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77B1 -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5177B1 KR101555177B1 KR1020140028797A KR20140028797A KR101555177B1 KR 101555177 B1 KR101555177 B1 KR 101555177B1 KR 1020140028797 A KR1020140028797 A KR 1020140028797A KR 20140028797 A KR20140028797 A KR 20140028797A KR 101555177 B1 KR101555177 B1 KR 1015551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charger
- adapter
- cable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 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코드 부분이 감기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케이블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어댑터 부분이 위치하는 어댑터 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 충전플러그가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중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손쉽고 간편하게 휴대폰 배터리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는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는 플러그가 일 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는 충전기 본체와 이에 코드가 연결되고 코드 끝에는 핸드폰과 연결되는 연결잭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의 일 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고, 충전기 본체의 일 측에 일측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코드의 타측단부에 연결된 잭을 휴대폰에 접속시켜, 상기 휴대폰에 결합되어 있는 휴대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받으며 충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플러그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 시 바로 충전시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 충전기 본체를 휴대하는 경우 많은 휴대공간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하고, 코드에 상호 꼬임이 발생하여 휴대용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호 꼬여 있는 코드를 풀어준 후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을 충전하는 경우 콘센트 위치와 주변 사물들의 상황에 따라 휴대폰이 임의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때 콘센트가 충전기의 코드의 길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 충전기의 전선에 연결된 휴대폰이 전선에 매달리게 되어 누전에 의한 사고 위험이 있게 되며, 미관상에도 좋지 않다.
그리고, 충전기의 주변 사물, 예를 들면 책상 등에 휴대폰을 충전하는 상태로 올려 두었을 경우 주변의 충격이나 휴대폰의 전동에 의해 휴대폰이 떨어질 위험성이 있으며, 공간 사용상의 효율도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0-0059165 " 거치대를 포함한 휴대폰 충전기"에는 충전기 본체와 연결되어 따로 분리되지 않는 휴대폰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2-0119769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에는 충전기의 코드가 엉키지 않도록 감을 수 있는 감김부가 형성되어 충전플러그가 밀착될 수 있는 고정돌기, 사용상황에 따라 덮개를 회전시켜 전원플러그를 내부로 인입되거나, 사용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0-0059165에서는 단지 휴대폰 거치대를 충전기에 결합한 것 이외에는 선 꼬임의 문제와 휴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 특허공개공보 10-2012-0119769에서는 선 꼬임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핸드폰을 충전기 상에 거치할 수 없으므로, 바닥에 제품을 내려 놓거나 책상위에 올려 놓았다가 선을 건드려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국내 벽면 컨센트 규격의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있는 데 이때 종래의 충전기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이 바닥에 떨어져 버려 거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구입할 때 제공되는 케이블과 어댑터를 사용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직접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한 휴대형 휴대폰 충전기 거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기존 휴대폰에 제공되는 어댑터와 케이블을 함께 보관함으로써 이동시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시 벽면 콘센트에 바로 제품을 연결하여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 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코드 부분이 감기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케이블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어댑터 부분이 위치하는 어댑터 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 충전플러그가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어댑터가 삽입될 수 있는 어댑터 삽입구,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각도표시홈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와 결합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 외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T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 수용부가 회전 방향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휴대폰 거치부는 충전커넥터의 핀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 홈 및 내부에 상기 충전기 케이블이 감길 수 있는 케이블 정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에 휴대폰 거치시에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받침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거치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어댑터와 케이블이 같이 조립되어 거치장치에 장착할 수 있어 매우 간단하고, 별도의 스크류 장치나 브라켓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제공된 제품에 끼워 넣어 사용할 수 있고 누구든지 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집 밖에서 휴대폰을 충전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충전용 케이블을 길게 늘어트릴 필요가 없이 벽에 있는 콘센트에 부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셋째, 평상시 어댑터와 케이블을 휴대하고 다닐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인 선꼬임 현상을 방지하여 휴대가 간편하다.
넷째, 벽면에 부착된 콘센트의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된 경우에도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어 안전하게 휴대폰을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폰 충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폰 거치부에 휴대폰 충전 플러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각도 조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폰 거치부에 휴대폰 충전 플러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각도 조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거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 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로서, 어댑터 수용부(10), 케이블 지지부(20), 몸체부(30), 휴대폰 거치부(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장치에 휴대폰 충전기를 내부에 결합하여 충전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댑터 수용부(10)는 내부에 충전기의 어댑터(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어댑터 삽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댑터 삽입구(12)의 형태는 삽입되는 충전기의 어댑터(70)의 형상과 일치하고, 어댑터(70)와 끼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크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6각형 형태를 가지는 어댑터(70)가 사용되므로, 이에 맞도록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어댑터 수용부(10)는 케이블 지지부(20)의 내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이 돌출 형성되고 그 측면부에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되어 측면부가 케이블 지지부(20) 내부에 삽입되어 결속되면 케이블 지지부(20)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어댑터 수용부(10)와 케이블 지지부(20)가 결합된 상태로 벽면 콘센트를 통하여 충전시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수용부(10)와 결합되는 케이블 지지부(20)는 내부에 상기 어댑터 수용부(10)의 측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충전기의 코드 부분이 감길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코드 부분이 이 부분에 감길 수 있도록 걸 수 있는 상측 고리홈(23) 및 하측 고리홈(24)이 형성된다. 상측 고리홈(23)을 통하여 충전기의 코드부분이 걸어져 단차지게 형성된 외주면에 유도되고 외주면에 코드를 감은 후에 하측 고리홈(24)을 통하여 충전플러그(60)를 반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 지지부(20)의 외주면에는 T자형의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어댑터 수용부(10)와 케이블 지지부(20)가 회전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T자형의 가이드 홈(22)은 후술할 몸체부(3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32)가 T 자형의 가이드 홈(22)을 따라 걸리게 된다.
몸체부(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일측으로는 케이블지지부(20)와 어댑터 수용부(10)가 결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반대측으로는 휴대폰이 거치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부(4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면에는 가이드 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어댑터 수용부(10)와 케이블 지지부(20)가 회전하는 경우에 케이블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T 자형의 가이드 홈(2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회전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에는 외주면에 한쌍의 받침 다리(31)를 포함하며, 지면 또는 테이블 위에 휴대폰(100)을 거치시에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폰 거치부(40)는 휴대폰이 안착될 수 있도록 윗 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윗 면의 중앙에는 충전기의 충전플러그(60)가 설치될 수 커넥터 홈(43)이 형성된다. 휴대폰 거치부(40)의 외주면에는 충전플러그에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부분이 감길 수 있도록 케이블 정리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30)를 통해서 나온 충전기의 충전플러그(60)가 커넥터 홈(43)에 안착되고 충전플러그(60)에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부분을 케이블 정리홈(42)에 감아 충전플러그(60)를 커넥터 홈(43)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 거치부(40)에는 충전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를 걸 수 있도록 케이블 고정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폰 거치부(40)의 외주면 측부에는 걸림돌기(41)가 형성되어 있어, 거치장치를 충전시에 휴대폰 거치부(40)를 충전가능 위치로 빼낼 때 그 부분에 몸체부(30)에 내부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더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캡(50)은 연결돌기(51)를 통하여 휴대폰 거치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캡(50)과 휴대폰 거치부(40)와 고정 연결되어 캡(50)의 좌우 측면을 잡아 빼면 휴대폰 거치부(40)가 충전위치까지 쉽게 꺼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폰 거치부에 휴대폰 충전 플러그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휴대폰 거치부(40)에 충전플러그(60)가 결합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휴대폰 거치부(40)에 형성된 커넥터 홈(43)에 충전 플러그(60)를 위치시킨 후, 충전플러그(60)에 연장 형성된 케이블은 케이블 정리홈(42)에 감은 후 이를 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휴대폰 거치부(40)에 충전플러그(6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충전플러그 고정돌기(46)가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플러그 고정돌기(46)와 감겨진 케이블에 의해 충전플러그(6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휴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어댑터(70)가 일부 도출될 수 있으며 몸체부(30)의 내부에 어댑터 수용부(10)와 케이블 지지부(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며, 휴대폰 거치부(40)가 몸체부(30)의 내부에 위치하되, 충전시에는 외부로 도출되어 휴대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각도 조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벽면의 콘센트의 각도가 약 45도 경사진 경우에도 어댑터 수용부(10)와 케이블 지지부(20)가 T자형 가이드홈(22)과 가이드 돌기(32)를 매개로 하여 회전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회전 각도에 따라 그 위치를 각도표시홈(11, 11-1)에 대응되는 위치(33)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어댑터 수용부 20: 케이블 지지부
30: 몸체부 40: 휴대폰 거치부
50: 캡 60: 충전플러그
70: 충전기 어댑터
30: 몸체부 40: 휴대폰 거치부
50: 캡 60: 충전플러그
70: 충전기 어댑터
Claims (5)
- 휴대폰 충전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코드 부분이 감기는 케이블 지지부;
상기 케이블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어댑터 부분이 위치하는 어댑터 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기 충전플러그가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충전기의 어댑터가 삽입될 수 있는 어댑터 삽입구,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는 외주면에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각도표시홈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와 결합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 외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T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 수용부가 회전 방향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거치부는 충전커넥터의 핀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 홈 및 내부에 상기 충전기 케이블이 감길 수 있는 케이블 정리홈을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에 휴대폰 거치시에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받침 다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797A KR101555177B1 (ko) | 2014-03-12 | 2014-03-12 | 휴대폰 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797A KR101555177B1 (ko) | 2014-03-12 | 2014-03-12 | 휴대폰 거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576A KR20150106576A (ko) | 2015-09-22 |
KR101555177B1 true KR101555177B1 (ko) | 2015-09-24 |
Family
ID=5424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797A KR101555177B1 (ko) | 2014-03-12 | 2014-03-12 | 휴대폰 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51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2030A (ko) | 2017-02-08 | 2018-08-17 | 주식회사 프롬에이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52299A (zh) * | 2020-10-16 | 2020-12-29 | 王炜程 | 一种用于墙壁插座的手机、平板充电支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9403B2 (ja) * | 1998-02-05 | 2001-06-25 |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ジタル信号同期回路 |
KR100481402B1 (ko) | 2002-08-13 | 2005-04-07 | (주)아리테크 | 휴대폰 충전기 |
-
2014
- 2014-03-12 KR KR1020140028797A patent/KR1015551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9403B2 (ja) * | 1998-02-05 | 2001-06-25 |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ジタル信号同期回路 |
KR100481402B1 (ko) | 2002-08-13 | 2005-04-07 | (주)아리테크 | 휴대폰 충전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2030A (ko) | 2017-02-08 | 2018-08-17 | 주식회사 프롬에이 | 디지털기기용 거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576A (ko) | 2015-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90035B2 (en) |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8686683B2 (en) | Charge clip | |
EP2642576B1 (en) | Lithium ion battery and charger thereof | |
US10355424B2 (en) | Electronic device holder | |
US7798845B1 (en) | Safety plug assembly | |
KR101555177B1 (ko) | 휴대폰 거치장치 | |
KR101521867B1 (ko) |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 |
KR101657447B1 (ko) |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 |
KR200462350Y1 (ko) |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
KR101375777B1 (ko) |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 |
CN209994138U (zh) | 多功能充电器 | |
CN207475245U (zh) | 充电线易收纳型充电座 | |
KR20140095683A (ko) | 정리가 용이한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 |
KR101697125B1 (ko) | Usb 충전기 | |
KR101432744B1 (ko) | 충전기 세트 | |
KR20100012470U (ko) | 충전기 거치대 | |
CN109687542B (zh) | 蓝牙耳机的充电装置 | |
KR20170069827A (ko) |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보조배터리 충전기 | |
CN210092924U (zh) | 三合一充电装置 | |
CN201822564U (zh) | 一种充电用手机托 | |
KR20150001082U (ko) |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 |
CN204577773U (zh) | 一种带卷线功能的插座 | |
GB2524142A (en) | A device for housing an electric plug and cable | |
KR20140004925U (ko) | 휴대폰 충전기 | |
CN201868913U (zh) | 一种充电用手机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