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3321B1 -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321B1
KR101613321B1 KR1020097022511A KR20097022511A KR101613321B1 KR 101613321 B1 KR101613321 B1 KR 101613321B1 KR 1020097022511 A KR1020097022511 A KR 1020097022511A KR 20097022511 A KR20097022511 A KR 20097022511A KR 101613321 B1 KR101613321 B1 KR 10161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nomer
copolymer
thermoplastic mold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406A (ko
Inventor
노르베르트 니쓰너
경호 손
라비 포너스와미
Original Assignee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2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70 내지 76 중량%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A1, 24 내지 30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A2 및 0 내지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 A3으로 이루어진 5 내지 95 %의 공중합체 A, 0 내지 60 %의 그라프트 고무 B, 및 5 내지 50 %의 얇은 유리 섬유 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사출성형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유리 섬유 강화, 비닐방향족, 비닐 시아나이드, 그라프트 고무

Description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GLASS FIBER REINFORCED ABS COMPOSITIONS WITH IMPROVED STIFFNESS AND TOUGHNESS}
본 발명은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을 기재로 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및 열가소성 ABS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수년 동안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및 유리 섬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특수한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조성물, 성형품, 호일 및 코팅, 및 이것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무의 혼입을 통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개질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은 수년 동안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무의 존재 하에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그라프트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이러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별도로 제조된 공중합체 매 트릭스와 블렌딩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EP-A 0 022 200에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또한 고무 라텍스,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우선 개시제로서 퍼옥소이황산칼륨을 사용하여 자유-라디칼 중합을 통해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제조한다. 이어서 이러한 고무 라텍스를, 고무 입자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응집 공정에 적용시킨다. 예를 들면 고무 라텍스를,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의 유화액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응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개시제를 사용하여, 응집된 고무 라텍스를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과 반응시킴으로써, 그라프트 고무를 제조한다.
유리 섬유(GF) 강화된 열가소성 혼합물도 역시 수년 동안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물질의 강성 및 강도의 증가를 초래하는 반면에, 탄성 및 특히 충격강도는 종종 현저하게 감소된다. 인성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효과적인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매트릭스와 유리 섬유 사이에 견고한 부착 또는 커플링이 존재해야 한다.
JP 56/095953에는 가용성 비-가교 산-함유 고무의 존재하에서 GF-함유 펠렛 및 GF-비함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GF 강화된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어하기 어려운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유리 섬유가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견고하게 커플링되지 않는다.
DE-A 33 24 909에는, ABS 성형 조성물에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폭시기-함유 공중합체는 대규모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DE-A 34 36 602에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 A,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과 말레산 이미드의 중합체 B,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중합체 C 및 그라프트 고무 D로 이루어진 GF-강화된 열가소성 수지 화합물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중합체 혼합물의 물리적 성질을 통해, 유리 섬유와 공중합체의 커플링이 부적당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US 5,039,719에는, ABS 공중합체에 대한 유리 섬유의 커플링을 개선하기 위해 말레산 무수물-함유 공중합체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생성된 ABS의 용융유동이 감소되어, 중합체 생성물이 사출성형에 덜 적합하게 된다.
EP-A 03 03 919에는, 추가로 그라프트 고무 D를 함유할 수 있는, A 스티렌과 아크릴니트릴의 공중합체와 B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과 3차-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특수한 삼원공중합체의, 유리 섬유-함유 성형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중요 단량체는 약 200 ℃보다 높은 컴파운딩 온도에서 분해되어 (메트)아크릴산 단량체 단위와 이소부텐이 되는 3차-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그러나 제조 과정 동안에 기체상 및 가연성 이소부텐이 형성되는 것은 산업화 공정으로의 규모 확대를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US 6,211,269에는 ABS 성형 조성물에 있어서 GF와의 커플링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수한 유기 주석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주석 성분은, 특히 식품 접촉을 위한 물품, 장난감, 화장품 용기 또는 의료 장치와 같은 용도에서 독성학적으로 불리하다.
따라서, 용융유동과 같은 기타 성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서 유리 섬유와 공중합체 사이의 강화가 개선된 ABS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놀랍게도, 비닐방향족 단량체를 갖는 공중합체(즉 ABS 조성물의 SAN 매트릭스) 내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의 함량을 24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8 중량%의 양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생성된 GF-강화된 ABS의 기계적 성질 뿐만 아니라 광학적 외관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성분(각각의 중량%가 표기되어 있음)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1) (1.1.1) 70 내지 76 %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A1,
(1.1.2) 24 내지 30 %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A2,
(1.1.3) 0 내지 50 %의 하나 이상의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 A3
으로 이루어진 5 내지 95 %의 공중합체 A,
(1.2) (1.2.1)
(1.2.1.1) 80 내지 100 %의 고무형 단량체, 예를 들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B11,
(1.2.1.2) 0 내지 20 %의 이중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면 디비닐
벤젠,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실리콘 B12
를 포함하는 10 내지 95 %의 그라프트 고무 코어 B1, 및
(1.2.2)
(1.2.2.1) 75 내지 85 %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B21,
(1.2.2.2) 15 내지 25 %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B22,
(1.2.2.3) 0 내지 50 %의 하나 이상의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 B23
을 포함하는 5 내지 90 %의 그라프트 셀 B2
로 이루어진 0 내지 60 %의 그라프트 고무 B,
(1.3) 5 내지 50 %의 유리 섬유 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또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1.1) (1.1.1) 72 내지 76 %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A1,
(1.1.2) 24 내지 28 %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A2,
(1.1.3) 0 내지 50 %의 하나 이상의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 A3
으로 이루어진 5 내지 95 %의 공중합체 A,
(1.2) (1.2.1)
(1.2.1.1) 80 내지 100 %의, 부타디엔, 이소프렌, 부틸 아크릴레
이트 및 실리콘 B11의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
(1.2.1.2) 0 내지 20 %의, 디비닐벤젠,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실리콘 B12의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
를 함유하는 10 내지 95 %의 그라프트 고무 코어 B1, 및
(1.2.2)
(1.2.2.1) 75 내지 85 %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B21,
(1.2.2.2) 15 내지 25 %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B22,
(1.2.2.3) 0 내지 50 %의 하나 이상의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 B23
을 함유하는 5 내지 90 %의 그라프트 셀 B2
로 이루어진 0 내지 60 %의 그라프트 고무 B,
(1.3) 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유리 섬유 C.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성분 A, B 및 C(또는 성분 A 및 C), 및 추가의 성분으로서,
(D) (D1) 50 내지 95 %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D2) 4 내지 50 %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및
(D3) 1 내지 30 %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을 함유하는,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의 공중합체, 및/또는
(E) 0 내지 10 %의 저분자량 디-, 트리- 또는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추가의 성분으로서
(D) (D1) 70 내지 100 %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들),
(D2) 0 내지 20 %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 및
(D3) 0 내지 10 %의 또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를 함유하는,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섬유 성분 C로서, 10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직경 및/또는 0.1 내지 15 ㎜의 길이를 갖는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추가의 관능성 성분 E로서, 에폭시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 이미드 관능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저분자량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추가의 성분 K로서, 분산제(DA), 완충 물질(BS), 분자량 조절제(MR), 충전제(F) 및 첨가제(D)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라프트 고무 B가 20 내지 80 중량%의 그라프트 고무 코어 B1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는, 추가의 성분 F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 PMMA,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을 통해 공중합체 A를 제조하는 것, 유화중합을 통해 그라프트 고무 B를 제조하는 것, 이어서 열가소성 공중합체 A 및 결과적으로 그라프트 고무 B를 유리 섬유 성분 C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의 성분 및/또는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성형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전술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에 따르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다양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SAN 매트릭스의 극성도가 높으면 유리 섬유와 매트릭스 사이의 상용성이 증가한다(그리고 그 결과로 기계적 성질의 증가가 발견될 수 있음)고 생각되었으므로, 중합체 매트릭스 내의 비닐 시아나이드 %를 감소시킨다는 본 발명의 교시는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A:
특허청구된 GF-강화된 ABS 조성물의 공중합체 A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공중합체 A의 한 성분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파라-메틸스티렌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닐방향족 단량체이다. 바람직한 단량체는 스티렌이다.
공중합체 A의 기타 성분은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공중합체 A는 추가로,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산 이미드,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 A는 통상적으로 70 내지 76 중량%,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26 중량%의 양의 비닐방향족 성분을 함유한다.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24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8 중량%이다.
모든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괴상중합, 용액중합, 현탁중합 및 유화중합, 또는 복합 공정, 예를 들면 괴상/현탁 중합을 사용하고, 추가의 성분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성분 A를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체 매트릭스 A를, 바람직하게는 괴상중합을 통해 또는 하나 이상의 용매의 존재 하에서,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 및/또는 α-메틸스티렌으로부터 제조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광산란을 통해 결정될 수 있는(자외선 검출 GPC 사용) 몰질량 Mw이 50 000 내지 300 000 g/mol인 공중합체 A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매트릭스 A는 특히,
(Aa) (Aa)를 기준으로 70 내지 76 중량%의 스티렌 및 24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제조된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또는
(Ab) (Ab)를 기준으로 70 내지 76 중량%의 α-메틸스티렌 및 24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제조된 폴리-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또는
(Ac) 공중합체 매트릭스(Aa)와 공중합체 매트릭스(Ab)의 혼합물
을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체 매트릭스 A를,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의 공중합을 통해 수득할 수도 있다. 공중합체 매트릭스 A의 수평균 몰질량(Mn)은 바람직하게는 15 000 내지 100 000 g/mol(자외선 검출 GPC에 의해 결정됨)이다. 공중합체성 매트릭스 A의 점도(Vz)는 예를 들면 50 내지 120 ㎖/g(DMF 중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25 ℃에서 DIN 53726에 따라 측정)이다. 공중합체 매트릭스 A를, 예를 들면 문헌[Kunststoff-Handbuch[Plastics Handbook], Vieweg-Daumiller, 제 V 권, (Polystyrol)[Polystyrene], Carl-Hanser-Verlag, Munich 1969, 122 페이지 이하]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에틸벤젠 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B
유화중합, 용액중합 또는 현탁중합을 통해 고무 그라프트 기재 B1 상에서 그라프트 고무 B을 중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화중합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직경은 50 내지 10 00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 ㎚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기재 고무는 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미만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가교된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그라프트 고무 기재 B1은 부타디엔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부타디엔 중합체를 임의로 기타 단량체, 예를 들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와 공중합시킬 수 있다.
고무 기재 B1 자체는 상이한 단량체 조성을 보여주는 중합체 코어 및 셀을 갖는 코어/셀 중합체일 수 있다. 고무 기재 B1을 위한 기타 바람직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기타 공단량체와 함께, n-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이다.
그라프트 고무 B의 셀 B2는 전형적으로, +20 ℃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 초과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중합체를 생성하도록 공중합되는 단량체들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단량체는 예를 들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산 이미드 및 말레산 무수물이다.
그라프트 고무 B는 종종 복잡한 구조를 갖고, 본질적으로 그라프트 기재 및 그라프트 셀로 이루어진다.
그라프트 기재는 예를 들면 그라프트 기재를 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의 스티렌과 90 내지 100 중량%의 부타디엔과 0.01 내지 5 중량%의 보조 성분의 반응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그라프트 셀은 예를 들면 그라프트 기재의 존재 하에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과 0.01 내지 5 중량%의 보조 성분(중량%는 그라프트 셀을 기준으로 함)의 반응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의 그라프트 고무 코어 B1을 갖는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고무 B를 포함한다. 성형 조성물은 둘 이상의 상이한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를 위해서는, 퍼옥소-이황산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 특히 유기 과산화물 및 또한 하나 이상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디-3차-부틸 퍼옥사이드, 큐멘 히드로퍼옥사이드, 3차-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p-멘탄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이것들의 혼합물의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환원제는 일반적으로 환원 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그라프트 고무 B의 제조 공정에서는, 큐멘 히드로퍼옥사이드, p-멘탄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이것들의 혼합물의 군에서 선택된 유기 과산화물, 및 술핀산의 염, 아황산의 염, 아디티온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및 이것의 염, 론갈리트 C(Rongalit C)(나트륨 포름알데히드-술폭실레이트), 모노- 및 디히드록시아세톤, 당, 제 1 철염, 제 1 주석염 및 티타늄(III)염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환원제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이 사용된다.
유화중합을 그라프트 기재(B1)의 제조를 위해 수행하고 개시제로서 퍼옥소이황산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고무 B의 적합한 제조 공정의 예는 유화중합, 용액중합, 현탁중합 또는 괴상중합이고, 여기서 그라프트 고무 B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자유-라디칼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된다. 특히, WO-A 2002/10222, DE-A 28 26 925 및 EP-A 022 200에는 적합한 중합 공정이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성 반응매개체 중 단량체의 일부를 초기 충전물로서 사용하고, 자유-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한 후, 경우에 따라서는 수성 반응매개체 중의, 나머지 잔량의 단량체를 첨가함으로써, 자유-라디칼-개시된 수성 유화중합을 통해, 그라프트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자유-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적어도 일부, 및 경우에 따라서는 수성 반응매개체 중의 추가의 보조제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충전물로서 사용하고, 생성된 수성 반응매개체를 중합 온도로 만들고, 이러한 온도에서 단량체를 수성 반응매개체에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혼입을 혼합물의 형태, 예를 들면 수성 단량체 유화액의 형태로 수행할 수도 있다.
수용성 또는 지용성 자유-라디칼 중합 개시제,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과산화물(예를 들면 퍼옥소이황산염 또는 벤조일 과산화물), 또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반응을 개시한다. 그라프트 기재의 제조 공정에서 퍼옥소이황산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사용되는 자유-라디칼 개시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이다.
그라프트 고무 B의 입자크기분포는 단봉, 이봉 또는 다봉 분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자크기분포는 이봉 분포이다.
언급된 평균입자크기 및 입자크기분포는 누적 중량 분포로부터 결정된 크기이다. 본 발명의 취지상 언급된 상기 및 추가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문헌[W. Scholtan 및 H. Lange, Kolloid. -Zeitschrift und Z.-Polymere 250(1972), 782 내지 796 페이지]의 방법에 의해 분석적 초원심분리를 통해 결정된 중량평균입자크기이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라는 용어는 다양한 그라프트 고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추가의 그라프트 고무의 유화액을 그라프트 고무의 수성 반응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그라프트 고무의 혼합물을 단리시킬 수 있다. 그라프트 고무를 이것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C:
본 발명에 따르는 유리 섬유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유리 섬유, 예를 들면 전통적인 A, E, C 또는 S-유리 섬유이다. 저-알칼리 함유 또는 알칼리-비함유 섬유가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길이는 0.1 내지 15 ㎜ 이거나 무한 유리 로빙(roving)이다. 유리 섬유의 전형적인 직경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섬유는 중합체 매트릭스에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즈제를 이미 함유한다. 사이즈제로써 처리된 섬유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성분 C는 종종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특정한 실시양태에서는 20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D:
부착촉진제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관능기, 예를 들면 에폭시,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미드기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E
임의로,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에폭시-,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 이미드 관능기를 갖는 저분자량 관능성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는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N-페닐 말레산 이미드 -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성분 F
임의로,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의 성분으로서, 추가의 중합체 또는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중합체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PMMA,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각각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의 관능기수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페놀성 OH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되는 디페놀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0.05 내지 2.0 몰%로 혼입시킴으로써, 분지화물을 수득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방향족 시스템에 결합된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브롬 및/또는 염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을 갖지 않는다. 이것들의 평균분자량(Mw, 중량평균; 예를 들면 초원심분리 또는 산란광 측정법에 의해 결정됨)은 10 000 내지 200 000, 바람직하게는 20 000 내지 80 000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즉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것의 반응성 유도체(예를 들면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릴지방족 디올로 이루어진 반응 생성물, 및 이러한 반응 생성물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문헌[Kunststoff-Handbuch[Plastics Handbook], 제 VIII 권, 695 페이지 이하, Carl Hanser Verlag, Munich 1973]을 참고), 테레프탈산(또는 이것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공지된 호모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및 이러한 폴리아미드들의 혼합물이다. 이것은 반결정질 및/또는 비결정질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는 나일론-6, 나일론-6,6 및 혼합물, 및 이러한 성분들로 이루어진 상응하는 공중합체이다. 산 성분이 전적으로 또는 어느 정도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 및/또는 수베르산 및/또는 세박산 및/또는 아젤라산 및/또는 아디프산 및/또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고, 디아민 성분이 전적으로 또는 어느 정도는 m- 및/또는 p-자일릴렌디아민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및/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및/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및/또는 이소포론디아민으로 이루어지고, 그 조성이 공지된 반결정질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적으로 또는 어느 정도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된 출발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사용하여, 고리 내에 7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가 언급될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결정질 폴리아미드는, 디아민,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m- 및/또는 p-자일릴렌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민, 2,5- 및/또는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 및/또는 1,4-디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과,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옥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데칸디카르복실산, 헵타데칸디카르복실산,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아디프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의 중축합을 통해 수득된 공지된 생성물이다.
기타 적합한 공중합체는 다수의 단량체들의 중축합을 통해 수득된 공중합체, 및 아미노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ε-아미노카프로산, ω-아미노운데칸산, 또는 ω-아미노라우르산, 또는 이것의 락탐의 첨가를 통해 제조된 공중합체이다. 특히 적합한 비결정질 폴리아미드는, 이소프탈산,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추가의 디아민, 예를 들면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이소포론디아민,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5- 및/또는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넨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또는 이소프탈산,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또는 이소프탈산,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라우로락탐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또는 테레프탈산 및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이성질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그 양은 (각각의 경우에 100 중량부의 중합체 매트릭스 A + 그라프트 고무 B를 기준으로) 50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중량부 이하이다.
그러나, 둘 이상의 언급된 중합체들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ABS 성분을 기준으로, 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의 상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첨가제는 윤활제, 예를 들면 광유, 실리콘유, 프탈레이트, 왁스, 스테아레이트, 디아민(예를 들면 스테아릴 비스 에틸렌 디아민), 유기 또는 무기 충전제, 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활석, 탄소, 이산화실리슘, 자외선 안정화제, 예를 들면 HALS(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트리아진, 흡수제, 열안정화제, 예를 들면 장애 페놀, 비타민 E, 착색제, 안료, 색상 배치(예를 들면 중합체 매트릭스 내의 카본블랙) 등 또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내에서 사용되는 추가의 첨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BS 성형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보조제 및 가공 첨가제는, 0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 특히 0 내지 4 중량%의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는 중합체의 가공 또는 개질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이다.
언급될 수 있는 예는 염료, 안료, 착색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제, 내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가수분해 및 화학약품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열분해에 견디게 하는 제제, 및 특정 윤활제이고, 이것들은 성형품의 제조에 있어 유리하다. 이러한 추가의 첨가제들을, 제조 또는 제작 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첨가제들의 안정화 효과(또는 기타 특수한 효과)를 초기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초기 시점에서, 물질에 계량 첨가할 수 있다. 추가의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에 대해서라면, 예를 들면 문헌["Plastics Additives Handbook", Ed. Gaechter and Mueller, 제 4 판, Hanser Publ., Munich, 1996]을 참고하도록 한다.
적합한 안료의 예는 이산화티타늄, 프탈로시아닌, 울트라마린 블루, 산화철, 또는 카본블랙, 및 유기 안료의 전체 군이다.
적합한 착색제의 예는 중합체의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착색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안료, 특히 스티렌 공중합체의 착색에 적합한 안료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난연제의 예는,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할로겐을 포함하거나 인을 포함하는 화합물이고, 기타 예는 수산화마그네슘이고, 기타 친숙한 화합물,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산화방지제의 예는, 다양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고 치환체를 통한 가교도 가질 수 있는 입체 장애 단핵성 또는 다핵성 페놀성 산화방지제이다. 다수의 페놀성 모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량체성 뿐만 아니라 올리고머성 화합물도 여기에 포함된다. 토코페롤 및 이것의 유도체를 기재로 하는 산화방지제가 그러하듯이, 히드로퀴논 및 히드로퀴논과 유사한 치환된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산화방지제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는, 스티렌 공중합체에 적합한,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화합물, 예를 들면 이가녹스(Irganox)를 사용할 수 있다. 공-안정화제로서 공지된 물질, 특히 인을 포함하거나 황을 포함하는 공-안정화제를 상기에서 예로서 언급된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라면 P를 포함하거나 S를 포함하는 공-안정화제를 알 것이다.
적합한 광안정화제의 예는 다양한 치환된 레조르시놀, 살리실레이트,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놀이다. 사용될 수 있는 소광제는 무기 물질, 예를 들면 활석, 유리 비드 또는 금속 탄산염(예를 들면 MgCO3, CaCO3)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 입자(특히 (중량-평균) 직경 d50이 1 ㎜ 초과인 구형 입자)이다. 공중합된 산성 및/또는 염기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적하방지제의 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론) 중합체 및 초고분자량 폴리스티렌(2 000 000 초과의 분자량 Mw을 가짐)이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을,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성분 A, B 및 C(및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의 중합체, 충전제 및 통상적인 첨가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성분들을, 용융물 상태에서 혼합, 예를 들면 압출, 혼련, 또는 함께 압연시킴으로써, 블렌딩할 수 있다. 이를 예를 들면 160 내지 400 ℃,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80 ℃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성분(B)을, 제조 공정의 각 단계에서 수득된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미리 어느 정도는 또는 완전히 단리시킨다. 예를 들면, 그라프트 고무 B는, 압출기에서 열가소성 공중합체 매트릭스 A의 펠렛과 혼합될 때, 습윤하거나 건조한 부스러기/분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품, 예를 들면 시트 또는 반제품, 호일, 섬유 또는 발포체, 및 상응하는 성형품, 예를 들면 시트, 반제품, 호일, 섬유 또는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의 전술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공지된 가공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사용될 수 있는 제조 공정은 열성형, 압출, 사출성형, 캘린더링, 중공성형, 압축성형, 가압소결 또는 기타 유형의 소결,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공중합체 매트릭스 A의 일반적 제조 방법
공중합체 매트릭스 A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 (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에틸벤젠과 같은 유기 용매 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Kunststoff-Handbuch[Plastics Handbook], Vieweg-Daumiller, 제 V 권, (Polystyrol)[Polystyrene], Carl-Hanser-Verlag, Munich 1969, 122 페이지 이하, 12번째 줄 이하]에 일반용어로 기술된 바와 같은 공정을 본 실시예에서의 작업을 위한 기본 공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를 두 개(또는 그 이상)의 매트릭스들의 혼합물 형태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1a) 특정 실시예에서는,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용매의 10 내지 20 중량%의 구성비율로, 150 내지 180 ℃의 온도에서, 65 중량%의 스티렌 및 3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80 ㎖/g의 점도 Vz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1)를 제조할 수 있다.
(1b) 대안으로서, 75 중량%의 스티렌 및 2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80 ㎖/g의 점도 Vz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2)를 제조할 수 있다.
(1c) 75 중량%의 스티렌 및 2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60 ㎖/g의 점도 Vz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3)를 제조할 수 있다.
(1d) 81 중량%의 스티렌 및 19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60 ㎖/g의 점도 Vz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4)를 제조할 수 있다.
(1e) 67 중량%의 스티렌 및 33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60 ㎖/g의 점도 Vz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5)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유리 섬유(C)를 갖는 공중합체 매트릭스(A)의 제조 방법
35 중량%의 유리 섬유(제조사: 오웬스 코닝(Owens Corning), FT574, 절단형, 길이 3.0 ㎜)의 혼합물을 65 중량%의 하기 중합체 매트릭스와 컴파운딩하였다:
A-1: S/AN 65/35,
A-2: S/AN 75/25,
F-1: 색상 배치: 35% 카본블랙 및 65% 코폴리머매트릭스(Copolymermatrix) A-2
240 ℃의 온도 및 250 r.p.m.에서 압출기(제조사: 버스토프(Berstorff) ZE25 LD = 33D)에서 컴파운딩을 수행하였다. 중합체를 다이플레이트를 통해 압출하였고, 수-냉각된 중합체 스트랜드를 과립화하였다.
240 ℃에서, 75 MT 형체력(clamp force), 60 % 사출 속도, 55 ℃ 성형틀 온도에서 통상적인 사출성형기(LG ID 75EN)를 사용하여 과립화된 중합체를 사출성형하여, 표준 ASTM D638에 따르는 응력/변형 시험에서 사용되기 위한 두께 3.2 ㎜의 견본 및 표준 ASTM D256에 따르는 두께 3.2 ㎜의 견본을 만들었다.
조성물의 성질을 보여주기 위해서,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 인장강도(ASTM D-638)
- 충격강도(ASTM D-256)
- 시각적 평가(1: GF 관찰 안됨, 10: 매우 거친 광택없는 표면, ISO306)
열가소성 조성물의 특성화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시험 방법은 하기에 간략하게 정렬되어 있다:
(a) 인장강도 및 굴곡 모듈러스를 23 ℃의 온도에서 ASTM D-638 방법에 따라 결정한다.
(b) 침투(다축 인성)[Nm]:
플라크(240 ℃의 용융 온도 및 50 ℃의 성형틀 온도에서 패밀리 성형틀(family mold)에서 ISO 294에 따라 제조됨, 60 × 60 × 2 ㎜)에서 ISO 6603-2에 따라 침투를 결정한다.
(c) 유동성(MVR[㎖/10']):
10 ㎏의 하중을 사용하여 220 ℃에서 중합체 용융물 상에서 ISO 1133 B에 따라 유동성을 결정한다.
(d) 탄성(탄성 모듈러스[MPa]):
(250 ℃의 용융 온도 및 60 ℃의 성형틀 온도에서 ISO 294에 따라 제조됨) 시험 견본 상에서 ISO 527-2/1A/50에 따라 탄성을 시험한다.
(e) 점도
DMF 중 중합체의 0.5 % 농도 용액에서 DIN 53726에 따라 점도수(Vz)를 결정한다.
(f) 시각적 평가(1: GF 관찰 안됨, 10: 매우 거친 광택없는 표면)
실시예 1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성분 A-1: S/AN 65/35(VLP)
성분 A-2: S/AN 75/25(VL3)
성분 C-1: 유리 섬유(오웬스 코닝 FT584)
성분 D-1: PMMA(LG IF 870S)
성분 E-1: SAN-MA(BASF VT2421)
성분 F-1: 색상 배치: 35 % 카본블랙 및 65 % S/AN 75/25
Figure 112009065936349-pct00001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열가소성 조성물보다 더 우수한 시각적 평가를 갖는다.
실시예 2
두번째 실험에서는, S/AN/MA의 첨가 효과가 나타나 있다.
기본 수지로서, 상업적 ABS 등급(터루란(Terluran) GP-22, 바스프 아게(BASF AG)(독일), 및 터루란 GP-35, 바스프 아게)을 사용하였고, 컴파운딩 조건 하에서 유리 섬유, SAN 성분 및 S/AN/MA와 혼합하였다.
성분 A-3은 25 %의 AN을 함유한다.
Figure 112009065936349-pct00002
Figure 112009065936349-pct00003
실시예 3
세번째 실험에서는, 유리 섬유 강화된 SAN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의 효과가 기술된다.
Figure 112009065936349-pct00004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매트릭스 내의 총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내지 26 중량%인 유리 섬유 강화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경우, 매우 우수한 시각적 평가가 관찰된다.

Claims (12)

  1. 72 내지 76 중량%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A1,
    24 내지 28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A2
    로 이루어진 5 중량% 이상의 공중합체 A;
    5 내지 50 중량%의 유리 섬유 C;
    (D1) 70 내지 100 중량%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들),
    (D2) 0 내지 20 중량%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
    (D3) 0 내지 10 중량%의 또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를 함유하는 0.01 내지 10 중량%의 공중합체 D
    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 C, 및 D의 합계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으로서
    80 내지 100 중량%의 고무형 단량체 B11,
    0 내지 20 중량%의 이중 불포화 단량체 B12
    를 포함하는 10 내지 95 중량%의 그라프트 고무 코어 B1; 및
    75 내지 85 중량%의 비닐방향족 단량체(들) B21,
    15 내지 25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단량체 성분(들) B22
    를 포함하는 5 내지 90 중량%의 그라프트 셀 B2
    로 이루어진 0 내지 60 중량%의 그라프트 고무 B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고무형 단량체 B11이 부타디엔, 이소프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이중 불포화 단량체 B12가 디비닐 벤젠,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섬유 성분 C로서, 10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직경 및 0.1 내지 15 ㎜의 길이를 갖는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 K로서, 분산제(DA); 완충 물질(BS); 분자량 조절제(MR); 충전제(F); 및 윤활제, 염료, 안료, 착색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제, 내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가수분해 및 화학약품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열분해에 견디게 하는 제제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D)의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 F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 PMMA,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7.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 또는 유화중합을 통해 공중합체 A를 제조하는 것, 이어서 열가소성 공중합체 A 및 유리 섬유 성분 C 및 공중합체 D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르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르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7022511A 2007-03-29 2008-03-20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KR101613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5162.7 2007-03-29
EP07105162 200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406A KR20100021406A (ko) 2010-02-24
KR101613321B1 true KR101613321B1 (ko) 2016-04-18

Family

ID=3941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511A KR101613321B1 (ko) 2007-03-29 2008-03-20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30393B2 (ko)
EP (1) EP2132262B1 (ko)
KR (1) KR101613321B1 (ko)
ES (1) ES2437324T3 (ko)
WO (1) WO2008119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5401B (en) * 2006-09-29 2012-01-01 Cheil Ind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
KR100781965B1 (ko) * 2006-12-29 2007-12-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75957B1 (ko) * 2007-12-28 2008-12-26 제일모직주식회사 압출 성형성이 향상된 내화학성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150817B1 (ko) * 2008-12-15 2012-06-13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1098281B1 (ko) * 2008-12-17 2011-12-23 제일모직주식회사 브롬화 디페닐에탄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20100069878A (ko) * 2008-12-17 2010-06-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119720B2 (en) * 2008-12-29 2012-02-21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lowability
KR20100078694A (ko) * 2008-12-30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과 내충격성 그리고 광택이 우수한 고유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251377B1 (de) 2009-05-11 2011-07-20 Basf Se Verstärkte Styrolcopolymere
KR101174089B1 (ko) * 2009-06-12 2012-08-1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1023541A1 (de) * 2009-08-31 2011-03-0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faserverstärkten san-copolymeren mit verbesserter schlagzähigkeit und leichter verarbeitbarkeit
KR101267267B1 (ko) * 2009-12-30 2013-05-27 제일모직주식회사 색상발현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080050B2 (en) * 2011-03-02 2015-07-14 Basf Se Use of vinylaromatic-diene copolymers in lactam compositions
KR101360892B1 (ko) 2011-06-21 2014-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성, 내열성, 내황변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549492B1 (ko) 2011-12-28 2015-09-0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황변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03421256B (zh) * 2012-05-22 2016-03-30 韩国锦湖石油化学株式会社 含有无机充填材料和纤维增强材料的亲环境门窗材料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40086738A (ko)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WO2014104485A1 (ko) 2012-12-28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US10301449B2 (en) 2013-11-29 2019-05-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ight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KR101690829B1 (ko) 2013-12-30 2016-12-2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114133B1 (en) 2014-03-03 2024-07-24 Trinseo Europe GmbH Styrenic composition containing long fibers
US10636951B2 (en) 2014-06-27 2020-04-2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KR101719034B1 (ko) * 2014-08-29 2017-03-2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3319B1 (ko) 2014-12-17 2017-11-03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180043657A1 (en) 2015-02-19 2018-02-15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Component made of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with increased notched bar impact strength
WO2016170104A1 (de) 2015-04-22 2016-10-27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Styrol-polymer basierte organobleche für weisse ware
WO2016170129A1 (de) 2015-04-22 2016-10-27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Verwendung von faserverbund-werkstoffen zur herstellung von technischen textilien
US10711110B2 (en) 2015-04-22 2020-07-14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Method for producing a fibre-composite made from amorphous, chemically modified polymers with reinforcement fibres
WO2016170098A1 (de) 2015-04-22 2016-10-27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Verwendung von faserverbund-werkstoffen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bzw. transluzenten formkörpern
EP3285999A1 (de) 2015-04-22 2018-02-28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Verwend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s mit sandwich-struktur und schaumstoff-komponente
WO2016170103A1 (de) 2015-04-22 2016-10-27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Transluzente faserverbund-werkstoffe aus chemisch modifizierten polymeren
KR102513503B1 (ko) 2015-04-22 2023-03-23 엔진거 게엠베하 비정질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중합체로부터 섬유 복합체를 생산하는 방법
KR101849830B1 (ko) 2015-06-30 2018-04-18 롯데첨단소재(주) 내충격성 및 광신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2129016A1 (de) 2020-12-16 2022-06-23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Füllstoff-haltige, mit kontinuierlicher faser verstärkte thermoplastische polymer-verbundwerkstoffe mit geringer oberflächenwelligkeit
WO2022129045A1 (de) 2020-12-16 2022-06-23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verbundwerkstoffs enthaltend ein thermoplastisches polymer
WO2022180018A1 (de) 2021-02-23 2022-09-01 Ensinger Gmbh Faserverstärktes komposit-material mit styrol(co)polymer und naturfaser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5793B1 (de) 1990-11-10 1995-02-08 Bayer Ag Verstärkte ABS-Formmassen enthaltend tert.-alkylesterhaltige Pfropfpolymeris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0518150B1 (de) 1991-06-14 1996-03-20 Bayer Ag Verstärkte ABS-Formmassen
US20020115748A1 (en) 2000-12-20 2002-08-22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styrenic thermoplastic composites containing an aminosilane coupl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6925A1 (de) 1978-06-20 1980-01-17 Basf Ag Witterungsbestaendige, schlagzaehe thermoplastische massen mit guter einfaerbbarkeit
DE2927572A1 (de) 1979-07-07 1981-01-22 Basf Ag Themoplastische formmassen
JPS5695953A (en) 1979-12-28 1981-08-03 Mitsubishi Monsanto Chem Co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3324909A1 (de) * 1983-07-09 1985-01-17 Bayer Ag, 5090 Leverkusen Geschlichtete glasfasern und ihre verwendung in abs-kunststoffen
JPS59187046A (ja) 1984-10-05 1984-10-24 Mitsubishi Monsanto Chem Co ガラス繊維強化耐熱性樹脂組成物
DE3727928A1 (de) 1987-08-21 1989-03-02 Basf Ag 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0345640A (ja) 1989-07-14 1991-02-27 Mitsubishi Monsanto Chem Co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NL9000806A (nl) 1990-04-06 1991-11-01 Stamicarbon Vezel versterkte polymeersamenstelling.
US6211269B1 (en) * 1991-08-08 2001-04-03 Bayer Ag Glass-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ABS compositions
CA2110285C (en) * 1992-03-31 2002-11-12 Yasutoshi Jagawa Glas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494586B2 (ja) * 1999-03-26 2004-02-09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封止方法
DE10037280A1 (de) 2000-07-28 2002-02-07 Basf Ag Verfahren zur Agglomeration dispergierter Kautschuke
DE102005040620A1 (de) 2004-10-11 2006-04-13 Bayer Materialscience Ag Glasfaserverstärkte Polymer-Zusammensetzungen
DE102004059238A1 (de) 2004-12-08 2006-06-14 Basf Ag Füllstoffhaltige Formmassen auf Basis von Styrolcopolymer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5793B1 (de) 1990-11-10 1995-02-08 Bayer Ag Verstärkte ABS-Formmassen enthaltend tert.-alkylesterhaltige Pfropfpolymeris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0518150B1 (de) 1991-06-14 1996-03-20 Bayer Ag Verstärkte ABS-Formmassen
US20020115748A1 (en) 2000-12-20 2002-08-22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styrenic thermoplastic composites containing an aminosilane coupl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9678A1 (en) 2008-10-09
US20100113648A1 (en) 2010-05-06
KR20100021406A (ko) 2010-02-24
EP2132262B1 (en) 2013-10-16
EP2132262A1 (en) 2009-12-16
ES2437324T3 (es) 2014-01-10
US8030393B2 (en)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321B1 (ko)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KR102179363B1 (ko)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부타디엔에 기초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
KR102179358B1 (ko)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부타디엔에 기초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
US8232342B2 (en)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KR102237246B1 (ko) 개선된 균열 및 화학적 내성을 갖는 abs 몰딩 조성물 및 그의 사용
JPH10158343A (ja) 高光沢abs型の熱可塑性成形用組成物
US8022146B2 (en) Copolymers of para-alpha dimethylstyrene and thermoplastic compositions
JP2024521493A (ja) Smmaコポリマーおよびsbc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含む高い透明度および延性のある成形用組成物
JP4105879B2 (ja) ゴム強化熱可塑性樹脂及びゴム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29640B1 (ko) 열가소성 성형재
US5081193A (en) Low gloss agent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JP4333857B2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再生成形材料
US9732210B2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molding compounds with a high glass fiber content
KR20130068871A (ko) 고온에서의 가공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5216076A (en) Low gloss agent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KR20210028182A (ko) 높은 내열성 충격 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배합물
JP415989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3710A (ja) 耐暗所変色性に優れた透明持続性帯電防止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279370A (ja) 摺動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5290876A (en) Low gloss agent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KR20190099504A (ko) 우수한 저온 인성, 고광택, 및 높은 가공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 및 열가소성 성형 배합물
JP2005082717A (ja) プラスチックカード用の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20030052525A (ko) 충격 강도가 향상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KR20240012450A (ko) 우수한 저온 충격 강도를 갖는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아크릴 고무
EP1394208A1 (en) Wheatherable resin compositions having low gloss appear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