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0492B1 -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492B1
KR101530492B1 KR1020140132203A KR20140132203A KR101530492B1 KR 101530492 B1 KR101530492 B1 KR 101530492B1 KR 1020140132203 A KR1020140132203 A KR 1020140132203A KR 20140132203 A KR20140132203 A KR 20140132203A KR 101530492 B1 KR101530492 B1 KR 10153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concrete
folding
hydraulic jac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근
서태석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 부착력이 강한 폼의 하단부를 콘크리트와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E TYPE HYBRID SLIP FORM}
본 발명은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립폼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 부착력이 강한 폼의 하단부를 콘크리트와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에 관한 것이다.
슬립폼(Slip Form)은 활동식 거푸집(Sliding Form)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자립할 수 있는 강도 이상이 되면 거푸집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철근조립, 콘크리트 타설 등을 실시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공법을 일컫는다. 슬립폼 공법은 구조물의 단면이 가능한 일정하고 초고소화된 구조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토목현장에서는 교량의 교각, 건축현장에서는 건축물 코아 부분 구조물공사, 사일로, 굴뚝공사에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슬립폼 공법은 시공이 빠르고 24시간 연속작업이 가능하여 공기단축의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으나, 온도나 기상조건에 민감하고, 초기 제작이나 조립비용이 고가라는 단점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슬립폼 공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대(Deck)에 연결된 요크(6)에는 거푸집(4)이 설치되어 있으며, 거푸집(4) 내부에는 콘크리트(2)가 타설되어 있다. 유압잭(8)은 거푸집(4)을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강봉(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콘크리트(2)의 자중과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량 및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2)는 20㎝ 씩 타설되며, 타설간격은 콘크리트(2)의 세팅타임(Setting Tim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0.5MPa 내지 1MPa의 콘크리트(2) 초기강도가 발현되는 경우 거푸집(4)이 상승된다.
이러한 슬립폼 공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7304호(이하, 특허문헌 1)에서는 초음파 발신 탐촉자와 초음파 수신 탐촉자 등으로 구성된 표면파 속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초음파 발신 탐촉자는 콘크리트에 초음파를 인가하며, 초음파 수신 탐촉자는 콘크리트를 통해 전파되어 오는 초음파를 측정한다. 수신된 초음파에서 표면파를 검출하기 위하여 웨이블렛 변환 과정이 이용되며, 이에 따라 표면파의 전파속도를 구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초음파 속도를 기반으로 콘크리트 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그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승시기의 지연에 따른 대처방안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149호(이하, 특허문헌 2)에서는 수직구조물의 축조를 위해 적용되는 슬립폼의 인양시기를 결정하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2는 (a)슬립폼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에 맞춘 모르타르로 공시체를 제작하고, (b)상기 공시체의 양생기간별 온도를 측정하여 적산온도를 산출하고 적산온도-관입저항 관계그래프를 도출하며, (c)슬립폼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별 온도를 측정하여 적산온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산온도가 목표 관입저항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상기 적산온도-관입저항 관계그래프를 토대로 확인하여, 슬립폼의 인양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는 특히 고온의 하절기에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이 과도하게 진행되는 것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승시기의 지연에 따른 대처방안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승시기의 지연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나 공기지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슬립폼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2573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0311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 부착력이 강한 폼의 하단부를 콘크리트와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슬립시기를 최적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공을 가능케 하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표면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슬립폼의 상승중단으로 인한 공기지연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립폼의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키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거푸집의 상승에 인가되는 힘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힘에 기반하여 상기 부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도록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이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외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 가능한 스티프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막는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상기 접철부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접철부는 상호 상하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접철부 중 하나인 하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티프너가 제 1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접철부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티프너가 제 2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은,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1 단계; 측정부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기가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은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고, 상기 제 1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거푸집의 내면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과 접하며,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의 상승에 인가되는 힘을 계측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계측된 힘에 기반하여 상기 부착력을 측정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도록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이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측정하여 필요에 따라 부착력이 강한 폼의 하단부를 콘크리트와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슬립시기를 최적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시공을 가능케 하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표면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슬립폼의 상승중단으로 인한 공기지연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립폼의 상승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슬립폼 공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의 일 실시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최근 건설기술의 발달로 건축, 토목 구조물이 대형화, 고층화 되어가면서 슬림폼 공법이 건설현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법에 의하면 응결시간 예측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품질저하와 시공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슬립시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표면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100)는 거푸집(20), 스티프너(30),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 측정부(50), 제어기(60)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별도로 또는 통합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100)를 구현하는 상기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본다.
거푸집(20)은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2)가 타설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다. 겁푸집(20) 내부에 콘크리트(2)가 타설되는 경우, 겁푸집(20)의 내면은 타설된 콘크리트(2)의 외면과 서로 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2)는 A, B, C, D, E, F 순으로 순차적으로 타설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2)의 경화도 다르게 진행된다.
거푸집(20)의 하부에는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 접철부(22, 24)가 형성되어 있다. 접철부(22, 24)는 거푸집(20)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거푸집(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접철부(22, 24)가 두 개 형성된 실시례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철부는 하나 혹은 셋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접철부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접철부는 거푸집(20)을 따라 상하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접철부를 상부 접철부(24)라 하고, 상부 접철부(24)의 하부에 연결된 접철부를 하부 접철부(22)라 한다.
접철부(22, 24)는 요크(40)에 설치된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과 연결되어 있다.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은 접철부(22, 24)가 접철되거나 접철부(22, 24)가 펼쳐진 상태에 있도록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접철부(22, 24)는 평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 있다. 접철부(22, 24)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접철부(22, 24)의 내면은 타설된 콘크리트(2)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해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이 동작하게 되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에 의하여 접철부(22, 24)가 접철될 수 있다. 접철부(22, 24)가 접철되는 경우, 접철부(22, 24)의 내면은 타설된 콘크리트(2)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콘크리트(2)와의 분리가 발생된다.
접철부(22, 24)의 접철되는 부분에는 연결부재(26, 28)가 설치된다. 연결부재(26, 28)는 접철부(22, 24)가 접철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경첩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푸집(20)의 외면에는 소정의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티프너(30)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스티프너(30)는 제어기(60)에 의하여 승강이 제어되며, 연결부재(26, 28)에 결합 가능하다. 스티프너(30)가 연결부재(26, 28)에 결합되는 경우, 스티프너(30)는 연결부재(26, 28)가 설치된 접철부(26, 28)의 접철을 막는 수단이 된다.
측정부(50)는 거푸집(20)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2)의 부착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압력 게이지(52)와 같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콘크리트(2)가 타설되면 경화에 따라 응결이 진행되며, 응결이 진행될수록 콘크리트(2)의 부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측정부(50)는 이러한 콘크리트(2)의 부착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부착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기(60)에 전송한다.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은 거푸집(20)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은 로드(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콘크리트(2)의 자중과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량 및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따른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의 일 실시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콘크리트(2)가 거푸집(20) 내부에 타설된다(S10). 타설된 콘크리트(2)의 외면은 거푸집(20)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콘크리트(2)는 A, B, C, D, E, F 순으로 순차적으로 타설되므로, A, B, C, D, E, F 순으로 응결이 진행되게 되며, 부착력도 상기 순서로 커지게 된다. 콘크리트(2)의 B나 C층과 같은 하단층은 부착력이 너무 커져서 슬립폼 상승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거푸집(20)의 상부 접철부(24)나 하부 접철부(22)를 접철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60)는 거푸집(20)이 상승되도록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를 제어하며,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은 힘을 서서히 인가하기 시작한다. 측정부(50)는 거푸집(20)의 상승에 인가되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의 힘을 계측하고(S20), 상기 계측된 힘에 기반하여 콘크리트(2)의 부착력을 측정한다(S30).
이어서, 제어기(60)는 측정부(50)로부터 콘크리트(2)의 부착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으며, 제어기(60)는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의 동작을 제어하여 접철부(22, 24)가 콘크리트(2) 외면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S40).
구체적으로, 측정부(50)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2)의 부착력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거푸집(20)을 그대로 상승시키게 되면 콘크리트(2)의 부착력에 의하여 표면결함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60)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며, 접철부(22, 24)가 접철되어 접철부(22, 24)가 콘크리트(2) 외면에서 분리되도록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42)을 제어한다. 접철부(22, 24)가 접철된 후에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44)가 다시 힘을 인가하여 거푸집(20)을 상승시킨다.
반대로, 측정부(50)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콘크리트(2)의 부착력이 비교적 크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접철부(22, 24)의 접철의 필요성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제어기(60)는 접철부(22, 24)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대로 거푸집(20)이 상승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관련된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100)의 접철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를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하부 접철부(22)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2)의 하단 B층의 부착력이 커서 슬립폼의 상승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기(60)는 하부 접철부(22)만 접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60)는 스티프너(30)가 상부 접철부(24)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 연결부재(28)에 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부 접철부(24)가 접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b는 상부 접철부(24)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2)의 하단 B층과 C층의 부착력이 커서 슬립폼의 상승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기(60)는 상부 접철부(24)가 접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60)는 스티프너(30)가 하부 접철부(22)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 연결부재(26)에 결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부 접철부(22)가 접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응결시간 예측 실패에 따라 콘크리트 표면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 콘크리트
20: 거푸집
22, 24: 접철부
30: 스티프너
40: 요크
42: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
50: 측정부
60: 제어기
100: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Claims (15)

  1.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키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거푸집의 상승에 인가되는 힘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힘에 기반하여 상기 부착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도록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이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7.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외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 가능한 스티프너;를 포함하되,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된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티프너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상기 접철부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접철부는 상호 상하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접철부 중 하나인 하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티프너가 제 1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접철부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티프너가 제 2 연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 접철부가 접철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12. 접철 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 1 단계;
    측정부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응결에 따른 부착력을 측정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기가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부착력에 대응하여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은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접철부의 접철을 유도하고,
    상기 제 1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거푸집의 내면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과 접하며,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접철부의 내면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 2 단계는,
    거푸집 상승용 유압잭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의 상승에 인가되는 힘을 계측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계측된 힘에 기반하여 상기 부착력을 측정하는 제 2-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접철되도록 상기 거푸집 분리용 유압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에 의하여 계측된 힘이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철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이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공법.
KR1020140132203A 2014-10-01 2014-10-01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KR10153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03A KR101530492B1 (ko) 2014-10-01 2014-10-01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03A KR101530492B1 (ko) 2014-10-01 2014-10-01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492B1 true KR101530492B1 (ko) 2015-06-29

Family

ID=535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203A KR101530492B1 (ko) 2014-10-01 2014-10-01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2800A (zh) * 2023-08-30 2023-09-29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滑模防裂测试控制装置、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843A (ko) * 1999-07-30 2001-02-15 최성환 현장타설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JP2002097643A (ja) * 2000-09-26 2002-04-02 Penta Ocean Constr Co Ltd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型枠上昇制御方法
KR20110126781A (ko) * 2010-05-18 2011-11-24 동도산업 주식회사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843A (ko) * 1999-07-30 2001-02-15 최성환 현장타설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JP2002097643A (ja) * 2000-09-26 2002-04-02 Penta Ocean Constr Co Ltd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型枠上昇制御方法
KR20110126781A (ko) * 2010-05-18 2011-11-24 동도산업 주식회사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2800A (zh) * 2023-08-30 2023-09-29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滑模防裂测试控制装置、系统及方法
CN116812800B (zh) * 2023-08-30 2023-12-01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滑模防裂测试控制装置、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366B1 (ko) 안전 진단을 위한 구조물 균열 변위 측정장치 및 방법
Nassif et al. Influence of cold weather during casting and curing on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concrete
KR101186711B1 (ko) 양생제어가 가능한 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KR101913671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직접 설치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용 2중 몰드 및 그 2중 몰드에 의한 콘크리트 시험체 제작방법
KR101530492B1 (ko) 분리형 하이브리드 슬립폼 장치 및 슬립폼 공법
CN103575644A (zh) 匹配浇筑混凝土接触面摩擦系数试验方法
JP4536044B2 (ja) トンネル覆工方法
CN105021470A (zh) 3d打印构件层间剪切强度的测试结构及测试方法
KR102023248B1 (ko) 거푸집 탈형 시점 검출 시스템
CN103669868B (zh) 超长混凝土楼面结构的递推流水施工方法
KR102401198B1 (ko) 콘크리트 온도추종 양생장치를 이용한 거푸집 탈형시기의 결정방법
CN106639500B (zh) 高风压下方形变截面多层平台烟囱一次滑模施工方法
Nilimaa et al. Thermal crack risk of concrete structures: Evaluation of theoretical models for tunnels and bridges
CN113646148A (zh) 用于优化控制混凝土泵等的输送功率的计算机辅助的方法和装置
Jamieson et al. Review of Rigid Aircraft Pavement Joint Types, Effectiveness, Distress, Maintenance, and Analysis
CN106644759A (zh) 一种钢桥沥青路面剪切疲劳试验方法
JP6942024B2 (ja) トンネル覆工における施工継ぎ目のひび割れ防止装置
CN106284979A (zh) 一种剪力墙模板安装根部角钢装置
KR101624464B1 (ko)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CN210263490U (zh) 一种具备可调伸缩结构的装配式墙体
CN109538063A (zh) 预制飘窗的安装方法、预制飘窗及房屋建筑
KR20170107622A (ko) 온도제어가 되는 슬립폼을 갖는 인양 시스템, 및 인양방법
JP6761264B2 (ja) 水平部材の施工管理方法
JPH0241625B2 (ko)
CN208668957U (zh) 混凝土浇筑免拆复合保温模板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