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1082U -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082U
KR20150001082U KR2020130008624U KR20130008624U KR20150001082U KR 20150001082 U KR20150001082 U KR 20150001082U KR 2020130008624 U KR2020130008624 U KR 2020130008624U KR 20130008624 U KR20130008624 U KR 20130008624U KR 20150001082 U KR20150001082 U KR 20150001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er housing
portable device
charger
charg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은
Original Assignee
장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은 filed Critical 장성은
Publication of KR20150001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기 하우징 전면 중앙에 관통 충전 플러그 수납구가 형성되고,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플러그가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에 수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일측면 상부까지 케이블 홈이 형성 되어 상기 일측면은 충전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은 휴대 디바이스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 되어, 상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됨에 따라 휴대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휴대 디바이스를 벽으로부터 돌출된 콘센트 프레임의 상단에 얹혀서 거치시키되,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상부가 콘센트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휴대 디바이스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 몸체가 휴대 디바이스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면서 충전 가능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핸드폰을 충전하는 데 있어, 핸드폰 또는 배터리를 충전기에 꽂아서 충전시켰지만, 근래에는 핸드폰용 충전기를 이용해 충전기의 충전 잭을 핸드폰의 잭에 꽂아 충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핸드폰용 충전기는 기본적으로 충전기몸체와, 콘센트에 끼우기 위한 플러그가 체결되어 있는 돌출부와, 충전기몸체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충전잭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충전기를 콘센트에 끼운 후 충전잭을 핸드폰에 꽂아서 충전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시킬 경우 핸드폰을 바닥 또는 기타 물건에 올려놓고 충전시키게 되어 핸드폰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충전기의 구성상 충전기몸체와 충전잭을 연결하는 전선이 구비되어 지는데, 상기 전선으로 인해 핸드폰을 충전하는 데 있어 실내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충전기를 꽂는 콘센트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을 경우 핸드폰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 하우징;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 플러그;
상기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가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충전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충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충전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충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에 수납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은 상기 전력 출력부와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을 따라 수납 가능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출력부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 플러그의 하부는 반 타원 모양으로 라운딩 되어 회전 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의 하단과 유격이 발생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상부가 삼각모양으로 형성된 충전기 하우징;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를 콘센트와 상기 충전기 하우징 사이에 거치 시킬 수 있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출부의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가 상기 사출부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부가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에 수납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중앙에 오목하게 홈이 파여 형성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의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콘센트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은 상기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
상기 전력 출력부와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을 따라 수납 가능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본 고안에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는 충전기 하우징에 충전 플러그가 구비되어, 콘센트에 상기 충전 플러그를 삽입시켜 휴대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원선이 없으므로 주변 정리가 수월하여 실내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단은 콘센트 프레임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가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로서, 휴대 디바이스를 배치함에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를 콘센트와 휴대 디바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 디바이스를 거치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전력 공급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서 휴대 디바이스를 사출부에 거치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를 콘센트와 휴대 디바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 디바이스를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전력 공급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의 외관형상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서 휴대 디바이스를 사출부에 거치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 하우징(100);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 플러그(110); 상기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20);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2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프레임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300)가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 하우징(1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충전 플러그(110)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 플러그(110)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20)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은 충전 힌지(140)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플러그(110)는 상기 충전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150)에 수납되고, 상기 충전 플러그(110)는 상기 콘센트(200)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충전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된 상기 충전 플러그(110)는 상기 콘센트(200)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은 상기 콘센트(200)의 전면으로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210)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 상단에 거치 된 휴대 디바이스(300)가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출력부(130)와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4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은 일측면 테두리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는 격벽이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되어 다른 일측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홈(410)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400)이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케이블 홈(410)을 따라 수납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원 케이블(400) 하단에 형성된 전원부(160)는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 출력부(130)는 다른 일측면 상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400)을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휴대 디바이스(300)를 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150)에 수납된 상기 충전 플러그(110)를 상기 충전 힌지(14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상기 콘센트(200)의 상단에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충전 플러그(110)의 하부는 반 타원 모양으로 라운딩 되어 회전 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150)의 하단과 유격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플러그(110)의 하부는 사각형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플러그 수납구(150)의 하단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된 홈(700)이 형성되어 사각형으로 처리된 충전기 플러그(11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홈(410)에 수납된 상기 전원 케이블(400)에서 상기 전력 출력부(130)를 탈거 하여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연결시 킨 후, 상기 휴대 디바이스(300)를 상기 콘센트(200)의 상단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에 얹히도록 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200)는 벽(600)으로부터 일부 돌출 형성되어있다.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 디바이스(300)를 얹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충전기 하우징(100)은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200)의 전면으로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210)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 상단에 거치 된 휴대 디바이스(300)가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전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 플러그(110)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출력부(130)는 상기 배터리(500)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공급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가 삼각모양으로 형성된 충전기 하우징(700);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를 콘센트와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 사이에 거치 시킬 수 있는 사출부(720)를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71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2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출부의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300)가 상기 사출부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고안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로서, 충전기 하우징(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서 상단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모아지는 삼각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를 상기 콘센트(200)와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 사이에 거치 시킬 수 있는 사출부(720)를 포함하는 충전플러그(71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플러그(710)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에 부가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에 구비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730)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730)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의 중앙에 오목하게 홈이 파여진 형상으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은 상기 콘센트 프레임(210)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어 다른 일측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홈(750)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740)이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케이블 홈(750)을 따라 수납 및 탈거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을 이용하여 휴대 디바이스(300)를 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730)에 수납된 상기 충전 플러그(710)를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에 부가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상기 콘센트(200)의 상단에 결합시킨다. 또한, 케이블 홈(750)에 수납된 전원 케이블(740)에서 전력 출력부(130)를 탈거 하여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연결시 킨 후, 상기 휴대 디바이스(300)를 상기 사출부(720)상단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은 상기 콘센트(20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출부(720)의 상단에 휴대 디바이스(300)를 얹혀서 거치시킨다. 또한, 상기 사출부(720)의 상단에 거치 된 상기 휴대 디바이스(300)가 상기 사출부(720)으로 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전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 하우징(700)은 상기 충전 플러그(710)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310)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충전기 하우징 110 : 충전 플러그
120 : 전력 변환부 130 : 전력 출력부
140 : 충전 힌지 150 : 충전 플러그 수납구
160 : 전원부 200 : 콘센트
210 : 콘센트 프레임 300 : 휴대 디바이스
310 :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 400 : 전원 케이블
410 : 케이블 홈 500 : 배터리
600 : 벽 720 : 사출부

Claims (13)

  1.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 하우징;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 플러그;
    상기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가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충전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충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충전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충전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에 수납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출력부와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을 따라 수납 가능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출력부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의 하부는 반 타원 모양으로 라운딩 되어 회전 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의 하단과 유격이 발생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콘센트의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9.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에 있어서,
    상부가 삼각모양으로 형성된 충전기 하우징;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를 콘센트와 상기 충전기 하우징 사이에 거치 시킬 수 있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되는 콘센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출부의 상단에 거치된 휴대 디바이스가 상기 사출부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부가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 플러그 수납구에 수납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 수납구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중앙에 오목하게 홈이 파여 형성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하우징은 상기 콘센트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에 공급하는 전력 출력부;
    상기 전력 출력부와 상기 휴대 디바이스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충전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홈을 따라 수납 가능한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KR2020130008624U 2013-08-30 2013-10-21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KR2015000108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84 2013-08-30
KR20130007284 2013-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82U true KR20150001082U (ko) 2015-03-11

Family

ID=5303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624U KR20150001082U (ko) 2013-08-30 2013-10-21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0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28B1 (ko) * 2017-02-03 2018-06-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정보 기기의 거치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828B1 (ko) * 2017-02-03 2018-06-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정보 기기의 거치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2576B1 (en) Lithium ion battery and charger thereof
CN107492920B (zh) 一种通用移动电源
US20150180247A1 (en) Portable Device Charger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159443B1 (ko)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CN204481506U (zh) 车载手机保护与充电装置
KR200456008Y1 (ko)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JP3178882U (ja) 充電装置
KR20150001082U (ko) 휴대 디바이스 충전기
JP3183177U (ja) 充電装置
JP3184539U (ja) 電気コード収納機能を有する電力センサー式充電装置
CN207475245U (zh) 充电线易收纳型充电座
KR20130003745U (ko) 휴대전자기기용 충전장치
CN210129760U (zh) 一种无线充电装置
CN208226591U (zh) 一种移动电源
US20140292255A1 (en) Usb charging structure of mobile power pack
KR20150106576A (ko) 휴대폰 거치장치
CN214543678U (zh) 移动电源组件及其移动电源
CN221531012U (zh) 一种充电宝及无线充电装置
CN221487394U (zh) 一种具有移动电源功能的充电座
CN212114852U (zh) 一种线材隐藏式移动电源
US20100285847A1 (en) Cell phone mount
CN216619602U (zh) 便携式的工作灯
KR101432744B1 (ko) 충전기 세트
CN213072140U (zh) 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