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3982B1 - 더치커피머신 - Google Patents

더치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82B1
KR101593982B1 KR1020140100839A KR20140100839A KR101593982B1 KR 101593982 B1 KR101593982 B1 KR 101593982B1 KR 1020140100839 A KR1020140100839 A KR 1020140100839A KR 20140100839 A KR20140100839 A KR 20140100839A KR 101593982 B1 KR101593982 B1 KR 10159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coffee
contain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스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스턴
Priority to KR102014010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flow rate
    • A23L3/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장시간 소량의 물을 커피가루에 공급함에 있어서, 센싱부를 장착하여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수량 및 유속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커피농도의 표준화 및 더치커피의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머신은, 물을 저장하는 워터 프레임; 상기 워터 프레임의 물을 공급받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용기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워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워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내부에 상기 워터 프레임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펌핑부에서 펌핑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외면 상부에 결합된 센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머신{Dutch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더치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소량의 물을 커피가루에 공급함에 있어서, 센싱부를 장착하여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수량 및 유속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커피농도의 표준화 및 더치커피의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커피가루에 소량의 물을 공급하여, 상온에서 3시간 이상 추출하는 커피이다.
드립커피와 달리 쓴맛이 덜하고 향이 좋을 뿐만 아니라, 카페인 함량이 적어 이를 찾는 소비자들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맞춰,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많은 장비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상온에 물을 저장하는 용기, 커피가루를 저장하는 용기 및 여기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존 장비들은 노즐형태의 수동식 조절 추출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제대로 된 더치커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사용자에 의해 수량 조절 및 커피가루의 불림 시간이 조절되어야 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를 매번 확인하고 조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워터펌프를 추가한 디지털 펌프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비가 제안된바 있으나, 여전히 커피가루의 양에 따라 그 수량 조절 및 커피가루의 불림 시간 조절이 어려웠다.
그리고, 더치커피는 이를 생산하기 위해 오랜시간이 투자되어야 하고 투자된 시간에 비해 생산되는 양이 매우 적어 커피시장의 수요를 맞추기엔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공정 시에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수량 및 유속, 커피가루의 불림시간 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커피농도의 표준화 및 더치커피 추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머신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92192호(발명의 명칭: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90147호(발명의 명칭:커피 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커피 머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 소량의 물을 커피가루에 공급함에 있어서, 센싱부를 장착하여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수량 및 유속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커피농도의 표준화 및 더치커피의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더치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머신은, 더치커피머신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워터 프레임; 상기 워터 프레임의 물을 공급받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용기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워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워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내부에 상기 워터 프레임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펌핑부에서 펌핑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외면 상부에 결합된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통해 상기 펌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프레임은, 상기 워터 프레임의 상부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뚜껑; 및 상기 워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개구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피가루 용기는, 상기 커피가루 용기의 상부가 개구된 몸체;및 상기 몸체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드립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용기 프레임; 및 상기 용기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프레임의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프레임의 밑면은 메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 중단에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중부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 하단에 상기 커피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부 프레임은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워터 프레임의 물을 살균시키는 UV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치커피머신은, 상기 가이드관이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에서 인출된 가이드관에 결합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판단하는 마이콤; 상기 마이콤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버튼; 및 상기 마이콤에 입력된 정보 및 판단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더치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센싱부에 의해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 및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커피가루의 불림 대기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커피농도의 표준화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노즐을 구비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커피가루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커피액의 추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시간 상온에 있는 물에 UV를 투과시킴으로써, 해로운 미세균이 사멸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머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커피가루 용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어부를 통한 조절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머신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커피가루 용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더치커피머신(100)은 워터 프레임(200), 커피가루 용기(300), 커피용기(400), 고정 프레임(500), 및 지지 프레임(600)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워터 프레임(200)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워터 프레임(200)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2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210)는 평상시에 기타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개구부(210)에 안착되는 뚜껑(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워터 프레임(200)에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워터 프레임(200)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개구부(210) 및 이에 뚜껑(220)을 안착시키는 형태가 아닌, 워터 프레임(2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통상의 어떠한 기술로 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상기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워터 프레임(200)의 하단 일측에는 워터 프레임(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토출될 수 있는 개구공(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커피가루 용기(300)는 몸체(310) 및 드립관(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몸체(310)는 상부가 개구된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여기서, 몸체(310)는 몸체(310) 내부에 삽입되는 용기 프레임(330) 및 분리 프레임(340)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용기 프레임(330)은 커피가루 용기(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커피가루 용기(300) 내면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으며, 커피가루 용기(300)와 마찬가지로 그 형상은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프레임(330)의 밑면은 메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용기 프레임(330) 내부에 저장된 커피가루가 커피용기(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용기 프레임(330)이 분리 프레임(340)과 함께 커피가루 용기(300) 내부를 여러 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한 수단만으로 사용된다면, 용기 프레임(330) 밑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로 용기 프레임(330)의 밑면에 끼워질 수 있는 메쉬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리 프레임(340)은 용기 프레임(3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기 프레임(330) 내부를 여러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공간의 수에 따라 분리 프레임(340)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드립관(320)은 몸체(310)의 하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하나 이상의 드립관(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분리 프레임(340)에 의해 분리된 공간마다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종래 더치커피를 추출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림에도 불구하고 소량만이 생산됐던 단점을 보완하고, 더치커피의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립관(320)의 면적은 커피가루가 커피용기(400)에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피용기(400)는 커피가루 용기(300)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통, 그릇 및 병 등 일반적인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피용기(400)는 드립관(320)의 개수에 따라 각각 커피액을 담을 수 있도록 커피용기(400)를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립관(320)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커피용기(40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500)은 커피가루 용기(300) 및 커피용기(4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 프레임 (510) 및 수평 프레임(5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510)은 워터 프레임(2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중부 프레임(520) 및 하부 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부 프레임(520)은 수직 프레임(510)의 외면 중단에 결합하며, 커피가루 용기(300)가 부분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부 프레임(520)은 다수개의 홀(5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중부 프레임(520)이 홀(521)로 이루어지는 것은, 커피가루 용기(300)의 드립관(320)이 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가루 용기(300)의 드립관(32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부 프레임(520)의 홀(521)의 개수도 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 경우, 중부 프레임(520)이 다수개의 홀(521)로 이루어지게 되면 커피가루 용기(300)의 드립관(320)의 개수를 대체하기 어려우므로, 중부 프레임(520)에 하나의 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다른 부재를 따로 구비함으로써, 중부 프레임(5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530)은 수직 프레임(510)의 외면 하단에 결합하며, 이에 커피용기(4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530)은 평면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하부 프레임(530)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을 형성시켜 커피가루 용기(300)에서 추출된 커피를 한번 더 거르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피용기(400) 또한 하부 프레임(530)의 홀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600)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를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하지만, 하부 프레임(530)은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기 위한 커피용기(400)를 안착시키는 것이 주된 역할 이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이를 수직 프레임(510)에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수직 프레임(510)은 이중의 프레임을 이룸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내부 공간에 펌핑부(511), 가이드관(513), 센싱부(514) 및 제어부(5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펌핑부(511)는 일측이 워터 프레임(200)의 개구공(230)에 결합되며, 워터 프레임(230)에 저장된 물이 커피가루 용기(300)에 분사될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상기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관(513)의 일측은 펌핑부(511)에 결합되며, 펌핑부(511)에 의해 펌핑된 물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싱부(514)는 수직 프레임(510) 외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워터 프레임(200)에서 공급되는 수량 및 유속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51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센싱부(514)에서 전달된 정보를 판단하여 펌핑부(5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조절 방법은 하기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수직 프레임(510)은 내부에 워터 프레임(200)의 물이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UV램프(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온에 있는 물을 커피가루에 공급하기 때문에, 여름철과 같이 더운 날에는 세균, 바이러스 등 해로운 균이 물에 번식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과 같이 에너지가 충분히 높은 전자기파를 물에 투과시킴으로써,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수평 프레임(540)은 수직 프레임(510)의 상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이중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중공부(542) 및 분사부(5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공부(542)는 이중 프레임 중 하부 수평 프레임(540)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가이드관(513)이 인출되는 것이 좋다.
인출된 가이드관(513)의 타측에는 분사부(550)가 결합됨으로써, 가이드관(513)을 통해 가이드된 물이 커피가루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분사부(550)는 다수개의 노즐(55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용기 프레임(330)이 분리 프레임(340)에 의해 여러 공간으로 분리되면 각각의 공간으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분리 프레임(340)이 용기 프레임(330)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다수개의 노즐(551)을 이룸으로써 커피가루에 물이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지지 프레임(600)은 워터 프레임(200) 및 고정 프레임(500)과 결합하여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510)에 형성된 하부 프레임(530)은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530)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커피용기(400)는 지지 프레임(600) 위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512)는 마이콤(512a), 전원부(512d), 조작버튼(512c) 및 표시화면(512b)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이콤(512a)은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MCU는 원칩 형태로 이루어진 소형의 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하여, 원칩컴퓨터 또는 마이컴이라 불리기도 한다. 단순한 시간예약에서부터 특수한 기능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비메모리 반도체이다. 따라서, MCU내에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콤(512a)의 동작을 위해, 제어부(512)는 전원부(512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값을 조작버튼(512c)을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UV램프(515)의 on/off 및 지속시간 등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표시화면(512b)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시간 및 측정되는 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마이콤(512a)은 센싱부(514)에서 전달된 측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펌핑부(33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어부를 통한 조절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마이콤은 더치커피 추출에 있어서, 커피가루 g당 공급되는 수량 등이 최적 추출비율이 되도록, 측정된 데이터 값 및 불림 공정 대기시간 등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피가루 용기에 커피가루를 담고, 마이콤이 이에 맞는 공급 수량 및 초기 불림 공정에 필요한 시간 등을 판단되면, 이를 기준으로 하여 더치커피머신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센싱부에서 수량 및 유속을 감지하는 단계(S100), 추출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남은 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설정된 설정값과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센싱부에서 수량 및 유속을 감지하는 단계(S100)는 센싱부에서 수량 및 유속을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에 따라, 마이콤은 내장된 정보를 통해 최적 추출비율이 되도록 공급되는 물의 수량 및 유속을 설정하면, 이에 따른 추출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추출시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는 현재 커피 추출이 진행된 진행시간과 산출된 추출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로써, 진행시간이 추출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되는 추출시간은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양이 가장 좋은 맛과 향을 가질 수 있는 시간으로, 마이콤에 의해 더치커피가 계속해서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더치커피가 추출될 수 있는 시간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워터 프레임에 저장된 물이 부족한 경우, 펌핑부가 계속해서 작동하지 않도록 남은 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남은 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 물이 부족하다 판단되면, 펌핑부의 작동이 종료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설정된 설정값과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비교단계(S400)를 진행할 수 있다.
설정된 설정값과 센싱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S400)는 펌핑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보다 크다 마이콤이 판단한 경우에는 펌핑부의 속도를 감소(S410)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측정값이 설정값보다 작다 판단한 경우에는 펌핑부의 속도(S420)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펌핑부의 속도를 조절하고, 다시 센싱부에서 수량 및 유속 등을 감지함으로써, 표준화된 맛과 향을 가진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더치커피머신 200 : 워터 프레임
210 : 개구부 220 : 뚜껑
230 : 개구공 300 : 커피가루 용기
310 : 몸체 320 : 드립관
330 : 용기 프레임 340 : 분리 프레임
400 : 커피용기 500 : 고정 프레임
510 : 수직 프레임 511 : 펌핑부
512 : 제어부 512a: 마이콤
512b: 표시화면 512c: 조작버튼
512d: 전원부 513 : 가이드관
514 : 센싱부 515 : UV램프
520 : 중부 프레임 521 : 홀
530 : 하부 프레임
540 : 수평 프레임 542 : 중공부
550 : 분사부 551 : 노즐
600 : 지지 프레임

Claims (10)

  1. 더치커피머신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워터 프레임;
    상기 워터 프레임의 물을 공급받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용기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워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워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 내부에 상기 워터 프레임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펌핑부에서 펌핑된 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외면 상부에 결합된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가루 용기는,
    상기 커피가루 용기의 상부가 개구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드립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용기 프레임; 및
    상기 용기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용기 프레임의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프레임의 밑면은 메쉬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통해 상기 펌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프레임은,
    상기 워터 프레임의 상부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뚜껑; 및
    상기 워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개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 중단에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중부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 하단에 상기 커피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더치커피머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 프레임은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워터 프레임의 물을 살균시키는 UV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치커피머신은,
    상기 가이드관이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에서 인출된 가이드관에 결합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판단하는 마이콤;
    상기 마이콤에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버튼; 및
    상기 마이콤에 입력된 정보 및 판단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머신.
KR1020140100839A 2014-08-06 2014-08-06 더치커피머신 KR10159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839A KR101593982B1 (ko) 2014-08-06 2014-08-06 더치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839A KR101593982B1 (ko) 2014-08-06 2014-08-06 더치커피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82B1 true KR101593982B1 (ko) 2016-02-15

Family

ID=5535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839A KR101593982B1 (ko) 2014-08-06 2014-08-06 더치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25B1 (ko) 2019-08-26 2020-06-26 (주)에일리언로봇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134165B1 (ko) * 2019-01-07 2020-07-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KR20200119174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24957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KR20210024956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317054B1 (ko) 2021-01-04 2021-10-26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803B2 (ja) * 1990-01-29 2000-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装置
JP2005021372A (ja) * 2003-07-0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出し飲料抽出装置
KR101190147B1 (ko) * 2012-07-02 2012-10-12 최현진 커피 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커피 머신
KR101372199B1 (ko) *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803B2 (ja) * 1990-01-29 2000-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装置
JP2005021372A (ja) * 2003-07-02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出し飲料抽出装置
KR101190147B1 (ko) * 2012-07-02 2012-10-12 최현진 커피 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커피 머신
KR101372199B1 (ko) *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65B1 (ko) * 2019-01-07 2020-07-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더치 커피 추출 기구
KR20200119174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2119025B1 (ko) 2019-08-26 2020-06-26 (주)에일리언로봇 음료 제조 시스템
KR20210024957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KR20210024956A (ko) 2020-05-28 2021-03-08 (주)에일리언로봇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317054B1 (ko) 2021-01-04 2021-10-26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982B1 (ko) 더치커피머신
EP1020152B1 (en) Tea brewing apparatus
EP1337171B1 (en)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EP2020890B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US10925429B2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ffee machine
JP2013544601A5 (ko)
US946397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US20180325301A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base material,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such a container,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for use in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US20210219766A1 (en) Infusion beverage apparatus
CN103948324A (zh) 一种饮水机出水温度控制方法
KR20140112531A (ko) 솔벤트 내에서 성분들을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CN106388600A (zh) 一种泡茶装置及其方法
EP27138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solvent and ingredients
KR102462790B1 (ko) 커피 추출 장치
CN210697232U (zh) 奶茶机
CN205682958U (zh) 一种泡茶装置
CN208491794U (zh) 供水系统及咖啡机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EP3061370A1 (d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CN215457313U (zh) 用于草本饮品的快速制备装置
CN107136928A (zh) 一种泡茶装置及其方法
US20180002648A1 (en) Electric Brewing System
KR20150056262A (ko) 워터드립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