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9871B1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871B1
KR101599871B1 KR1020090011218A KR20090011218A KR101599871B1 KR 101599871 B1 KR101599871 B1 KR 101599871B1 KR 1020090011218 A KR1020090011218 A KR 1020090011218A KR 20090011218 A KR20090011218 A KR 20090011218A KR 101599871 B1 KR101599871 B1 KR 10159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ubject
image
sensing area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844A (ko
Inventor
원정윤
남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871B1/ko
Priority to US12/702,417 priority patent/US8508602B2/en
Publication of KR2010009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부와,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하므로 피사체의 역동적인 변화를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촬상 장치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복잡한 필름인화 작업 없이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쉽게 편집, 가공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필름 카메라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촬상 장치는 렌즈를 포함한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영상광을,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광전 변환된 영상 신호에 소정의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인물의 얼굴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이나, 웃는 얼굴을 검출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과 같이 편리한 기능들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풍경 모드, 인물 모드, 야경 모드, 스포츠 활동 촬영 모드 등 여러 가지 촬영 상황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노출이나 조리개값을 갖는 다양한 모드들이 마련되기도 한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종래의 촬상 장치는 여러 가지 특수한 상황들에 자유롭게 대응하여 촬영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들은 곤충이나, 조류와 같이 움직임이 수시로 변하는 동물의 모습의 촬영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자들이 운동회나 생일 파티와 같은 특별한 행사에 참가할 때에 출발선 상에 서 있는 달리기 선수들의 출발 장면이나 촛불을 불어서 끄는 장면과 같이 특별한 순간을 포착하여 촬영을 하기 원한다.
그런데 종래의 촬상 장치들을 이용할 때에 각 장면에 적합한 모드로 설정하여 촬영 준비를 한 경우에도, 원하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피사체가 움직임이 갑자기 변화하는 특별한 순간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셔터를 눌러 촬영을 실시해야 한다. 즉 종래의 촬상 장치를 이용할 때에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순발력이나 촬영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한 촬영 기술이 없더라도 누구든지 피사체의 역동적인 변화를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해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을 위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피사체의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부와,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부는 밝기, 채도,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인식하여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부는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인 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표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촬상 제어부가 촬상소자를 동작시키도록 감지부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화의 범위를 설정하는 감도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변화의 범위보다 약하고,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감지 영역 설정부가 피사체를 따라 감지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감지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해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서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며,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을 더 구비할 수 있고, 감지 영역 설정부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해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지 영역을 영상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촬상 제어부가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 을 실행할 때에 연속 촬영의 실행 여부와 촬영 매수를 미리 정하는 연속 촬영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방법은,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와,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피사체가 변화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감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촬영을 실행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방법은,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감도 범위 이내이고,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피사체를 따라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피사체 추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역 설정 단계는 수신 단계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해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서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은,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하므로 특별한 촬영 기술이 없더라도 누구든지 피사체의 역동적인 변화를 쉽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이나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 촬영을 위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피사체의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촬상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20)와, 촬상소자(20)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41)와,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70)와, 촬상소자(20)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제어부(47)를 구비한다.
촬상소자(20)의 앞에 배치되는 줌렌즈 유닛(10)은 복수 개의 렌즈들(12)을 포함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렌즈 유닛(10)에 의한 확대 배율이 변경된다.
렌즈들(12)은 줌모터(zoom motor)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줌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줌 구동부(11)는 제어부(40)의 구동 회로부(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줌 구동부(11)는 줌렌즈 유닛(10)이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줌렌즈 유닛(10)을 구동할 수 있다.
촬상소자(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줌렌즈 유닛(10)을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은, 먼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단계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등의 세부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는 촬상소자(20), 줌 구동부(11), 터치 스크린(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0)는 화상 변환부(41)와, 구동 회로부(4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와, 메모리(15)에 대한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43)와, 촬상 제어부(47)와, 감도 설정부(46)와, 감지 영역 설정부(45)와, 감지부(70)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43)는 메모리(15)로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과, 메모리(15)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5)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져 촬상된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감지 영역 설정부(45)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감지부(70)는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 제어부(47)는 촬상소자(20)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도 설정부(46)는 촬상 제어부(47)가 촬상소자(20)를 동작시켜 촬영을 실행하도록 감지부(70)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사체의 변화의 범위(감도)를 설 정하는 부분이다.
촬상소자(20)에 의해 피사체의 촬상이 이루어져 전기 신호가 생성되고, 전기 신호가 화상 변화부(41)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면, 감지부(70)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변화가 감도 설정부(46)에서 미리 설정된 변화의 범위를 초과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부(70)가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는 최종적인 촬영(본 촬영)이 이루어지기 전의 예비적인 촬영, 즉 프리뷰 모드(preview mode)의 실행을 위해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에 관한 화상 데이터이다.
촬상 제어부(47)는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피사체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여 촬상소자(20)를 동작시켜 촬영(본 촬영)을 실행한다.
촬상 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1)와, 표시부(51)에 표시된 영상의 일부분을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52)를 갖는 터치 스크린(50)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은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50)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 장치이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펜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 하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50)의 표시부(51)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52)는 표시부(51)의 표면에 설치되어 표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52)에는 저항성 감지 수단, 용량성 감지 수단, 표면 음향파 이용 감지 수단, 적외선(IR) 이용 감지 수단, 및 광학 이용 감지 수단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50)의 입력부(52)를 접촉함으로써 표시부(51)에 표시된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감지 영역 설정부(45)는 터치 스크린(50)의 입력부(52)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해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 영역을 직접 설정하게 하는 구성은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50)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1)에 영상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는 촬상 장치에 구비된 메뉴 버튼이나 다이얼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감지부(70)는 얼굴 검출부(71)와, 표정 판단부(72)와, 밝기 판단부(73)와, 채도 판단부(74)와, 엣지 판단부(75)를 구비한다. 감지부(70)는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가 감지하게 될 피사체의 종류 또는 촬영을 실행하는 모드(예를 들어, 인물을 촬영하는 모드, 동물 등의 움직임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하는 모드)에 따라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다르게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50)에 표시된 메뉴에서 "변화감지" 메뉴를 선택하면, 촬상 장치는 동물 등의 움직임을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을 하고, "인식촬영" 메뉴를 선택하면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눈 깜빡임과 같은 표정 변화를 인식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71)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얼굴들에 해당하는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는 데에는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 크기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 인자들을 사용하여 개인들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표정 판단부(72)는 얼굴 검출부(71)에 의해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의 특정한 부위, 예를 들어, 눈이나 입술과 같은 부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표정의 변화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감지부(70)는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눈의 깜빡임이나 입술의 변화와 같은 표정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밝기 판단부(73)와, 채도 판단부(74)와, 엣지 판단부(75)는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동물인 경우, 또는 운동회의 달리기 출발 장면이나 생일 케이크의 촛불을 끄는 장면과 같이 역동적인 장면의 중요 순간을 포착하여 촬영할 때에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감지부(70)는 밝기, 채도, 엣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60)에는 감지부(70)가 피사체의 변화를 판단할 때에 사용되는 표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70)는 데이터 베이스(60)에 기록된 표준 데이터를 기초로,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표정의 변화를 판단하고, 밝기, 채도, 엣지 등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방법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 방법으로 연속 촬영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연속 촬영을 선택하여 촬영 매수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촬상 제어부(47)가 촬상소자(20)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할 때에 연속 촬영을 실행할지, 1매를 촬영하는 일반 촬영을 실행할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연속 촬영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50)의 "연속" 메뉴를 선택하면 촬영 매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감도 메뉴를 선택하여 감도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스크린(50)의 "감도" 메뉴를 선택하여 촬상 제어부(47)가 촬상소자(20)를 동작시키도록 감지부(70)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사체의 변화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감 도는 숫자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숫자가 커질수록 감도가 증가하여 감지부(70)가 피사체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여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영상이 터치스크린(50)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50)을 터치하면 감지 영역의 설정을 위한 상자(50a)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드래그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50)에 표시된 상자(50a)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드래그 터치(drag touch)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터치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완료되면 상자(50a)의 내부에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 영역으로 설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감지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직접 조작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상 장치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50b, 50c)를 조작하여 표시부(51)에 표시된 상자(50a)의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여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추적 기능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의 조작에 의해 감지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할 수 있지만,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촬상 장치가 자동적으로 감지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피사체 추적 기능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사체(155)인 나비가 날아가는 순간을 포착하여 촬영을 실시하기 원하는 경우, 피사체(155)가 위치하는 표시부(150)의 좌측 영역이 감지 영역(150b)으로 설정된다. 그런데 피사체(155)가 빠르게 움직이지 않고, 즉 예를 들어, 날아가지 않고 천천히 움직일 때에는 피사체(155)의 움직임의 변화가 촬상 장치에 설정된 변화의 범위보다 느리므로 촬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피사체(155)는 표시부(15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천천히 이동하므로 처음에 설정된 감지 영역(150b)을 벗어난다.
피사체 추적 기능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다.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 변화가 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변화의 범위보다 약하고,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감지 영역 설정부가 피사체를 따라 감지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부(150)의 우측 영역을 새로운 감지 영역(150a)으로 설정하면, 촬상 장치는 피사체(155)가 갑자기 날아가는 역동적인 모습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표시부(150)에 표시된 화면에서 일부 영역, 즉 피사체(155)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 영역(150c)으로 설정된 경우, 피사체(155)가 갑자기 날게 되면 감지 영 역(150c)에서의 피사체(155)의 변화가 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변화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감지부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촬상 제어부에 의해 촬상소자의 촬영이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피사체(155)가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방법의 단계들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에 나타난 촬상 방법은,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S160)와,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S170)와, 촬영 단계(S120)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에서 특수한 상황의 순간적인 모습을 포착하여 촬영하기 위해 상황 촬영 모드를 실행하면(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방법이 실행된다.
촬영에 앞서서 1매의 촬영만이 이루어지게 하는 일반 촬영 모드나 연속 촬영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연속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촬영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S110). 또한 촬영에 앞서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피사체의 변화의 정도를 감지하는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S120).
감도의 설정이 완료되면(S120), 촬상소자에 의해 촬상된 영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가 실행된다(S140).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50)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60)가 실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서 일부의 영역 을 지정하여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감지 영역이 설정되면(S160),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가 실행된다(S170). 감지 단계(S170)에서는 밝기, 채도,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감지 단계(S170)에서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의 표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피사체의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감도 범위 이내이고(S180),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S190), 피사체를 따라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피사체 추적 단계(S200)가 실행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변경된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70)가 다시 실행된다.
피사체의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감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촬영 단계(S120)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사체의 감지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으며, 피사체가 갑자기 움직이는 순간에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조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촬영되므로 피사체의 역동적인 모습의 촬영의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감지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방법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 방법으로 연속 촬영을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연속 촬영을 선택하여 촬영 매수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감도 메뉴를 선택하여 감도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영역 선택 메뉴를 선택하여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추적 기능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촬상 장치의 화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방법의 단계들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줌렌즈 유닛 50: 터치 스크린
11: 줌 구동부 51: 표시부
12: 렌즈들 52: 입력부
15: 메모리 60: 데이터 베이스
20: 촬상소자 70: 감지부
40: 제어부 71: 얼굴 검출부
41: 화상 변환부 72: 표정 판단부
42: 구동 회로부 73: 밝기 판단부
43: 메모리 제어부 74: 채도 판단부
44: 터치 스크린 제어부 75: 엣지 판단부
45: 감지 영역 설정부 50b, 50c: 사용자 입력부
46: 감도 설정부 150: 표시부
47: 촬상 제어부 155: 피사체
50a: 상자 150a, 150b, 150c: 감지 영역

Claims (18)

  1. 피사체를 촬상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
    상기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부;
    상기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촬상 제어부가 상기 촬상소자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화의 범위를 설정하는 감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상기 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변화의 범위보다 약하고 감지 대상이 되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감지 영역 설정부가 상기 피사체를 따라 상기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밝기, 채도,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 대상이 되는 상기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는, 촬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 영역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서 상기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며,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 영역 설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해 상기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을 상기 영상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부가 상기 촬상소자를 작동시켜 촬영을 실행할 때에 연속 촬영의 실행 여부와 촬영 매수를 미리 정하는 연속 촬영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 장치.
  11. 촬영될 영상의 일부분을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감도 범위 이내이고, 감지 대상이 되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따라 상기 감지 영역을 변경하는 피사체 추적 단계; 및
    상기 피사체가 변화의 정도가 상기 감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촬영을 실행하는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밝기, 채도, 엣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촬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는, 촬상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촬영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역 설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해 상기 표시 단계에 의해 표시된 영상에서 상기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촬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을 상기 영상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 하는 영역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촬상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단계에서 촬영을 실행할 때에 연속 촬영의 실행 여부와 촬영 매수를 미리 정하는 촬영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방법.
KR1020090011218A 2009-02-11 2009-02-1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59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18A KR101599871B1 (ko) 2009-02-11 2009-02-1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12/702,417 US8508602B2 (en) 2009-02-11 2010-02-09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usable medium for photographing an object within a detection area based on a change of the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18A KR101599871B1 (ko) 2009-02-11 2009-02-1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844A KR20100091844A (ko) 2010-08-19
KR101599871B1 true KR101599871B1 (ko) 2016-03-04

Family

ID=4254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18A KR101599871B1 (ko) 2009-02-11 2009-02-11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8602B2 (ko)
KR (1) KR101599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3740B2 (ja) * 2013-10-08 2018-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5866551B1 (ja) * 2014-11-20 2016-0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
CN109558505A (zh) * 2018-11-21 2019-04-0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觉搜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669504B (zh) * 2020-06-29 2021-11-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28951A (ko) * 2020-08-3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064805A (zh) * 2021-03-29 2021-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26A (ko) * 1998-12-28 2000-07-15 윤종용 비동기전송모드시스템에서 헤더 오류 제어를 이용한이중화장치
JP3992909B2 (ja) * 2000-07-03 2007-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本人画像提供システム
JP2003315875A (ja) * 2002-04-26 2003-11-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0996413B1 (ko) * 2004-08-31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모션 검출 민감도설정장치 및 방법
JP4929630B2 (ja) * 2005-07-06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06280B2 (en) * 2006-04-11 2012-11-06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656331B2 (ja) * 2006-12-27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310230B1 (ko) * 2007-01-17 2013-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7995106B2 (en) * 2007-03-05 2011-08-0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with human extraction and voice analy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3333B1 (ko) * 2007-07-1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JP4904243B2 (ja) * 2007-10-17 2012-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4894712B2 (ja) * 2007-10-17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構図判定装置、構図判定方法、プログラム
KR101362765B1 (ko) * 2007-11-07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1837A1 (en) 2010-08-12
KR20100091844A (ko) 2010-08-19
US8508602B2 (en)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282B2 (en) Imaging device including a face detector
TWI549501B (zh) An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1465972B (zh) 在数字图像处理装置中使图像背景模糊的设备和方法
US87867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KR101594295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CN101213828B (zh) 将虹膜颜色结合到红眼修正中的方法和设备
JP2010182023A (ja) 携帯機器および操作制御方法
US20100329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599871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2017225084A (ja) 撮像素子、電子機器、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2309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07176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1223294A (ja) 撮像装置
WO2017128914A1 (zh) 一种拍摄方法及装置
JP5519376B2 (ja) 電子機器
US9374525B2 (en) Shooting apparatus and shooting method
KR102146856B1 (ko)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JP480758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436327B1 (ko) 배경 우선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KR1016632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JP463241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480591A (zh) 自动启动连拍程序的方法与装置
KR20100099559A (ko) 복수 인물 인식에 의한 촬영 방법 및 촬영 장치
KR101477540B1 (ko) 자동 패닝샷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와 패닝샷 촬영 방법
JP200913084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