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6630B1 - 양자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양자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30B1
KR101726630B1 KR1020100111510A KR20100111510A KR101726630B1 KR 101726630 B1 KR101726630 B1 KR 101726630B1 KR 1020100111510 A KR1020100111510 A KR 1020100111510A KR 20100111510 A KR20100111510 A KR 20100111510A KR 101726630 B1 KR101726630 B1 KR 10172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quantum
ligand
blue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145A (ko
Inventor
허준영
도의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30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r Fermi energy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자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하여도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하는 양자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자 발광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양극;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 상기 양자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된 음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들은 각각 HOMO 준위가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양자 발광 소자{QUANTUM-DOT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양자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양자점을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양자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Display)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중 발광 재료를 이용하여 표시가 가능하며, 슬림화가 가능하며, 색순도가 높고 또한,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양자 발광 소자가 근래 연구되고 있다.
양자점(QD:Quantum Dot)은 반도체 나노입자이다. 직경이 나노미터 크기의 양자점은 불안정한 상태의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내려오면서 발광하는데, 양자점의 입자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이 발생하고, 입자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이 발생한다. 이는 기존의 반도체 물질과 다른 독특한 전기적이며 광학적인 특성이다. 따라서 양자점의 크기를 조절하면 원하는 파장의 가시광선을 표현하고, 여러 크기의 양자점과 양자점 성분을 달리하여 다양한 색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소자는 발광층의 재료로 유기 발광 재료를 사용하며, 유기 발광 재료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백색, 적색, 청색 등 단일색을 구현하는데, 많은 빛을 화려하게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양자점 발광 소자는 발광층의 재료로 양자점을 사용하는 표시 소자이며, 양자점의 크기를 제어하여 원하는 천연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색재현율이 좋고 휘도 또한 발광다이오드에 뒤쳐지지 않아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 받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양자점을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백색을 발광하는 일반적인 양자점 발광 소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양자점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이며, 도 2는 양자 발광 소자의 색좌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양자점 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서로 대향된 양극(10) 및 음극(50)과, 상기 양극(10)과 음극(50) 사이에 형성된 양자 발광층(30)과, 상기 양극(10)과 양자 발광층(30) 사이에 형성된 정공 수송층(20)과, 상기 양자 발광층(30)과 음극(50) 사이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자 발광층(30)은 직경이 나노미터 크기인 복수개의 양자점들로 구성되며, 적색(Red) 양자점(30R), 녹색(Green) 양자점(30G) 및 청색(Blue) 양자점(30B)들을 혼합되어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그 중심에 빛을 내는 코어(Core) 성분이 있고, 상기 코어 표면에는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쉘(Shell)이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자 발광층(30)은 용매에 복수개의 양자점들을 분산시킨 후,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으로 상기 정공 수송층(20) 상에 상기 복수개의 양자점들이 분산된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형성되므로, 상기 쉘(Shell) 표면에는 양자점이 용매에 잘 분산되도록 리간드(Ligand)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20)은 상기 양극(10)으로부터 정공 주입을 용이하게 해주고, 상기 양자점으로 정공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자 수송층(40)은 상기 음극(50)으로부터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해주고, 상기 양자점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색 양자점(30R), 녹색 양자점(30G) 및 청색 양자점(30B)은 빛을 내는 코어 성분만 다를 뿐, 쉘과 리간드는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적색 양자점(30R), 녹색 양자점(30G) 및 청색 양자점(30B)의 코어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가 다르므로, 상기 양자점들의 구동 전압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색 양자점(30R)의 HOMO 준위가 가장 높고 상기 청색 양자점(30B)의 HOMO 준위가 가장 낮다. 그리고, 양자점의 HOMO 준위가 높을수록 정공이 양자점으로 주입되기 쉬우므로, 적색 양자점(30R)의 구동 전압이 가장 낮고, 청색 양자점(30B)의 구동 전압이 가장 높다.
즉,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적색 양자점(30R), 녹색 양자점(30G) 및 청색 양자점(30B)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을 갖는 양자 발광 소자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현되는 백색이 다르다.
도 2를 참조하면, 높은 전압을 인가할수록 구현되는 백색의 색좌표가 청색쪽으로 이동한다. 낮은 전압을 인가하면 구동 전압이 가장 낮은 적색 양자점(도 1b의 30R)으로 전자와 정공이 먼저 주입되어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은 청색 양자점(도 1b의 30B)에서도 많은 엑시톤이 형성되므로, 양자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현되는 백색이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의 구동 전압을 맞추어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하는 양자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양극;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 상기 양자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된 음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들은 각각 HOMO 준위가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적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낮다.
상기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높다.
상기 적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이다.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옥틸아민(Octylamine)이다.
상기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부틸아민(Butylamine)이다.
또한, 동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양극;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 상기 양자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된 음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의 쉘들은 각각 두께가 다르다.
상기 적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청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보다 얇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는,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의 구동 전압을 맞추어, 인가되는 전압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양자점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
도 2는 양자 발광 소자의 색좌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
도 4a, 4b 및 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색(Red) 양자점, 녹색(Green) 양자점 및 청색(Blue) 양자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
도 5a, 5b 및 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색(Red) 양자점, 녹색(Green) 양자점 및 청색(Blue) 양자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는, 양자 발광층을 구성하는 적색(Red) 양자점, 녹색(Green) 양자점 및 청색(Blue) 양자점이 각각 밸런스 밴드가 다른 리간드를 갖거나, 각각 두께가 다른 쉘을 가져 구동 전압이 동일하여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이며, 도 4a, 4b 및 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색(Red) 양자점, 녹색(Green) 양자점 및 청색(Blue) 양자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자 발광 소자는, 기판(미도시), 상기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 양극(110), 상기 양극(110)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120), 상기 정공 수송층(120) 상에 형성되며, 코어(Core),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Shell)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Ligand)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130), 상기 양자 발광층(130)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140), 그리고, 상기 전자 수송층(140) 상에 형성된 음극(150)을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리간드들은 각각 HOMO 준위가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양극(110)과 정공 수송층(120) 사이에 정공 주입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수송층(140)과 음극(150) 사이에 전자 주입층과 정공 억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억제층은 상기 양자 발광층(130)으로 주입된 정공이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판(미도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가능하며,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양극(11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인듐 산화물(Indium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Tin Oxide)로부터 선택되는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극(150)은 칼슘(Ca),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은(Ag), 바륨(Ba)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110)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120)은 상기 양극(110)으로부터 정공 주입을 용이하게 해주고, 상기 양자 발광층(130)으로 정공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자 발광층(130)은 1㎚ 내지 100㎚의 직경을 갖는 나노 크기의 양자점들로 구성되며, 상기 양자 발광층(130)은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크기가 다른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이 혼합된 구조이다.
상기 양자점은 그 중심에 빛을 내는 코어(Core) 성분이 있고, 상기 코어 표면에는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쉘(Shell)이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자 발광층(130)은 용매에 복수개의 양자점들을 분산시킨 후,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으로 상기 정공 수송층(120) 상에 상기 복수개의 양자점들이 분산된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형성되므로, 상기 쉘(Shell) 표면에는 양자점이 용매에 잘 분산되도록 리간드(Ligand)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코어와 쉘은 나노 크기의 무기반도체이며, 쉘은 코어보다 밴드갭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양자점의 코어 또는 쉘은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설파이드(CdS), 카드뮴텔레라이드(CdTe), 징크셀레나이드(ZnSe), 징크텔레라이드(ZsTe), 징크설파이드(ZnS), 머큐리텔레라이드(HgTe)와 같은 2-6족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인듐 아세나이드(InAs), 인듐 포스파이드(InP)와 같은 3-5족 반도체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런데,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은 코어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가 다르다. 상기 적색 양자점(30R)의 코어의 HOMO 준위가 가장 높고, 상기 청색 양자점(30B)의 코어의 HOMO 준위가 가장 낮다. 그리고, 양자점의 HOMO 준위가 높을수록 정공이 주입되기 쉬우므로, 적색 양자점(130R)의 구동 전압이 가장 낮고,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이 가장 높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이 다르므로, 낮은 전압을 인가하면 구동 전압이 가장 낮은 적색 양자점(130R)으로 전자와 정공이 먼저 주입되어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은 청색 양자점(130B)에서도 많은 엑시톤이 형성되므로, 양자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현되는 백색이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자 발광 소자는,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리간드를 HOMO 준위가 다른 물질로 형성한다.
상기 리간드는 상기 정공 수송층(120)에서 양자점으로 정공이 주입될 때, 상기 코어의 HOMO 준위보다 더 하측에 HOMO 준위를 갖게 되어, 상기 정공이 양자점으로 주입될 때, 에너지 배리어로 기능하게 된다.
즉, 구동 전압이 가장 낮은 적색 양자점(130R)의 리간드는 낮은 HOMO 준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하고,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은 청색 양자점(130B)의 리간드는 높은 HOMO 준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하여,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이 동일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a와 같이, 구동 전압이 가장 낮은 적색 양자점(130R)의 리간드는 HOMO 준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적색 양자점(130R)의 리간드가 적색 양자점(130R)으로 주입되는 정공에 대해 높은 에너지 장벽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적색 양자점(130R)의 구동 전압이 높아진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은 청색 양자점(130B)의 리간드는 HOMO 준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청색 양자점(130B)으로 정공이 잘 주입되어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이 낮아진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녹색 양자점(130G)의 리간드는 상기 적색 양자점(도 4a의 130R)의 리간드의 HOMO 준위와 청색 양자점(도 4c의 130B)의 리간드의 HOMO 준위의 사이의 HOMO 준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맞추어주어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색변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색 양자점(130R)의 리간드는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 ODA)이며, 상기 녹색 양자점(130G)의 리간드는 옥틸아민(Octylamine; OA)이며, 상기 청색 양자점(130B)의 리간드는 부틸아민(Butylamine; B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자 발광층(130) 상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140)은 상기 음극(150)으로부터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해주고, 상기 양자 발광층(130)으로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공 수송층(120)은,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PPV(poly(p-phenylene vinylene), PVK(Poly-N-Vinylcarbazole), NPD(N,N'-dinaphthyl-N,N'-diphenyl benzidine), CBP(4, 4'-N, N'-dicarbazole-biphenyl), DNA-CTMA(cetyl trimethylammonium-Deoxyribonucleic acid), mCP(1,3-bis(carbazol-9-yl), PEDOT:PSS(poly(3,4 - 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전자 수송층(140)은 TAZ(3-(4-biphenylyl)-4-phenyl-5-t-butylphenyl-1,2,4-triazole), BCP(basocuproine), TPBI(1,3,5- tris(N-phenylbenzimidazol-2-yl) benzene), Alq3(tris(8-quinolinolato)aluminium complex)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 제 2 실시예 *
도 5a, 5b 및 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색(Red) 양자점, 녹색(Green) 양자점 및 청색(Blue) 양자점의 밴드갭 에너지 다이어그램도이다.
이때,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도 3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겠다.
도 5a, 5b 및 5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발광 소자는 기판(미도시), 상기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 양극(110), 상기 양극(110)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120), 상기 정공 수송층(120) 상에 형성되며, 코어(Core),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Shell)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Ligand)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130), 상기 양자 발광층(130)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140), 그리고, 상기 전자 수송층(140) 상에 형성된 음극(150)을 이루어지며,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쉘들은 각각 두께가 다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양극(110)과 정공 수송층(120) 사이에 정공 주입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수송층(140)과 음극(150) 사이에 전자 주입층과 정공 억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억제층은 상기 양자 발광층(130)으로 주입된 정공이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양자 발광 소자는,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코어를 둘러싸는 쉘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상기 각 쉘이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으로 주입되는 정공의 에너지 배리어로 기능하여, 상기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와 같이, 구동 전압이 가장 낮은 적색 양자점(130R)의 쉘이 두께가 가장 두껍다. 따라서, 상기 쉘이 적색 양자점(130R)으로 주입되는 정공의 높은 에너지 장벽으로 기능하여 상기 적색 양자점(130R)의 구동 전압이 높아진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구동 전압이 가장 높은 청색 양자점(130B)의 쉘이 두께가 가장 얇아 상기 청색 양자점(130B)으로 정공이 잘 주입되어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이 낮아진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녹색 양자점(130G)의 쉘은 적색 양자점(도 5a의 130R)의 쉘의 두께보다 두껍고, 청색 양자점(도 5c의 130B)의 쉘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적색 양자점(130R), 녹색 양자점(130G) 및 청색 양자점(130B)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맞추어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색변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양극 120: 정공 수송층
130R: 적색 양자점 130G: 녹색 양자점
130B: 청색 양자점 130: 양자 발광층
140: 전자 수송층 150: 음극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양극;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로 구성된 적색 양자점, 녹색 양자점 및 청색 양자점이 혼합된 양자 발광층;
    상기 양자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형성된 음극을 구비하며,
    상기 적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낮고, 상기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높거나,
    상기 적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청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쉘의 두께보다 얇은 양자 발광 소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낮고, 상기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가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의 HOMO 준위보다 높을 때,
    상기 적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이며,
    상기 녹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옥틸아민(Octylamine)이며,
    상기 청색 양자점의 리간드는 부틸아민(Butylamine)인 양자 발광 소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11510A 2010-11-10 2010-11-10 양자 발광 소자 KR10172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10A KR101726630B1 (ko) 2010-11-10 2010-11-10 양자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10A KR101726630B1 (ko) 2010-11-10 2010-11-10 양자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45A KR20120050145A (ko) 2012-05-18
KR101726630B1 true KR101726630B1 (ko) 2017-04-13

Family

ID=4626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10A KR101726630B1 (ko) 2010-11-10 2010-11-10 양자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3990B2 (en) 2018-08-14 2022-07-19 Lg Display Co., Lt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89A1 (ko) * 2012-12-03 2014-06-1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발광 양자점
KR101596361B1 (ko) * 2014-06-24 2016-03-08 (주)이코루미 자연광 led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601102B1 (ko) 2016-08-09 2023-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양자점-폴리머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US11421151B2 (en) 2016-11-25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quantum dot
CN112425265B (zh) * 2018-07-24 2024-06-18 夏普株式会社 发光装置、发光装置的制造方法、发光装置的制造装置
US20230247848A1 (en) * 2020-06-01 2023-08-0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20230180607A1 (en) * 2020-06-09 2023-06-0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3583A (zh) * 2005-05-31 2008-06-18 通用显示公司 发射磷光的二极管中的苯并[9,10]菲基质
KR101557498B1 (ko) * 2008-11-05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점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09B1 (ko) * 2009-01-09 2012-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다층 박막을 포함한 전기발광소자
KR101652789B1 (ko) * 2009-02-23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양자점층을 가지는 양자점 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3990B2 (en) 2018-08-14 2022-07-19 Lg Display Co., Lt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45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104B1 (ko) 양자점 발광 소자
KR101726630B1 (ko) 양자 발광 소자
KR101686107B1 (ko)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4068B1 (ko) 양자점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KR101777136B1 (ko) 양자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94645B1 (ko) 양자 발광 소자
CN106486516B (zh) 有机发光装置
US20210210707A1 (en) Stacked perovskite light emitting device
KR102230925B1 (ko) 유기발광소자
CN108023024B (zh) 量子点发光二极管和包括其的量子点显示装置
KR20150124010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EP4176469B1 (en) Novel light emitting device architectures
US20210242418A1 (en) Pixel arrangement comprising a perovskite light emitting diode
KR102081101B1 (ko) 양자 발광 소자
KR2022009273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0146A (ko) 양자 발광 소자
US20210296618A1 (en) Perovskite light emitting device with multiple emissive layers
US20240057366A1 (en) Improved light emitting devices
KR10193603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70112452A (ko) 유기발광소자
KR10259524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230034484A (ko) 다층 전극, 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표시 장치
WO2024236281A1 (en) Multi gamut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