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으며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12)들이 평행하지 않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측에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A(30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의 상부면 일측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52),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한쌍의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의 상부면 일측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B(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1과 같이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덮개판A(30A)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일측 끝단 부분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될 수 있는 형상은 각기둥, 각뿔대 및 각뿔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의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실시예3은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되어있고 나머지 모서리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 시 날카로운 느낌을 받지 않도록 곡률을 갖는 삼각기둥 형상이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3에서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는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며 이로 인해 한쌍의 상기 덮개판A(30A)가 동시에 작동되어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게 된다.
상기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상기 실시예3이 상기 실시예1과 달리 다양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 편리성과 함께 접힘 상태 대비 펼침 상태의 영상 표시면 확장 비율이 증대됨을 보여주며 좌우 양측의 힌지들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특별한 지지수단 없이 평면위에 놓아도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사용자를 향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좌우 양측의 힌지들이 모두 접힘 상태로 전환되면 폭이 넓은 판상형태가 아닌 폭이 좁은 각기둥 형태를 유지하므로 손이 작은 사용자도 보다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3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끝단 부분 둘레가 상기 실시예1과 유사하게 상기 덮개판A(30A)과 접촉되며 섭동 지지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마찰발생의 문제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존재한다.
상기 실시예4는 상기 실시예3이 갖는 장점을 유지하고 마찰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3에 한쌍의 섭동판(40) 및 한쌍의 고정판2(51)가 추가로 적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상기의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4는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측에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한쌍의 섭동판(40),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40)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B(30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 일측 상부면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52),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40)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2(51),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한쌍의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 일측 상부면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B(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2와 같이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덮개판B(30B)는 상기 섭동판(40)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40)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2와 같이 상기 실시예4의 상기 섭동판(40)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3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4는 상기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섭동판(40)이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끝단은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 지지부(41) 측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판2(51)에 의해 상기 섭동판(40)과 일체화되어 관통 섭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4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가 상기 덮개판B(30B)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관통 섭동되는 관계를 유지함으로 인해 상기의 실시예3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양쪽 힌지에 조립되어있는 상기 덮개판B(30B)가 모두 펼쳐져있는 상태는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는 양쪽 펼침상태와 달리 고정되지 않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끝단이 강성을 갖는 상기 섭동판(40)과 밀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덮개판B(30B)의 상기 섭동걸림턱(32)에 지지되어있는 상태를 갖음으로 인해 상기 섭동판(40)의 끝단 모서리가 평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어도 끝단 부분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A: 단일 힌지 고정몸체 10B: 듀얼 힌지 고정몸체
11A: 고정판 지지부A 11B: 고정판 지지부B
12: 힌지 접힘 지지면 20A: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20B: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30A: 덮개판A
30B: 덮개판B 31: 섭동관통부
32: 섭동걸림턱 40: 섭동판
41: 섭동판 지지부 50: 고정판1
51: 고정판2 52: 고정판3
60: 접힘감지 센서

Claims (17)

  1.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A;를 포함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2.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섭동판;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B;를 포함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3.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A;를 포함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4.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한쌍의 섭동판;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B;를 포함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5. 제 1항 및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일면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일측 끝단 부분 고정을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A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6. 제 3항 및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면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중앙부분 일측 고정을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B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A는 섭동축과 수직인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단면 형상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와
    상기 섭동관통부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B는 상기 섭동판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와
    상기 섭동관통부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A는 섭동축과 수직인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단면 형상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와
    상기 섭동관통부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B는 상기 섭동판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와
    상기 섭동관통부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섭동판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 고정을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섭동판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 고정을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는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일측 끝단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고정판 지지부A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에 의해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는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일측 끝단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고정판 지지부A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에 의해 일측 끝단이 고정되며 고정되지 않은 반대측 끝단은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일측 끝단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 지지부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에 의해 상기 섭동판과 일체화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는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 일측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고정판 지지부B 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에 의해 중앙 부분이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는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 일측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고정판 지지부B 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에 의해 중앙 부분이 고정되며 고정되지 않은 양측의 끝단들은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일측 끝단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 둘레를 압박하며 각각의 상기 섭동판 지지부 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2에 의해 일측 끝단 부분들이 섭동판들과 일체화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17. 제 3항 및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는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형상이 반영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20140106358A 2014-08-15 2014-08-15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77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358A KR101779012B1 (ko) 2014-08-15 2014-08-15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JP2017600025U JP3211702U (ja) 2014-08-15 2015-08-17 ヒンジ作動時フレキシブルな表示手段の弾性力を用いて終端のスライディングが可能な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PCT/KR2015/008558 WO2016024852A2 (ko) 2014-08-15 2015-08-17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CN201590000859.0U CN207264687U (zh) 2014-08-15 2015-08-17 利用铰链动作时的柔性显示单元的弹力而能够使末端滑动的柔性显示装置
US15/430,447 US9934706B2 (en) 2014-08-15 2017-02-11 Flexibl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liding action using elasticity of flexible display means being foldable
US15/899,294 US10403177B2 (en) 2014-08-15 2018-02-19 Flexible display device of which end portion is perturbable by using elastic force of flexible display device during hinge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358A KR101779012B1 (ko) 2014-08-15 2014-08-15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06A Division KR101759612B1 (ko) 2017-02-21 2017-02-21 플렉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949A KR20160020949A (ko) 2016-02-24
KR101779012B1 true KR101779012B1 (ko) 2017-09-18

Family

ID=5530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358A KR101779012B1 (ko) 2014-08-15 2014-08-15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34706B2 (ko)
JP (1) JP3211702U (ko)
KR (1) KR101779012B1 (ko)
CN (1) CN207264687U (ko)
WO (1) WO20160248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46382S (en) * 1975-11-10 1977-11-15 Parker Iii John Castlereagh Bedpan
KR102406091B1 (ko)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72173B1 (ko) * 2015-07-0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787593B2 (ja) * 2015-08-03 2020-11-18 カナンハントンジダ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柔軟性のある表示装置が備えられたアウトフォールディング映像表示装置の保護ケース及び保護ケースの適用方案
KR102527213B1 (ko) * 2016-07-05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210310B (zh) 2016-07-08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警控制方法、预警控制装置和柔性显示装置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KR102545778B1 (ko) * 2016-10-11 2023-06-21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KR101748692B1 (ko) * 2016-10-25 2017-06-2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화면 투과창이 적용된 하부 커버를 갖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KR102601500B1 (ko) * 2016-11-11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D901495S1 (en)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0552S1 (en) * 2017-12-20 2020-07-21 Target Brands, Inc. Display unit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77928B1 (ko) * 2018-04-25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D961586S1 (en) 2018-05-11 2022-08-2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display
CN112449710A (zh) * 2018-05-18 2021-03-05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防护结构及柔性显示装置
CN108665812B (zh) * 2018-06-28 2020-12-2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弯曲装置及显示设备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66251B (zh) * 2018-08-28 2020-06-2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11256304B2 (en) 2018-08-31 2022-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spensions for displays
US10426050B1 (en) * 2018-10-15 2019-09-24 Roo Inc. Home security device assembly for direct mail packages
US10809767B2 (en) * 2018-10-25 2020-10-20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0782739B2 (en) * 2018-10-29 2020-09-22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0105796A1 (ko) * 2018-11-23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55877B2 (en) 2018-12-11 2021-03-23 Intel Corporation Physical keyboards for multi-display computing devices
CN109495621B (zh) * 2018-12-17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及移动终端
US10820433B2 (en) 2019-01-31 2020-10-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3338B2 (en) 2019-01-31 2021-04-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03217B2 (en) 2019-01-3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0159095A1 (en) * 2019-01-3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18860B1 (ko) 2019-02-19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90763B1 (ko) * 2019-03-29 2024-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16583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1007750A1 (zh) * 2019-07-15 2021-01-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27741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M592168U (zh) * 2019-07-03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2392850B (zh) * 2019-08-16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支撑铰链装置、柔性屏用折叠装置和移动终端
CN110364085B (zh) * 2019-08-29 2021-07-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US11237643B2 (en) 2019-12-13 2022-02-01 Intel Corporation Physical keyboards for multi-display computing devices
CN110958802B (zh) * 2019-12-19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的收线模组及电子设备
CN111273732B (zh) * 2020-01-20 2022-09-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WO2021199282A1 (ja) * 2020-03-31 2021-10-0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11395421B2 (en) * 2020-05-26 2022-07-19 Wuhan China Star Optoelee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Slid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008031A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WO2022025320A1 (ko) * 2020-07-30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071204B (zh) * 2020-09-11 2022-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968524B (zh) * 2020-09-17 2022-08-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3050757A (zh) * 2021-03-12 2021-06-2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203051B (zh) * 2021-12-28 2022-11-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8792A1 (en) 2012-06-12 2013-12-12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342B1 (ko) * 1998-05-30 2001-03-02 김순택 플렉시블한액정표시소자를구비한휴대용액정표시장치
KR100678189B1 (ko) * 2004-11-1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US7714801B2 (en) *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0744295B1 (ko) * 2005-09-2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0850508B1 (ko) 2006-08-04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낸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
US8005518B1 (en) *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TWI441116B (zh) *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KR101111441B1 (ko) 2008-12-01 2012-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오픈 시스템 아키텍처에서의 응용 소프트웨어 구조 생성 방법 및 장치
US8355755B2 (en) * 2009-03-03 2013-01-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1995919A (zh) * 2009-08-26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脑
KR20110029089A (ko) * 2009-09-14 2011-03-22 유상규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2974B1 (ko) *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TWI431363B (zh) * 2010-07-21 2014-03-21 E Ink Holdings Inc 可撓式顯示裝置及其防誤觸方法
US8579426B2 (en) 2010-12-17 2013-11-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olid-ink pellets
US9335793B2 (en) *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8848351B2 (en) * 2012-04-11 2014-09-3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rame for LCD device and LCD device
KR20140045024A (ko) * 2012-10-08 2014-04-16 임유섭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986762B1 (ko) * 2012-10-19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9294597B2 (en) *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8792A1 (en) 2012-06-12 2013-12-12 Scott A. Myers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3177B2 (en) 2019-09-03
CN207264687U (zh) 2018-04-20
WO2016024852A3 (ko) 2016-04-28
KR20160020949A (ko) 2016-02-24
US20180174497A1 (en) 2018-06-21
US20170169741A1 (en) 2017-06-15
WO2016024852A9 (ko) 2016-03-17
WO2016024852A2 (ko) 2016-02-18
JP3211702U (ja) 2017-08-03
US9934706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12B1 (ko)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759612B1 (ko)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244804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1452872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장치
KR101794872B1 (ko) 초과 펼쳐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JP5980374B1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携帯用情報機器
EP2546720B1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100235888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JP3701097B2 (ja) 開閉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機器
JP2021184162A (ja) 携帯用情報機器
KR20140045024A (ko) 플렉시블 표시장치
KR20150082918A (ko)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747271B2 (ja) 電子機器
KR101269070B1 (ko) 이중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접이식 모바일 기기용 보호 커버
CN111798752B (zh)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TWI531299B (zh) 可攜式電子裝置
KR100455545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327069Y1 (ko) 회전형 힌지장치
KR102357039B1 (ko) 메모지 고정 판
JP2006325923A (ja) コンパクト容器
JP7395419B2 (ja) ロールペーパホルダ
JP2010231055A (ja) 携帯型表示装置
JP2001027913A (ja) 情報処理装置
JPH11127960A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200312888Y1 (ko) 염색용 호일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